KR101792618B1 - 반자동 미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반자동 미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18B1
KR101792618B1 KR1020170061340A KR20170061340A KR101792618B1 KR 101792618 B1 KR101792618 B1 KR 101792618B1 KR 1020170061340 A KR1020170061340 A KR 1020170061340A KR 20170061340 A KR20170061340 A KR 20170061340A KR 101792618 B1 KR101792618 B1 KR 10179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outer pipe
roll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우
Original Assignee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문풍막; 상기 건물의 개구부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에서 왕복 이동하는 롤러; 일측은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롤러와 연결되는 브라켓; 상기 건물의 개구부의 상부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닫힘부; 및 상기 닫힘부와 상기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홈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슬라이딩판, 상측은 상기 롤러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닫힘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 모듈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외부파이프의 타단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파이프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과,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에는,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에는 상기 제1관통공 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조절볼트와 가까워지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부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제1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제2관통공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내부파이프와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파이프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미닫이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자동 미닫이 도어{SEMI-AUTOMATIC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자동으로 도어가 닫힐 수 있는 반자동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 도어와 여닫이 도어로 구별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미닫이 도어는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고, 여닫이 도어는 경첩 등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방식이다.
한편, 실내의 냉/난방이 되고 있을 때에도, 이러한 도어는 사람들의 출입에 의해 열린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출입문을 잘 닫지 않는 사용자도 있기 때문에,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여닫이 도어에 구비된 도어 체크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모터 등의 개폐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의 감지에 따라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개폐장치는 가격이 비싸고, 설치 및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사람의 출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미닫이 도어를 항상 열어놔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8064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간단하고, 전기에너지의 필요 없이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있는 반자동 미닫이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문풍막; 상기 건물의 개구부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에서 왕복 이동하는 롤러; 일측은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롤러와 연결되는 브라켓; 상기 건물의 개구부의 상부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닫힘부; 및 상기 닫힘부와 상기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홈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슬라이딩판, 상측은 상기 롤러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닫힘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 모듈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외부파이프의 타단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파이프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과,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에는,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에는 상기 제1관통공 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조절볼트와 가까워지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부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제1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제2관통공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내부파이프와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파이프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가 각각 결합되는 롤러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가 상기 롤러프레임에 감긴 정도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는 전기적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를 자동을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자동 미닫이 도어는 도어가 닫힐 때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도어에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자동 미닫이 도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문풍막을 구비하여 실내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닫힌 모습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가 열린 모습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레일프레임프레임과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닫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고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모듈의 제1관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고정모듈의 제2관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 닫힘부와 브라켓이 연결된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도어 하부에 설치된 문풍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미닫이 도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닫힌 모습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가 열린 모습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레일프레임과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100)는 레일프레임(110), 도어(120), 및 닫힘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프레임(110)은 건물의 개구부(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레일프레임(110)은 건물의 개구부(10)에 설치된 도어프레임(12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이동공간(110a)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프레임(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이동공간(110a)으로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레일(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레일프레임(110)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어(120)의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는 롤러(125)가 연결되고, 상기 롤러(125)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1)에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도어(120)는 상기 레일프레임(110)을 통해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닫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닫힘부(130)는 상기 개구부(10)의 상부, 상기 도어프레임(121)의 상부 또는 레일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닫힘부(130)는 상기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X2)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닫힘부(130)는 탄성모듈(133)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모듈(133)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X2)으로 상기 도어(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닫힘부(130)는, 외부파이프(131), 내부파이프(132), 및 상기 탄성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파이프(131)는 상기 닫힘부(13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파이프(13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파이프(132)가 배치된다.
상기 내부파이프(13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파이프(132)는 상기 외부파이프(131)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모듈(133)은, 상기 내부파이프(132)가 상기 외부파이프(131) 내부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탄성모듈(133)의 일단은 상기 외부파이프(131) 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모듈(133)의 타단은 상기 외부파이프(131)의 일측과 대향되는 부분인 상기 내부파이프(132)의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개방될 때 상기 탄성모듈(133)은 인장되고, 외부의 힘이 상기 도어(120)에서 제거될 때 상기 탄성모듈(133)은 수축되어 상기 도어(120)는 닫힐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120)가 열리는 방향(X1)인 제1방향으로 상기 도어(120)를 밀어 상기 도어(120)를 개방하면, 상기 탄성모듈(133)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이고 상기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X2)인 제2방향으로 상기 도어(120)를 끌어 당겨 상기 도어(120)를 닫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모듈(133)은 수축스프링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탄성력을 가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내부파이프(132)에는 차폐패킹(13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패킹(132a)은 상기 내부파이프(132)의 외면과, 상기 외부파이프(131)의 내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고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모듈의 제1관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고정모듈의 제2관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닫힘부(130)는 고정 모듈(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134)은 상기 외부파이프(13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134)에는 상기 탄성모듈(133)이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134a)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134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모듈(133)을 구성하는 수축스프링은 상기 돌출부(134a)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134)에는 상기 외부파이프(131)의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파이프(132)의 내부 공간(이하, 이를 “기압 공간(S)”이라고 함)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1관통부(135)와 제2관통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고, 상기 탄성모듈(133)이 인장될 때, 상기 제1관통부(135)와 상기 제2관통부(136)를 통해 외부의 공기는 상기 기압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힘이 제거되어 상기 탄성모듈(133)이 수축되면, 상기 도어(120)는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관통부(135)를 통해 기압 공간(S)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135)와 상기 제2관통부(136)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단위시간 당 공기의 양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모듈(133)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닫힐 때, 상기 기압 공간(S)에는 압축공기가 형성된다.
상기 기압 공간(S)에 형성된 압축공기는 상기 도어(120)가 급격히 닫히는 것이 방지하여, 상기 도어(120)에 의한 끼임 사고를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135)는, 조절 볼트(1351)와, 결합부분(1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분(1352)은, 상기 조절 볼트(1351)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 볼트(1351)가 결합되는 내부에는 상기 기압 공간(S)과 연통되는 제1관통공(135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분(1352)의 나사산에는 상기 제1관통공(135a) 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조절 볼트(1351)와 가까워지는 제1경사면(1352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분(1352)의 나사산이 부분적으로 절개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경사면(135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 볼트(1351)가 상기 결합부분(1352)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1352a)과 상기 조절 볼트(1351)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 볼트(1351)와 상기 제1경사면(1352a)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며, 상기 제1관통공(135a)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관통공(135a)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면, 상기 탄성모듈(133)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닫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부(136)는 기압 공간(S)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때 차단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관통부(136)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2관통공(136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136a)은 차단판(136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판(1361)은, 상기 제2관통공(136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압 공간(S)으로 유입될 때 열리고, 상기 기압 공간(S)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때, 상기 기압 공간(S)에 형성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제2관통공(136a)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20)를 개방할 때는 상기 제1관통공(135a) 및 상기 제2관통공(136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압 공간(S)으로 유입되어, 작은 힘으로도 상기 도어(120)의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어(120)가 닫힐 때는 상기 차단판(1361)이 상기 제2관통공(136a)을 차단하여, 상기 제1관통공(135a)으로만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어, 상기 도어(120)가 급격히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 닫힘부와 브라켓이 연결된 부분의 사시도이고,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프레임(110)에서 이동하는 상기 롤러(125)는 상기 도어(120)에 장착된 브라켓(14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0)은, 메인프레임(141)과, 슬라이딩판(142)과, 조절나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41)은, 상기 도어(12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41)은 고정플레이트(1411)와 절곡플레이트(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411)는 도어(120)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절곡플레이트(141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11)에 고정되며, 상기 절곡플레이트(1412)에는 상기 조절나사(143)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1412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판(142)은, 상기 절곡플레이트(1412)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라이딩판(142)에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42a)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142)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플레이트(1412)에는 상기 각 슬라이딩 홈(142a)에 삽입될 수 있는 핀(1412p)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142)은 상기 고정홈(1412a)을 차단할 수 있는 돌출편(142p)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42p)은, 상기 고정홈(1412a)에서 상기 조절나사(14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1412a)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142p)에는 제2경사면(142b)이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홈(1412a)으로 상기 조절나사(143)가 삽입될 때, 상기 조절나사(143)가 상기 제2경사면(142b)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홈(1412a)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편(142p)은 이동되고, 상기 조절나사(143)가 상기 고정홈(1412a)에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돌출편(142p)은 상기 고정홈(1412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143)는 상기 롤러(125)에 구비된 롤러프레임(125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251)에 감긴 정도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4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143)는 상기 메인프레임(141)이 고정된 상기 도어(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143)에는 조임너트(1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143)가 상기 고정홈(1412a)에 삽입이 완료된 후, 상기 조임너트(144)를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프레임(141)과 상기 조절나사(143)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142)과 상기 절곡플레이트(1412) 사이에는 팽창스프링(143)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판(14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팽창스프링(143)은 상기 돌출편(142p)이 상기 고정홈(1412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판(142)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142)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가압편(14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편(1421)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딩판(142)을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판(142)은 이동되고 상기 돌출편(142p)은 상기 고정홈(1412a)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40)은 연결플레이트(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45)는 상기 내부파이프(132)와 상기 메인프레임(141)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45)의 일측은 상기 내부파이프(132)와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45)의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14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45)의 타측에는 복수의 고정구(145a)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파이프(132)와 상기 메인프레임(141)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구(145a)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145a)에 나사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45)의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14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도어 하부에 설치된 문풍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20)의 하부에는 바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문풍막(122)이 구비되어, 실내외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여, 건물 실내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문풍막(122)은 상기 도어(120)의 하부 홈에 형성되거나, 상기 도어(1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반자동 미닫이 도어
110: 레일프레임
120: 도어
130: 닫힘부

Claims (5)

  1.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문풍막;
    상기 건물의 개구부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에서 왕복 이동하는 롤러;
    일측은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롤러와 연결되는 브라켓;
    상기 건물의 개구부의 상부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닫힘부; 및
    상기 닫힘부와 상기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홈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슬라이딩판,
    상측은 상기 롤러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닫힘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 모듈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외부파이프의 타단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파이프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과,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에는,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에는 상기 제1관통공 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조절볼트와 가까워지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부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제1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제2관통공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내부파이프와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파이프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미닫이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가 각각 결합되는 롤러프레임을 포함하는 반자동 미닫이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가 상기 롤러프레임에 감긴 정도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미닫이 도어.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1340A 2017-05-18 2017-05-18 반자동 미닫이 도어 KR10179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40A KR101792618B1 (ko) 2017-05-18 2017-05-18 반자동 미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40A KR101792618B1 (ko) 2017-05-18 2017-05-18 반자동 미닫이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618B1 true KR101792618B1 (ko) 2017-11-01

Family

ID=6038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340A KR101792618B1 (ko) 2017-05-18 2017-05-18 반자동 미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59A (ko) * 2018-01-16 2019-07-24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KR102067703B1 (ko) * 2019-09-06 2020-02-25 주식회사 삼흥정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KR102207963B1 (ko) 2020-06-09 2021-01-26 김병철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KR20230148604A (ko) 2022-04-18 2023-10-25 정국 경사를 이용한 문의 자동 닫힘구조
KR20240000089A (ko) 2022-06-23 2024-01-02 정국 경사를 이용한 문의 자동 닫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802B2 (ja) * 1996-10-29 2001-09-04 株式会社コウキテクノ 噴流半田槽ノズル
JP2005350912A (ja) * 2004-06-09 2005-12-22 Kobayashi Seisakusho:Kk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2008095306A (ja) 2006-10-06 2008-04-24 Kobayashi Seisakusho:Kk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802B2 (ja) * 1996-10-29 2001-09-04 株式会社コウキテクノ 噴流半田槽ノズル
JP2005350912A (ja) * 2004-06-09 2005-12-22 Kobayashi Seisakusho:Kk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2008095306A (ja) 2006-10-06 2008-04-24 Kobayashi Seisakusho:Kk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59A (ko) * 2018-01-16 2019-07-24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KR102068294B1 (ko) * 2018-01-16 2020-02-11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KR102067703B1 (ko) * 2019-09-06 2020-02-25 주식회사 삼흥정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CN112459666A (zh) * 2019-09-06 2021-03-09 三兴精密株式会社 利用气弹簧和动滑轮的半自动式三联动门
KR102207963B1 (ko) 2020-06-09 2021-01-26 김병철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KR20230148604A (ko) 2022-04-18 2023-10-25 정국 경사를 이용한 문의 자동 닫힘구조
KR20240000089A (ko) 2022-06-23 2024-01-02 정국 경사를 이용한 문의 자동 닫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18B1 (ko) 반자동 미닫이 도어
KR101772092B1 (ko) 브라켓을 구비한 미닫이 도어용 레일 장치
US20160290039A1 (en) Cable guided shade system
CA2541147A1 (en) Sliding screen door
EP1549817A4 (en) SAFETY DOOR AND FRAME CONSTRUCTION
EP1966463A4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OW CLOSURE IN A SLIDING WINDOW SYSTEM
WO2016000498A1 (zh) 一种门窗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101039712B1 (ko) 옥내 중문 개폐 장치
CN104196405A (zh) 一种含有内窗扇的窗户以及含有内门扇的门
CN211818976U (zh) 一种提审室门防夹伤自锁装置
WO2018091639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CN210888602U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门窗装置
CN104632018B (zh) 一种利用皮带传动的智能楼宇门禁系统
KR102052302B1 (ko) 도어의 개폐에 따른 충격흡수 및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용 원터치형 스토퍼
FR2907595B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osition relative de deux elements a integration amelioree
KR102068294B1 (ko)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US10900263B2 (en) Retractable latch hook shroud assembly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200453987Y1 (ko) 창문 고정장치
US20090293365A1 (en) Delayed Action Door Constraint with Remote Closing By and of a Second Door
CN104574604A (zh) 一种含有滚珠的智能楼宇的门禁系统
KR20190106634A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10209460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EP3262261B1 (en)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and an assembly of an elongated housing and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