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592B1 - 개폐체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592B1
KR100724592B1 KR1020050037005A KR20050037005A KR100724592B1 KR 100724592 B1 KR100724592 B1 KR 100724592B1 KR 1020050037005 A KR1020050037005 A KR 1020050037005A KR 20050037005 A KR20050037005 A KR 20050037005A KR 100724592 B1 KR100724592 B1 KR 10072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body
door
clos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887A (ko
Inventor
쇼헤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4907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245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06004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7Tilting or swing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어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도어 연동장치(41)의 전달체(64)의 접동구멍부(66)를,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전달체(64)의 접동구멍부(66)에 끼워넣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기판부(43)의 폭방향인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진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사이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전달체(64)의 접동구멍부(66)내에서의 피벗축(26)의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도어, 연동장치, 가구, 두께, 간극, 틈

Description

개폐체 연동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DOOR}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폐체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폐체 연동장치에서 개구부를 폐색(閉塞)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개폐체 연동장치에서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개폐체 연동장치에서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개폐체 연동장치에서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형태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개구부
22 : 제1의 도어(Door)체(제1의 개폐체)
23 : 제2의 도어체(제2의 개폐체)
26 : 피벗(Pivot) 축(끼워넣기 돌출부; 주행체)
31 : 끼움결합체(주행체)
41 : 개폐체 연동장치로서의 도어 연동장치(개폐체 연동장치)
45 : 풀리(Pulley)(지지체)
61 : 벨트체(조절띠)
64 : 전달체
66 : 접동(摺動) 구멍부(끼워넣기 구멍)
85 : 조정구멍(끼워넣기 구멍)
86 : 나사 고정구멍(끼워넣기 구멍)
88 : 축부(軸部)(끼워넣기 돌출부)
97 : 끼움결합 요(凹)부(피결합 수용부)
101 : 걸림홈부(결합구멍)
102 : 걸림 철(凸)부(피결합부)
본 발명은,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개폐체 연동장치로서는, 가구 등의 내부 수용공간의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 예컨대 3개의 개폐체(開閉體)로서의 평판 사각형상의 제1의 도어(Door)체와 제2의 도어체와 제3의 도어체를 서로 연동시켜서, 이 수용개구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개폐체 연동장치는, 제1의 도어체 위에 설치되어 있고, 이 제1의 도어체의 상단면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풀리(Pulley)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풀리에는, 무단(無端)형상의 벨트체가 회전가능하게 감겨져 있고, 이 벨트체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전달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달체에는, 이 전달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긴 구멍형상의 접동(摺動)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달체의 각 접동 구멍부에는,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 각각의 상단면에 돌출설치된 피벗(Pivot) 축이 끼워넣어져서 설치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2004-60428호 공보, 5-14페이지, 도 1-도 6 참조).
또한, 이 종류의 개폐체 연동장치로서는, 제1의 도어체의 상단면의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된 한쌍의 도어용 연동체(連動體)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도어용 연동체에는, 제1의 개폐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요(凹)형상의 피결합 요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도어체 연동체에 설치된 피결합 요부에,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 각각의 상단면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피벗(Guide Pivot)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이들 제1의 도어체,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를 연동동작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29712호 공보, 3-7페이지, 도 1-도 2 참조).
그러나, 상술한 각 개폐체 연동장치의 각각에서는, 전달체에 설치한 접동 구멍부 및 도어용 연동체에 설치한 피결합 요부의 각각이 제1의 도어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고, 이들 접동 구멍부 및 피결합 요부에,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의 상단면에 돌출설치한 피벗축 또는 가이드 피벗을 끼워넣거나 결합시키는 구성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이들 제1의 도어체,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도어체,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 사이의 간극(間隙)수단이 다른 경우 등에는, 전달체 또는 도어용 연동체를 만들어 고쳐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들 제1의 도어체, 제2의 도어체 및 제3의 도어체의 두께나 간극수단이 다른 경우에는, 전달체 또는 도어용 연동체를 교환하는 일이 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개폐체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는,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 상기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되고, 이 제1의 개폐체의 이동을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에 연동시키는 전달체와, 이 전달체 및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끼워넣기 돌출부와, 상기 전달체 및 상기 제2의 개폐체와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끼워넣기 돌출부가 끼워넣어지는 끼워넣기 구멍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된 전달체 및 제2의 개폐체의 어느 한쪽에 설치한 끼워넣기 돌출부를, 전달체 및 제2의 개폐체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한 끼워넣기 구멍에 끼워넣는다. 이 결과,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끼워넣기 돌출부가,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넣기 돌출부에 끼워넣어진다. 따라 서,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간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끼워넣기 구멍에 대한 끼워넣기 돌출부의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있어서, 제1의 개폐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체와, 이들 한쌍의 지지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절띠를 구비하고, 전달체는 상기 조절띠의 일부와 제2의 개폐체를 접속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1의 개폐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설치한 한쌍의 지지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조절띠의 일부와 제2의 개폐체를 전달체에 접속시켰다. 이 결과, 한쌍의 지지체 사이에 있어서의 조절띠의 회전으로 제1의 개폐체에 대하여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도,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는,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 상기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되고, 이 제1의 개폐체의 이동을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에 연동시키는 전달체와,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한쌍의 끼워넣기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끼워넣기 돌출부를 결합하는 피결합 수용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된 전달체의 피결합 수용부에, 제2의 개폐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한 한쌍의 끼워넣기 돌출부가,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결과,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사이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전달체의 피결합 수용부에 결합한 끼워넣기 돌출부에 의한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있어서,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주행하는 주행체를 구비하고, 끼워넣기 돌출부는, 상기 주행체의 적어도 일부인 것이다.
그리고,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주행하는 주행체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넣기 돌출부이다. 이 때문에, 이 끼워넣기 돌출부를 주행체와 별체(別體)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는,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 상기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되고, 이 제1의 개폐체의 이동을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에 연동시키는 전달체와,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이 제2의 개폐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된 전달체의 피결합부가, 제2의 개폐체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결합구멍에,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결과,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간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제2의 개폐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결합구멍에 결합한 피결합부에 의한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개폐체 연동장치의 제1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피(被)개폐체 개폐장치로서의 하부 하중식(荷 重式)의 칸막이 장치이다. 그리고, 이 칸막이 장치(1)는, 도시하지 않는 건물의 복도와 방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칸을 막는다. 구체적으로, 이 칸막이 장치(1)는, 상판(2), 도시하지 않는 하판, 좌측판 및 우측판에 의해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개구부(3)를 개폐가능하게 칸을 막는다.
여기에서, 이 개구부(3)의 상판(2)은, 좌우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가늘고 긴 사각형 평판모양이다. 그리고, 이 상판(2)의 하면에는, 이 상판(2)의 길이방향을 따른 단면상으로 요홈형상의 설치요부(凹部, 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요부(4)는, 상판(2)의 하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이 상판(2)의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른 전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판(2)의 설치요부(4)에는, 상부 가이드 레일(Guide Rail)로서의 안내부재인 가늘고 긴형상의 일체의 상부 레일(11)이 길이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알루미늄재 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때,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은, 길이방향을 개구부(3)의 원주방향을 향한 상태로 설치요부(4)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은, 베이스(Base)부로서의 가늘고 긴, 단면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설치판부(12)를 갖고 있다. 이 설치판부(12)는, 상판(2)의 설치요부(4)내에 상면 전 영역이 결합된 상태로 고착된다. 그리고, 이 설치판부(12)의 아래쪽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개방된 단면으로 대략 요홈형상의 주행요부(13)가, 이 설치판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행요부(13)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쌍을 이루는 한쌍의 제1의 결합고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제1의 결합고리부(14)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 즉 마주 대하는 방향을 향하여 거의 L자 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이들 한쌍의 제1의 결합고리부(14)의 선단부 사이에는, 이들 한쌍의 제1의 결합고리부(14)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홈형상의 접동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동홈부(15)는, 후술하는 가이드 블럭(Guide Block, 52)이 접동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질 정도의 폭치수를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접동홈부(15)는, 가이드 블럭(52)의 폭치수보다 약간 큰 폭치수를 갖고 있다.
더욱이, 이들 한쌍의 제1의 결합고리부(14)로부터 주행요부(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는, 쌍을 이루는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 즉, 마주 대하는 방향을 향하여 거의 L자 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이들 한쌍의 제1의 결합고리부(14)로부터 주행요부(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을 향하여 떨어진 위치에는,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와 같은 모양의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의 선단부 사이에는, 이들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의 길이방향을 따른 접동홈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의 선단부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이들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의 길이방향을 따른 접동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접동홈부(18, 19)의 각각은, 후술하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이 피벗축(26)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될 정도 의 폭치수를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들 접동홈부(18, 19)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외경치수보다 약간 큰 폭치수를 갖고 있다.
한편, 21은 개폐체 장치로서의 도어장치이다. 이 도어장치(21)는, 개구부(3)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개폐체로서, 제1의 개폐체로서의 제1의 도어체(22)와, 제2의 개폐체로서의 제2의 도어체(23)와, 제3의 개폐체로서의 제3의 도어체(24)를 갖추고 있다.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은, 서로 거의 같은 크기이며, 상하방향에 길이방향을 갖는 사각형 평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은, 예컨대 26mm의 같은 두께 치수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은, 개구부(3)의 상단면에 고착된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게, 즉, 이동가능하게 걸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는, 개구부(3)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 때,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6mm의 간극을 각각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포개지도록 일체의 상부 레일(11)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의 도어체(22)는, 개구부(3)를 폐색하였을 때에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거의 중앙을 폐색한다. 더욱이, 제2의 도어체(23)는, 개구부(3)를 폐색하였을 때에, 예컨대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 즉,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인 폐색위치에 위치하여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을 폐색한다. 또한, 제3의 도어체(24)는, 개구부(3)를 폐색하였을 때에, 예컨대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 즉,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인 폐색위치에 위치하여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폐색한다.
더욱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단면인 상단면의 이동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매설(埋設)요부(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매설요부(25)는,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상단면의 폭방향을 따른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매설요부(25)는,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상하방향을 따른 축방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매설요부(25) 각각은,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윗쪽을 향하여 진퇴가능한 끼워넣기 돌출부로서의 피벗축(26)이 각각 선단부를 돌출시킨 상태로 매설되어 있다. 이들 피벗축(26)은, 주행체(走行體)를 겸하고 있고,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을 향하는 윗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즉, 이들 피벗축(26)은,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높이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하여 있다.
더욱이, 이들 피벗축(26)은, 각 매설요부(25)에 매설되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스체(2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체(27)의 내부에는, 이 케이스체(27)의 축방향을 따른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로서의 감김 용수철(28)과, 이 감김 용수철(28)에서 케이스체(27)의 개구방향을 향하여 밀어붙여진 가늘고 긴 원주형상의 축체(軸體, 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체(29)의 선단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끼움결합체(31)가, 이 끼움결합체(31)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揷通)개구(32)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이 끼움결합체(31)는, 축체(29)의 선단부에 대하여, 이 축체(29)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끼움결합체(31)의 기단측(基段側)인 하단측의 외측 테두리에는, 이 끼움결합체(31)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끼움결합 수용부로서의 고리형상의 걸림 날밑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끼움결합체(31)는, 주행체의 일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제2의 도어체(23)는, 제1의 도어체(22)의 전방에 위치하고, 이 제1의 도어체(22)의 이동 궤적에 따른 앞쪽을 이동한다. 또한, 제3의 도어체(24)는, 제1의 도어체(22)의 후방에 위치하고, 이 제1의 도어체(22)의 이동 궤적에 따른 뒷쪽을 이동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3)를 폐색하였을 때에,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근접하는 쪽에 위치하는 제2의 도어체(23)의 매설요부(25)에 매설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는,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의 접동홈부(18)에 접동가능하게 끼워넣어져서 걸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개구부(3)를 폐색하였을 때에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근접하는 쪽에 위치하는 제3의 도어체(24)의 매설요부(25)에 매설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 는,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제3의 결합고리부(17)의 접동홈부(19)에 접동가능하게 끼워넣어져서 걸려져 있다.
한편, 일체의 상부 레일(11)에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의 도어 연동장치(41)가 접동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연동장치(41)는, 제1의 도어체(22)에 인접하는 도어체, 즉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이동에서,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동시킨다. 그리고, 이 도어 연동장치(41)는,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연동장치 본체(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동장치 본체(42)는,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과 거의 같은 대략 사각형 평판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부로서의 기판부(基板部, 43)를 갖고 있다. 이 기판부(43)는,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피벗축(26)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기판부(43)는, 알루미늄재의 압출성형으로 형성된 기판으로서의 설치판이다.
그리고, 이 기판부(4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지지체(支持體)인 대략 원주형상의 활차로서의 풀리(4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풀리(45)는, 제1의 도어체(22)의 이동방향인 기판부(43)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 풀리(45)는, 도어 연동장치(41)를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 제1의 도어체(22)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풀리(45)는, 기판부(43)의 상단면의 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기판부(43)의 상단면의 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이들 풀리(45)는, 제1의 도어체(22) 위에, 기판부(43)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풀리(45)는, 후술하는 벨트체(61)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지지한다. 더욱이, 이들 풀리(45)의 외주면의 축방향을 따른 대략 중간부에는, 이들 풀리(45)의 원주방향을 따른 단면으로 요호(凹弧)형상의 끼움결합 홈부로서의 벨트홈부(4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풀리(45)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안쪽인 기판부(43)의 상단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원형상의 삽통구멍(48)이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삽통구멍(48)은, 끼움결합체(31)의 걸림 날밑부(33)의 외경치수보다 작고, 이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보다 크고, 이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삽통가능한 내경치수를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들 삽통구멍(48)의 개구부에는, 끼움결합체(31)의 걸림 날밑부(33)가 접촉하여 있다.
더욱이, 기판부(4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테두리의 각각은, 이 기판부(43)의 길이방향을 따른 조각형상의 한쌍의 결합편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결합편부(49)는, 기판부(43)의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후, 서로 대향하는 기판부(43)의 폭방향을 따른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단면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쌍의 결합편부(49)의 안쪽인 기판부(43) 위에는, 접촉부로서의 사각형 평판모양의 한쌍의 접촉편부(51)가 돌출설치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한쌍의 접촉편부(51)는, 기판부(4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테두리의 일단측과, 이 기판부(4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타측 테두리의 타단측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들 한쌍의 접촉편부(51)는, 제1의 도어 체(22)의 상단면에 기판부(43)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단부 앞쪽과,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단부의 뒷쪽의 각각에 위치하도록, 이 기판부(4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기판부(43)의 각 삽통구멍(48) 위에는, 규제체(規制體)로서의 가늘고 긴 사각형 평판모양의 가이드 블럭(5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블럭(52)은, 이들 가이드 블럭(52)의 길이방향을 기판부(43)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이 기판부(4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가이드 블럭(52)은, 기판부(43)의 삽통구멍(48)을 걸친 상태에서, 이 기판부(43) 위에 나사고정, 즉 비스(Vis) 고정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이드 블럭(52)은,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제1의 결합고리부(14)사이에 동일한 폭치수를 갖고 있다. 즉, 이들 가이드 블럭(52)은, 도어 연동장치(41)를 일체의 상부 레일(11)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제1의 결합고리부(14)사이에, 이들 가이드 블럭(5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테두리가 접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들 가이드 블럭(52)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원형상의 결합구멍(53)이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구멍(53)은, 가이드 블럭(52)을 기판부(43) 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 기판부(43)의 삽통구멍(48)에 동심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결합구멍(53)은,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끼움결합가능한 내경치수를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 걸림구멍(53)은,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외경치수보다 약간 크고, 더욱이 이 끼움결합체(31)의 걸림 날밑부(33)보다 작은 내경치수를 갖고 있다.
더욱이, 각 풀리(45)의 벨트홈부(47)에는, 이들 각 풀리(45)를 기판부(43)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벨트나 와이어 등의 가늘고 긴 환형상(環形狀)의 무단체(無端體)로서의 조절띠인 벨트체(61)가 회전가능하게 감겨져 있다. 이 벨트체(61)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한쪽의 이동에서, 제1의 도어체(22)와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다른쪽을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동시킨다. 즉, 이 벨트체(61)는, 한쌍의 풀리(45)사이에 감겨져 있어, 이들 한쌍의 풀리(45)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벨트체(61)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토퍼체(Stopper, 62)가 위치결정 고정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체(62)는, 복수개, 예컨대 2개의 대략 볼(Ball) 형상의 스토퍼(63)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63)는, 벨트체(61)에 축심이 관통된 상태에서, 이 벨트체(6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연접(連接)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스토퍼체(62) 각각에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한쪽에 접속되는 전달체(6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달체(64)는, 스토퍼체(62)에 끼움결합되어, 벨트체(61)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접속된다. 바꿔 말하면, 이들 전달체(64)는, 벨트체(61), 풀리(45) 및 기판부(43)를 통하여 제1의 도어체(22)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전달체(64)는, 벨트체(61)의 일부와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를 접속시켜서 연결시킨다. 따라서, 이들 전달체(64)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한쪽의 이동을,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한쪽 과는 다른 제1의 도어체(22)와,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다른쪽으로 전달하여 연동시킨다.
또한, 이들 전달체(64)는, 사각형 평판모양의 전달체 본체(6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전달체 본체(65)의 대략 중앙부에는, 이들 전달체 본체(65)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관통한 끼워넣기 구멍으로서의 긴 구멍형상의 접동 구멍부(66)가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동 구멍부(66)에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접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다. 즉, 이들 접동 구멍부(66)에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진다. 바꿔 말하면, 이들 접동 구멍부(66)는,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따른 방향을 향하여 헐겁게 끼워지는 형태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를 끼워넣는다. 따라서, 이들 접동 구멍부(66)는, 전달체 본체(65)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접동 구멍부(66)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쪽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들의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어느쪽을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이들 접동 구멍부(66)에는,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에서 개구부(3)를 폐색한 상태에서,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쪽의 제1의 도어체(22)에 근접하는 쪽의 매설요부(25)에 매설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아래쪽으로부터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거리란, 전달체(64)에 연결된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의 상단면에서 돌출한 피벗축(26)이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 내를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이다. 또한, 이 접동 구멍부(66)의 하단측의 개구 테두리에는, 이 접동 구멍부(66)에 끼움결합되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걸림 날밑부(33)가 접동가능하고, 또한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즉, 헐겁게 끼워지는 계단형상의 결합단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단부(67)는, 접동 구멍부(66)의 하단측의 개구 테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는, 이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가늘고 긴 사각형상의 연결판부(6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판부(68)의 일측 테두리에는, 스토퍼체(62)가 끼움결합되는 단면으로 요호형상의 설치요부(7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요부(7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이 설치요부(71)에 스토퍼체(62)를 끼움결합하였을 때에, 이 스토퍼체(62)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한 벨트체(61)의 일부가 끼움결합되는 단면으로 요형상의 설치홈부(7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부(68)의 하면에는, 기판부(43)의 결합편부(49)에 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부(73)는, 기판부(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가능하고, 또한 이동가능하게, 이 기판부(43)의 결합편부(49)에 끼움결합되는 단면으로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부(73)는, 연결판부(6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연결판부(68)의 길이방향에 걸친 전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결합홈부(73)는, 전달체(64)를 기판 부(43)의 측테두리를 따라 접동시킨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는,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 평판모양의 스토퍼부재(7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부재(75)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쪽에 의한 개구부(3)의 폐색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이다. 더욱이, 이들 스토퍼부재(7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의 중앙부에는, 요홈형상으로 절결된 걸림수용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수용부(76)에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쪽의 매설요부(25)에 매설된 피벗축(26)의 축체(軸體, 29)가 착탈가능에 걸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 각 스토퍼부재(75)는, 서로의 걸림수용부(76)를 마주 대한 상태에서,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들 각 스토퍼부재(75)는,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단부와, 이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설치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연동장치 본체(42)의 각 가이드 블럭(52)의 양측테두리를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1의 걸림고리부(14) 사이에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이 연동장치 본체(42)를 설치된 일체의 상부 레일(11)을 개구부(3)의 상판(2)의 설치요부(4)내에 끼움결합시켜서 고착시킨다.
이 후,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돌출설치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를, 연동장치 본체(42)의 뒷쪽의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 끼움결합시킴과 동시에, 이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돌출설치된 각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각각을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 사이의 접동홈부(19)에 접동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이 제3의 도어체(24)를 개구부(3)에 접동가능하게 장치한다.
이어서,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돌출설치한 각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를, 연동장치 본체(42)의 기판부(43)의 각 삽통구멍(48)에 삽통시키고, 이들 각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 각각을, 연동장치 본체(42)의 각 가이드 블럭(52)의 결합구멍(53)에 결합시키고, 이 제1의 도어체(22)를 개구부(3)에 접동가능하게 장치한다.
더욱이, 제2의 도어체(23)의 상단면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돌출설치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를, 연동장치 본체(42) 앞쪽의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 끼움결합시킴과 동시에, 이 제2의 도어체(23)의 상단면에 돌출설치된 각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각각을 일체의 상부 레일(ll)의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사이의 접동홈부(18)에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이 제2의 도어체(23)를 개구부(3)에 접동가능하게 장치한다.
이 결과,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이 도어 연동장치(41)로 연동가능하게 개구부(3)에 장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포개고,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 및 중앙을 개방시킨다.
이 때,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3의 결합고리부(17) 사이에 설치한 스토퍼부재(75)의 걸림수용부(76)에, 제3의 도어체(24)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의 축체(29)가 걸려지게 된다.
또한, 이 제3의 도어체(24)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피벗축(26)이 끼워넣어지는 도어 연동장치(41)의 전달체(64)의 연결판부(68)는, 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설치된 접촉편부(51)에 접촉하고 있다.
동시에,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위치하는 피벗축(26)이 끼워넣어지는 도어 연동장치(41)의 전달체(64)의 연결판부(68)는, 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설치된 접촉편부(51)에 접촉하여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제2의 도어체(23)를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 체(31)와 함께 도어 연동장치(41) 앞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가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 제2의 도어체(23)의 피벗축(26)이 끼워넣어진 앞쪽의 전달체(64)의 이동에 의해, 도어 연동장치(41)의 벨트체(61)가 상면에서 볼 때 왼쪽 주위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앞쪽의 전달체(64)와는 다른 제3의 도어체(24)의 피벗축(26)이 끼워넣어진 뒷쪽의 전달체(64)가 제1의 도어체(22)에 대하여 정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이동하고, 이 제1의 도어체(22)가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연동한다.
그리고, 제2의 도어체(23)를 더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 제2의 도어체(23)의 피벗축(26)이 끼워 넣어진 앞쪽의 전달체(64)가 도어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단부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제3의 도어체(24)의 피벗축(26)이 끼워 넣어진 뒷쪽의 전달체(64)가 도어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단부까지, 제2의 도어체(23)의 이동을 따라 제1의 도어체(22)가 더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피벗축(26)의 축체(29)가,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부재(75)의 걸림수용부(76)에 걸려져 있다. 이 결과,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에서 개구부(3)의 전체가 폐색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2의 도어체(23)을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피벗축(26)의 축체(29)가,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한쌍의 제2의 결합고리부(16)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부재(75)의 걸림수용부(76)로부터 빠진다.
이 후, 이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위치하는 피벗축(26)이 끼워 넣어진 전달체(64)가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향하여 이동하고, 이 제2의 도어체(23)와 함께 제1의 도어체(22)가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향하여 연동한다.
이 결과, 이 제2의 도어체(23)를 더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가 겹치고,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 및 중앙이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를, 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 결과, 이들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 끼워넣어지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기판부(43)의 폭방향, 즉,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진다.
따라서,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사이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내에 있어서의 피벗축(26)의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 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공통의 도어 연동장치(41)를 사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제2의 실시형태와 같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두께를 26mm 에서 32mm 로 두껍게 하였을 경우라도,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내에서의 피벗축(26)의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가 다른 두께 수단이나 다른 간격 수단의 일체의 상부 레일(11)이라도, 도어 연동장치(41)를 공통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제1의 도어체(22)의 이동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설치한 한쌍의 풀리(4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감겨져서 지지시킨 벨트체(61)의 일부와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전달체(64)에 접속시켰다. 이 결과, 한쌍의 풀리(45) 사이에서의 벨트체(61)의 회전에 의해, 제1의 도어체(22)에 대하여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연속적으로 연동시키는, 소위 벨트식 타입의 도어 연동장치(41)이라도,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 및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 연동장치(41)의 기판부(43)의 양측 테두리에 설치한 결합편부(49)에, 각 전달체(64)의 결합 홈부(73)를 접동가능하게 결합시켰다. 이 결과, 이들 각 전달체(64)를 벨트체(61)의 회전으로 이동시킬 때에, 이들 각 전달체(64)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횡방향의 흔들림이 기판부(43)의 결합편부(49)에의 전달체(64)의 결합 홈부(73)의 결합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이들 각 전달체(64)가 이동할 때의 횡방향의 흔들림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 걸리게 한 부분을,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인 주행체의 일부로 하였기 때문에, 이들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 걸리게 한 부재를,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와 별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도어 연동장치(41)의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도어 연동장치(41)의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풀리(45)를 기판부(43) 위에 설치하고, 이 기판부(43)를 통하여 제1의 도어체(22) 위에 각 풀리(45)를 간접적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들 풀리(45)를 제1의 도어체(22) 위에 직접 설치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기판부(43)를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간접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이 기판부(43)를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직접적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가 있다. 즉, 도어 연동장치(41)의 연동장치 본체(42)를 일체의 상부 레일(11)에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키지 않고, 이 연동장치 본체(42)를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직접 나사고정 등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 끼워넣는 부분을,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접동홈부(15, 18, 19)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이고 주행체의 적어도 일부인, 이 주행체의 선단부라로 하였지만, 이 전달체 (64)의 접동 구멍부(66)에 끼워넣어지는 부분을 피벗축(26)과는 별도로 별체로 형성하고,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돌출 설치시키는 구성으로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걸림 날밑부(33)를 삽통구멍(48)의 개구부에 접촉시켰지만, 이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를 삽통구멍(48)에 관통시켜서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접동홈부(15, 18, 19)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제3의 실시형태와 같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를, 이들 각 전달체(64)의 폭방향인 외측을 향하여 상면에서 볼 때, 요형상으로 확개(擴開)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들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에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끼움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어 연동장치(41)에의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일체의 상부 레일(11)에의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도 7에 도시하는 제4의 실시형태와 같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의 접동 구멍부(66)를,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이동방향을 따라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가 이동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지는 긴 구멍형상으로도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쪽을 이동시키고,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 체(23) 및 제3의 도어체(24)를 연동시켰을 때에, 도어 연동장치(41)의 접동 구멍부(66)에 끼워 넣어진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를, 이 접동 구멍부(66)내에서 이동방향을 향하여 소정거리 접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에서 개구부(3)을 폐색하였을 때에,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사이에 존재하는 겹치는 값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에서 개구부(3)를 개방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이 개구부(3)의 개구치수를 보다 넓게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제5의 실시형태와 같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가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상단면에 대하여,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도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제2의 도어체(23)의 상단면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단부와,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단부에는, 설치부재로서의 설치 베이스(Base, 8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베이스(81)는, 일체의 상부 레일(11)의 접동홈부(18, 19)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서 끼움결합체(31)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이 설치 베이스(81)는, 가늘고 긴 사각형 평판모양의 본체부(82)의 양단부를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시켜서 다리부(8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다리부(83) 각각의 선단부를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시켜서 설치부(84)로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 베이 스(81)는, 이 설치 베이스(81)의 본체부(82)의 길이방향을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이 설치 베이스(81)의 각 설치부(84)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접촉시켜서, 이들 각 설치부(84)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나사고정되어 비스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이 설치 베이스(81)의 본체부(82)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각각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이 본체부(82)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관통한 끼워넣기 구멍으로서의 긴 구멍형상의 조정구멍(85)이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구멍(85)은, 설치 베이스(81)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고 있고, 각 전달체(64)의 설치위치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조정가능하게 한다. 즉, 이 조정구멍(85)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접동 구멍부(66)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는, 이들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가 사각형 평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달체 본체(65)는, 설치 베이스(81)의 각 다리부(83)사이의 내폭치수보다 약간 작은 폭치수를 갖고 있다. 즉, 이 전달체 본체(65)는, 설치 베이스(81)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 설치 베이스(81)의 다리부(83)사이에 진퇴가능하게, 즉, 전후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때, 이 전달체 본체(65)는, 설치 베이스(81)의 본체부(82)의 폭치수보다 큰 길이의 치수를 갖고 있다.
더욱이,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각각에 있 어서의 중앙부에는, 이 전달체 본체(65)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관통한 나사 고정구멍(86)이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고정구멍(86)은, 내주면에 나사홈이 조각되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 고정구멍(86)은, 전달체 본체(65)를 설치 베이스(81)의 다리부(83)사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 설치 베이스(81)의 조정구멍(85)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나사 고정구멍(86)에는, 이 나사 고정구멍(86)에 나사 고정가능한 나사체(87)의 축부(軸部, 88)가 나사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체(87)의 축부(88)는, 이 축부(88)를 설치 베이스(81)의 조정구멍(85)에 삽통시킨 상태에서, 전달체 본체(65)의 나사 고정구멍(86)에 나사 고정되는 끼워넣기 돌출부이다. 즉, 이 나사체(87)의 축부(88)는,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설치 베이스(81)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한다. 따라서, 이 나사체(87)의 축부(88)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와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 결과,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설치한 설치 베이스(81)의 다리부(83) 사이에 삽입하고, 이들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의 나사 고정구멍(86)을, 설치 베이스(81)의 조정구멍(85)에 연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 설치 베이스(81)의 상단면측에서, 이 설치 베이스(81)의 조정구멍(85)에 나사체(87)의 축부(88)를 삽입하고, 이 축부(88)를 전달체(64)의 나사 고정구멍(86)에 나사결합시켜, 이 전달체(64)를 설치 베이스 (81)에 나사 고정시킨다.
이 때, 이 나사체(87)의 축부(88)에 의한 전달체(64)의 나사 고정구멍(86)에의 나사고정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이 전달체(64)의 나사 고정구멍(86)에 나사고정된 나사체(87)를 설치 베이스(81)의 조정구멍(8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전달체(64)에 의한 설치 베이스(81)에 대한 설치 위치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인 전후방향을 향하여 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전달체(64)에 의한 설치 베이스(81)의 설치위치의 조정에 의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또한, 나사 고정구멍(86)을 변경하여 전달체(64)와 설치 베이스(81)를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도 9에 도시하는 제6의 실시형태와 같이,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의 나사 고정구멍(86)을, 이 전달체 본체(65)의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나사 고정구멍(86)에 삽입한 나사체(87)의 축부(88)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직접 나사고정시키는 끼워넣기 돌출부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들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에는, 복수개, 예컨대 2개의 나사 고정구멍(86)이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나사 고정구멍(86) 각각은, 전달체(64)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나사 고정구멍(86)의 한쪽은,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의 일측의 기단(基端)쪽 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나사 고정구멍(86)의 다른쪽은,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을 타측의 선단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테두리에는, 이들 각 전달체(64)의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대략 사각형 평판모양의 설치편(89)의 위쪽 테두리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설치편(89)은, 전달체 본체(65)의 두께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이 전달체 본체(65)의 폭방향에 직교한 폭방향을 갖고 있다. 즉, 이 설치편(89)은,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들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면인 소구면(小口面)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편(89)에는, 복수개, 예컨대 2개의 나사 고정구멍(86)이 천공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나사 고정구멍(86)도 또한, 전달체(64)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나사 고정구멍(86)의 한쪽은, 설치편(89)의 선단측의 하단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나사 고정구멍(86)의 다른쪽은, 설치편(89)의 기단측의 상단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나사 고정구멍(86)에 삽입된 나사체(87)의 축부(88)는, 전달체(64)의 이동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전달체(64)의 설치편(89)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결과, 도어 연동장치(41)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를, 제2의 도어체(23)의 상단면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단부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이 전달체(64)의 설치편(89)을,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소구면의 상단측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 및 설치편(89)의 나사 고정구멍(86) 각각에 나사체(87)의 축부(88)를 삽입하고, 이들 나사체(87)의 축부(88)를 제2의 도어체(23)의 상단면 또는 소구면에 나사고정하여, 이 제2의 도어체(23)에 전달체(64)를 나사고정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연동장치(41)의 뒷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를,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단부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이 전달체(64)의 설치편(89)을, 제3의 도어체(24)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소구면의 상단측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 및 설치편(89)의 나사 고정구멍(86) 각각에 나사체(87)의 축부(88)를 삽입하고, 이들 나사체(87)의 축부(88)를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 또는 소구면에 직접 나사고정하여, 이 제3의 도어체(24)에 전달체(64)를 나사고정한다.
이 때, 이들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에 나사고정된 나사체(87)를 각각 느슨하게 함으로써, 각 전달체(64)를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전달체(64)에 의한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설치위치를, 이들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인 전후방향을 향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5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더욱이,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설치한 피벗축(26)은,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있어서의 피벗축(26)의 축체(29)의 편심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피벗축(26)은,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설치된 6각형 평판모양의 너트체(90) 위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피벗축(26)은, 너트체(90)의 외주면에 대하여 편심한, 이 너트체(90) 위에 돌출 설치 되어 있다.따라서, 이 너트체(9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너트체(90) 위에 돌출 설치된 피벗축(26)이 제1의 도어체(22)의 폭방향을 향하여 이동하여, 이 피벗축(26)의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대한 전후위치가 조정된다.
이 때문에, 이 너트체(90)의 회전에 의한 피벗축(26)의 편심에 의해, 제1의 도어체(22)와,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간극을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사이의 간극의 변경이 생긴 경우라도,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동 구멍부(66), 조정구멍(85) 및 나사 고정구멍(86)인 끼워넣기 구멍과, 피벗축(26) 및 축부(88)인 끼워넣기 돌출부에 의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간극변경을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전후 조정에 대응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6의 실시형태에서는, 피벗축(26)을 편심시키는 방법에 의해 전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전후 조정할 수 있으면, 기어나 캠(Cam)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더욱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제7의 실시형태와 같이,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설치된 각 피벗축(26)의 각각에 전달체(6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판(2)의 하면에는, 이 상판(2)의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 예컨대 3개의 설치홈부(9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설치홈부(91)는, 상판(2)의 하면의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설치 홈부(91)에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고, 또한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 가이드 레일로서의 안내부재인 상부 레일(9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상부 레일(92)의 양측 테두리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인 마주 대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한쌍의 걸림고리부(93)가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걸림고리부(93)는, 상부 레일(9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이 상부 레일(92)의 길이방향에 걸친 전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한쌍의 걸림고리부(93)의 사이에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고, 또한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접동홈부(9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 연동장치(41)는, 한쌍의 전달체(6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전달체(64)의 연결판부(68)에는, 이들 각 전달체(64)의 이동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긴 구멍형상의 헐거운 끼움홈부(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헐거운 끼움홈부(95)는, 연결판부(68)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관통하여 있고,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에서 약간 큰 폭치수를 갖고 있다. 즉, 이 헐거운 끼움홈부(95)에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접동가능하게, 즉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헐겁게 끼워진다. 더욱이, 이 헐거운 끼움홈부(95)의 길이방향 을 따른 양단부에서 외측의 연결판부(68)상의 각각은, 상부 레일(92)의 접동홈부(94)에 접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쌍의 결합돌출부(96)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이 들 한쌍의 결합돌출부(96)는, 이들 한쌍의 결합돌출부(96)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부 레일(92)의 접동홈부(94)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에는, 피결합 수용부로서의 끼움결합요부(9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움결합요부(97)는,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의 선단측에서 본 상태에서 일측인 왼쪽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 끼움결합요부(97)는,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외경치수보다도 소정거리 큰 폭치수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끼움결합요부(97)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서의 접동 구멍부(66)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이 끼움결합요부(97)는,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를 결합한다. 더욱이, 이 끼움결합요부(97)의 서로 대향한 안쪽면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돌출한 걸림돌출부(9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돌출부(98)는, 끼움결합요부(97)에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끼움결합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 끼움결합요부(97)에 끼움결합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끼움결합의 빠짐방지를 유지한다.
그리고, 각 전달체(64)는, 이들 각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를 제1의 도어체(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대한 상태에서, 이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에 설치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각 전달체(64)의 헐거운 끼움홈부(95)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는, 이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 보다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설치된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피벗축(26)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는, 이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에 제3의 도어체(24)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피벗축(26)이 끼움결합된다.
더욱이,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는, 이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보다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제2의 도어체(23)의 상단면에 설치된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는, 이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에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이 끼움결합된다.
다음에, 상기 제7의 실시형태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을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포개고, 이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 및 중앙을 개방시킨다.
이 때,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이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전달체(64)의 헐거운 끼움홈부(95)내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이동하고 있고,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피벗축 (26)의 끼움결합체(31)가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전달체(64)의 헐거운 끼움홈부(95)내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의 도어체(23)을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에 끼움결합될 때 까지, 이 제2의 도어체(23)이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제2의 도어체(2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에 끼움결합한 후에는, 이 전달체(64)의 헐거운 끼움홈부(95)내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피벗축(26)이 이동할때 까지, 제2의 도어체(23)의 이동과 함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전달체(64)가 이동한다.
이 후,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위치하는 끼움결합체(31)의 헐거운 끼움홈부(95)내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피벗축(26)이 이동할때 까지, 제2의 도어체(23)의 이동과 함께 제1의 도어체(22)이 연동하여 이동한다.
더욱이, 이들 제1의 도어체(22) 및 제2의 도어체(23)는, 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의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가 제3의 도어체(24)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의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에 끼움결합될 때 까지,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을 향하여 연동한다. 이 결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에서 개구부(3)의 전체가 폐색된다.
따라서,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을,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의 폭치수보다도 큰 폭치수로 하고, 이 끼움결합요부(97)내에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의 선단부가 제1의 도어체(22)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가능한 긴 구멍형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제8의 실시형태와 같이,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두께를 26mm 에서 32mm 로 두껍게 하였을 경우라도, 각 전달체(64)의 끼움결합요부(97)내에서의 피벗축(26)의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더욱이, 제1의 도어체(22)의 상단면의 각 피벗축(26)의 각각 전달체(64)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각 전달체(64)에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설치된 피벗축(26)의 끼움결합체(31)를 접촉시켜서 직접 연동시키는, 소위 접촉식 타입의 도어 연동장치(41)라도,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 및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제9의 실시형태와 같이,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을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접동가능하게 걸리게 하여,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을 제1의 도어체(22)와 함께 연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상단면에는,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을 갖는 결합구멍으로서의 결합구멍인 긴 홈형상의 걸림홈부(10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부(101)은,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상단면의 길이방향에 걸친 대략 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걸림홈부(101)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 각각의 상단면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걸림홈부(101)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홈부(101)는,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에 직행하는 방향인, 높이방향을 따른 윗쪽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걸림홈부(101)는, 상기 제8의 실시형태에서의 끼움결합요부(97)와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의 전달체 본체(65)의 하면중앙에는,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걸림홈부(101)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걸려지는 끼워넣기 돌출부로서의 피결합부인 대략 원주형상의 걸림철(凸)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철부(102)는, 각 전달체 본체(65)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또한, 이 걸림철부(102)의 선단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철부(102)는,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상단면에 설치된 걸림홈부(101)의 내폭치수보다 작은 외경치수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걸림철부(102)는, 제2의 도어체(23) 또는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걸림홈부(101)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설치된 전달체(64)의 걸림철부(102)는, 제2의 도어체(23)의 걸림홈부(101)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걸려져 있다. 더욱이, 제1의 도어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설치된 전달체(64)의 걸림철부(102)는, 제3의 도어체(24)의 걸림홈부(101)에 접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걸려져 있다.
이 결과,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걸림홈부(101)내에서의 각 전달체(64)의 걸림철부(102)에 의한, 이들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8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높이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피벗축(26)이나 걸림철부(102)를 돌출 설치시키거나, 이 상하방향을 따라 나사체(87)의 축부(88)를 나사고정시키거나 하였지만, 이들 피벗축(26)이나 걸림철부(102)를,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두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시키거나, 이 이동방향을 따라 나사체(87)의 축부(88)를 나사고정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이 하부 하중식의 칸막이 장치(1)로 하였지만, 도어 연동장치(41)의 각 전달체(64)을 위에 매다는 식으로 하여, 제1의 도어체(22),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각각이 위에 매다는 식인 아래 하중식의 칸막이 장치(1)로도 할 수 있고, 위에 매다는 식 주행체의 일부를 끼워넣기 돌출부로 할 수도 있다.
더욱이, 건물의 복도와 방을 구획하는 칸막이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가구의 개구부(3)를 개폐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장치로서도 대응시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개구부(3)를 개폐하였을 때에 회전하는 벨트체(61)를 풀리(45)의 회전에서 가이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벨트체(61)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이면, 벨트홈부(47)를 갖는 회전하지 않는 지지체 등으로서도 좋고, 풀리(45) 중 적어도 한개는 축핀 등으로서도 좋다.
더욱이, 제2의 도어체(23) 및 제3의 도어체(24)의 어느 한쪽을 개구부(3)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 또는 오른쪽에 고정하여 슬리브(Sleeve)벽으로 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의하면,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끼워넣기 돌출부가,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넣기 돌출부에 끼워넣어지므로,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사이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끼워넣기 구멍에 대한 끼워넣기 돌출부의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 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의하면, 한쌍의 지지체 사이에 있어서의 조절띠의 회전으로 제1의 개폐체에 대하여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라도,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의하면,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간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전달체의 피결합 수용부에 결합한 끼워넣기 돌출부에 의한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의하면,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주행하는 주행체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넣기 돌출부이기 때문에, 이 끼워넣기 돌출부를 주행체와 별체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개폐체 연동장치에 의하면,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가 다른 경우나,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간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제2의 개폐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결합구멍에 결 합한 피결합부에 의한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 변경이나 간극 변경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의 두께나 간극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5)

  1.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開閉體)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
    상기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되고 이 제1의 개폐체의 이동을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에 연동시키는 전달체와, 상기 전달체 및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끼워넣기 돌출부와, 상기 전달체 및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 쪽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끼워넣기 돌출부가 끼워넣어지는 끼워넣기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개폐체는 그 상단부에 끼움결합체가 설치되고, 일체의 상부레일의 폭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접동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동장치 본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장치 본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의 상단부에 구비된 끼움결합체가 끼어 맞추어지는 삽통구멍을 구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체가 구비되는 벨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의 장공형상의 접동구멍부에는 제2의 개폐체의 끼움결합부와 제3의 개폐체의 끼움결합부가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3.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
    상기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되고, 이 제1의 개폐체의 이동을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에 연동시키는 전달체와,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한쌍의 끼워넣기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끼워넣기 돌출부를 결합하는 피(被)결합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의 개폐체는 그 상단부에 끼움결합체가 설치되고, 일체의 상부레일의 폭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접동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동장치 본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장치 본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의 상단부에 구비된 끼움결합체가 끼어 맞추어지는 삽통구멍을 구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체가 구비되는 벨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 본체는, 상기 접동홈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5.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를 연동시키는 개폐체 연동장치로서,
    상기 제1의 개폐체에 설치되고, 이 제1의 개폐체의 이동을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이동에 연동시키는 전달체와, 상기 제2의 개폐체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이 제2의 개폐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 및 제2의 개폐체 어느쪽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의 개폐체는 그 상단부에 끼움결합체가 설치되고, 일체의 상부레일의 폭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접동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동장치 본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동장치 본체는, 상기 제1의 개폐체의 상단부에 구비된 끼움결합체가 끼어 맞추어지는 삽통구멍을 구비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체가 구비되는 벨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연동장치.
KR1020050037005A 2004-05-27 2005-05-03 개폐체 연동장치 KR100724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8314A JP4295672B2 (ja) 2004-05-27 2004-05-27 開閉体連動装置
JPJP-P-2004-00158314 2004-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887A KR20060045887A (ko) 2006-05-17
KR100724592B1 true KR100724592B1 (ko) 2007-06-04

Family

ID=3549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005A KR100724592B1 (ko) 2004-05-27 2005-05-03 개폐체 연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95672B2 (ko)
KR (1) KR100724592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54Y1 (ko) 2009-05-15 2009-10-30 김동현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KR101057296B1 (ko) 2009-08-05 2011-08-16 김영숙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20160013535A (ko) * 2014-07-23 2016-02-05 (주)아도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1630300B1 (ko) 2015-11-06 2016-06-17 이녹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70000207A (ko) 2015-06-23 2017-01-02 이재수 개폐체 연동장치
KR101728078B1 (ko) * 2015-08-20 2017-04-18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101851541B1 (ko) * 2016-11-15 2018-04-24 김용갑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연동장치
KR20190002968A (ko) * 2017-06-30 2019-01-09 김용갑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KR102206234B1 (ko) 2020-08-11 2021-01-22 이기현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도어연동장치
KR102295337B1 (ko) 2021-04-06 2021-08-30 이기현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2351285B1 (ko) 2021-04-06 2022-01-14 (주)선흥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2487797B1 (ko) 2022-08-10 2023-01-11 유은미 문폭을 최소화한 4중 연동도어
KR20230045685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용 댐퍼 고정 및 스토퍼 고정부
KR20230045686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 연동장치 분리형 댐퍼걸이부
KR20230119982A (ko) 2022-02-08 2023-08-16 김양호 반자동 행거식 3연동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5851B2 (ja) * 2008-05-20 2012-09-26 Ykk Ap株式会社 建具
KR100903047B1 (ko) * 2008-07-14 2009-06-18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200454224Y1 (ko) * 2009-06-18 2011-06-23 코르텍 주식회사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
KR101124207B1 (ko) * 2009-07-24 2012-03-27 유경오토메틱스(주)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100969972B1 (ko) * 2010-03-23 2010-07-16 최현철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JP2015132104A (ja) * 2014-01-14 2015-07-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開閉装置
JP6084944B2 (ja) * 2014-03-19 2017-02-22 株式会社小林製作所 扉用の固定構造、およびこれを含む扉装置
KR101539949B1 (ko) * 2014-05-23 2015-07-29 한의수 다중 미닫이 도어의 연동장치
JP6116527B2 (ja) * 2014-06-18 2017-04-19 株式会社ベスト ワイヤー連動式引戸装置
KR101744251B1 (ko) 2015-08-28 2017-06-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KR200481779Y1 (ko) * 2016-02-05 2016-11-08 정정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2087993B1 (ko) * 2018-01-08 2020-04-28 주식회사 엔비스 도어 장치
KR102083237B1 (ko) 2018-06-29 2020-03-02 이종안 다단 슬라이딩 행거 도어
KR102069182B1 (ko) 2018-09-20 2020-01-22 이종안 슬라이딩 행거 도어
KR102259142B1 (ko) * 2019-12-23 2021-05-31 김정현 다중 도어의 연동식 개폐 장치
KR102579553B1 (ko) 2023-03-24 2023-09-19 주식회사 현대자동문 다중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712A (ja) * 1998-02-18 1999-08-24 Murakoshi Mfg Corp 扉装置
KR20030064003A (ko) * 2002-01-25 2003-07-31 장두석 연동하는 미닫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712A (ja) * 1998-02-18 1999-08-24 Murakoshi Mfg Corp 扉装置
KR20030064003A (ko) * 2002-01-25 2003-07-31 장두석 연동하는 미닫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64003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54Y1 (ko) 2009-05-15 2009-10-30 김동현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KR101057296B1 (ko) 2009-08-05 2011-08-16 김영숙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20160013535A (ko) * 2014-07-23 2016-02-05 (주)아도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1659845B1 (ko) * 2014-07-23 2016-09-26 (주)아도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20170000207A (ko) 2015-06-23 2017-01-02 이재수 개폐체 연동장치
KR101728078B1 (ko) * 2015-08-20 2017-04-18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101630300B1 (ko) 2015-11-06 2016-06-17 이녹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851541B1 (ko) * 2016-11-15 2018-04-24 김용갑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연동장치
KR20190002968A (ko) * 2017-06-30 2019-01-09 김용갑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KR101976099B1 (ko) * 2017-06-30 2019-08-28 김용갑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KR102206234B1 (ko) 2020-08-11 2021-01-22 이기현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도어연동장치
KR102295337B1 (ko) 2021-04-06 2021-08-30 이기현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2351285B1 (ko) 2021-04-06 2022-01-14 (주)선흥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20230045685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용 댐퍼 고정 및 스토퍼 고정부
KR20230045686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 연동장치 분리형 댐퍼걸이부
KR20230119982A (ko) 2022-02-08 2023-08-16 김양호 반자동 행거식 3연동도어
KR102487797B1 (ko) 2022-08-10 2023-01-11 유은미 문폭을 최소화한 4중 연동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5672B2 (ja) 2009-07-15
JP2005336888A (ja) 2005-12-08
KR20060045887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592B1 (ko) 개폐체 연동장치
KR920015009A (ko) 미닫이문의 로킹장치
KR100785706B1 (ko) 창문용 호차
JP4916750B2 (ja) 引戸連動装置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KR101922862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CN210858356U (zh) 利用磁悬浮的防晃动装置、滑轨式空间隔断设备及淋浴房
US11078699B2 (en) Furniture hinge
JP3787324B2 (ja) 引戸連動装置
KR20150112986A (ko) 가이드 레일을 통해 가이드 방향으로 가구 부품을 가이드하기 위한 주행부 및 가구 피팅
EP1627980A1 (en) Device for guiding plate-like object
US20070033878A1 (en) Device for guiding plate-like object
JP3854576B2 (ja) 開閉体連動装置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128709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JP3144276U (ja) 連結具
JP2004060429A (ja) 開閉体連動装置
KR101772651B1 (ko) 개폐체 연동장치
KR100438854B1 (ko) 접이문 장치
KR20170023576A (ko) 차량 도어용 공용 도어 힌지
KR100507534B1 (ko) 자동차용 도어첵커의 작동억압장치
JP3764676B2 (ja) 開閉体連動装置
US11572254B2 (en) Elevator door engagement device
KR20190061485A (ko) 3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JP3590691B2 (ja) 扉開閉装置
CN220504839U (zh) 三联移动机构及三联移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125

Effective date: 2013100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1206

Effective date: 201403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1101

Effective date: 20140509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616

Effective date: 2014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9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611

Effective date: 201511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