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723B1 -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723B1
KR102284723B1 KR1020200086515A KR20200086515A KR102284723B1 KR 102284723 B1 KR102284723 B1 KR 102284723B1 KR 1020200086515 A KR1020200086515 A KR 1020200086515A KR 20200086515 A KR20200086515 A KR 20200086515A KR 102284723 B1 KR102284723 B1 KR 102284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olding door
stopper block
locking devi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준산업
Priority to KR102020008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olding wings, e.g.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rotary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딩 도어의 일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후로 축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열쇠가 꽂히는 실린더를 전후 축으로 푸셔가 일정각도 회전하는 자물쇠; 상기 푸셔의 좌우를 가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 중 일측 랙 기어의 단부를 가로막아 승강을 차단하는 스토퍼 블록; 및 상기 하우징과 스토퍼 블록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이 타측으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

Description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DOOR LATCH DEVICE FOR 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도어의 문짝에 상관없이 관건장치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딩 도어는 힌지로 연결된 다수개의 문짝이 레일 형태의 문틀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개폐되는 것으로서, 개폐되는 문짝의 일측 단부에는 문틀의 단부에 물려 잠기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는 대한민국 특허 제1842834호(2018.03.21. 공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창호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접이식 폴딩도어를 잠그는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락 홈에 걸려 잠기도록 아세탈 소재로 45도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원통형 락 잠금장치 헤더와, 상기 원통형 락 잠금장치 헤더에 삽입되는 락 잠금장치 연결 샤프트와, 상기 원통형 락 잠금장치 헤더와 락 잠금장치 연결 시프트를 관통하여 삽입된 락 잠금장치 샤프트 핀과, 상기 락 잠금장치 샤프트 핀에 연결되어 기어 박스 내로 삽입되어 원형기어에 의해 작동하는 레크 기어와, 상기 기어 박스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핸들 손잡이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 기어와, 상기 원형 기어에 근접하여 상하에 고정되어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원형 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기어 박스 외부에 연결된 핸들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기어와 레크 기어는 절반부만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작동하며, 상기 원형 기어의 회전 운동을 상기 레크 기어의 상하 수직 이동으로 변환하여 레크기어 이동에 따라 락 잠금장치 헤더가 상하 수직 운동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원형기어(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하의 레크 기어와 함께 헤더가 승강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예를 들어 손잡이를 놓은 상태에서는 상하의 스프링 지지대가 헤더를 상하로 밀어 돌출시키기 때문에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이고, 손잡이를 강제로 돌렸을 때에는 상하의 헤더가 반대로 작동하면서 인입되기 때문에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는 손잡이를 돌리면 언제라도 개방할 수 있어서 보안이나 침입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딩도어의 체결되는 문짝이 홀수짝인 경우는 스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짝수짝인 경우는 슬라이딩되어 개페가 이루어지므로 잠금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딩 도어의 일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후로 축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열쇠가 꽂히는 실린더를 전후 축으로 하는 푸셔가 일정각도 회전하는 자물쇠; 상기 푸셔의 좌우를 가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 중 일측 랙 기어의 단부를 가로막아 승강을 차단하는 스토퍼 블록; 및 상기 하우징과 스토퍼 블록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이 타측으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의 전후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폴딩 도어의 회전 레버를 결합 설치하기 위한 제1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랙 기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폴딩 도어의 상하로 출물하는 잠금 돌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제2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스토퍼 블록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걸기 위한 제1 서포트; 및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걸기 위한 제2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안 유지나 침입 방지와 관련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개폐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도어의 일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전후로 축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200);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랙 기어(300); 상기 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열쇠가 꽂히는 실린더를 전후 축으로 하는 푸셔(410)가 일정각도 회전하는 자물쇠(400); 상기 푸셔의 좌우를 가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 중 일측 랙 기어의 단부를 가로막아 승강을 차단하는 스토퍼 블록(500); 및 상기 하우징과 스토퍼 블록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이 타측으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스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폴딩 도어의 일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하우징(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도어의 일측 단부인 프레임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긴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전후로 결합 또는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에는 상기 피니언(200) 기어가 전후로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하에는 랙 기어가 끼워진 상태로 승강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축공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자물쇠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 블록의 좌우 이동을 일정거리 안내 및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600)의 일단을 걸기 위한 제1 서포트(1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로 축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을 통해 상기 좌우의 랙 기어(300)를 승강시킨다.
상기 피니언 기어(200)의 전후 단부에는 상기 폴딩 도어의 회전 레버(700)를 결합 설치하기 위한 제1 결합구(210)가 형성된다. 도면 상에는 전방 회전 레버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랙 기어(300)는 상기 피니언 기어(200)의 양측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을 통해 폴딩 도어의 상하로 출입하는 통상의 잠금 돌기를 작동시킨다.
상기 랙 기어(30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폴딩 도어의 상하로 출물하는 잠금 돌기(800)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제2 결합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 돌기(800)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400)는 상기 하우징(100)을 전후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열쇠가 꽂히는 실린더를 전후 축으로 하는 푸셔(410)가 일정각도 회전한다. 즉, 상기 자물쇠(4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푸셔(410)가 직하부로 향하면서 스토퍼 블록(500)을 타측으로 밀쳐놓은 상태가 잠김 해제된 것이고, 도 5와 같이 푸셔(410)가 일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스토퍼 블록(500)을 일측으로 밀쳐놓은 상태가 잠긴 것이다.
상기 스토퍼 블록(500)은 상기 푸셔(410)의 좌우를 가둔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 중 일측 랙 기어의 단부를 가로막아 승강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 블록(50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푸셔의 좌우에 벽을 형성하여 푸셔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랙 기어가 상하로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하고 도 5와 같이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랙 기어가 상하로 승강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 블록(500)의 의 전후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 레일(110)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51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블록(50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걸기 위한 제2 서포트(520)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6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스토퍼 블록(50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500)이 타측으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작용한다. 즉,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 블록(500)이 타측으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푸셔가 직하부로 회전한 후에도 스토퍼 블록의 일측 단부가 랙 기어의 승강을 막고 있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안 유지나 침입 방지와 관련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100: 하우징
200: 피니언 기어
300: 랙기어
400: 자물쇠
500: 스토퍼 블록
600: 스프링
700: 회전 레버
800: 잠금돌기

Claims (5)

  1. 폴딩 도어의 일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후로 축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열쇠가 꽂히는 실린더를 전후 축으로 하는 푸셔가 일정각도 회전하는 자물쇠; 상기 푸셔의 좌우를 가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블록; 및 상기 하우징과 스토퍼 블록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피니언 기어의 전후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폴딩 도어의 회전 레버를 결합 설치하기 위한 제1 결합구와, 상기 랙 기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폴딩 도어의 상하로 출물하는 잠금 돌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제2 결합구와 상기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랙 기어의 상하이동을 차단하도록 스토퍼 블록을 형성한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후를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의 전후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블록이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걸기 위한 제1 서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걸기 위한 제2 서포트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블록이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 중 일측 랙 기어의 단부를 가로막아 승강을 차단하도록 형성하고,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타측 랙기어와 밀착되어 일측 랙 기어의 승강을 막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6515A 2020-07-14 2020-07-14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2284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15A KR102284723B1 (ko) 2020-07-14 2020-07-14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15A KR102284723B1 (ko) 2020-07-14 2020-07-14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723B1 true KR102284723B1 (ko) 2021-08-02

Family

ID=7731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515A KR102284723B1 (ko) 2020-07-14 2020-07-14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7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788A (ko) * 2012-08-27 2014-03-07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US20150252598A1 (en) * 2012-03-21 2015-09-10 Schlage Lock Company Llc Two point lock for bi-fold windows and doors
KR20180006213A (ko) * 2016-07-08 2018-01-17 김사관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2598A1 (en) * 2012-03-21 2015-09-10 Schlage Lock Company Llc Two point lock for bi-fold windows and doors
KR20140027788A (ko) * 2012-08-27 2014-03-07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KR20180006213A (ko) * 2016-07-08 2018-01-17 김사관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0421C (en) Locking mechanism
GB2461107A (en) Sash window restrictor having a protruding member and retaining mechanism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EP2735677B1 (en) Door/window comprising an operating system with multiple locking points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77570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RU2564602C1 (ru) Ручка-блокиратор ошибочных действий для окна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контактного типа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TWI648457B (zh) Locking devi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door and window
KR101739932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0396665Y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JPH10299315A (ja) 引き戸用施錠機構及び引き戸構造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US4606145A (en) Shutter-type window panel
KR20220000692U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US4618177A (en) Automatic latching mechanism for overhead doors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JP4441342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KR100427402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WO2017011880A1 (en) Aperture closing de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