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399A -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399A
KR20210106399A KR1020210105441A KR20210105441A KR20210106399A KR 20210106399 A KR20210106399 A KR 20210106399A KR 1020210105441 A KR1020210105441 A KR 1020210105441A KR 20210105441 A KR20210105441 A KR 20210105441A KR 20210106399 A KR20210106399 A KR 20210106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hook
open
push butt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0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399A/ko
Publication of KR2021010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해 손잡이(핸들)를 일정각도 이상 회전조작시키면 록킹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창호프레임으로부터 도어프레임을 약간 밀어내 미닫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는; 미닫이 창호를 개방하고자 핸들 축(310)을 회전시키면 오픈-캠(560)이 열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후크(540)가 상승됨과 동시에 회전형 후크(520)가 열림방향으로 회전되어 후크부(522) 잠김상태가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가이드(580)가 하강하면서 레버-캠(59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레버-캠(590)의 레버아암(593)이 푸시버튼(570)을 밀어내 전진시킨다. 따라서 전진하는 푸시버튼(570)은 선단부가 창호프레임(100)측과 접하면서 도어프레임(200)을 열림 방향으로 약간 밀어냄으로써, 미닫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LOCK DEVICE FOR SLIDING WINDOW WITH EASY DOOR OPENING}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 등의 창호에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미닫이 도어를 록킹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록킹 해제와 함께 미닫이 도어를 밀어냄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사각형상 창호프레임에 레일을 따라 도어가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어 개폐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이 창호프레임에 접촉되어 닫히고 도어프레임이 창호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에는 도어프레임을 창호프레임에 완전하게 접촉할 때까지 닫은 상태에서 손잡이(핸들)를 상측 또는 아래측으로 회전시켜 록킹하거나 또는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가 부설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451호(2011년 08월 31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5451호의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와 연결되어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12)와, 상기 기어(12)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12)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13)와, 하부가 완만한 호 형태를 이루는 헤드(141)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13)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13)와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볼트(14)와, 상기 락볼트(14)가 안착되는 결합홈(151)을 구비하고 상기 락볼트(14)의 하부가 접하는 상기 결합홈(151)의 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키퍼(15)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미닫이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손잡이와 직결식으로 결합된 기어(12)의 회전방향에 따라 로드(13)가 상하로 이동하며 로드(13)에 마련된 락볼트(14)의 헤드(141)가 키퍼(15)의 결합홈(151)에 선택적으로 삽탈됨으로써, 미닫이 창문을 록킹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55451호의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에서는 손잡이와 함께 기어가 180도 회전하면서 로드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서 락볼트를 록킹 또는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을 뿐이며, 실제 미닫이 도어(창문)의 개방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에는 별 도움을 주지 못한다. 즉, 창호 잠금상태에서 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중량체(대략 60 ~ 100㎏ 정도)의 미닫이 도어(창문)를 끌어당겨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가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대형 미닫이 창호의 경우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가 도어에 적용되므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호프레임과 도어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이 적용되어 미닫이 도어의 개방에 상당한 힘이 가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해 손잡이(핸들)를 일정각도 이상 회전조작시키면 록킹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창호프레임으로부터 도어프레임을 약간 밀어냄으로써 미닫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에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며 핸들 축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서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가; 상기 도어프레임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장착되며, 내부 하측에는 후크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푸시버튼 작동공간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크 작동공간에서 일측부위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타측부위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하면에 마련된 록킹홀에 선택적으로 삽탈될 수 있는 후크부와, 상기 도어프레임이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후크부를 상기 스트라이커의 록킹홀에 삽입되는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걸림부가 돌출되게 마련된 회전형 후크와; 상기 회전형 후크의 축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록킹홀에서 상기 후크부가 빠져나가는 열림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후크를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후크 작동공간과 연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서 아래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제1슬라이딩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끝단부가 상기 회전형 후크의 축 결합부위에 마련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회전형 후크의 후크부 잠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퍼가 돌출된 슬라이딩 후크와;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 후크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공간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후크를 아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코일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핸들 축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핸들 축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슬라이딩 후크의 상단부위에 걸리도록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후크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1가동편과, 상기 제1가동편과 180도 대향되도록 상기 허브의 타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동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 축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가동편이 상기 슬라이딩 후크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형 후크의 걸림턱에서 상기 스톱퍼를 분리시키는 오픈-캠과; 상기 하우징의 푸시버튼 작동공간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창호프레임측과 접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열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 작동공간과 연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제2슬라이딩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오픈-캠의 제2가동편에 제1걸림구를 통해 걸리고 상단에는 제2걸림구가 마련되어, 상기 핸들 축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가동편에 의해 하강 동작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일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제2걸림구에 걸리는 연장부와, 상기 허브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장부와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며 끝단부는 상기 푸시버튼의 후단부에 형성된 장홀에 핀을 통해 걸려 있는 레버아암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하강 시 상기 연장부가 끌려내려가 상기 허브가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아암이 상기 푸시버튼을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상승 시 상기 연장부가 밀려올라가 상기 허브가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아암이 상기 푸시버튼을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레버-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가 상단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중도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턱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제2슬라이딩공간의 저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미닫이 창호를 개방하고자 핸들 축을 회전시키면 오픈-캠이 열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후크가 상승됨과 동시에 회전형 후크가 열림방향으로 회전되어 후크부 잠김상태가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하강하면서 레버-캠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레버-캠의 레버아암이 푸시버튼을 밀어내 전진시킨다. 따라서 전진하는 푸시버튼은 선단부가 창호프레임측과 접하면서 도어프레임을 열림 방향으로 약간 밀어냄으로써, 미닫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미닫이 창호를 닫는 과정에서는 푸시버튼과 슬라이딩 가이드가 장애요소로 작용하지 않으며 회전형 후크 단독으로 동작하여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핸들 축이 초기 상태로 복귀되면 제1코일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후크는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코일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승된 상태로 즉시 복원되며, 이를 통해 푸시버튼 역시 하우징 내부로 후진되어 초기 상태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레버-캠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후크, 슬라이딩 후크, 오픈-캠, 슬라이딩 가이드, 레버-캠들의 연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를 통해 도어프레임이 록킹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록킹 해제동작과 도어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것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는 레일홈이 형성된 도어프레임이 창호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창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이 창호프레임에 접촉하여 닫힌 상태에서 핸들을 열림(개방)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미닫이 창호의 창호프레임(100)에는 스트라이커(400)가 배치되어 있다. 스트라이커(400)는 창호프레임(100) 내측부에 스크루(미도시)를 통해 견실하게 장착되며, 스트라이커(400)의 아래에는 후술하는 후크부(522)가 걸려 록킹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록킹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는 창호프레임(100)에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200;슬라이딩 도어)에 스트라이커(400)와 대응하도록 장착되며, 도어프레임(200)을 닫은 후 핸들 축(3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스트라이커(400)에서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00)에 세로 방향으로 장착되며 외형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트라이커(400)에 록킹될 수 있는 회전형 후크(520)와, 회전형 후크(520)를 열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530)과, 하우징(510)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형 후크(520)의 잠김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후크(540)와, 슬라이딩 후크(540)를 아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코일스프링(550)과, 하우징(510)의 중앙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핸들 축(310)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오픈-캠(560)과, 하우징(510)의 상부에 수용 배치되어 도어프레임(200)을 열림(개방)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시버튼(570)과, 하우징(510) 내부에 배치되며 오픈-캠(56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580)와,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상하이동에 따라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푸시버튼(570)을 하우징(510)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레버-캠(590)과, 슬라이딩 가이드(580)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코일스프링(60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푸시버튼(570)을 제외하고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이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510)은 잠금장치(500)의 외형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00)에 상부와 하부가 고정스크루(미도시)를 통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며, 내부 하측에는 후크 작동공간(511)이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푸시버튼 작동공간(51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 작동공간(511)은 외부와 연통되며, 이 연통부위를 통해 후술하는 회전형 후크(520)의 후크부(522)와 걸림부(523)가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푸시버튼 작동공간(512) 역시 외부와 연통되며 이를 통해 푸시버튼(570)이 가로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할 수 있다.
회전형 후크(52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의 후크 작동공간(511)에서 일측부위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축(521)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형 후크(520)의 타측부위에는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 선택적으로 삽탈될 수 있는 후크부(522)와, 도어프레임(200)이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스트라이커(400)의 외측면과 접하여 후크부(522)를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 삽입되는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걸림부(523)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즉, 회전형 후크(520)는 도어프레임(200)이 닫히는 과정에서 걸림부(523)가 스트라이커(400) 외면과 접하면서 잠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것에 의해 후크부(522)가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 수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토션스프링(530)은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후크(520)의 축(521)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서 후크부(522)가 빠져나가는 열림방향으로 회전형 후크(520)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형 후크(520)에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5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형 후크(520)는 열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유지된다.
슬라이딩 후크(54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작동공간(511)과 연계되도록 하우징(510)의 내부 중앙에서 아래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제1슬라이딩공간(5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후크(540)의 하부에는 끝단부가 회전형 후크(520)의 축(521) 결합부위에 마련된 걸림턱(524)에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형 후크(520)의 후크부(522) 잠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퍼(541)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제1코일스프링(550)은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슬라이딩 후크(540) 하부에 지지되고 상단은 제1슬라이딩공간(513)의 상부에 지지됨으로써, 슬라이딩 후크(540)를 아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제1코일스프링(550)에 의해 슬라이딩 후크(540)는 항상 내려간 상태로 유지되려고 한다.
오픈-캠(56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핸들 축(310)이 관통 결합되어 핸들 축(310)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허브(561)와, 이 허브(561)의 일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슬라이딩 후크(540)의 상단부위에 걸려 슬라이딩 후크(540)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1가동편(562)과, 제1가동편(562)과 180도 대향되도록 허브(561)의 타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동편(563)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핸들 축(310;도 6참조)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동편(562)이 제1코일스프링(550)의 지지력을 이기면서 슬라이딩 후크(540)를 점차 상승시키게 되며, 이것에 의해 스톱퍼(541)가 회전형 후크(520)의 걸림턱(524)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푸시버튼(57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의 푸시버튼 작동공간(512)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부가 하우징(51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창호프레임(100)과 접할 수 있다. 즉,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캠(590)의 정방향 회전으로 푸시버튼(570)이 일정구간 전진하게 되면, 선단이 창호프레임(100)과 접하게 되면서 도어프레임(200)을 열림(개방)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슬라이딩 가이드(58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형태로 굽어져 있으며, 푸시버튼 작동공간(512)과 연계되도록 하우징(510)의 내부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제2슬라이딩공간(514)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하단에는 오픈-캠(560)의 제2가동편(563)이 제1걸림구(581)를 통해 걸려있고, 이의 상단에는 제2걸림구(58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축(310)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동편(563)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580)는 제2슬라이딩공간(414)에서 하강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580)는 제2코일스프링(600)을 통해 탄성 지지된다. 즉, 제2코일스프링(600) 상단은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중도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턱(583)에 지지되고, 제2코일스프링(600) 하단은 제2슬라이딩공간(414)의 저부에 지지됨으로써, 슬라이딩 가이드(580)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측으로 올라가 레버-캠(59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레버-캠(590)은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푸시버튼(570)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591)와, 이 허브(591)의 일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제2걸림구(582)에 걸리는 연장부(592)와, 허브(591)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부(592)와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며 선단부에 푸시버튼(570)의 후단부에 형성된 장홀(571)에 핀(594)을 통해 걸려있는 레버아암(593)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580)가 하강하는 경우 연장부(592)가 끌려내려가 레버-캠(590)의 허브(591)가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레버아암(593)이 푸시버튼(570)을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반면에 슬라이딩 가이드(580)가 상승하는 경우 연장부(592)가 밀려올라가 레버-캠(590)의 허브(591)가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레버아암(593)이 푸시버튼(570)을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되어 창호프레임(100)에 완전하게 닫힌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 회전형 후크(520)의 후크부(522)가 수용되어 걸린다. 아울러, 제1코일스프링(550)을 통해 지지되고 있는 슬라이딩 후크(540)는 하강된 상태이다. 슬라이딩 후크(540)의 스톱퍼(541)가 회전형 후크(520)의 걸림턱(524)에 걸림으로써, 회전형 후크(520)는 토션스프링(530)으로 지지되더라도 잠김방향 회전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20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를 통해 록킹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 도어를 개방하고자 실내측에서 핸들(300)을 개방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회전시키면, 잠금장치(5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즉, 핸들(300)을 통해 핸들 축(310)을 열림(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픈-캠(560)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동편(562:부호 도 8참조)이 슬라이딩 후크(540)를 상승시키고, 제2가동편(563;부호 도 8참조)이 슬라이딩 가이드(580)를 하강시킨다.
제1코일스프링(550)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던 슬라이딩 후크(540)가 상승되면, 스톱퍼(541)가 회전형 후크(520)의 걸림턱(524)에서 빠져나오며, 이로 인해 토션스프링(530)으로 지지되고 있는 회전형 후크(520)는 열림방향으로 회전되어 후크부(522)가 록킹홀(410)에서 빠져나와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형 후크(520)의 록킹해제는 핸들 축(310)과 함께 오픈-캠(560)이 도어 열림(개방)방향으로 15도 정도까지 회전되었을때 완전하게 이루어진다(도 11 참조).
아울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축(310)과 함께 오픈-캠(560)을 45도까지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코일스프링(600)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던 슬라이딩 가이드(580)가 내려되면, 레버-캠(590)의 연장부(592)가 끌려내려가 레버-캠(590)의 허브(59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버아암(593)이 푸시버튼(570)을 밀어 전진시킨다. 따라서 전진하는 푸시버튼(570) 선단부가 창호프레임(100)측과 접하면서 도어프레임(200)을 개방 방향으로 약간 밀어냄으로써, 록킹 해제와 함께 미닫이 도어가 약간 열리게 되어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푸시버튼(570)의 전진 동작거리('L':도 12 참조)는 핸들 축(310)과 함께 오픈-캠(560)이 45도 정도까지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20mm 정도 진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미닫이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한 후 핸들(300)을 놓으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00)은 수직 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오픈-캠(560)과 슬라이딩 후크(540) 및 슬라이딩 가이드(580)가 초기 상태로 유지되며, 레버-캠(590) 역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푸시버튼(570)을 후진시킨다. 즉, 오픈-캠(560)이 초기 상태로 유지되면; 제1코일스프링(550)을 통해 지지되고 있는 슬라이딩 후크(540)는 다시 하강되며, 스톱퍼(541)가 회전형 후크(520)의 걸림턱(524) 직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회전형 후크(520)는 제1코일스프링(550)보다 강한 지지력으로 셋팅된 토션스프링(530)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열림(개방) 방향 회전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2코일스프링(600)을 통해 지지되고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580)는 상측으로 올라가며, 이것에 의해 레버-캠(590)의 연장부(592)가 밀려올라가 이의 허브(591)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캠(590)의 역방향 회전으로 인해, 레버아암(593)은 푸시버튼(570)을 하우징(510) 내부로 끌어당겨 후진시킨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에서는 미닫이 창호(도어)를 개방하고자 핸들 축(310)을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픈-캠(560)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후크(540)가 올라가 회전형 후크(52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며, 아울러 오픈-캠(560)의 열림방향 회전으로 슬라이딩 가이드(580)와 레버-캠(590)이 연동되고 이로 인해 푸시버튼(570)을 전진시킨다. 전진하는 푸시버튼(570)은 선단부가 창호프레임(100)측과 접하면서 도어프레임(200)을 개방 방향으로 약간 밀어냄으로써, 미닫이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100..창호프레임 200..도어프레임 300..핸들
310..핸들 축 400..스트라이커 410..록킹홀
500..잠금장치 510..하우징 511..후크 작동공간
512..푸시버튼 작동공간 513..제1슬라이딩공간 514..제2슬라이딩공간
520..회전형 후크 521..축 522..후크부
523..걸림부 524..걸림턱 530..토션스프링
540..슬라이딩 후크 541..스톱퍼 550..제1코일스프링
560.오픈-캠 561..허브 562..제1가동편
563..제2가동편 570..푸시버튼 571..장홀
580..슬라이딩 가이드 581..제1걸림구 582..제2걸림구
583..스프링 지지턱 590..레버-캠 591..허브
592..연장부 593..레버아암 594..핀
600..제2코일스프링

Claims (2)

  1. 창호프레임(100)에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200)에 장착되며 핸들 축(3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창호프레임(100)에 설치된 스트라이커(400)에서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는;
    상기 도어프레임(200)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장착되며, 내부 하측에는 후크 작동공간(511)이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푸시버튼 작동공간(51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후크 작동공간(511)에서 일측부위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축(521) 결합되며, 타측부위에는 상기 스트라이커(400)의 하면에 마련된 록킹홀(410)에 선택적으로 삽탈될 수 있는 후크부(522)와, 상기 도어프레임(200)이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라이커(400)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후크부(522)를 상기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 삽입되는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걸림부(523)가 돌출되게 마련된 회전형 후크(520)와;
    상기 회전형 후크(520)의 축(521)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400)의 록킹홀(410)에서 상기 후크부(522)가 빠져나가는 열림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후크(520)를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530)과;
    상기 후크 작동공간(511)과 연계되도록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 중앙에서 아래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제1슬라이딩공간(51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끝단부가 상기 회전형 후크(520)의 축(521) 결합부위에 마련된 걸림턱(524)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회전형 후크(520)의 후크부(522) 잠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퍼(541)가 돌출된 슬라이딩 후크(540)와;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 후크(540)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제1슬라이딩공간(513)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후크(540)를 아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코일스프링(550)과;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핸들 축(310)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핸들 축(310)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허브(561)와, 상기 허브(56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슬라이딩 후크(540)의 상단부위에 걸리도록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후크(540)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1가동편(562)과, 상기 제1가동편(562)과 180도 대향되도록 상기 허브(561)의 타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동편(563)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 축(310)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가동편(562)이 상기 슬라이딩 후크(540)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형 후크(520)의 걸림턱(524)에서 상기 스톱퍼(541)를 분리시키는 오픈-캠(560)과;
    상기 하우징(510)의 푸시버튼 작동공간(512)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51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창호프레임(100)측과 접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200)을 열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푸시버튼(570)과;
    상기 푸시버튼 작동공간(512)과 연계되도록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제2슬라이딩공간(514)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오픈-캠(560)의 제2가동편(563)에 제1걸림구(581)를 통해 걸리고 상단에는 제2걸림구(582)가 마련되어, 상기 핸들 축(310)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가동편(563)에 의해 하강 동작하는 슬라이딩 가이드(580)와;
    상기 하우징(51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591)와, 상기 허브(591)의 일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제2걸림구(582)에 걸리는 연장부(592)와, 상기 허브(591)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장부(592)와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며 끝단부는 상기 푸시버튼(570)의 후단부에 형성된 장홀(571)에 핀(594)을 통해 걸려 있는 레버아암(593)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하강 시 상기 연장부(592)가 끌려내려가 상기 허브(591)가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아암(593)이 상기 푸시버튼(570)을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상승 시 상기 연장부(592)가 밀려올라가 상기 허브(591)가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아암(593)이 상기 푸시버튼(570)을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레버-캠(5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500)는;
    상단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80)의 중도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턱(583)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제2슬라이딩공간(514)의 저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8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코일스프링(6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210105441A 2021-08-10 2021-08-10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210106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441A KR20210106399A (ko) 2021-08-10 2021-08-10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441A KR20210106399A (ko) 2021-08-10 2021-08-10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99A true KR20210106399A (ko) 2021-08-30

Family

ID=775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441A KR20210106399A (ko) 2021-08-10 2021-08-10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3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087B1 (ko) * 2021-11-09 2022-07-27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이지오픈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087B1 (ko) * 2021-11-09 2022-07-27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이지오픈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62827B2 (en) Latch mechanism
KR20190117420A (ko) 보조 열림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AU2014203791B2 (en) Sliding door or window latch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21010639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A2895726A1 (en) Combination window sash lock and tilt mechanism
KR20080038667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200103429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006570B1 (ko) 창문 시건장치
US20170081887A1 (en) Double lever latch device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110017519A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60023498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3479731B2 (ja) シャッタ−の施錠装置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JPH0532603Y2 (ko)
KR20230109040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86456B1 (ko) 미닫이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200325949Y1 (ko)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