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949Y1 -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49Y1
KR200325949Y1 KR20-2003-0018875U KR20030018875U KR200325949Y1 KR 200325949 Y1 KR200325949 Y1 KR 200325949Y1 KR 20030018875 U KR20030018875 U KR 20030018875U KR 200325949 Y1 KR200325949 Y1 KR 200325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dead bolt
latch
operation plat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태희
Original Assignee
배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태희 filed Critical 배태희
Priority to KR20-2003-001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금장치에 설치되어 문의 잠금을 설정하는 데드볼트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스프링(202)으로 탄설된 해정작동판(20)의 선단부에 데드볼트(30)를 설치하고, 해정작동판(20)의 후방에는 걸림홈(206)을 형성하여 잠금레버(40)에 의해 데드볼트(30)가 진퇴하여 잠금 설정이 가능케 하며, 그 하부에는 래치볼트(80)를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잠금레버회전축(402)을 따라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작동버튼(5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는 작동판(60)의 단부를 래치작동체(70)의 걸림부(702) 사이에 투입하여 래치볼트(80)가 진퇴하게 한 통상의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작동판(60)이 설치된 회전축(602)에 피니언기어(606)를 설치하여 데드볼트(30)가 결합된 해정작동판(20)의 저면에 설치된 래크기어(204)와 상기 피니언기어(606)를 서로 치합하되, 피니언기어(606)의 상부에는 작동판(60)을 회동가능케 회전축(602)에 부싱(603)으로 끼워서 설치하여 작동판(60)의 부싱(603)과 본체케이스(10)간에 코일스프링(608)을 설치하고, 피니언기어(606)의 저면과 맞닿은 회전축(602) 설치면에는 캠부(604)를 형성하여 피니언기어(606)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606)가 승강 가능케하며, 작동판(60)의 일측에는 작동버튼(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502)과 동일한 두께의 걸림돌부(601)를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돌부(601)와 걸림턱(502)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맞닿아있게 함으로서,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장치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작동을 제한하여, 출입문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문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데드볼트를 보호하여 데드볼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잠금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잠금장치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 모두가 잠금설정이 이루어짐으로서 잠금장치의 보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LATCH ASSEMBLY FOR DOOR LOCK}
본 고안은 잠금장치에 설치되어 문의 잠금을 설정하는 데드볼트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을 잠그는데 사용되는 도어용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잠금 상태일 때, 래치볼트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서, 잠긴 상태의 문을 여닫기 위해 밀거나 당길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데드볼트를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건물의 출입문에 주로 설치되는 도어용 잠금장치는 출입문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도어 잠금장치는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출입문의 내, 외부에 손잡이가 연결된 본체의 내부에 래치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래치 어셈블리에서 돌출되는 데드볼트에 의해 출입문의 잠금이 설정되거나 해제되며, 래치볼트에 의해서 닫혀진 문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는 데드볼트에 의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입문의 잠김 상태를 미쳐 파악하지 못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키면서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출입문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손잡이가 회전하면서 래치볼트가 잠금장치의 래치 어셈블리 내부로 투입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지게 되면, 문은 데드볼트에 의해 잠겨진 상태이므로 문의 열기 위해 사용자가 가한 힘이 데드볼트에 고스란히 전해져서 데드볼트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에는 래치 어셈블리내에 설치된 데드볼트와 해정작동판이 파손되어 래치 어셈블리가 내장된 잠금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데드볼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잠금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래치볼트를 작동시키는 작동판의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간에 캠을 형성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데드볼트와 결합된 해정작동판의 저면에 설치된 래크기어와 치합하여 데드볼트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일 때는 작동판과 작동판을 가압 작동시키는 작동버튼간을 서로 이간시켜, 작동판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제한함으로서, 문이 잠긴 상태일 때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본체케이스 외부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볼트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데드볼트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일 때 작동판의
작동 위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나)는 본 고안의 데드볼트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일 때 작동판의
작동 위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판의 승강 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7은 일반적인 출입문용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일반적인 출입문용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케이스 20 : 해정작동판
202 : 스프링 204 : 래크기어
206 : 걸림홈 30 : 데드볼트
40 : 잠금레버 402 : 잠금레버회전축
50 : 작동버튼(50) 502 : 걸림턱
60 : 작동판 601 : 걸림돌부
602 : 회전축 603 : 부싱
604 : 캠부 606 : 피니언기어
608 : 스프링 70 : 래치작동체
702 : 걸림부 80 : 래치볼트
802 : 축봉 804 : 스프링
스프링(202)으로 탄설된 해정작동판(20)의 선단부에 데드볼트(30)를 설치하고, 해정작동판(20)의 후방에는 걸림홈(206)을 형성하여 잠금레버(40)에 의해 데드볼트(30)가 진퇴하여 잠금 설정이 가능케하며, 그 하부에는 래치볼트(80)를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잠금레버회전축(402)을 따라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작동버튼(5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는 작동판(60)의 단부를 래치작동체(70)의 걸림부(702) 사이에 투입하여 래치볼트(80)가 진퇴하게 한 통상의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작동판(60)이 설치된 회전축(602)에 피니언기어(606)를 설치하여 데드볼트(30)가 결합된 해정작동판(20)의 저면에 설치된 래크기어(204)와 상기 피니언기어(606)를 서로 치합하되,
피니언기어(606)의 상부에는 작동판(60)을 회동가능케 회전축(602)에 부싱(603)으로 끼워서 설치하여 작동판(60)의 부싱(603)과 본체케이스(10)간에 코일스프링(608)을 설치하고,
피니언기어(606)의 저면과 맞닿은 회전축(602) 설치면에는 캠부(604)를 형성하여 피니언기어(606)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606)가 승강 가능케하며,
작동판(60)의 일측에는 작동버튼(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502)과 동일한 두께의 걸림돌부(601)를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돌부(601)와 걸림턱(502)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맞닿아있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선단부에 데드볼트(30)가 설치된 해정작동판(20)의 저면에는 래크기어(20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작동판(60)이 회전축(602)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작동판(60)의 하부에는 피니언기어(606)가 회전축(602)에 끼워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래크기어(204)와 치합된다.
아울러, 작동판(6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부(601)는 작동버튼(50)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502)과 동일한 높이에 서로 걸려 있게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버튼(50)을 상향으로 가압하면, 작동버튼(50)에 의해 작동판(60)이 회전축(60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된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데드볼트(30)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투입된 상태이며, 래치볼트(80)는 스프링(806)에 의해 탄설되어 있으므로 도면과 같이 항상 본체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 래치볼트(80)에는 축봉(802)이 나사 결합되며, 이 축봉(802)은 본체케이스(10)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서 왕복하도록 설치된 래치작동체(70)를 관통하여 래치작동체(70)의 전, 후방에서 각각 스프링(804)에 의해 탄설되며, 래치작동체(70)의 일측에는 한 쌍의 걸림부(702)를 형성하여 작동판(60)의 하단부가 걸림부(702)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작동버튼(50)을 상향으로 가압하면, 작동버튼(50)이 상승하면서 작동버튼(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502)이 작동판(60)의 걸림돌부(601)를 상향으로 밀어올림으로서 작동판(60)이 회전축(60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작동판(60)의 하단부는 래치작동체(70)의 걸림부(702) 사이에 투입되어 있어서, 회전축(602)을 중심으로 한 작동판(60)의 회전에 의해 래치작동체(70)가 본체케이스(10) 내향으로 당겨지면서 래치볼트(80)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투입되어 출입문을 열 수 있게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는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작동버튼(50)의 장공 내부에 삽입된 잠금레버(40)가 회전하여 해정작동판(20)을 외향으로 밀어주면, 해정작동판(20)이 외향하면서 해정작동판(20)의 선단부에 설치된 데드볼트(30)가 본체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어 문틀에 형성된 걸림홈(206) 내부로 삽입됨으로서 도어의 잠금이 설정된다.
이때, 해정작동판(20)의 저면에는 작동판(60)의 피니언기어(606)와 치합된 래크기어(204)가 형성되어 있어서, 해정작동판(20)과 함께 래크기어(204)가 외향으로 가동하면 래크기어(204)와 치합된 피니언기어(606)가 회전축(602)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 피니언기어(606)와 회전축(602)의 설치면에는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캠부(604)가 형성되어 있어서 피니언기어(606)가 회전하게되면 첨부도면 도 5의 (나)와 같이 피니언기어(606)와 회전축(602)의 설치면에 형성된 캠에 의해 피니언기어(606)가 상승하면서 피니언기어(606)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판(60)을 상향으로 밀어 올려, 작동버튼(50)의 걸림턱(502)과 밀착되어있던 걸림돌부(601)를 걸림턱(502)과 서로 이간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데드볼트(30)가 잠금 설정된 상태에서 래치볼트(8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작동버튼(5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도 5의 (나)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판(60)의 걸림돌부(601)와 작동버튼(50)의 걸림턱(502)이 서로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버튼(50)은 작동판(60)을 회전시킬 수 없게되어 래치볼트(8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데드볼트(30)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데드볼트(30)에 의한 잠금장치의 잠금 설정 상태를 미쳐 인지하지 못하고,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손잡이나 기타 수단으로 작동버튼(50)을 가압하면서 출입문을 열기 위해 출입문을 밀거나 당기게 되더라도 래치 어셈블리의 데드볼트(30)와 래치볼트(80) 모두가 문틀의 걸림홈(206)에 끼워져 있으므로 출입문의 요동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게되어, 출입문의 흔들림에 의해 데드볼트(30)에 가해지는 충격을 래치볼트(80)가 분산함으로서, 데드볼트(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래치작동체(70)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래치볼트(80)를 결합한 축봉(802)은 본체케이스(10)의 전면커버를 벗겨낸 후 래치볼트(80)를 외향으로 잡아당겨 축봉(802)을 회전시키면 래치볼트(8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문의 설치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출입문 잠금장치의 주요 핵심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래치볼트(8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작동버튼(50)을 가압하는 수단으로는 이미 공지된 여러 가지 방식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장치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서, 출입문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문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데드볼트를 보호하여 데드볼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잠금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잠금장치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단 한번의 잠금 설정만으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 모두가 잠금설정이 이루어짐으로서 잠금장치의 보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스프링(202)으로 탄설된 해정작동판(20)의 선단부에 데드볼트(30)를 설치하고, 해정작동판(20)의 후방에는 걸림홈(206)을 형성하여 잠금레버(40)에 의해 데드볼트(30)가 진퇴하여 잠금 설정이 가능케하며, 그 하부에는 래치볼트(80)를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잠금레버회전축(402)을 따라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작동버튼(5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는 작동판(60)의 단부를 래치작동체(70)의 걸림부(702) 사이에 투입하여 래치볼트(80)가 진퇴하게 한 통상의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작동판(60)이 설치된 회전축(602)에 피니언기어(606)를 설치하여 데드볼트(30)가 결합된 해정작동판(20)의 저면에 설치된 래크기어(204)와 상기 피니언기어(606)를 서로 치합하되,
    피니언기어(606)의 상부에는 작동판(60)을 회동가능케 회전축(602)에 부싱(603)으로 끼워서 설치하여 작동판(60)의 부싱(603)과 본체케이스(10)간에 코일스프링(608)을 설치하고,
    피니언기어(606)의 저면과 맞닿은 회전축(602) 설치면에는 캠부(604)를 형성하여 피니언기어(606)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606)가 승강 가능케하며,
    작동판(60)의 일측에는 작동버튼(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502)과 동일한 두께의 걸림돌부(601)를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돌부(601)와 걸림턱(502)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맞닿아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KR20-2003-0018875U 2003-06-16 2003-06-16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KR200325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75U KR200325949Y1 (ko) 2003-06-16 2003-06-16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75U KR200325949Y1 (ko) 2003-06-16 2003-06-16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49Y1 true KR200325949Y1 (ko) 2003-09-06

Family

ID=4941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875U KR200325949Y1 (ko) 2003-06-16 2003-06-16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13A (ko) * 2016-09-09 2018-03-19 키락원(주) 외부 침입 시 데드볼트의 잠금이 강제되는 모티스 락
KR20180028711A (ko) * 2016-09-09 2018-03-19 키락원(주) 데드볼트 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13A (ko) * 2016-09-09 2018-03-19 키락원(주) 외부 침입 시 데드볼트의 잠금이 강제되는 모티스 락
KR20180028711A (ko) * 2016-09-09 2018-03-19 키락원(주) 데드볼트 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302B2 (en) Door cylinder lock
RU2509855C2 (ru) Верхняя система запирания пассивной дверной створки двустворчатой двери
US8915105B2 (en) Latch assembly
AU2014203791B2 (en) Sliding door or window latch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KR950010293B1 (ko) 관상의 자동 데드볼트 래치(Deadbolt Latch)
AU2016201778B2 (en) Self-latching anti-lock latch device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KR200325949Y1 (ko)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 어셈블리
KR100630945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장치 및 도어 시스템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EP2148029A1 (en) Automatic lock
JP2009504942A (ja) 彫り込みロックアセンブリーのハブ鍵装置
RU176247U1 (ru) Замок с функцией блокировки и отключения защелки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101595852B1 (ko)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스토퍼 구조체
KR100763820B1 (ko)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KR100704985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 장치
CN211500165U (zh) 一种自锁型平面锁
JP4202501B2 (ja) 安全装置
KR200177401Y1 (ko) 차량용 도어 록킹장치
KR200162196Y1 (ko)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