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48B1 -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48B1
KR102310548B1 KR1020200035463A KR20200035463A KR102310548B1 KR 102310548 B1 KR102310548 B1 KR 102310548B1 KR 1020200035463 A KR1020200035463 A KR 1020200035463A KR 20200035463 A KR20200035463 A KR 20200035463A KR 102310548 B1 KR102310548 B1 KR 10231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pusher
movable body
hous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068A (ko
Inventor
이병노
최성윤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20003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때 자동으로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미닫이문이 멀어지도록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작은 힘을 증폭시켜 보다 강력한 힘으로 문틀프레임으로부터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밀어 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원형의 결합공(61)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에는 축(62)이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 푸셔(40)가 노출되는 통공(63)이 형성되며 측면 하부에는 후크(50)가 노출되는 개구부(64)가 형성되어 미닫이문(20)에 매립 고정되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의 결합공(6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되는 축공(72)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랙(73)이 형성된 가동체(70)와, 상기 가동체(70)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체(70)의 회동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20)이 문틀프레임(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40)와, 상기 가동체(70)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40)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하는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과,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랙(73)이 결합되는 피니언(81)이 형성된 작동간(80)과, 상기 하우징(60)의 하부에 형성된 축(6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51) 및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50)와, 상기 작동간(80)의 하부에 탄성부재(91)로 탄력 설치되어 후크(50)의 걸림턱(51)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폴(pawl)(90)과, 상기 축(62)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폴(90)에 의한 후크(50)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후크(50)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과, 상기 하우징(60)을 폐쇄하는 덮개(100)로 구성된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0)를 금속재질로 하되, 가동체(70)에 랙(73)과 90°위상차를 갖도록 레버(74)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레버(74) 선단에 링크(75) 및 접촉밀부(76)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푸셔(40)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41) 및 커버(42)로 분할 형성하고 경사면(44)과 통하여지게 본체(41) 및 커버(42)에 형성된 링크결합공(43)에는 가동체(70)의 링크(75)가 끼워지도록 하며 푸셔(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4)에는 금속판(45)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76)가 금속판(45)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The automatic opening apparatus of the sliding door}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때 자동으로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미닫이문이 멀어지도록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작은 힘을 증폭시켜 보다 강력한 힘으로 문틀프레임으로부터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밀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로는, 미닫이문의 중첩부에 걸림고리와 걸림편을 각각 고정하여 미닫이문이 닫힌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어 미닫이문이 잠긴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미닫이문의 대향면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모헤어(mohair)가 고정되어 있어 미닫이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모헤어가 문틀프레임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동절기에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하절기에 차가운 실내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손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여성들이 손잡이를 잡아당겨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미닫이문을 개방측으로 밀더라도 문틀프레임에 긴밀하게 접촉된 모헤어의 마찰력에 의해 미닫이문을 여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겨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중량체의 미닫이문이 문플프레임으로부터 멀어져 모헤어가 문틀프레임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455185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1)는 잠금장치(2)를 작동시키도록 문짝프레임(3)에 설치한 손잡이(4)와 연동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2)를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4)에 결합된 피니언(5)과 기어 결합되는 랙(6a)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6)에 추가로 열림장치용 랙(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림장치용 랙(6b)의 전방에는 문틀프레임(7)에서 문짝프레임(3)이 확실하게 떨어지게 하는 열림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림장치(1)는 문짝프레임(3)의 레일홈(3a)에 내입된 상태에서 피스(8)로 고정되는 바디(body)(9)와, 상기 바디(9)에 암 핀(arm pin)(10)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6)에 형성된 열림장치용 랙(6b)과 치합되는 피니언돌기(11a)가 수개 형성된 암(arm)(11)과, 상기 암(11)의 선단에 조립되는 롤러(roller)(12)와, 상기 암(11)이 바디(9) 내측에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하도록 바디(9)에 피스(13)로 고정된 상태에서 암(11)의 수직부(11b)에 접하도록 설치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14)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슬라이드 바(6)에는 바디(9)를 고정하는 피스(8)가 내입되는 장공(6c)이 형성되어 있어 피스(8)의 조립과는 무관하게 슬라이드 바(6)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열림장치용 랙(6b)과 암(11)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돌기(11a)의 결합은 짧은 행정거리로도 암(11)이 암 핀(10)을 중심으로 충분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호 마주보는 2개의 암(11)에 각각 2개의 피니언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암(11)은 대략 45°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리프 스프링(14)은 손잡이(4)를 회동시킬 때 암(11)이 외향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있다가, 손잡이(4)의 회동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리프 스프링(14)이 팽창하면서 암 핀(10)이 결합된 쪽의 암(11)에 형성된 수직부(11b)를 밀어 암(11)을 바디(9) 내측으로 내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암(11)은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 바디(9) 내측으로 내입될 때 바디(9)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9a)에 지지되도록 하여 과도한 내입 없이 안정성 있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의 이점쇄선과 같이 암(11)이 바디(9)의 내측으로 내입되게 미닫이문(A)이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4)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손잡이(4)에 결합된 피니언(5)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피니언(5)과 랙(6a)으로 결합된 슬라이드 바(6)가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슬라이드 바(6)에는 바디(9)를 고정하는 피스(8)가 내입되는 장공(6c)이 형성되어 있어 피스(8)의 고정과는 무관하게 슬라이드 바(6)가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바(6)의 하부에 형성된 열림장치용 랙(6b)에 의해 암(11)에 형성된 피니언돌기(11a)가 암 핀(10)을 중심으로 암(11)을 실선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암(11)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12)가 문틀프레임(7)에 지지된 상태에서 밀어주게 되므로 문틀프레임(7)에서 문짝프레임(3)이 바디(9)에서 노출된 암(11)의 회동량만큼 확실하게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리프 스프링(14)은 회동되는 암(11)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닫이문(A)을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4)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회동하면서 문짝프레임(3)을 이탈시켰던 암(11)이 리프 스프링(14)의 팽창력에 의해 바디(9) 내측으로 자동으로 내입되므로 종래와 같이 암(11)이 바디(9)의 외측으로 노출됨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5185(2011.08.16.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4018(2008.09.19.공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피니언에 의해 슬라이드 바가 상승하면서 암을 회동시키게 되므로 문짝프레임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문짝프레임에 고정된 모헤어가 문틀프레임에서 빠져나가 중량체의 미닫이문이 개방되는 잇점을 갖으나,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손잡이의 회동력이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바를 통해 암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암에 회전운동으로 전달되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문짝프레임이 멀어지게 되므로 롤러 축과 암 핀의 작용점 거리(s)가 멀어 손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주부들이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개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둘째, 열림장치 및 잠금장치로 분할 형성되어 이들을 각각 문짝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시공작업은 물론이고 부품의 교체에 따른 A/S가 불편하였다.
셋째, 리프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어 탄성계수가 높으면 암의 복귀시 암이 지지편에 심하게 부딪혀 지지편이 깨지고, 이와는 반대로 탄성계수가 낮으면 바디로부터 암이 튀어나오게 된다.
넷째, 암이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입이어서, 장기간 사용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암의 회동부위인 암 핀에 끼여 엉겨 붙을 경우에는 리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암이 원활하게 회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손잡이를 초기위치로 환원시킬 수 없게 된다.
다섯째, 암의 회동으로 롤러가 회전하면서 문짝프레임을 밀어내는 구조이어서 문짝프레임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어 외관을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작용되는 힘이 짧은 거리에서 푸셔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도 미닫이문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잠금구조 및 열림구조를 동시에 수용하여 문짝프레임에 손쉽게 설치함은 물론이고 A/S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외부로 푸셔 및 후크만이 노출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부에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에는 축이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 푸셔가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측면 하부에는 후크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미닫이문에 매립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랙이 형성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체의 회동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와, 상기 회전 축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하는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랙이 결합되는 피니언이 형성된 작동간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와, 상기 작동간의 하부에 탄성부재로 탄력 설치되어 후크의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폴(pawl)과, 상기 축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폴에 의한 후크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후크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덮개로 구성된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금속재질로 하되, 가동체에 랙과 90°위상차를 갖도록 레버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레버 선단에 링크 및 접촉밀부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푸셔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 및 커버로 분할 형성하고 경사면과 통하여지게 본체 및 커버에 형성된 링크결합공에는 가동체의 링크가 끼워지도록 하며 푸셔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에는 금속판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가 금속판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부에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 푸셔가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미닫이문에 매립 고정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랙이 형성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체의 회동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와, 회전 축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하는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랙이 결합되는 제1 피니언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 하부에는 제2, 3 피니언이 형성된 작동간과, 상기 미닫이문의 상, 하부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제1, 2 축이 각각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 2 후크가 노출되는 제1, 2 개구부가 형성된 제2, 3 하우징과, 상기 제2, 3 하우징에 형성된 제1, 2 축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제1, 2 걸림턱 및 제1, 2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 2 스트라이커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후크와, 상기 작동간의 상, 하부에 제1, 2 탄성부재로 탄력 설치되어 제1, 2 후크의 제1, 2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폴(pawl)과, 상기 제1, 2 축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제1, 2 폴에 의한 제1, 2 후크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 2 후크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 2 폴의 제1, 2 수용공간에 걸리도록 제2, 3 하우징에 형성된 제3, 4 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3 피니언에 결합되는 제4, 5 랙이 형성된 제1, 2 가동편과, 상기 제1, 2, 3 하우징을 폐쇄하는 제1, 2, 3 덮개로 구성된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금속재질로 하되, 가동체에 제1 랙과 90°위상차를 갖도록 레버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레버 선단에 링크 및 접촉밀부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푸셔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 및 커버로 분할 형성하고 경사면과 통하여지게 본체 및 커버에 형성된 링크결합공에는 가동체의 링크가 끼워지도록 하며 푸셔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에는 금속판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가 금속판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손잡이의 회동에 따른 힘이 가동체에 전달되는 거리가 짧고 작용되는 힘이 푸셔에 직접 전달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된 미닫이문이 도 7b와 같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빠지면서 미닫이문에 고정된 모헤어가 문틀프레임에서 부드럽게 벗어나므로 손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주부들도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하우징의 내부에 푸셔 및 후크가 설치되어 있어 문틀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이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이고 부품의 교체에 따른 A/S가 용이하다.
셋째, 미닫이문을 개방하고 나면 푸셔가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미닫이문이 닫힐 때 푸셔가 문틀프레임에 닿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푸셔가 파손되지 않는다.
넷째,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푸셔를 가동체의 회동에 따라 링크결합공에 끼워진 링크에 의해 진퇴운동시키게 되므로 푸셔의 진퇴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섯째, 푸셔가 문틀프레임을 밀어 미닫이문이 개방되는 타입이어서, 문틀프레임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에서 커버를 분리한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작동상태 사시도로써,
도 7a는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도
도 7b는 손잡이의 회동으로 문틀프레임에서 미닫이문이 멀어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조립상태에서 커버를 분리한 측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작동상태 사시도로써,
도 10a는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도
도 10b는 손잡이의 회동으로 문틀프레임에서 미닫이문이 멀어진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에서 커버를 분리한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작동상태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미닫이문(20)의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잡아당겼을 때 문틀프레임(30)으로부터 미닫이문(20)이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40) 및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50)가 1개의 하우징(60) 내에 설치되어 비교적 작은 크기의 미닫이문(20)에 적용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우징(60)의 상부에 가동체(70)의 회전축(71)이 끼워지는 원형의 결합공(6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후크(50)가 끼워지는 축(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상부에는 푸셔(40)가 노출되는 통공(63)이 형성됨과 함께 측면 하부에는 후크(50)가 노출되는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작동간(80)의 승, 하강을 안내하는 제1, 2 가이드편(65a)(65b), 후크(50)의 복귀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66a), 폴(pawl)(90)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66b), 폴(90)의 승, 하강을 안내하는 제3 가이드편(65c), 하우징(60)에 덮개(100)를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21)로 체결하도록 체결공(67a)이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보스(67), 하우징(6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미닫이문(20)에 체결부재(도시는 생략함)로 고정하는 장공(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70)에는 하우징(60)의 결합공(6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 축(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축(71)에는 손잡이의 축(도시는 생략함)이 고정되는 축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축(71)의 일면에는 랙(73)이 형성되어 있고 랙과 90°위상차를 갖는 상면에는 레버(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74)의 끝단에 푸셔(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레버(74)의 회동운동이 푸셔(40)에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20)이 문틀프레임(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70)의 레버(74) 선단에 링크(75)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푸셔(40)에는 상기 링크(75)가 끼워지는 링크결합공(43)이 경사진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레버(42)의 회동으로 링크(75)가 링크결합공(4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푸셔(40)가 진퇴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셔(40)를 합성수지재질의 본체(41) 및 커버(42)로 분할 형성하여 체결부재(122)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되어 있고, 가동체(70)를 금속재질로 형성하되, 레버(74)의 선단에 접촉밀부(76)를 형성하며, 푸셔(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4)에는 금속판(45)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76)가 금속판(45)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푸셔(40)의 조립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레버(74)의 접촉밀부(76)가 푸셔(40)를 반복적으로 밀더라도 금속판(45)에 의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71)에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이 감싸지게 설치되어 일단은 가동체(70)에 지지되고 타단은 하우징(60)에 형성된 단턱(69)에 걸려 있어 미닫이문(20)을 개방한 다음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의 복원력에 의해 푸셔(40)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피니언(81)이 형성된 작동간(80)이 제1, 2 가이드편(65a)(65b)에 의해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0)의 하부에 형성된 축(62)에는 스트라이커(110)에 끼워짐에 따라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5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후크(50)의 하부에는 폴(90)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턱(51) 및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간(80)의 하부에는 후크(50)의 걸림턱(51)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폴(90)이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91)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62)에는 폴(90)에 의한 후크(50)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후크(50)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이 감싸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60)은 덮개(100)로 폐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의 일단은 후크(50)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1 스토퍼(66a)에 지지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상태에서 커버를 분리한 측면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작동상태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미닫이문(20a)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는 제1 하우징(60a)의 내부에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잡아당겼을 때 문틀프레임(30a)으로부터 미닫이문(20a)이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40a)만을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미닫이문(20a)의 상, 하부에는 작동간(80a)의 상승에 따라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1, 2 후크(50a)(50b)를 제2, 3 하우징(60b)(60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비교적 큰 크기의 미닫이문(20a)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미닫이문(20a)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제1 하우징(60a)의 상부에 가동체(70a)의 회전축(71a)이 끼워지는 원형의 결합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상부에는 푸셔(40a)가 노출되는 통공(63a)이 형성되어 제1 하우징(60a)을 미닫이문(20a)에 매립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70a)에는 제1 하우징(60a)의 결합공(61a)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 축(7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축(71a)에는 손잡이의 축(도시는 생략함)이 고정되는 축공(7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축(71a)의 일면에는 제1 랙(73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랙과 90°위상차를 갖는 상면에는 레버(7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74a)의 끝단에 푸셔(40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레버(74a)의 회동운동이 푸셔(40a)에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20a)이 문틀프레임(3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70a)의 레버(74a) 선단에 링크(75a)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푸셔(40a)에는 상기 링크(75a)가 끼워지는 링크결합공(43a)이 경사진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레버(74a)의 회동으로 링크(75a)가 링크결합공(43a)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푸셔(40a)가 진퇴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셔(40a)를 합성수지재질의 본체(41a) 및 커버(42a)로 분할 형성하여 체결부재(122a)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되어 있고, 가동체(70a)를 금속재질로 형성하되, 레버(74a)의 선단에 접촉밀부(76a)를 형성하며, 푸셔(40a)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4a)에는 금속판(45a)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76a)가 금속판(45a)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푸셔(40a)의 조립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레버(74a)의 접촉밀부(76a)가 푸셔(40a)를 반복적으로 밀더라도 금속판(45a)에 의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71a)에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a)이 감싸지게 설치되어 일단은 가동체(70a)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1 하우징(60a)에 형성된 단턱(69a)에 걸려 있어 미닫이문(20a)을 개방한 다음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a)의 복원력에 의해 푸셔(40a)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미닫이문(20a)의 상, 하부에 제2, 3 하우징(60b)(60c)이 매립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3 하우징(60b)(60c)의 내부에는 제1, 2 축(62a)(62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제1, 2 후크(50a)(50b)가 노출되는 제1, 2 개구부(64a)(64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2 축(62a)(62b)에는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각각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후크(50a)(50b)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부가 제1, 2 개구부(64a)(64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제1, 2 후크(50a)(50b)의 하부에는 제1, 2 걸림턱(51a)(51b) 및 제1, 2 돌출부(52a)(5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3 하우징(60a)(60b)(60c)의 내부에는 제1 랙(73a)이 결합되는 제1 피니언(81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 하부에는 제2, 3 피니언(81b)(81c)이 형성된 작동간(80a)이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간(80a)의 상, 하부에는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걸림턱(51a)(51b)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폴(pawl)(90a)(90b)이 승, 하강 가능하게 코일스프링과 같은 제1, 2 탄성부재(91a)(91b)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2 폴(90a)(90b)에 형성된 제1, 2 수용공간(92a)(92b)에는 제2, 3 하우징(60b)(60c)에 형성된 제3, 4 축(62c)(62d)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 2 가동편(93a)(93b)이 끼워져 있다.
이때, 상기 제1, 2 가동편(93a)(93b)의 타단에는 제2, 3 피니언(81b)(81c)에 결합되는 제4, 5 랙(73d)(73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축(62a)(62b)에는 제1, 2 폴(90a)(90b)에 의한 제1, 2 후크(50a)(50b)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 2 후크(50a)(50b)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a)(53b)이 감싸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2, 3 하우징(60a)(60b)(60c)은 제1, 2, 3 덮개(100a)(100b)(100c)로 폐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a)(53b)의 일단은 제1, 2 후크(50a)(50b)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제2, 3 하우징(60b)(60c)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2, 3 하우징(60a)(60b)(60c) 및 작동간(80a)은 고정부재(120)에 의해 일체화되게 조립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닫이문(20)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7a와 같이 푸셔(40)가 하우징(60)의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후크(50)가 스트라이커(110)에 걸려 있어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은 눌리지 않아 복원력이 작용되지 않고, 후크(50)는 스트라이커(110)에 의해 회동된 상태라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에는 복원력이 작용되고 있으며 상기 후크(50)는 스트라이커(110)에 의해 회동된 상태이어서 탄성부재(91)의 복원력에 의해 폴(90)이 상승하여 후크(50)의 걸림턱(51)에 걸려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60)의 통공(63)을 통해 하우징(60)에 수용되게 설치되는 푸셔(40)는 문틀프레임(3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t)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있어 미닫이문(20)을 닫아 후크(50)가 스트라이커(110)에 걸려 미닫이문(20)이 완전히 닫히더라도 푸셔(40)의 선단이 문틀프레임(30)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2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20)의 열림방향인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된 가동체(70)도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체(70)의 랙(73)이 작동간(80)의 피니언(81)에 끼워져 있어 작동간(80)이 하강하면서 탄성부재(91)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어 후크(50)의 걸림턱(51)에 걸려 있던 폴(90)을 하강시켜 후크(50)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므로 후크(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트라이커(110)에서 빠져 나와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체(70)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74)가 회동하면서 선단의 양측에 형성된 링크(75)가 푸셔(40)의 경사진 링크결합공(43)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접촉밀부(76)가 푸셔(40)의 경사면(44)에 설치된 금속판(45)을 밀어주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손잡이의 회동에 따른 가동체(70)에 전달되는 거리(ℓ)가 짧고 작용되는 힘이 푸셔(40)에 직접 전달되므로 잠금상태가 해제된 미닫이문(20)이 도 7b와 같이 문틀프레임(30)으로부터 빠지면서 미닫이문(20)에 고정된 모헤어가 문틀프레임(30)에서 부드럽게 벗어나므로 손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주부들도 중량체의 미닫이문(20)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겨 미닫이문(20)을 개방한 다음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가동체(70)가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상태로 환원되면서 링크결합공(43)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던 링크(75)가 링크결합공(43)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푸셔(40)가 하우징(6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체(70)의 랙(73)이 작동간(80)의 피니언(81)에 끼워져 있어 작동간(80)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므로 작동간(80)에 눌려 탄성부재(91)를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였던 폴(90)이 탄성부재(91)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폴(90)의 상면이 후크(50)의 돌출부(5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후크(50)는 도 7b와 같이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구부(64)를 통해 하우징(6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폴(90)의 상단은 후크(50)의 돌출부(52)에 접촉되어 있어 탄성부재(91)는 복원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개방되었던 미닫이문(20)을 닫으면 개구부(64)를 통해 하우징(6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후크(50)가 스트라이커(110)에 부딪혀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트라이커(110)에 걸리게 되므로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미닫이문(20)을 닫음에 따라 후크(50)가 스트라이커(110)에 부딪혀 회동하여 후크(50)의 돌출부(52)가 폴(90)의 상면에서 벗어나 걸림턱(51)에 위치하면 폴(90)은 탄성부재(91)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후크(50)의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침입자가 미닫이문(20)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는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도로써, 미닫이문(20a)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10a와 같이 푸셔(40a)가 제1 하우징(60a)의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1, 2 후크(50a)(50b)가 문틀프레임(30a)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된 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각각 걸려 있어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a)은 눌리지 않아 복원력이 작용되지 않고, 제1, 2 후크(50a)(50b)는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의해 각각 회동된 상태라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a)(53b)에는 복원력이 작용되고 있으며 상기 제1, 2 후크(50a)(50b)는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의해 회동된 상태이어서 제1, 2 탄성부재(91a)(91b)의 복원력에 의해 제1, 2 폴(90a)(90b)이 상승하여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걸림턱(51a)(51b)에 각각 걸려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60a)의 통공(63a)을 통해 제1 하우징(60a)에 수용되게 설치되는 푸셔(40a)는 문틀프레임(30a)으로부터 소정의 간격(t)이 유지되게 설치되어 있어 미닫이문(20a)을 닫아 제1, 2 후크(50a)(50b)가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각각 걸려 미닫이문(20a)이 완전히 닫히더라도 제, 2 푸셔(40a)(40b)의 선단이 문틀프레임(30a)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20a)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20a)의 열림방향인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된 가동체(70a)도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체(70a)의 제1 랙(73a)이 작동간(80a)의 제1 피니언(81a)에 끼워져 있고 제1, 2 후크(50a)(50b)의 제2, 3 랙(73b)(73c)은 작동간(80a)의 제2, 3 피니언(81b)(81c)에 각각 끼워져 있어 작동간(80a)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간(80a)의 제2, 3 피니언(81b)(81c)에는 제3, 4 축(62c)(62d)에 회동 가능하게 제1, 2 가동편(93a)(93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2 가동편(93a)(93b)에 형성된 제4, 5 랙(73d)(73e)은 작동간(80a)의 제2, 3 피니언(81b)(81c)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1, 2 가동편(93a)(93b)의 일단은 제1, 2 폴(90a)(90b)의 제1, 2 수용공간(92a)(92b)에 끼워져 있어 제1, 2 가동편(93a)(93b)이 제1, 2 탄성부재(91a)(91b)를 압축시키면서 제1, 2 폴(90a)(90b)을 동시에 하강시켜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걸림턱(51a)(51b)으로부터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제1, 2 후크(50a)(50b)가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a)(53b)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서 동시에 빠져 나와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체(70a)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74a)가 회동하면서 선단의 양측에 형성된 링크(75a)가 경사진 링크결합공(43a)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접촉밀부(76a)가 푸셔(40a)의 경사면(44a)에 설치된 금속판(45a)을 밀어주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손잡이의 회동에 따른 가동체(70a)에 전달되는 거리(ℓ)가 짧고 작용되는 힘이 푸셔(40a)에 직접 전달되므로 잠금상태가 해제된 미닫이문(20a)이 도 10b와 같이 문틀프레임(30a)으로부터 빠지면서 미닫이문(20a)에 고정된 모헤어가 문틀프레임(30a)에서 부드럽게 벗어나므로 손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주부들도 중량체의 미닫이문(20a)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겨 미닫이문(20a)을 개방한 다음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가동체(70a)가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a)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상태로 환원되면서 링크결합공(43a)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던 링크(75a)가 링크결합공(43a)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푸셔(40a)가 제1 하우징(60a)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체(70a)의 제1 랙(73a)이 작동간(80a)의 제1 피니언(81a)에 끼워져 있어 작동간(80a)을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제1, 2 가동편(93a)(93b)에 눌려 제1, 2 탄성부재(91a)(91b)를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였던 제1, 2 폴(90a)(90b)이 제1, 2 탄성부재(91a)(91b)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돌출부(52a)(52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제1, 2 후크(50a)(50b)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 2 개구부(64a)(64b)를 통해 제2, 3 하우징(60b)(60c)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1, 2 폴(90a)(90b)의 상단은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돌출부(52a)(52b)에 접촉되어 있어 제1, 2 탄성부재(91a)(91b)는 복원력을 갖는다.
한편, 개방되었던 미닫이문(20a)을 닫으면 제1, 2 개구부(64a)(64b)를 통해 제2, 3 하우징(60b)(60c)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제1, 2 후크(50a)(50b)가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부딪혀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a)(53b)을 압축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걸려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미닫이문(20a)을 닫음에 따라 제1, 2 후크(50a)(50b)가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부딪혀 회동하여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돌출부(52a)(52b)가 제1, 2 폴(90a)(90b)의 상면에서 벗어나 제1, 2 걸림턱(51a)(51b)에 위치하면 제1, 2 폴(90a)(90b)은 제1, 2 탄성부재(91a)(91b)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1, 2 후크(50a)(50b)의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침입자가 미닫이문(20a)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20a : 미닫이문 30, 30a : 문틀프레임
40, 40a : 푸셔 41, 41a : 본체
42, 42a : 커버 43, 43a : 링크결합공
44, 44a : 경사면 45, 45a : 금속판
50 : 후크 50a, 50b : 제1, 2 후크
51 : 걸림턱 51a, 51b : 제1, 2 걸림턱
52 : 돌출부 52a, 52b : 제1, 2 돌출부
53 :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
53a, 53b :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
60 : 하우징 60a, 60b, 60c : 제1, 2, 3 하우징
61, 61a : 결합공 65a, 65b, 65c : 제1, 2, 3 가이드편
66a, 66b : 제1, 2 스토퍼 70, 70a : 가동체
73 : 랙 74, 74a : 레버
75, 75a : 링크 76, 76a : 접촉밀부
77, 77a :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 80, 80a : 작동간
81 : 피니언 90 : 폴
90a, 90b : 제1, 2 폴 92a, 92b : 제1, 2 수용공간
93a, 93b : 제1, 2 가동편 100 : 덮개
110 : 스트라이커 120 : 고정부재

Claims (6)

  1. 상부에 원형의 결합공(61)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에는 축(62)이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 푸셔(40)가 노출되는 통공(63)이 형성되며 측면 하부에는 후크(50)가 노출되는 개구부(64)가 형성되어 미닫이문(20)에 매립 고정되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의 결합공(6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되는 축공(72)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랙(73)이 형성된 가동체(70)와, 상기 가동체(70)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체(70)의 회동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20)이 문틀프레임(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40)와, 상기 가동체(70)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40)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하는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과,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랙(73)이 결합되는 피니언(81)이 형성된 작동간(80)과, 상기 하우징(60)의 하부에 형성된 축(6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51) 및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후크(50)와, 상기 작동간(80)의 하부에 탄성부재(91)로 탄력 설치되어 후크(50)의 걸림턱(51)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폴(pawl)(90)과, 상기 축(62)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폴(90)에 의한 후크(50)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후크(50)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과, 상기 하우징(60)을 폐쇄하는 덮개(100)로 구성된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0)를 금속재질로 하되, 가동체(70)에 랙(73)과 90°위상차를 갖도록 레버(74)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레버(74) 선단에 링크(75) 및 접촉밀부(76)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푸셔(40)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41) 및 커버(42)로 분할 형성하고 경사면(44)과 통하여지게 본체(41) 및 커버(42)에 형성된 링크결합공(43)에는 가동체(70)의 링크(75)가 끼워지도록 하며 푸셔(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4)에는 금속판(45)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76)가 금속판(45)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2. 삭제
  3. 삭제
  4. 상부에 원형의 결합공(61a)이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 푸셔(40a)가 노출되는 통공(63a)이 형성되어 미닫이문(20a)에 매립 고정되는 제1 하우징(60a)과, 상기 제1 하우징(60a)의 결합공(61a)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손잡이의 축이 고정되는 축공(72a)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제1 랙(73a)이 형성된 가동체(70a)와, 상기 가동체(70a)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체(70a)의 회동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미닫이문(20a)이 문틀프레임(3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푸셔(40a)와, 회전 축(71a)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푸셔(40a)가 초기상태로 환원되도록 하는 푸셔리턴용 토션스프링(77a)과, 상기 제1 하우징(60a)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랙(73a)이 결합되는 제1 피니언(81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 하부에는 제2, 3 피니언(81b)(81c)이 형성된 작동간(80a)과, 상기 미닫이문(20a)의 상, 하부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제1, 2 축(62a)(62b)이 각각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 2 후크(50a)(50b)가 노출되는 제1, 2 개구부(64a)(64b)가 형성된 제2, 3 하우징(60b)(60c)과, 상기 제2, 3 하우징(60b)(60c)에 형성된 제1, 2 축(62a)(62b)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제1, 2 걸림턱(51a)(51b) 및 제1, 2 돌출부(52a)(52b)가 형성되어 제1, 2 스트라이커(110a)(110b)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후크(50a)(50b)와, 상기 작동간(80a)의 상, 하부에 제1, 2 탄성부재(91a)(91b)로 탄력 설치되어 제1, 2 후크(50a)(50b)의 제1, 2 걸림턱(51a)(51b)에 걸림에 따라 미닫이문(20a)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폴(pawl)(90a)(90b)과, 상기 제1, 2 축(62a)(62b)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제1, 2 폴(90a)(90b)에 의한 제1, 2 후크(50a)(50b)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 2 후크(50a)(50b)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제1, 2 후크리턴용 토션스프링(53a)(53b)과, 상기 제1, 2 폴(90a)(90b)의 제1, 2 수용공간(92a)(92b)에 걸리도록 제2, 3 하우징(60b)(60c)에 형성된 제3, 4 축(62c)(62d)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3 피니언(81b)(81c)에 결합되는 제4, 5 랙(73d)(73e)이 형성된 제1, 2 가동편(93a)(93b)과, 상기 제1, 2, 3 하우징(60a)(60b)(60c)을 폐쇄하는 제1, 2, 3 덮개(100a)(100b)(100c)로 구성된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0a)를 금속재질로 하되, 가동체(70a)에 제1 랙(73a)과 90°위상차를 갖도록 레버(74a)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레버(74a) 선단에 링크(75a) 및 접촉밀부(76a)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푸셔(40a)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41) 및 커버(42)로 분할 형성하고 경사면(44)과 통하여지게 본체(41a) 및 커버(42a)에 형성된 링크결합공(43a)에는 가동체(70a)의 링크(75a)가 끼워지도록 하며 푸셔(40a)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4a)에는 금속판(45a)을 내장하여 상기 접촉밀부(76a)가 금속판(45a)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35463A 2020-03-24 2020-03-24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KR10231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463A KR102310548B1 (ko) 2020-03-24 2020-03-24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463A KR102310548B1 (ko) 2020-03-24 2020-03-24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068A KR20210119068A (ko) 2021-10-05
KR102310548B1 true KR102310548B1 (ko) 2021-10-07

Family

ID=7807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463A KR102310548B1 (ko) 2020-03-24 2020-03-24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125B1 (ko) * 2022-08-08 2023-11-29 이병노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19B1 (ko) * 2007-09-05 2009-02-05 이병노 상, 하 잠금부를 갖는 미닫이문의 잠금부 동시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31Y1 (ko) * 1994-01-14 1996-06-24 주식회사 한국블럭스위치 차량용 도어의 다단식 개폐장치
KR100382892B1 (ko) * 2000-12-04 2003-05-12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915448B1 (ko) * 2015-08-10 2018-11-06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02311B1 (ko) * 2015-08-25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998840B1 (ko) * 2015-10-05 2019-07-10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19B1 (ko) * 2007-09-05 2009-02-05 이병노 상, 하 잠금부를 갖는 미닫이문의 잠금부 동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068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269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US20080179896A1 (en) Auto Latch for Window Sash
JP3588453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AU2008279898B2 (en) A latch
KR102310548B1 (ko)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US11821238B2 (en) Push pad exit device for emergency door egress
KR101666017B1 (ko) 창호 잠금장치
US8342581B2 (en) Vehicle latch with pendulum stop on release lever
US4486041A (en) Door handle unit
CA2471315A1 (en) Lock for lever-handled door latch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2608125B1 (ko)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KR10068142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JP6697189B2 (ja) 窓用の開閉装置
KR102061730B1 (ko) 양방향 개방형 여닫이문
WO2003018943A1 (en) Locking mechanism
EP2592210A1 (en) Locking assembly for windows or doors
JPH0826719B2 (ja) 鎖錠装置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CN219220033U (zh) 一种快速开关的平开门锁组件
JP4195127B2 (ja) 扉用錠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