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017B1 - 창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017B1
KR101666017B1 KR1020140136136A KR20140136136A KR101666017B1 KR 101666017 B1 KR101666017 B1 KR 101666017B1 KR 1020140136136 A KR1020140136136 A KR 1020140136136A KR 20140136136 A KR20140136136 A KR 20140136136A KR 101666017 B1 KR101666017 B1 KR 101666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on
chamber
housing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348A (ko
Inventor
최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터
Priority to KR102014013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0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3/00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 E05F13/02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by devices, e.g. lever arms,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rail)과 복수개의 스트라이커(striker)를 구비한 고정틀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결합된 이동틀과,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여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틀에 설치된 핸들(handle)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창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샤프트에 연결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푸셔(pusher)를 출몰시킴과 함께 로드(rod)를 이동시키는 기어조립체(gear assembly); 상기 기어조립체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로드와 접촉시 회전되는 걸쇠를 갖는 1개 이상의 로크조립체(lock assembly) 및; 상기 기어조립체 및 상기 로크조립체의 저부에 결합되어 로드이동통로를 덮고, 상기 로크조립체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대면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틀의 측면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 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 출입문, 슬라이딩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창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창(windows)과 문(doors)을 총칭한다.
창은 벽면 또는 천정에 사람의 출입을 용도로 하지 않는 개구부를 일컬으며, 조망, 통풍, 채광 등의 목적에 사용되고, 문은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 용도로 사용된다.
창호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성수지, 플라스틱, 유리, 철재, 스테인리스, 청동, 나무, 내화성 재질 등으로 제작된다.
특히, 창문은 기밀성, 수밀성, 내풍압성, 단열성 및 방음성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창문의 기밀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열성은 물론 방음성과도 매우 밀접하고, 수밀성은 비, 바람, 폭우, 태풍 시 바람의 압력(풍압)으로 인해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내풍압성 또는 외부풍압성은 창호 및 유리가 바람 또는 압력에 견디는 정도를 의미하고, 단열성은 재질에 따른 고유의 열전도로 인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정도를 말한다. 그리고, 창은 창문틀과 같이 벽에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에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틀에 해당하는 이동틀을 포함한다. 창의 방음성은 고정틀과 이동틀의 맞닿는 부위의 밀폐성 유리종류, 프로파일 디자인에 따라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외에도 결로 형성이 적게 일어나고, 난열성, 개폐 유연성, 내후성 및 유지 보수성능을 높일 수 있는 쪽으로 창호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개폐 유연성이란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되는 동작과 함께 창문이 열리는 동작이 최소한의 힘으로 부드럽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창문이 닫히는 동작과 함께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되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성능을 의미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서는 문틀에서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창호 또는 창문에 핸들이 구비되고, 핸들을 이용하는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잠금장치에서는 창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힘이 핸들 및 잠금장치를 통해서 창문개방력으로 변환되는 수단이 없거나, 또는 창문개방력으로 변환되는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예컨대, 특허문헌2에서는 훅 유닛의 훅이 회전하여 스트라이크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단순히 훅에 결합되어 훅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므로, 상기 탄성력만으로는 창문이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는다.
즉, 특허문헌 2의 창문용 자동잠금장치는 잠금상태의 해제를 위하여 핸들을 회전시키는 힘을 창문개폐력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음으로, 창문의 초기개폐력 발생이 매우 약하고, 이에 따라 창문의 개폐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2에서는 훅의 잠금 상태 유지를 위해서 훅 옆에 탄성 지지되는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는 일종의 훅의 잠금상태를 록킹 또는 릴리싱하는 수단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핸들의 회전력은 기어케이스 및 록 기어를 통해서, 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이동력으로 변환된다. 이때, 로드의 이동력은 로드의 작동핀을 통해 레버로 전달되고, 그 결과 레버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레버의 이동으로 인하여, 훅이 릴리스 상태가 된다. 또한, 릴리스 상태의 훅은 복원스프링에 의해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훅 자체를 단순히 회전시키기 위한 용도로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실제로 창의 이동틀은 고정틀의 모헤어(mohair)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어 있고, 이때 모헤어와의 마찰력,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예: 풍압력) 등에 의해 잘 열리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특허문헌2에서는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만드는 동작)과, 창문이 열리는 쪽으로 창문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만 창문이 열리게 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2는 자동잠금기능만을 제공할 뿐, 핸들의 회전력을 창문 개방에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한글 ㄷ자 형상의 훅의 회전시, 훅의 일측 단부가 스트라이크의 걸림홈에 내입되어 걸리거나, 또는 훅의 일측 단부가 스트라이크의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작과, 훅의 타측 단부가 스트라이크를 밀어내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동작들이 간섭 없이 일어나기 위해서, 훅의 회전 유격이 훅과 스트라이크의 걸림홈의 사이에 존재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회전 유격으로 인하여, 창문이 닫힌 이후, 잠금상태라 하더라도, 창문이 진동 또는 풍압으로 인하여 흔들릴 수 있고,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창문과 창문 사이의 실링 성능이 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한국등록특허 제10-1216678호(2012.12.21) 한국등록실용 제20-0409014호(2006.02.0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작용점으로 분배하여 푸셔(pusher)에 전달하는 기어조립체(gear assembly)와, 기어조립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기어조립체로부터 연장된 로드(rod)와 연동하는 복수개의 로크조립체(lock assembly)를 제공함으로써, 창문의 잠금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용이하게 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고, 기밀하게 창문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창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창호 잠금장치에 의하면, 레일(rail)과 복수개의 스트라이커(striker)를 구비한 고정틀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결합된 이동틀과,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여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틀에 설치된 핸들(handle)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창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샤프트에 연결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푸셔(pusher)를 출몰시킴과 함께 로드(rod)를 이동시키는 기어조립체(gear assembly); 상기 기어조립체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로드와 접촉시 회전되는 걸쇠를 갖는 1개 이상의 로크조립체(lock assembly) 및; 상기 기어조립체 및 상기 로크조립체의 저부에 결합되어 로드이동통로를 덮고, 상기 로크조립체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대면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틀의 측면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로드이동통로가 외측에 형성된 하우징바닥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부에 연결된 하우징일측부와, 상기 하우징일측부에 형성된 이동챔버 및 회전챔버를 갖는 기어하우징; 상기 회전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상기 기어부; 상기 이동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핀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캠홈을 갖는 푸셔; 상기 회전챔버의 옆으로 상기 기어하우징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이동통로와 서로 연통하는 스프링구멍; 상기 스프링구멍에 장착된 메인스프링; 및 상기 기어하우징의 개방된 하우징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관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중간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벤딩돌기가 상기 메인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구멍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샤프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샤프트구멍이 형성된 보스(boss); 상기 보스의 일측 원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 형성된 기어구멍에 치합되는 복수개의 기어치; 상기 보스의 타측 원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배치거리에 위치한 제 1 핀구멍과,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배치거리에 위치한 제 2 핀구멍을 갖는 외팔보형(cantilever type) 회전판; 상기 제 1 핀구멍에 결합된 제 1 회전핀; 및 상기 제 2 핀구멍에 결합된 제 2 회전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핀은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저부쪽이 개방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cam profile surface)을 갖는 상기 푸셔의 제 1 캠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핀은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하고, 폐쇄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을 갖는 상기 푸셔의 제 2 캠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푸셔는 상기 캠홈의 반대쪽 끝단에 결합된 범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크조립체는, 상기 로드이동통로가 외측에 형성된 케이싱저부와, 상기 케이싱저부에 연결된 케이싱일측부와, 상기 케이싱일측부에 형성된 회전축돌기 및 걸쇠챔버와, 상기 걸쇠챔버의 벽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결합부를 갖는 로크케이싱; 상기 걸쇠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회전축돌기를 회전 기준축으로 사용하고, 제 2 스프링 결합부를 구비한 걸쇠; 상기 회전축돌기에 삽입된 탄성링부와, 상기 탄성링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된 일측 끝단과, 상기 탄성링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된 타측 끝단을 갖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로크케이싱의 개방된 케이싱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로크케이싱에 결합되는 케이싱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상기 회전축돌기에 삽입되는 회전구멍을 갖는 갈고리 형상의 걸쇠몸체; 상기 걸쇠몸체의 일측 외표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는 경사형 미끄럼접촉면; 상기 경사형 미끄럼접촉면의 아래쪽에 형성된 정지면; 및 상기 걸쇠몸체의 타측 외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트리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일측의 제 2 벤딩돌기가 상기 트리거돌기를 밀어서 상기 걸쇠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로드의 타측의 제 3 벤딩돌기가 상기 트리거돌기를 잡아당겨서 상기 걸쇠를 회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어조립체는, 상기 로드이동통로가 외측에 형성된 이중 하우징바닥부와, 상기 이중 하우징바닥부에 연결된 이중 하우징일측부와, 상기 이중 하우징일측부에서 차례로 형성된 제 1 이동챔버, 제 1 회전챔버, 제 2 회전챔버 및 제 2 이동챔버를 갖는 이중 기어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제 1 회전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제 1 회전핀과 제 2 회전핀이 결합된 회전판, 기어치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링크누름쇠를 갖는 기어부; 상기 제 1 이동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회전핀과 상기 제 2 회전핀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 1 캠홈과 제 2 캠홈을 갖는 제 1 푸셔; 상기 제 2 회전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링크누름쇠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링크돌기와, 상기 링크돌기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피동회전판과, 상기 피동회전판에 결합된 제 3 회전핀을 갖는 링크부; 및 상기 제 2 이동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회전핀이 삽입되도록 제 3 캠홈을 갖는 제 2 푸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제 2 이동챔버의 아래로 상기 이중 기어하우징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이동통로와 서로 연통하는 스프링구멍; 상기 스프링구멍에 장착된 메인스프링; 및 상기 이중 기어하우징의 개방된 이중 하우징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이중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는 이중 하우징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중간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벤딩돌기가 상기 메인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구멍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창호 잠금장치에 의하면, 지렛대 원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어부 및 푸셔(pusher)를 갖는 기어조립체를 제공한다.
예컨대, 지렛대 원리에서는 작용점(예: 캠홈 및 회전핀간 접촉점)과 받침점(기어부의 회전중심: 핸들의 샤프트 중심) 사이의 배치거리의 변화에 따라, 힘전달 효율 및 행정거리(stroke)가 변화된다.
본 발명에서 배치거리는 회전핀의 핀중심으로부터 기어부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어조립체에서는 푸셔의 이동을 위해, 기어조립체의 기어부가 외팔보형(cantilever type) 회전판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판에는 푸셔의 캠홈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는 복수개의 회전핀이 이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캠홈의 평면적 및 형상은 회전핀과의 순차적 접촉을 위해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회전핀이 캠홈에 접촉하는 타이밍이 조절되거나, 상기 배치거리가 변화되어서, 핸들의 회전력 또는 창문개방력이 효율적으로 푸셔에 전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어조립체 및 로크조립체가 창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만드는 동작과, 창문을 푸셔로 밀어 개방시키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때만 연동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창문의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만드는 동작에서는 로크조립체만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고, 창문이 부드럽게 폐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짧은 배치거리의 제 1 회전핀과 제 1 캠홈을 이용하여 푸셔를 강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창문 개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어부의 회전판의 특정 각동에서는 제 1 회전핀이 제 1 캠홈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 2 회전핀이 제 2 캠홈에 접촉하여 2곳에서 동시에 힘전달이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강력하게 푸셔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긴 배치거리의 제 2 회전핀과 제 2 캠홈을 이용하여 푸셔의 행정거리를 상대적으로 증가 또는 최대화시킴에 따라서, 창의 이동틀의 외곽부가 고정틀의 모헤어(mohair)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완전 이탈된 상태, 즉 창문이 살짝 열린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창문의 슬라이더 또는 구름 바퀴의 적은 마찰력만으로 원활하게 창문을 활짝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셔의 복귀시에는 제 2 회전핀과 제 2 캠홈만이 사용되고, 기어조립체에 구비된 메인스프링 1개의 탄성력만으로 원활하게 로드의 복귀, 기어부의 역회전 및 푸셔의 복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로크조립체에 비틀림스프링 1개만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스프링 사용 개수를 절감시킬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작동 소음 저감과 함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크조립체는 한글 ㄱ자 형상으로서 경사형 미끄럼접촉면의 아래쪽에 정지면을 형성한 걸쇠를 갖는다. 걸쇠는 상기 경사형 미끄럼접촉면과 스트라이커간 접촉을 통해 밀리듯이 회전되거나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역회전될 수 있다. 특히, 걸쇠의 정지면이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유격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창문 흔들림을 방지하고, 창문과 창문 사이의 실링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의 이동틀에 위치한 푸셔와 창의 고정틀간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충격을 줄여줄 수 있는 범퍼(bumper)를 구비하여 푸셔의 외표면에 결합시켜서, 푸셔가 맞닿으려는 상기 고정틀의 내측부에 스크래치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특허문헌 2에 언급한 레버 또는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및 삽입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공수 단축 및 부품 원가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핸들의 회전만으로 2개의 푸셔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게 기어조립체를 구현함으로써, 창문개방력을 증대시키고, 더욱 원활하게 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잠금장치가 장치된 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의 프로파일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어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로크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 2 로크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에서 기어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에서 제 1 로크조립체 및 제 2 로크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호 잠금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창호 장금장치에서 기어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창호는 창 또는 문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창을 기준으로 설명 또는 호칭할 뿐, 여닫이 개폐 구조의 경우라면 어떠한 창 또는 문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호 잠금장치가 장치된 창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창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판재의 외곽을 감싸고 있는 창틀에 해당하는 이동틀(10)과, 건축물의 벽에 고정되는 창문틀과 같은 고정틀(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틀(20)은 레일(21)(rail)과 복수개의 스트라이커(30)(striker)를 구비한다. 스트라이커(30)는 스트라이커(30) 설치용 캡을 열고, 스트라이커(30)의 나사구멍에 끼운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틀(20)의 내측부에 설치된다.
또한, 이동틀(10)은 레일(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틀(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이동틀(10)은 쌍을 이루는 내창문짝과, 고정틀(2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역시 해당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틀(20)에 결합되고 또한 쌍을 이루는 외창문짝을 포함한다.
내창문짝과 외창문짝은 동일 구성이므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내창문짝을 기준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창호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30)와 접촉하여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틀(10)에 설치된 핸들(40)(handle)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다.
여기서, 핸들(40)은 창문 개폐용 회전식 손잡이를 의미한다. 또한, 잠금 상태란 창호 잠금장치 중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동틀(10) 쪽의 복수개의 후크가 해당 스트라이커(30)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 형상의 걸림홈(31)에 내입되어 턱을 형성함으로써, 이동틀(10)이 고정틀(20)의 레일(21)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그 결과 창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해제 상태란 상기 후크가 스트라이커(20)의 걸림홈(3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동틀(10)이 레일(21)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틀(20)의 내측부(22)와 맞닿은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는 창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되, 사용자의 힘, 즉 핸들(40)의 회전(R)에 의한 힘, 즉 회전력이 핸들(40) 및 본 실시예의 창호 잠금장치를 통해서 창문개방력(F2)으로 변환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푸셔(pusher)를 더 구비한다. 예컨대, 핸들(40)의 회전(R) 따라서, 창의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변환됨과 동시에, 푸셔가 이동틀(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돌출된 푸셔는 푸시력(F1)을 상기 고정틀(20)의 내측부(22)에 작용시키고,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발생된 창문개방력(F2)이 이동틀(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창문개방력(F2)에 의한 이동틀(10)의 이동은 일종의 창문의 초기 개방 성능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창문개방력(F2)은 고정틀(20) 또는 이동틀(10)에 장착된 모헤어(mohair)에 대한 표면 마찰력보다 크고, 창이 해제 상태라 하더라도, 풍압력 등에 의해 잘 개방되지 않는 상태를 제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창문의 초기 개방을 용이하게 도울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의 프로파일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핸들(40)은 이동틀(10)의 내부쪽으로 연장되고 창호 잠금장치의 기어조립체(100)(gear assembly)에 연결된 샤프트(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샤프트(41)는 사각 단면의 각봉, 스퀘어 빔, 사각 축부재 등이 될 수 있고, 기어조립체(100) 내부의 기어부에 연결된다. 즉, 샤프트(41)의 회전시 기어부도 회전된다.
이동틀(10) 또는 고정틀(2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부재로서, 일반적인 창 또는 문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1개의 기어조립체(100)와, 2개의 로크조립체(200,201)(lock assembly)와,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의 설치 기반이 되는 설치판(300)과,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의 연동을 위해서, 설치판(300)과 조립체별 로드이동통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로드(400)(rod)를 포함한다.
기어조립체(100)는 핸들의 샤프트(41)에 연결된 기어부를 기어조립체(100)의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푸셔(130)를 출몰시킴과 함께 로드(4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는 설치판(300)을 기반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설치판(300)의 조립구멍(301,302)에는 기어조립체(100)의 가이드 겸용 조립돌기(111) 및 로크조립체(200,201)의 조립돌기(209)의 끝단이 삽입된다(도 4 참조). 또한, 설치판(300)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조립돌기(111,209)의 끝단은 별도의 공구 또는 조립 설비(미 도시)를 이용하여 확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가 로드(400)를 개재한 상태에서 설치판(300)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로크조립체(200,201)에는 창호 잠금장치 설치용 2개의 설치나사(50)가 각각 체결되는 볼트체결구멍(208)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나사(50)의 헤드부는 로크조립체(200,20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설치나사(50)의 나사부의 끝단은 설치판(300) 및 창의 이동틀(10)의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한 번의 액션[예: 핸들의 샤프트(41)의 회전(R)]에 따라서 기어조립체(100) 내부의 기어부가 회전하고, 기어부에 연결된 기어조립체(100)의 푸셔(130)는 기어부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기어조립체(100)의 푸셔(130)가 돌출되듯이 푸시력(F1)을 발생시키고, 이와 함께, 로드(400)의 이동(M)이 발생되고, 상기 이동(M)에 연동하여 로크조립체(200,201) 각각의 걸쇠(220,221)가 동시 회전(L)하도록 되어 있다.
걸쇠(220,221)는 동시 회전(L)을 통해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에 내입되거나, 또는 핸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기어조립체(100)는 핸들의 샤프트(41)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41) 및 기어부의 회전(R)을 통해 푸셔(130)를 출몰시킴과 함께 로드(400)를 이동(M)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로드(400)는 샤프트(41)의 회전(R)에 의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M)한다. 다만 이동(M) 후 로드(400)의 복귀는 하기에 설명할 메인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로크조립체(200,201)는 1개 이상(예: 2개)으로서, 기어조립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로드(400)와 접촉시 회전되는 걸쇠(220,221)를 각각 갖는다.
설치판(300)은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의 저부에 결합되고, 이때,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의 저부에 형성된 로드이동통로를 덮는다. 또한, 로크조립체(200,201)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대면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 2를 통해 언급한 이동틀(10)의 측면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드(400)는 기어조립체(100) 및 로크조립체(200,201)의 연동을 위해 이동되는 판부재일 수 있다.
로드(400)는 로드(400)의 중간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벤딩돌기(410)와, 로드(4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벤딩돌기(420)와, 로드(400)의 타측에 형성된 제 3 벤딩돌기(430)를 갖는다.
제 2 벤딩돌기(420)는 로드(400)의 끝단을 수직하게 벤딩하여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제 3 벤딩돌기(430)는 로드(40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직사각형 제 1 장공(401)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3 벤딩돌기(430)도 일체형으로 벤딩하여 만들어진다. 여기서, 제 1 장공(401)은 걸쇠(220,221)별로 각각 형성된 트리거돌기(225)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로드(400)는 직사각형 제 2 장공(402)에 이격된 곳에 기어구멍(403)이 형성된다.
아울러, 로드(400)는 로크조립체(200)의 저부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11,212)에 삽입되거나, 기어조립체(100)의 저부에 마련된 가이드 겸용 조립돌기(111)에 삽입되어서, 각각 가이드구멍의 역할을 담당하는 복수개의 라운드형 장공(404,405)을 갖는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어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기어조립체(100)는 기어하우징(110)을 포함한다. 기어하우징(110)은 로드이동통로(T1)를 외측에 형성한 하우징바닥부(112)와, 상기 하우징바닥부(112)에 연결된 하우징일측부(113)와, 상기 하우징일측부(113)에 형성된 이동챔버(114) 및 회전챔버(115)를 갖는다.
하우징일측부(113)는 하우징바닥부(112)의 테두리를 따라서 수직하게 세워진 벽을 의미할 수 있다.
기어하우징(110)에는 하우징바닥부(112) 및 하우징바닥부(112)에 연결된 정면벽 및 배면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챔버(114)는 기어하우징(110)의 위쪽으로 개방된 공간[예: 푸셔(130)의 출몰 구멍]을 갖는다. 회전챔버(115)는 기어하우징(110)의 아래쪽으로 개방된 공간[예: 기어부(120)의 기어치(124) 회동 영역]을 갖는다.
이동챔버(114)의 벽 또는 하우징커버(160)는 푸셔(130)의 직선 이동 또는 출몰 작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어하우징(110)은 알루미늄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기어부(120)의 회전 이후 원래 위치로 복귀시, 기어부(120)의 회전판(127)이 로드(400)를 때리지 않고,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기어하우징(110)의 바닥에는 정지턱(1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127)의 저부에는 상기 정지턱(119)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부(12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조립체(100)는 회전챔버(115)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 또는 결합된 기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조립체(100)는 이동챔버(114)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어부(120)의 회전핀(121,122)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캠홈(131,132)을 갖는 푸셔(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푸셔(130)는 일종의 피스톤 또는 이동블록 형태의 이동체를 의미한다. 즉, 푸셔(130)는 이동챔버(114)의 벽 또는 하우징커버(160)의 내표면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기어부(120)의 회전력 또는 역회전력을 전달받을 때, 이동챔버(114)의 내,외부를 출몰하듯이 이동되도록 이동챔버(114)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조립체(100)는 회전챔버(115)의 옆으로 기어하우징(110)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이동통로(T1)와 서로 연통하는 스프링구멍(140)을 포함한다.
또한, 기어조립체(100)는 스프링구멍(140)에 장착된 메인스프링(150)을 포함한다.
또한, 기어조립체(100)는 기어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우징타측부를 마감하도록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된 하우징커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커버(160)는 핸들의 샤프트(41)의 관통 구멍(161)을 갖는다.
제 1 벤딩돌기(410)는 로드(400)의 중간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스프링(150)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구멍(140)에 끼워진다.
만일, 핸들의 회전으로 인하여, 핸들의 샤프트(41)가 기어부(120)를 회전시킬 경우, 기어부(120)에 치합된 로드(400)도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120)의 기어치(124)는 기어하우징(110)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서 로드(400)의 기어구멍(403)에 치합되어 있다.
이런 경우, 로드(400)의 제 1 벤딩돌기(410)는 메인스프링(150)을 압축하여 탄성복원력을 생성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잡고 있던 핸들을 놓을 경우, 메인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기어부(120), 로드(400), 제 1 벤딩돌기(410)도 원래 위치로 복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어부(120)는 샤프트(41)를 결합시키기 위한 샤프트구멍이 형성된 보스(123)(boss)와, 보스(123)의 일측 원주면에 형성되고, 로드(400)에 형성된 기어구멍(403)에 치합되는 복수개의 기어치(124)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부(120)는 보스(123)의 타측 원주면에 형성되고,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배치거리에 위치한 제 1 핀구멍(125)과,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배치거리에 위치한 제 2 핀구멍(126)을 갖는 외팔보형(cantilever type) 회전판(127)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스(123)는 회전판(127)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긴 축길이를 가지고 있고, 회전챔버(115)의 보스회전구멍에 끼워져서, 회전축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핀(121)은 회전판(127)의 배면으로부터 수직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핀구멍(125)에 결합되고, 핀결합 수단(예: 볼트 등)을 통해 결합 상태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같은 결합 방식으로, 제 2 회전핀(122)도 제 2 핀구멍(1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핀(121)은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저부쪽이 개방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cam profile surface)을 갖는 푸셔(130)의 제 1 캠홈(131)에 삽입된다. 여기서, 저부는 제 1 캠홈(131)의 개방된 저부로서, 푸셔(130)의 바닥의 일측 부위가 개방된 곳(139)(도 4 참조)을 지칭한다.
제 1 캠홈(131)의 캠 프로파일 표면의 형상은 기어부(120)의 회전력을 푸셔(130)의 푸시력으로 변환시켜주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변환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므로, 특정 캠 프로파일 표면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회전핀(122)은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하고, 폐쇄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을 갖는 푸셔(130)의 제 2 캠홈(132)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 2 캠홈(132)은 푸셔(130)에서 바닥의 타측 부위가 폐쇄된 곳(138)(도 4 참조)을 지칭한다.
제 2 캠홈(132)의 캠 프로파일 표면의 형상도 기어부(120)의 회전력을 푸셔(130)의 푸시력으로 변환시켜주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2 캠홈(132)의 상하방향 길이(Q)는 제 1 캠홈(13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폐쇄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의 특성상, 제 2 회전핀(122)은 제 2 캠홈(132)을 통해서, 푸셔(130)의 돌출 이동 또는 함몰 이동에 필요한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개방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의 특성상, 제 1 회전핀(121)은 푸셔(130)의 돌출 이동에 필요한 힘을 전달하고, 푸셔(130)의 함몰 이동시에는 제 1 캠홈(131)의 캠 프로파일 표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푸셔(130)는 캠홈(131,132)의 반대쪽 끝단에 결합된 범퍼(133)를 더 포함한다.
범퍼(133)는 고무, 우레탄 등의 소재로 제작되고, 결합돌기를 통해 푸셔(130)의 결합구멍에 체결된다.
범퍼(133)는 푸셔(130)가 직접적으로 창의 고정틀의 내측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여, 고정틀 부위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스크래치가 고정틀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로크조립체(200,201)는 2개로서, 기어조립체(100)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제 1 로크조립체(200)로 칭하고, 기어조립체(100)의 타측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제 2 로크조립체(201)로 칭한다.
제 1 로크조립체(200)는 로크케이싱(2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로크케이싱(210)은 앞서 기어하우징(110)과 동일한 소재(예: 알루미늄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로크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로크조립체(200)의 로크케이싱(210)은 로드이동통로(T2)가 형성된 케이싱저부(213)와, 상기 케이싱저부(213)에 연결된 케이싱일측부(214)와, 상기 케이싱일측부(214)에 형성된 회전축돌기(215) 및 걸쇠챔버(216)와, 상기 걸쇠챔버(216)의 벽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결합부(217)를 갖는다.
또한, 제 1 로크조립체(200)는 걸쇠챔버(216)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회전축돌기(215)를 회전 기준축으로 사용하고, 삽입 구멍 형상의 제 2 스프링 결합부(222)를 구비한 걸쇠(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로크조립체(200)는 회전축돌기(215)에 삽입된 탄성링부(231)와, 상기 탄성링부(23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스프링 결합부(217)에 결합된 일측 끝단(232)과, 상기 탄성링부(231)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스프링 결합부(222)에 결합된 타측 끝단(233)을 갖는 비틀림스프링(230)을 포함한다.
비틀림스프링(230)은 걸쇠(210)의 회전 이후 도 6과 같은 상태로 복귀시키는 위치 복원 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 1 로크조립체(200)는 로크케이싱(210)의 개방된 케이싱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로크케이싱(210)에 결합되는 케이싱커버(24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 2 로크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 2 로크조립체(201)는 앞서 설명한 도 6의 제 1 로크조립체(200)와 동일 구성을 갖고, 로드(400)와의 연결 관계가 일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제 1 로크조립체(200)에서는 로드(400)의 제 2 벤딩돌기(420)가 걸쇠(220)의 트리거돌기(225)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드(400) 및 제 2 벤딩돌기(420)가 이동하여 걸쇠(220)의 트리거돌기(225)와 접촉하고, 미리 정해진 이동거리만큼 이동할 경우, 제 1 로크조립체(200)의 걸쇠(220)가 회전(예: 우회전) 된다.
이와 함께, 도 7의 제 2 로크조립체(201)에서는 로드(400)의 제 3 벤딩돌기(430)가 제 2 로크조립체(201)의 걸쇠(221)의 트리거돌기(225)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드(400) 및 제 3 벤딩돌기(430)가 이동하여 걸쇠(221)의 트리거돌기(225)와 접촉하고, 상기 이동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함으로서, 역시 제 2 로크조립체(201)의 걸쇠(221)도 상기 제 1 로크조립체(200)의 걸쇠(220)와 동일한 회전(예: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 된다.
즉, 로드(400)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로크조립체(200) 및 제 2 로크조립체(201) 각각의 걸쇠(220,221)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란 각 걸쇠(220,221)가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각 걸쇠(221)는 회전축돌기(215)에 삽입되는 회전구멍(223)을 갖는 갈고리 형상의 걸쇠몸체(224)를 포함한다.
또한, 걸쇠(221)는 걸쇠몸체(224)의 일측 외표면에 형성되어서 도 4에 도시된 스트라이커(30)와 접촉하는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을 포함한다.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은 직선 방향으로 접촉하는 스트라이커(30)를 회피하기 위하여, 경사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유발시키고, 그 결과, 걸쇠(221)를 피동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스트라이커(30)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 걸쇠(221)는 앞서 언급한 비틀림스프링(230)에 의해 역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걸쇠(221)는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의 아래쪽에 형성된 정지면(227)을 갖는다. 정지면(227)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지면(227)의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하고, 걸쇠(221)와 스트라이커를 서로 구속 또는 잠금 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때, 정지면(227)이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의 저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그 밀착 부위에는 유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유격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존의 창(예: 특허문헌 2)의 한글 ㄷ자 형태의 훅에 의한 회전 유격이나, 그 회전 유격으로 인한 흔들림 발생이 제거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창의 실링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정지면(227)과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의 사이에는 예각이 형성되어서. 걸쇠(221)의 끝단이 웨지(wedg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쇠(221)는 걸쇠몸체(224)의 타측 외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트리거돌기(225)를 포함한다.
도 6의 경우, 로드(400)의 일측의 제 2 벤딩돌기(420)는 제 1 로크조립체(200)의 트리거돌기(225)를 밀어서 해당 걸쇠(220)를 회전시키고, 도 7의 경우, 로드(400)의 타측의 제 3 벤딩돌기(430)가 제 2 로크조립체(201)의 트리거돌기(225)를 잡아당겨서 해당 걸쇠(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에서 기어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잠금장치에서 제 1 로크조립체 및 제 2 로크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어조립체(100) 내에서는 핸들의 샤프트(41)의 중심 또는 기어부(120)의 보스의 중심이 지렛대 원리에서 받침점에 해당한다. 그리고, 핸들은 지렛대 원리의 힘점이 작용되는 부위일 수 있다.
또한, 기어부(120)에는 지렛대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회전판(127)이 마련되고, 그 회전판(127)에 제 1 회전핀(121) 및 제 2 회전핀(122)이 이격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회전핀(121,122)은 지렛대 원래에서 작용점에 해당하고, 순차적으로 핸들의 힘을 푸셔(130)에게 분배하여 전달하거나, 또는 동시에 힘을 푸셔(130)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사용자의 힘을 전달 받는 기어조립체(100)의 핸들은 시계 방향(예: 우회전)으로 회전된다.
이런 경우, 핸들의 회전과 동일하게 샤프트(41) 및 기어부(120)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기어부(120)의 기어치(124)는 일종의 피니언 기어가 되고, 기어치(124)와 치합된 로드(400)는 기어구멍을 이용한 일종의 랙 기어가 되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즉 로드(4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40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1,2 로크조립체(200,201)의 걸쇠(220,221)는 동시에 회전을 일으킨다. 이러한 걸쇠(220,221)의 회전은 창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킨다.
또한, 계속된 핸들의 샤프트(41)의 회전에 따라서, 기어부(120)에 구비된 제 1 회전핀(121)이 푸셔(130)의 제 1 캠홈(131)에 먼저 접촉하고, 이때, 샤프트(41)와 제 1 회전핀(121)이 상대적으로 짧은 배치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한 푸시력(F1)이 푸셔(130)에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푸시력(F1)은 고정틀에 작용되어 반작용을 일으키고, 그 결과 창문개방력(F2)으로 변환된다.
이후, 계속된 핸들의 샤프트(41)의 회전에 따라서, 동시에 제 1 회전핀(121)이 제 1 캠홈(131)에 접촉하고, 제 2 회전핀(122)이 제 2 캠홈(132)에 전달하여 핸들의 회전력을 푸셔(130)에 전달시킨다.
마지막으로, 기어부(120)에 구비된 제 1 회전핀(121)은 푸셔(130)의 제 1 캠홈(131)에 접촉하지 않는 대신, 제 2 회전핀(122)만이 푸셔(130)의 제 2 캠홈(132)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핀(121)에 비하여, 샤프트(41)와 제 2 회전핀(122)이 상대적으로 긴 배치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긴 배치거리에 대응하게 푸셔(130)의 돌출 높이, 즉 행정거리(H)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증대된 행정거리(H)는 창의 이동틀의 외곽부가 창의 고정틀의 모헤어(mohair)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완전 이탈된 상태가 될 수 있을 정도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는 핸들의 회전만으로 잠금 상태 해제 및 창의 개방을 동시에 실현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창문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있던 핸들을 놓을 경우, 메인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기어부(120), 로드(400), 제 1 벤딩돌기(410)도 원래 위치로 복귀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창의 고정틀에 마련된 스트라이커(30)는 고정상태이고, 이동틀은 이동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창의 핸들을 잡아 당기거나, 또는 이동틀을 밀고, 이에 따라 이동틀이 고정틀 쪽으로 이동된다.
이런 경우, 스트라이커(30)가 로크조립체(200,201)의 걸쇠(220,221)의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걸쇠(220,221)는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과 스트라이커(30)간 접촉을 통해 밀리듯이 회전된다.
계속된 창의 이동틀의 이동으로 인하여, 걸쇠(220,221)는 스트라이커(30)의 코너를 타고 넘게 된다. 이런 경우, 경사형 미끄럼접촉면(226)은 더 이상 스트라이커(30)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걸쇠(220,221)는 로크조립체(200,201) 내의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을 받아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창의 이동틀이 고정틀에 맞닿아서 정지되는 시점에서, 상기 복귀하는 걸쇠(220,221)의 웨지(wedge) 형상의 끝단은 스트라이커(30)의 걸림홈(31)에 내입되고, 창의 잠금 상태를 만든다.
이때에는 로드(400)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로드(400) 또는 푸셔(130)로 인한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기어조립체(100)의 핸들을 다시 회전시킬 경우, 로드(400)가 도 8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이동하여,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만듦과 동시에 푸셔의 푸시력을 발생시켜서 창문의 초기 개방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단순히 이동틀을 고정틀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유격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틀과 고정틀을 서로 잠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창호 잠금장치는 2개의 푸셔를 갖는 기어조립체가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1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호 잠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창호 장금장치에서 기어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는 1개의 핸들의 샤프트(41)에 연결된 기어조립체(100)에서 2개의 푸셔(130,130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2배의 푸시력(F1)을 기어조립체(100)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100)는 로드이동통로가 형성된 이중 하우징바닥부(112)와, 상기 이중 하우징바닥부(112)에 연결된 이중 하우징일측부(113)와, 상기 이중 하우징일측부(113)에서 차례로 형성된 제 1 이동챔버(114), 제 1 회전챔버(115), 제 2 회전챔버(116) 및 제 2 이동챔버(117)를 갖는 이중 기어하우징(110a)을 포함한다.
이중 기어하우징(110a)의 내부에서는 제 1 회전챔버(115)와 제 2 회전챔버(116)가 공간상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어조립체(100)는 앞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 1 회전챔버(115)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제 1 회전핀과 제 2 회전핀이 결합된 회전판, 기어치를 구비하고,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상이한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링크누름쇠(128)를 갖는 기어부(120a)를 포함한다.
기어부(120a)의 링크누름쇠(128)는 상기 공간상 서로 연결된 제 1 회전챔버(115)와 제 2 회전챔버(116)의 경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푸셔(130)는 앞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1 이동챔버(114)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어부(120a)의 제 1 회전핀과 상기 제 2 회전핀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 1 캠홈과 제 2 캠홈을 갖는다.
특히, 제 2 실시예의 기어조립체(100)는 기어부(120a)의 회전과 연동하여 역회전될 수 있는 링크부(170)를 더 포함한다.
링크부(170)는 제 2 회전챔버(116)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링크누름쇠(12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링크돌기(171)와, 상기 링크돌기(171)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피동회전판(172)과, 상기 피동회전판(172)에 결합된 제 3 회전핀(173)을 갖는다.
제 2 푸셔(130a)는 제 2 이동챔버(117)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회전핀(173)이 삽입되도록 제 3 캠홈(134)을 갖는다. 제 3 캠홈(134)의 내측면은 링크부(170)의 역방향 회전력을 제 2 푸셔(130a)의 푸시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캠 프로파일 표면의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기어조립체(100)는 제 2 이동챔버(117)의 아래로 이중 기어하우징(110a)의 저부에 위치하고, 로드이동통로와 서로 연통하는 스프링구멍, 스프링구멍에 장착된 메인스프링, 이중 하우징커버(160a)(도 10 참조) 등을 더 구비하고 있다.
물론, 제 2 실시예의 기어조립체(100)에서도 로드(400)의 제 1 벤딩돌기가 상기 메인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구멍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힘을 전달 받는 기어조립체(100)의 핸들이 시계 방향(예: 우회전)으로 회전된다.
이런 경우, 기어부(120)의 회전이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기어부(120)의 링크누름쇠(128)가 회전하여 링크부(170)의 링크돌기(171)를 하향 회전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즉, 기어부(120)의 회전은 링크부(170)의 역회전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기어부(120)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 1 푸셔(130)가 돌출 작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링크부(170)의 역회전으로 인하여, 제 2 푸셔(130a)도 돌출 작동을 수행한다.
즉, 제 1 푸셔(130) 및 제 2 푸셔(130a)는 핸들의 샤프트(41) 및 기어부(120a)의 회전력과, 링크부(170)의 역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푸시력(F1)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제 1 푸셔(130) 및 제 2 푸셔(130a)의 푸시력(F1)은 제 1 실시예(예: 푸셔 1개를 사용)에 비하여 2배의 푸시력(F1)을 발생시키고, 상대적으로 창의 개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0: 기어조립체 110: 기어하우징
110a: 이중 기어하우징 120,120a: 기어부
130,130a: 푸셔 140: 스프링구멍
150: 메인스프링 160: 하우징커버
170: 링크부 200,201: 로크조립체
210: 로크케이싱 220,221: 걸쇠
230: 비틀림스프링 240: 케이싱커버
300: 설치판 400: 로드

Claims (11)

  1. 레일(rail)과 1개 이상의 스트라이커(striker)를 구비한 고정틀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결합된 이동틀과,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여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틀에 설치된 핸들(handle)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창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샤프트에 연결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푸셔(pusher)를 출몰시킴과 함께 로드(rod)를 이동시키는 기어조립체(gear assembly);
    상기 기어조립체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로드와 접촉시 회전되는 걸쇠를 갖는 1개 이상의 로크조립체(lock assembly) 및;
    상기 기어조립체 및 상기 로크조립체의 저부에 결합되어 로드이동통로를 덮고, 상기 로크조립체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대면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틀의 측면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로드이동통로가 형성된 이중 하우징바닥부와, 상기 이중 하우징바닥부에 연결된 이중 하우징일측부와, 상기 이중 하우징일측부에서 차례로 형성된 제 1 이동챔버, 제 1 회전챔버, 제 2 회전챔버 및 제 2 이동챔버를 갖는 이중 기어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전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제 1 회전핀과 제 2 회전핀이 결합된 회전판, 기어치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링크누름쇠를 갖는 기어부;
    상기 제 1 이동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회전핀과 상기 제 2 회전핀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 1 캠홈과 제 2 캠홈을 갖는 제 1 푸셔;
    상기 제 2 회전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링크누름쇠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링크돌기와, 상기 링크돌기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피동회전판과, 상기 피동회전판에 결합된 제 3 회전핀을 갖는 링크부; 및
    상기 제 2 이동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회전핀이 삽입되도록 제 3 캠홈을 갖는 제 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로드이동통로가 형성된 하우징바닥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부에 연결된 하우징일측부와, 상기 하우징일측부에 형성된 이동챔버 및 회전챔버를 갖는 기어하우징;
    상기 회전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상기 기어부;
    상기 이동챔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의 회전핀이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캠홈을 갖는 푸셔;
    상기 회전챔버의 옆으로 상기 기어하우징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이동통로와 서로 연통하는 스프링구멍;
    상기 스프링구멍에 장착된 메인스프링; 및
    상기 기어하우징의 개방된 하우징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관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중간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벤딩돌기가 상기 메인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샤프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샤프트구멍이 형성된 보스(boss);
    상기 보스의 일측 원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에 형성된 기어구멍에 치합되는 복수개의 기어치;
    상기 보스의 타측 원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배치거리에 위치한 제 1 핀구멍과,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배치거리에 위치한 제 2 핀구멍을 갖는 외팔보형(cantilever type) 회전판;
    상기 제 1 핀구멍에 결합된 제 1 회전핀; 및
    상기 제 2 핀구멍에 결합된 제 2 회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핀은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저부쪽이 개방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cam profile surface)을 갖는 상기 푸셔의 제 1 캠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핀은 상기 샤프트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하고, 폐쇄된 곡면 형상의 캠 프로파일 표면을 갖는 상기 푸셔의 제 2 캠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캠홈의 반대쪽 끝단에 결합된 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조립체는,
    상기 로드이동통로가 형성된 케이싱저부와, 상기 케이싱저부에 연결된 케이싱일측부와, 상기 케이싱일측부에 형성된 회전축돌기 및 걸쇠챔버와, 상기 걸쇠챔버의 벽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결합부를 갖는 로크케이싱;
    상기 걸쇠챔버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회전축돌기를 회전 기준축으로 사용하고, 제 2 스프링 결합부를 구비한 걸쇠;
    상기 회전축돌기에 삽입된 탄성링부와, 상기 탄성링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된 일측 끝단과, 상기 탄성링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된 타측 끝단을 갖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로크케이싱의 개방된 케이싱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로크케이싱에 결합되는 케이싱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회전축돌기에 삽입되는 회전구멍을 갖는 갈고리 형상의 걸쇠몸체;
    상기 걸쇠몸체의 일측 외표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는 경사형 미끄럼접촉면;
    상기 경사형 미끄럼접촉면의 아래쪽에 형성된 정지면; 및
    상기 걸쇠몸체의 타측 외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트리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일측의 제 2 벤딩돌기가 상기 트리거돌기를 밀어서 상기 걸쇠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로드의 타측의 제 3 벤딩돌기가 상기 트리거돌기를 잡아당겨서 상기 걸쇠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제 2 이동챔버의 아래로 상기 이중 기어하우징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이동통로와 서로 연통하는 스프링구멍;
    상기 스프링구멍에 장착된 메인스프링; 및
    상기 이중 기어하우징의 개방된 이중 하우징타측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이중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는 이중 하우징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중간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벤딩돌기가 상기 메인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잠금장치.
KR1020140136136A 2014-10-08 2014-10-08 창호 잠금장치 KR10166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36A KR101666017B1 (ko) 2014-10-08 2014-10-08 창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136A KR101666017B1 (ko) 2014-10-08 2014-10-08 창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48A KR20160042348A (ko) 2016-04-19
KR101666017B1 true KR101666017B1 (ko) 2016-10-17

Family

ID=5591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136A KR101666017B1 (ko) 2014-10-08 2014-10-08 창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16Y1 (ko) 2016-08-12 2017-10-30 이동혁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03113B1 (ko) * 2017-02-03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042311B1 (ko) * 2017-02-03 2019-11-07 (주)엘지하우시스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JP6894311B2 (ja) * 2017-07-07 2021-06-30 中央発條株式会社 障子用アシスト装置
KR102471518B1 (ko) * 2018-08-23 2022-11-29 (주)엘엑스하우시스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2452891B1 (ko) * 2019-07-17 2022-10-12 (주)에스알 창호용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14Y1 (ko) * 2005-12-02 2006-02-22 이판대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101362520B1 (ko) * 2010-05-11 2014-02-18 (주) 엘지토스템비엠 미서기 창호의 핸들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63B1 (ko) * 2008-08-26 2012-11-29 이판대 창호용 잠금장치
KR101216678B1 (ko) 2012-09-24 2012-12-28 김순석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14Y1 (ko) * 2005-12-02 2006-02-22 이판대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101362520B1 (ko) * 2010-05-11 2014-02-18 (주) 엘지토스템비엠 미서기 창호의 핸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48A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017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US8496275B2 (en) Rotary pawl latch
US8191935B2 (en) Glove box assembly for a dashboard of a motor vehicle
US6450554B1 (en) Sash lock actuator
KR10194374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US6247342B1 (en) Lock with latch bolt for door or window
KR200443554Y1 (ko) 슬라이드식 문의 잠금장치
KR10142869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A2471315A1 (en) Lock for lever-handled door latch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20120041380A (ko) 도어록
KR101209895B1 (ko)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CN114080483B (zh) 用于窗、门等的锁扣件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535279B1 (ko) 도어 래치
US10344508B2 (en) Handle for a door or window with two or three point latch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JP5609733B2 (ja) 誤ロック防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窓用ロック装置
KR102149269B1 (ko) 도어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