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690B1 -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690B1
KR101428690B1 KR1020130103021A KR20130103021A KR101428690B1 KR 101428690 B1 KR101428690 B1 KR 101428690B1 KR 1020130103021 A KR1020130103021 A KR 1020130103021A KR 20130103021 A KR20130103021 A KR 20130103021A KR 101428690 B1 KR101428690 B1 KR 10142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frame
lo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동
Original Assignee
장만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만동 filed Critical 장만동
Priority to KR102013010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형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확실한 개폐 작동이 가능하고, 잦은 작동에서 작동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구성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고장율이 낮도록 하기 위하여, 미닫이 창호용 창틀에 창문틀을 개폐시키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과 마주하는 창틀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창문틀의 이동방향으로 잠금홈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창틀에 창문틀이 잠금되는 위치에서 상기 잠금홈에 대응되는 창문틀의 프레임 상에 결합되어 창문틀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며, 작동방향 후방측에 형성된 삽입홈 내에 스프링부재가 구비되어 탄성 작동되고, 삽입홈의 측벽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잠금구와, 상기 잠금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축부재에 연결되어 축회전되며, 축부재의 외측에 토션부재가 구비되는 회전작동대와, 상기 잠금구 및 회전작동대를 감싸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잠금구 및 회전작동대를 지지하도록 창문틀의 프레임 외측면에 고정되는 작동케이스와, 상기 작동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며, 축부재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Locking handle device for sliding type fittings}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확실한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소정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창호의 개폐를 위한 공간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미닫이 창호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미닫이 창호의 사용에 따른 편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는 주로 목재나 알루미늄 골조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내부 창틀에는 잠금부를 설치하고, 외부 창틀에는 잠금부에 대응 결합되는 걸림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잠금부를 구성하는 걸쇠편이 걸림부재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창호의 잠금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일예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168835호에서는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손잡이케이스와, 손잡이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에 결합되는 록커와, 록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와, 록커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 작동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정역방향 회전운동을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구성은 록커를 후퇴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구조이긴 하나, 이 손잡이의 회전운동을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조의 구성부품수가 많아 제조 및 조립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올라가게 되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장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구성은 개방을 위해 작동되는 손잡이의 회전력이 회전부재에 전달되고, 그 회전부재가 회전되면서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의해 시소운동부재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그 시소운동부재가 손잡이케이스에 연결된 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록커에 연결된 록커작동부를 작동시켜 록커를 전후진 작동시키는 구조로서, 손잡이의 회전력에서부터 록커의 전후진 직선운동까지로의 전달되는 과정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힘의 전달력이 확실하지 않고, 힘의 전달과정에서 손실이 우려되며, 잦은 작동으로 인해 작동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록커를 직선왕복운동하게 하는 시소운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핀이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케이스 상에 노출되어 설치되므로 외부충격으로 인해 핀이 손상되거나 이탈하게 되면 그 작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큰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68835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회전형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확실한 개폐 작동이 가능하고, 잦은 작동에서 작동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구성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고장율이 낮도록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창틀에 창문틀을 개폐시키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과 마주하는 창틀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창문틀의 이동방향으로 잠금홈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창틀에 창문틀이 잠금되는 위치에서 상기 잠금홈에 대응되는 창문틀의 프레임 상에 결합되어 창문틀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며, 작동방향 후방측에 형성된 삽입홈 내에 스프링부재가 구비되어 탄성 작동되고, 삽입홈의 측벽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잠금구와, 상기 잠금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축부재에 연결되어 축회전되며, 축부재의 외측에 토션부재가 구비되는 회전작동대와, 상기 잠금구 및 회전작동대를 감싸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잠금구 및 회전작동대를 지지하도록 창문틀의 프레임 외측면에 고정되는 작동케이스와, 상기 작동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며, 축부재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한면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운동을 잠금구의 전후진운동으로 변환하는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제조단가 및 제조성에 있어 유리하고, 이에 따라 고장율이 낮으며, 손잡이의 회전력에서부터 록커의 전후진 직선운동까지로의 전달되는 과정에서 힘의 손실이 없어 힘 전달력이 확실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개폐작동되는 구성부품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작동케이스 내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내부 구성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의 잠금상태 정면도,
도 2는 도 1 상태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의 해제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 상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2)에 창문틀(4)을 개폐시키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로서 창틀(2)에 구비되는 고정구(10), 창문틀(4)에 구비되는 잠금구(20), 회전작동대(30), 작동케이스(40) 및 핸들(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창틀(2)과 창문틀(4)의 구조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미닫이 구조이다.
상기 고정구(10)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창문틀(4)과 마주하는 창틀(2)의 프레임(4) 상에 설치되며, 창문틀(4)의 이동방향으로 잠금홈(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10)에 대응 삽입되어 창문틀(4)을 개폐시키는 잠금구(20)는 창틀(2)에 창문틀(4)이 잠금되는 위치에서 고정구(10)의 잠금홈(12)에 대응되는 창문틀(4)의 프레임(25) 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프레임(25) 상에 통공(26)이 형성되며, 그 통공(26)의 외측에서 잠금구(20)를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프레임(25) 상에 관통 구비된 잠금구(20)는 창문틀(4)의 개폐되는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고정구(10)의 작동방향 후방측에 삽입홈(29)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29)에 스프링부재(23)를 끼워 구비하여 전후진 방향으로 탄성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부재(23)는 주로 압축탄성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부재(23)의 단부는 후술되는 작동케이스(4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잠금구(20)의 삽입홈(29) 측벽에는 연결공(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구(20)의 전방측 단부는 일측이 직선부로 형성되고, 타측이 곡선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10)에 삽입은 용이하고, 이탈이 힘든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구(20)의 전후진 작동을 위한 연동수단으로 잠금구(20)에 밀착되는 회전작동대(3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작동대(30)는 도 2,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막대 형태이며, 상기 잠금구(20)의 연결공(27)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축부재(34)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축부재(34)는 후술되는 핸들(50)에 결합된다.
회전작동대(30)의 중간부에는 스프링부재(37)를 더 구비하여 회전작동대(3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재(37)는 주로 압축탄성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부재(37)의 상부측은 회전작동대(30) 상에 형성된 돌출핀(38)에 지지되고, 스프링부재(37)의 하부측은 후술되는 작동케이스(40) 상에 형성된 돌출핀(48)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축부재(34)의 외측에는 핸들(50)의 회전작동 후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토션부재(36)가 구비된다. 이때 토션부재(36)는 주로 토션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잠금구(20) 및 회전작동대(30)는 작동케이스(40)에 의해 감싸져 지지되어 볼트부재에 의해 창문틀(4)에 고정 설치된다. 작동케이스(40)의 내부에는 잠금구(20) 및 회전작동대(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2)이 형성되어 잠금구(20) 및 회전작동대(30)를 지지하며, 창문틀(4)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작동케이스(40)의 외측에는 핸들(50)이 구비된다. 핸들(5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축부재(34)에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게 된다. 이때 핸들(50)과 축부재(34) 사이에 연결대(54)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가 좀 더 수월하게 축부재(34)를 축중심으로 하여 옆으로 젖히듯이 핸들(50)을 회전작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의 작동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창틀(2)에 창문틀(4)이 잠금상태로 있는 경우, 창문틀(4)에 설치된 잠금구(20)의 직선부 단부가 고정구(10)의 잠금홈(12)에 지지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평면에서 본 도 2의 상태에서와 같이 축부재(34)에 결합된 회전작동대(30)는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상태의 해제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핸들(50)을 창틀(2)의 반대방향으로 젖히면서 회전시키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핸들(50)에 연결된 축부재(34) 및 토션부재(36)에 의해 회전작동대(30)가 회전되에 따라 잠금구(20)가 후방측으로 후퇴하면서 고정구(10)의 잠금홈(12)에서 이탈된다.
이때 핸들(50)을 놓게 되면 핸들(50)의 위치는 토션부재(36)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잠금구(20)도 전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창틀(2)에서 창문틀(4)을 해제하여 개방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개방 상태에서 잠금을 위해서는 핸들(50)의 작동 필요 없이 창문틀(4)을 창틀(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된 잠금구(20)가 고정구(10)에 접촉되어 잠금구(20)의 곡선부에 의해 미끄럼마찰되면서 잠금구(20)가 자연스레 후퇴 작동했다가 잠금홈(12) 측으로 전진하면서 체결되어 고정된다.
2 : 창문틀 4 : 창틀
10 : 고정구 12 : 잠금홈
16 : 프레임 20 : 잠금구
23 : 스프링부재 25 : 프레임
26 : 통공 27 : 연결공
29 : 삽입홈 30 : 회전작동대
34 : 축부재 36 : 토션부재
40 : 작동케이스 42 : 수용공간
50 : 핸들

Claims (3)

  1. 미닫이 창호용 창틀에 창문틀을 개폐시키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4)과 마주하는 창틀(2)의 프레임(16) 상에 설치되며, 창문틀(4)의 이동방향으로 잠금홈(12)이 형성되는 고정구(10);
    상기 창틀(2)에 창문틀(4)이 잠금되는 위치에서 상기 잠금홈(12)에 대응되는 창문틀(4)의 프레임(25) 상에 결합되어 창문틀(4)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며, 작동방향 후방측에 형성된 삽입홈(29) 내에 스프링부재(23)가 구비되어 탄성 작동되고, 삽입홈(29)의 측벽에 연결공(27)이 형성되는 잠금구(20);
    상기 잠금구(20)의 연결공(27)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축부재(34)에 연결되어 축회전되며, 축부재(34)의 외측에 토션부재(36)가 구비되는 회전작동대(30);
    상기 잠금구(20) 및 회전작동대(30)를 감싸도록 수용공간(42)이 형성되어 잠금구(20) 및 회전작동대(30)를 지지하도록 창문틀(4)의 프레임(25) 외측면에 고정되는 작동케이스(40);
    상기 작동케이스(40)의 외측에 구비되며, 축부재(34)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핸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대(30)의 회전방향측 중간부에 스프링부재(37)를 더 구비하여 회전작동대(3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37)의 상부측은 회전작동대(30) 상에 형성된 돌출핀(38)에 지지되고, 스프링부재(37)의 하부측은 작동케이스(40) 상에 형성된 돌출핀(48)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20130103021A 2013-08-29 2013-08-29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42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21A KR101428690B1 (ko) 2013-08-29 2013-08-29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21A KR101428690B1 (ko) 2013-08-29 2013-08-29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690B1 true KR101428690B1 (ko) 2014-08-11

Family

ID=5175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021A KR101428690B1 (ko) 2013-08-29 2013-08-29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6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19U (ko) * 2015-09-27 2017-04-05 유효상 슬라이딩 창문용 그립형 자동 잠금장치
KR20170003953U (ko) 2016-05-14 2017-11-22 유효상 슬라이드 창문용 2중 자동 잠금장치
KR20180124346A (ko) 2017-05-11 2018-11-21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2026443B1 (ko) 2019-05-07 2019-09-27 이유복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5B1 (ko) 2006-12-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189327B1 (ko) 2009-02-02 2012-10-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안전기구를 가지는 문손잡이
KR101307136B1 (ko) 2011-08-16 2013-09-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5B1 (ko) 2006-12-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189327B1 (ko) 2009-02-02 2012-10-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안전기구를 가지는 문손잡이
KR101307136B1 (ko) 2011-08-16 2013-09-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19U (ko) * 2015-09-27 2017-04-05 유효상 슬라이딩 창문용 그립형 자동 잠금장치
KR200485079Y1 (ko) * 2015-09-27 2017-11-27 유효상 슬라이딩 창문용 그립형 자동 잠금장치
KR20170003953U (ko) 2016-05-14 2017-11-22 유효상 슬라이드 창문용 2중 자동 잠금장치
KR20180124346A (ko) 2017-05-11 2018-11-21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2026443B1 (ko) 2019-05-07 2019-09-27 이유복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797B2 (ja) ロック装置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KR10142869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US7832777B2 (en) Door lock assembly
KR101666017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JP2009197512A (ja) プッシュプル錠
RU2413062C2 (ru) Замок для внутренней двери
KR100926467B1 (ko)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JP6809995B2 (ja) 車両サイドドア用ラッチ装置
US7731248B2 (en) Anti-panic control device for doors
RU2596945C2 (ru) От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эвакуационного выхода со скользящей защелкой
JP2013189843A (ja) ラッチ錠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5296576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JP5413553B2 (ja) 錠装置
KR200231741Y1 (ko) 튜브라 타입 레버형 도어록의 래치작동장치
CN215889679U (zh) 一种门锁、车门组件及车辆
KR101417841B1 (ko) 도어락용 푸쉬-풀 구조의 완충구조체
JP5107743B2 (ja) プッシュプル錠
JP3620915B2 (ja) 開閉扉用ロック装置
JP5261829B2 (ja) 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