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467B1 - 전기정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전기정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467B1
KR100926467B1 KR1020080035432A KR20080035432A KR100926467B1 KR 100926467 B1 KR100926467 B1 KR 100926467B1 KR 1020080035432 A KR1020080035432 A KR 1020080035432A KR 20080035432 A KR20080035432 A KR 20080035432A KR 100926467 B1 KR100926467 B1 KR 10092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er
door
stopper
solenoid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933A (ko
Inventor
청 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퍼락
청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퍼락, 청 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퍼락
Priority to KR102008003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46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9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locking the bolt by an electromagnet in the strik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와 대응되어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락킹이나 해정작용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문틀에 고정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는, 상면 및 전면(前面)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된 전면(前面)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도어 닫힘에 따른 통전 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로드의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통전에 따른 로드의 길이가 신장되는 가변 시에 이와 연동적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이송운동을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측에 결합된 힌지핀을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로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에 의해 턴너측으로 회동하는 회동스톱퍼와; 상기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룸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턴너의 회동을 1차적으로 간섭하는 캠스톱퍼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로 회동 가능 하게 설치되며, 통전 또는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된 캠스톱퍼에 의한 회동 간섭이나 또는 자유 회동되면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턴너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前面)에 고정되며, 턴너의 회동 및 복귀작용이 원활하도록 스프링이 결속된 힌지축을 통해 턴너의 후면 하단을 결합 지지하는 턴너홀더와; 상기 하우징 내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된 각 요소들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하우징 상면에 고정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에 직접 연결되어 통전이나 통전 해제를 통해 로드의 길이신장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라 턴너회동작용이 이루어지는 직접방식의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비해 닫혀진 도어 측으로 풍압(측압)작용에 따라 턴너에 의한 캠스톱퍼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상기 턴너의 회동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스트라이커에 락킹된 랫치볼트의 해정과 동시에 도어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전기정 스트라이커, 풍압(측압), 솔레노이드, 슬라이드 작동부재, 링크, 회동스톱퍼, 지렛대 원리, 캠스톱퍼, 1, 2차 회동 간섭, 턴너, 락킹, 해정, 턴너홀더

Description

전기정 스트라이커{The electric strike}
본 발명은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 측에 고정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가 문틀에 고정된 전기정 스트라이커 내에 결속 락킹되는 등 닫혀진 도어 측에 풍압(측압)이 작용하여 스트라이커 내의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이와 연동되는 링크에 의한 회동스톱퍼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간접방식을 통해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루는 캠스톱퍼와 대응되어 상기 캠스토퍼가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턴너의 회동 간섭을 이룸과 동시에 풍압(측압)작용에 의한 턴너가 회동 간섭을 이루는 캠스톱퍼를 강하게 물게 되는 등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회동스톱퍼의 지점인 힌지핀에 결속되면서 일단이 슬라이드 작동부재에 결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링크 및 회동스톱퍼와 함께 솔레노이드의 로드 길이 역시 단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연동과정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스트라이커로부터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가 해정되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는 재해나 화재 등의 긴급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내에 있는 사람이 외부로 빨리 피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구나 방화문이 설치되게 되며, 이러한 비상구나 방화문에는 실내 안쪽에서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애 없이 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터치 작동 방식의 패닉디바이스(일명, 패닉바)가 도어 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통전이나 통전해제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통해 턴너의 회동을 간섭하거나 자유회동되도록 하여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해정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가 문틀 측에 설치되어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 시 내실자들이 락킹된 도어를 빠른 시간에 개방하여 빨리 대피할 수 있도록 도어 측이나 문틀 측에 설치되는 패닉디바이스이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에서 상기 패닉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과 대비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며 문틀에 장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양측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114)과; 상기 힌지축(114)에 토션스프링(122)을 포함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앞부분인 락킹블레이드(120)가 케이스(110)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회동 간섭이나 회동되면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로커(116)와; 상기 힌지축(114)에 토션스프링(134)을 포함하는 매스(126)가 결합되고, 매스(126) 일측에 로커(116)를 회동시키며 통과한 랫치볼트(Rb)에 의해 눌려지는 핑거(1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랫치감지부(124)와; 상기 케이스(110)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랫치감지부(124)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와; 상기 케이스(10)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핑거(128)가 노출될 수 있게 관통된 안내공(166)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커버역할의 가아드(16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면서 선단부에 로커(116)의 아암(118) 저부에 형성된 로드삽착홈(119)과 대응되는 직경단차의 로드(142)를 구비한 솔레노이드(140)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62는 케이스(110)를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판(162)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100)의 경우 도어 개방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40)에 전원을 차단시켜 로드(142)가 원위치(후진상태)로 복귀되면서 로커(116)의 아암(118) 저부에 형성된 로드삽착홈(119)과 로드(142)의 소경부(142b)가 대응 결속되어 상기 로커(116)의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락킹이 해제되는 등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 반대로 도어 잠김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로드(142)를 전진시켜 로커(116)의 아암(118) 저부에 형성된 로드삽착홈(119)이 로드(142)의 대경부(142a)에 대응되어 상기 로커(116)를 회동 불능케 함으로써 락킹이 이루어지는 등 도어의 잠김상태를 이루는 등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해 출입을 단속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 여부와 단선 여부를 파악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와 유사 구조로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53556호에 개시된 도어용 로킹장치가 있다.
그러나,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져 잠긴상태에서 외기에 의한 풍압(측압)이 도어 측에 작용하게 되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정 스트라이커(100)에 결속 락킹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상기 로커(116)를 가압하게 되고, 이의 가압력을 전달받은 로커(116) 역시 회동하려는 연동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로커(116)의 아암(118) 저부에 형성된 로드삽착홈(119)이 상기 로커의 로드삽착홈(119)과 대응되는 로드(142)의 대경부(142a)를 가압하는 등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로커(116)의 회동 가압작용을 통해 로드(142)의 대경부(142a)가 가압 물림되는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 시 도어의 개방을 위한 솔레노이드의 통전을 해제하더라도 풍압(측압)에 의해 로드(142)의 대경부(142a)를 가압하여 물고 있는 로커의 가압력이 솔레노이드의 복귀력 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전술한 도어의 개방시와 같이 로드(142)가 원위치(후진상태)로 복귀되면서 로커(116)의 아암(118) 저부에 형성된 로드삽착홈(119)과 로드(142)의 소경부(142b)가 대응 결속되면서 상기 로커(116)의 자유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지 못하고, 상기 로커(116)의 회동 가압작용에 따른 로드(142)의 대경부(142a)가 계속적으로 물려 있게 되는 등 도어가 락킹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로 인한 내실자들이 도어를 빨리 개방시키지 못해 결국에는 인명손실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 측에 고정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대응 요소인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턴너 회동작용에 대하여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이와 연동되는 링크, 그리고 상기 링크에 의한 회동스톱퍼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간접방식을 통해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루는 캠스톱퍼와 대응되어 상기 캠스토퍼가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턴너의 회동을 간섭하거나 또는 상기 캠스톱퍼로부터 턴너의 자유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직접 연결되어 통전이나 통전 해제를 통해 로드의 길이신장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라 턴너의 회동작용이 이루어지는 직접방식의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비해 닫혀진 도어 측으로 풍압(측압)작용에 따라 턴너에 의한 캠스톱퍼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상기 턴너의 회동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스트라이커에 락킹된 랫치볼트의 해정과 동시에 도어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있어, 슬라이드 작동부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로드고정부의 타측 하단에 일자형태의 스톱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운동 시 상기 스톱바가 턴너의 전방측 하단으로 진입하므로써, 회동스톱퍼와 대응되는 캠스톱퍼에 의해 1 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에 대하여 2차 회동 간섭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침입자에 의한 턴너의 부정해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는,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와 대응되어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락킹이나 해정작용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문틀에 고정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면 및 전면(前面)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된 전면(前面)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도어 닫힘에 따른 통전 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로드의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통전에 따른 로드의 길이가 신장되는 가변 시에 이와 연동적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이송운동을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측에 결합된 힌지핀을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로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에 의해 턴너측으로 회동하는 회동스톱퍼와; 상기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룸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 태를 유지하면서 턴너의 회동을 1차적으로 간섭하는 캠스톱퍼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전 또는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된 캠스톱퍼에 의한 회동 간섭이나 또는 자유 회동되면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턴너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前面)에 고정되며, 턴너의 회동 및 복귀작용이 원활하도록 스프링이 결속된 힌지축을 통해 턴너의 후면 하단을 결합 지지하는 턴너홀더와; 상기 하우징 내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된 각 요소들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하우징 상면에 고정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가 결합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일측 및 턴너의 일측 상단에는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가 턴너에 대응 결속된 락킹상태와 더불어 도어의 닫힘상태 및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는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과 결합시키기 위해 "ㄷ"자로 절곡 형성된 로드고정부와; 상기 로드고정부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턴너홀더의 후방측 저면과 슬라이드 되는 상태로 대응 설치됨과 동시에 회동스톱퍼의 지점인 힌지핀에 결속되는 스프링의 일단이 결착되어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절곡부를 구비한 슬라이드작동바와; 상기 슬라이드작동바의 일단에 링크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홀이 관통 형성된 링크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 중 로드고정부의 타측 하단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운동 시 턴너의 전방측 하단으로 진입하여 회동스톱퍼와 대응되는 캠스톱퍼에 의해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에 대하여 2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스톱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는,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 측에 고정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대응 요소인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턴너 회동작용에 대하여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이와 연동되는 링크, 그리고 상기 링크에 의한 회동스톱퍼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간접방식을 통해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루는 캠스톱퍼와 대응되어 상기 캠스토퍼가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턴너의 회동을 간섭하거나 또는 상기 캠스톱퍼로부터 턴너의 자유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직접 연결되어 통전이나 통전 해제를 통해 로드의 길이신장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라 턴너의 회동작용이 이루어지는 직접방식의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비해 닫혀진 도어 측으로 풍압(측압)작용에 따라 턴너에 의한 캠스톱퍼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상기 턴너의 회동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스트라이커에 락킹된 랫치볼트의 해정과 동시에 도어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있어, 슬라이드 작동부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로드고정부의 타측 하단에 일자형태의 스톱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운동 시 상기 스톱바가 턴너의 전방측 하단으로 진입하므로써, 회동스톱퍼와 대응되는 캠스톱퍼에 의해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에 대하여 2차 회동 간섭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침입자에 의한 턴너의 부정해정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솔레노이드, 슬라이드 작동부재, 링크, 회동스톱퍼, 캠스톱퍼, 턴너의 기구적 연결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사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링크 및 회동스톱퍼의 사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캠스톱퍼의 사시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턴너와 턴너홀더의 정면 및 배면 상태를 나타낸 사시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전기정 스트라이커(1)는,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 측에 고정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문틀에 고정된 전기정 스트라이커(1) 내에 결속 락킹되는 등 닫혀진 도어 측으로 풍압(측압)작용에 따라 턴너에 의한 캠스톱퍼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상기 캠스톱퍼에 의해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의 회동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락킹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를 해정시킴과 동시에 도어를 정상적이면서도 간편하게 개방하여 비상사태에 따른 내실자들을 빨리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한 전기정 스트라이커(1)의 경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및 전면(前面)이 개방되면서 직사각 형태의 함체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도어 닫힘에 따른 통전 시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로드(22)의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20)와; 상기 솔레노이드(20)의 로드(22) 일단에 고정되며, 통전에 따른 로드(22)의 길이가 신장되는 가변 시에 이와 연동적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직선이송운동을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링크(37)와; 상기 링크(37)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측에 결합된 힌지핀(17)을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로서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에 의해 턴너(50)측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스톱퍼(40)와;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턴너(50)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49)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룸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0)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의 연동작용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어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 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턴너(50)의 회동을 1차적으로 간섭하는 캠스톱퍼(45)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전 또는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20)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어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된 캠스톱퍼(45)에 의한 회동 간섭이나 또는 상기 캠스톱퍼(45)로부터 자유 회동되면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턴너(50)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前面)에 고정되며, 턴너(50)의 회동 및 복귀작용이 원활하도록 스프링(56)이 결속된 힌지축(55)을 통해 턴너(50)의 후면 하단을 결합 지지하는 턴너홀더(60)와; 상기 하우징(10) 내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된 각 요소들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하우징(10) 상면에 고정되는 덮개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하우징(10)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솔레노이드(20)를 비롯하여 이와 연동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링크(37), 회동스톱퍼(40), 캠스톱퍼(45), 턴너(50)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턴너(5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턴너홀더(60)를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상면 및 전면(前面)이 개방된 직사각 형태의 함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된 하우징(10)의 전면(前面) 양측에는 캠스톱퍼(45)의 후면 중앙에 형성된 스프링삽입홀(48)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49)과 대응되어 이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12)가 하우징(10)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벽 좌우 양측에는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 해 연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와 대응되어 힌지핀(17)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핀(17)을 삽착시키기 위한 힌지핀삽입홀(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방된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된 각 요소들 즉, 솔레노이드(20),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링크(37), 회동스톱퍼(40), 캠스톱퍼(45), 턴너(50), 턴너홀더(6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재(14)가 볼트 고정되며, 상기 덮개부재(14)의 상단에는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 측에 고정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와 대응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1)를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5)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솔레노이드(20)의 경우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 등 도어의 사용용도에 맞게 통전 시 도어가 오픈되도록 사용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통전 해제 시 도어가 오픈되도록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솔레노이드(20) 사용방식으로는 통전 해제 시에 도어가 오픈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경우 솔레노이드(20)의 로드(22) 일단에 고정되어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20)로부터 로드(22)의 길이가 신장되는 가변 작동 시에 상기 로드(22)와 함께 연동적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하면서 링크(37)를 회동 작동시키는 요소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의 로드(22) 일단과 결합시키기 위해 "ㄷ"자로 절곡 형성된 로드고정부(31)와; 상기 로드고정부(31)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턴너홀더(60)의 후방측 저면과 슬라이드 되는 상태로 대응 설치됨과 동시에 회동스톱퍼(40)의 지점인 힌지핀(17)에 결속되는 스프링(18)의 일단이 결착되어 솔레노이드(20)의 통전 해제 시 상기 스프링(18)의 탄성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절곡부(33)를 구비한 슬라이드작동바(32)와; 상기 슬라이드작동바(32)의 일단에 링크(37)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홀(34a)이 관통 형성된 링크결합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작동부재(30) 중 상기 로드고정부(31)의 타측 하단에는 솔레노이드(20)의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직선운동 시 턴너(50)의 전방측 하단으로 진입하여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는 캠스톱퍼(45) 즉, 상기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어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상기 캠스톱퍼(45)에 의해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50)에 대하여 2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자형태의 스톱바(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링크(37)의 경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직선이송운동을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의 매개체로서,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원호형태로 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상단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 즉, 슬라이드작동바(32) 일단의 링크결합부(34)에 형성된 힌지홀(34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핀(38)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의 하단에는 회동스톱퍼(40)의 하단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힌지핀(41)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홀(39)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회동스톱퍼(40)의 경우 상기 링크(37)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단측에 결합된 힌지핀(17)을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로서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통전 시 솔레노이드(20) 작동에 따른 턴너(50)의 회동 간섭을 이룰 수 있도록 캠스톱퍼(45)와 대응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는 캠스톱퍼(45)가 턴너(50)의 회동작용에 의해 뒤로 밀리지 않고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턴너(50)의 회동을 1차적으로 간섭하도록 하는 스톱퍼 역할의 요소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회동스톱퍼(40)의 상단에는 하우징(10)의 폭방향 즉, 종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힌지핀(17)에 삽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힌지핀삽입홀(4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스톱퍼(40)의 상단 외주면 일측에는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스톱퍼(40)가 턴너(50)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되는 캠스톱퍼(45)와 대응되어 상기 캠스톱퍼(45)의 결착상태를 유지토록 힌지핀삽입홀(4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사각형태의 가압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회동스톱퍼(40)의 하단 일측면에는 링크(37)의 타단에 회 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핀(4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캠스톱퍼(45)의 경우 턴너(50)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49)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20)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의 연동작용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어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턴너(50)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1차적으로 턴너(50)의 회동을 간섭하는 요소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사각블럭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캠스톱퍼(45)의 상단 후면에는 회동스톱퍼(40)의 가압돌기(43)와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곡면형태의 단턱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스톱퍼의 상단 전면(前面)에는 회동되는 회동스톱퍼(40)의 가압돌기(43)와 대응됨과 동시에 턴너(50)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49)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캠스톱퍼(45)가 대응 결착되어 1차적으로 턴너(50)의 회동간섭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경사캠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캠스톱퍼(45)의 후면 중앙에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前面) 양측에 절곡된 스프링지지부(12)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스프링(49)이 삽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삽입홀(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턴너(50)의 경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전 또는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20)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의 연동작용 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어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된 캠스톱퍼(45)에 의한 회동 간섭이나 또는 상기 캠스톱퍼(45)로부터 자유 회동되면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요소로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락킹을 위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턴너(50)의 내측으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면(前面)에 곡면형태의 락킹블레이드(51)를 구비함과 동시에 힌지축(55)의 결합을 통해 턴너홀더(60)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ㄱ"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솔레노이드(20)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링크(37)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40)와 대응되어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캠스톱퍼(45)의 경사캠부(47)와 대응되면서 상기 턴너(50)에 대한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52)의 경우 캠스톱퍼(45) 즉,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되어 상기 턴너(50)의 회동을 1차적으로 간섭하는 캠스톱퍼(45)의 상단 전면(前面)에 형성된 경사캠부(47)와 대응되도록 하부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턴너(50)의 후면 하단 좌우 양측에는 턴너홀더(60) 내에서 턴너(50)의 회동 또는 복귀가 가능하도록 스프링(56) 즉, 턴너(50)의 후면 하단과 하우징(10)의 일측벽에 각기 일단이 결착되는 스프링(56)이 결속된 힌지축(55)이 삽착되기 위한 중공의 힌지축결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4는 감지수단(70) 중 작동봉(71)에 삽착되어 턴너(50)의 후면 상단 중앙측에 위치되는 랫치감지부(73)가 턴너(50)에 결속 락킹되는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에 의해 대응 회동 시 턴너(50)의 후면 상단에 의해 회동작용이 간섭받지 않도록 상기 턴너(50)의 후면 상단 중앙측에 형성된 회동작동홈(54)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상기 턴너홀더(60)의 경우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前面)에 고정되어 턴너(50)의 회동 및 복귀작용이 원활하도록 스프링(56)이 결속된 힌지축(55)을 통해 턴너(50)의 후면 하단을 결합 지지하는 요소로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턴너(50)가 내삽된 상태로 회동이 원활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사각블럭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턴너홀더(60) 하단의 전,후면에는 솔레노이드(20)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캠스톱퍼(45)의 직선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캠스톱퍼슬라이드홈(62)과 작동부재슬라이드홈(6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턴너홀더(60)의 좌우 양측면에는 힌지축(55)을 통해 턴너(50)의 후면과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턴너(5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축삽입홀(64)과, 감지수단 중 작동봉(71)을 통해 턴너(50)의 후면 중앙측에 랫치감지부(73)를 위치시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와 대응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작동봉삽입홀(66)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61은 개방된 하우징(10)의 전면(前面)측에 턴너홀더(60)를 대응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볼트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플랜지(60)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내에는 링크(37)가 결합된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일측 및 턴너(50)의 일측 상단에는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 가 턴너(50)에 대응 결속된 락킹상태와 더불어 도어의 닫힘상태 및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20)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70)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감지수단(70)은 턴너홀더(6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착됨과 아울러 일단이 "ㄷ"자로 절곡 형성된 센싱부(72)를 구비한 작동봉(71)과; 상기 턴너(50)의 후면 상단 중앙측에 위치되도록 작동봉(71)에 삽착 고정되며, 턴너(50)에 결속 락킹되는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에 의해 대응 회동되면서 락킹상태의 랫치볼트(Rb)를 감지하는 랫치감지부(73)와; 상기 링크(37)가 결합된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일측에 대응 위치되며,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20)의 작동 및 이를 통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작동부재 감지센서(74)와; 상기 작동봉(71)의 센싱부(72)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부재 감지센서(74)의 상단에 설치되며,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와 대응되어 랫치감지부(73)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하는 작동봉(71)의 센싱부(72)와 접촉을 통해 도어의 닫힘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75)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전기정 스트라이커(1)를 도면과 대비하여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전기정 스트라이커(1)의 작동과정 중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에 대한 락킹과정으로서,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 측에 고정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문틀에 고정된 전기정 스트라이커(1) 중 전면(前面)에 곡면형태로 형성된 락킹블레이드(51)를 따라 턴너(50)의 내측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전기정 스트라이커(1) 내에 설치된 감지수단(70) 즉,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턴너(50)에 대응 결속된 락킹상태와 더불어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70) 중 작동봉(71)에 삽착된 상태로 상기 턴너(50)의 후면 상단 중앙측에 위치 고정되는 랫치감지부(73)와 대응되어 상기와 같이 턴너(50)의 내측으로 진입 결속되는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에 의해 상기 랫치감지부(73)가 대응 회동되면서 결속상태의 랫치볼트(Rb) 감지와 함께 상기 작동봉(71)의 센싱부(72)와 도어감지센서(75)의 이격을 통한 도어가 닫혀진 상태로 인식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에 의한 솔레노이드(20)가 작동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20)로부터 로드(22)의 길이가 신장되는 가변 작동과 함께 상기 로드(22) 일단에 고정된 슬라이드 작동부재(30)가 슬라이드 직선이송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직선이송운동과정에서 회동스톱퍼(40)의 지점인 힌지핀(17)에 결속된 상태로 슬라이드작동바(32)의 절곡부(33)와 하우징(10)의 일측벽 상단에 각기 일단이 결착되어진 스프링(18)을 가압하는 상태로 직선이송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직선이송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일단 즉, 링크(37)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슬라이드작동바(32)의 링크결합부(34)가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20)의 작동 및 이를 통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작동부재 감지센서(74) 를 센싱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직선이송운동에 따른 연동작용으로 상기 링크결합부(34)에 힌지 결합된 링크(3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7)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하우징(10)의 양측벽에 삽착된 힌지핀(17)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스톱퍼(40)를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캠스톱퍼(45)와 대응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캠스톱퍼(45) 즉, 턴너(50)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49)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대응 결착되는 캠스톱퍼(45)의 단턱부(46)와 상기 회동스톱퍼(40)의 가압돌기(43) 간에 상호 대응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회동스톱퍼(40)를 회동시켜 캠스톱퍼(45)의 단턱부(46)에 회동스톱퍼(40)의 가압돌기(43)를 대응 위치시키게 되면, 락킹된 도어의 부정해정을 위해 침입자가 불법적으로 턴너(50)를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캠스톱퍼(45)가 상기 회동스톱퍼(40)의 스톱퍼 작용에 의해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고 상기와 같이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52)와 상기 캠스톱퍼(45)의 경사캠부(47)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턴너(50)에 대한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직선이송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 즉, 슬라이드작동바(32)와 함께 로드고정부(31)의 타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바(35)가 턴너(50)의 전방측 하 단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캠스톱퍼(45)와 회동스톱퍼 간의 대응작용을 통해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50)에 대해 2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지는 등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에 의해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에 대한 락킹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어가 닫혀짐과 동시에 락킹된 상태에서 외기에 의한 풍압(측압)이 도어 측에 작용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내에 결속 락킹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상기 턴너(50)로부터 분리 이탈되기 위한 선행적 과정으로서 캠스톱퍼(45) 및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스톱바(35)에 의해 1,2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상기 턴너(50)를 가압하게 되고, 이의 가압력을 전달받은 턴너(50) 역시 회동하려는 연동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52)와 대응 결착되는 캠스톱퍼(45)의 경사캠부(47) 및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스톱바(35)를 가압하는 등의 물림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닫혀진 도어 측에 풍압(측압)이 작용하여 턴너(50)에 의해 캠스톱퍼(45)의 경사캠부(47) 및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스톱바(35)가 가압 물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해나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 시에 락킹된 도어를 개방하는 해정과정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20) 측에 연결된 전원을 차단하는 등 통전을 해제시키게 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의 통전에 따라 슬라이드 작동부재(30)가 슬라이드 직선이송운동하면서 가압하였던 스프링(18) 즉, 회동스톱퍼(40)의 지점인 힌지핀(17)에 결속되면서 슬라이드작동바(32)의 절곡 부(33)와 하우징(10)의 일측벽 상단에 각기 일단이 결착된 스프링(18)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이와 연동되는 링크(37) 및 회동스톱퍼(40)와 함께 솔레노이드(20)의 로드(22) 길이 역시 단축되는 등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턴너(50)의 전방측 하단으로 진입되어 상기 턴너(50)의 2차 회동 간섭을 이루었던 스톱바(35) 역시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와 함께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턴너(50)에 대한 회동 간섭이 모두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턴너(50)에 대한 회동 간섭이 모두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밀을 경우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 내에 결속 락킹된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상기 턴너(50)를 가압하게 되고, 이의 가압력을 전달받은 턴너(50)는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상기 턴너(50)로부터 분리 이탈되기 위한 회동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캠스톱퍼(45) 즉, 턴너(50)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이와 대응되어 스프링(49)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이송운동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상기 턴너(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되는 캠스톱퍼(45)를 뒤로 밀면서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1)로부터 도어락장치(DR)의 랫치볼트(Rb)가 해정되면서 보다 간편하게 도어의 개방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 통해 내실자들이 외부나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솔레노이드, 슬라이드 작동부재, 링크, 회동스톱퍼, 캠스톱퍼, 턴너의 기구적 연결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사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링크 및 회동스톱퍼의 사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캠스톱퍼의 사시 상세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 중 턴너와 턴너홀더의 정면 및 배면 상태를 나타낸 사시 상세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전기정 스트라이커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기정 스트라이커 10. 하우징
12. 스프링지지부 14. 덮개부재
15. 고정플레이트 17, 38, 41. 힌지핀
22. 로드 20. 솔레노이드
30. 슬라이드 작동부재 31. 로드고정부
32. 슬라이드작동바 33. 절곡부
34. 링크결합부 35. 스톱바
37. 링크 40. 회동스톱퍼
43. 가압돌기 45. 캠스톱퍼
46. 단턱부 47. 경사캠부
50. 턴너 51. 락킹블레이드
52. 걸림돌기 55. 힌지축
60. 턴너홀더 62. 캠스톱퍼슬라이드홈
63. 작동부재슬라이드홈 70. 감지수단
71. 작동봉 72. 센싱부
73. 랫치감지부 74. 작동부재 감지센서
75. 도어감지센서 DR. 도어락장치
Rb. 랫치볼트

Claims (9)

  1.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나 출입문의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와 대응되어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락킹이나 해정작용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문틀에 고정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면 및 전면(前面)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된 전면(前面)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도어 닫힘에 따른 통전 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로드의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통전에 따른 로드의 길이가 신장되는 가변 시에 이와 연동적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이송운동을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측에 결합된 힌지핀을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로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에 의해 턴너측으로 회동하는 회동스톱퍼와;
    상기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을 이룸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턴너의 회동을 1차적 으로 간섭하는 캠스톱퍼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전 또는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된 캠스톱퍼에 의한 회동 간섭이나 또는 자유 회동되면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를 락킹 또는 해정시키는 턴너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前面)에 고정되며, 턴너의 회동 및 복귀작용이 원활하도록 스프링이 결속된 힌지축을 통해 턴너의 후면 하단을 결합 지지하는 턴너홀더와;
    상기 하우징 내에 연동되게 연결 설치된 각 요소들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하우징 상면에 고정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결합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일측 및 턴너의 일측 상단에는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가 턴너에 대응 결속된 락킹상태와 더불어 도어의 닫힘상태 및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턴너홀더를 관통하여 삽착됨과 아울러 일단이 "ㄷ"자로 절곡 형성된 센싱부를 구비한 작동봉과;
    상기 턴너의 후면 상단 중앙측에 위치되도록 작동봉에 삽착 고정되며, 턴너에 결속 락킹되는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에 의해 대응 회동되면서 락킹상태의 랫치볼트를 감지하는 랫치감지부와;
    상기 링크가 결합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일측에 대응 위치되며, 통전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작동 및 이를 통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작동부재 감지센서와;
    상기 작동봉의 센싱부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부재 감지센서의 상단에 설치되며,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와 대응되어 랫치감지부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하는 작동봉의 센싱부와 접촉을 통해 도어의 닫힘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는 솔레노이드의 로드 일단과 결합시키기 위해 "ㄷ"자로 절곡 형성된 로드고정부와;
    상기 로드고정부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턴너홀더의 후방측 저면과 슬라이드 되는 상태로 대응 설치됨과 동시에 회동스톱퍼의 지점인 힌지핀에 결속되는 스프링의 일단이 결착되어 솔레노이드의 통전 해제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절곡부를 구비한 슬라이드작동바와;
    상기 슬라이드작동바의 일단에 링크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홀이 관통 형성된 링크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 이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 중 로드고정부의 타측 하단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직선운동 시 턴너의 전방측 하단으로 진입하여 회동스톱퍼와 대응되는 캠스톱퍼에 의해 1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진 턴너에 대하여 2차 회동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스톱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톱퍼는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스톱퍼의 상단에는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힌지핀에 삽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힌지핀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톱퍼의 상단 외주면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스톱퍼가 턴너측으로 회동되면서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되는 캠스톱퍼와 대응되어 상기 캠스톱퍼의 결착상태를 유지토록 힌지핀삽입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사각형태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스톱퍼의 하단 일측면에는 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스톱퍼는 전체 형상이 사각블럭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캠스톱퍼의 상단 후면에는 회동스톱퍼의 가압돌기와 대응되도록 곡면형태의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스톱퍼의 상단 전면(前面)에는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의 가압돌기와 대응됨과 동시에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 시 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직선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캠스톱퍼가 대응 결착되어 1차적으로 턴너의 회동간섭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경사캠부가 형성되며,
    상기 캠스톱퍼의 후면 중앙에는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前面) 양측에 절곡된 스프링지지부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스프링이 삽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따른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링크의 연동작용을 통해 회동되는 회동스톱퍼와 대응되어 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결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캠스톱퍼의 경사캠부와 대응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턴너의 후면 하단 좌우 양측에는 턴너홀더 내에서 턴너의 회동 또는 복귀가 가능하도록 스프링이 결속된 힌지축이 삽착되기 위한 중공의 힌지축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턴너홀더는 전체 형상이 턴너가 내삽된 상태로 회동이 원활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사각블럭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턴너홀더 하단의 전,후면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슬라이드 작동부재 및 캠스톱퍼의 직선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캠스톱퍼슬라이드홈과 작동부재슬라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턴너홀더의 좌우 양측면에는 힌지축을 통해 턴너의 후면과 대응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턴너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축삽입홀과, 감지수단 중 작동봉을 통해 턴너의 후면 중앙측에 랫치감지부를 위치시켜 도어락장치의 랫치볼트와 대응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작동봉삽입홀이 각각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20080035432A 2008-04-17 2008-04-17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092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32A KR100926467B1 (ko) 2008-04-17 2008-04-17 전기정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32A KR100926467B1 (ko) 2008-04-17 2008-04-17 전기정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33A KR20090109933A (ko) 2009-10-21
KR100926467B1 true KR100926467B1 (ko) 2009-11-13

Family

ID=4153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432A KR100926467B1 (ko) 2008-04-17 2008-04-17 전기정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4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20B1 (ko) 2010-05-04 2011-06-22 청 장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도어용 전자잠금장치
KR101082321B1 (ko) * 2010-03-08 2011-11-10 청 장 전기정 스트라이크
WO2021029459A1 (ko)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웨이커스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392B1 (de) * 2014-12-03 2016-05-15 Czellary Harald Elektro-Verriegelungseinheit, dessen Schließbolzen in zumindest drei Zustände verstellbar ist
KR102013281B1 (ko) * 2017-06-12 2019-08-23 박한나 출입문 자물쇠용 렛치볼트 캣치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49B1 (ko) * 2006-07-31 2007-04-0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KR100873401B1 (ko) *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49B1 (ko) * 2006-07-31 2007-04-0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KR100873401B1 (ko) *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321B1 (ko) * 2010-03-08 2011-11-10 청 장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1043620B1 (ko) 2010-05-04 2011-06-22 청 장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도어용 전자잠금장치
WO2021029459A1 (ko)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웨이커스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33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69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KR100926467B1 (ko)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RU2362860C1 (ru) Блочный механизм запирающей защелки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JP4823874B2 (ja) 電気錠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082321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0956039B1 (ko)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097211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석 도어락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KR101088939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3845481B2 (ja) 引戸用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の出没機構
JP2009197492A (ja) 防火ドア
RU2596945C2 (ru) От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эвакуационного выхода со скользящей защелкой
JP3955915B2 (ja) 引戸用電気錠
KR102656813B1 (ko) 자동 개폐식 도어클로저 기능을 갖는 패닉바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JP3075412U (ja) 開閉扉の施錠装置
JP3909895B2 (ja) 引戸用電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