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840A -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840A
KR20060114840A KR1020050037002A KR20050037002A KR20060114840A KR 20060114840 A KR20060114840 A KR 20060114840A KR 1020050037002 A KR1020050037002 A KR 1020050037002A KR 20050037002 A KR20050037002 A KR 20050037002A KR 20060114840 A KR20060114840 A KR 2006011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set
latch
bolt
switc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389B1 (ko
Inventor
민경양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riority to KR102005003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3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의 스크라이크로 돌출되는 데드볼트, 래치볼트 및 스위치가 마련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1스프링,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드 캠,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단이 상기 데드볼트의 밑면에 형성되는 걸림 턱에 끼워지는 걸쇠, 상기 걸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2스프링,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캠, 상기 래치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단이 상기 걸쇠의 타 단을 타격하는 누름쇠, 상기 누름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3스프링, 및 상기 래치볼트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도어락 장치용 백셋은 출입문의 처짐 현상에 의한 스위치의 오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Back Set for Door Lock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thereby}
도 1은 종래 도어락 장치의 백셋과 스트라이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백셋의 오작동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도어락 장치용 백셋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어락 장치용 백셋과 스트라이크가 설치된 출입문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출입문의 처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출입문 20 : 문틀
30 : 스트라이크 32 : 개구부
100 : 백셋 102 : 통공
110 : 데드볼트 112 : 돌기
114 : 제1스프링 116 : 데드 캠
120 : 걸쇠 122 : 제1토션스프링
130 : 래치볼트 132 : 돌기
134 : 제2스프링 136 : 래치 캠
140 : 누름쇠 142 : 제2토션스프링
150 : 스위치 152 : 제3스프링
154 : 장공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용 백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스위치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도어락 장치용 백셋과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생활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출입문에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들은 출입문의 여닫힘을 감지하여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는 바로 잠금 작동함으로써 해당 출입문의 열쇠 또는 비밀번호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의 출입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도어락 장치는 출입문 외측에 설치되고 비밀번호 입력부 또는 열쇠삽입부가 구비된 도어락과 출입문 내측에 설치되어 잠금 작용을 하는 백셋 그리고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로 구성된다.
도 1은 도어락 장치의 일 부분인 백셋(40)과 스트라이크(30)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셋(40)에는 데드볼트(42), 래치볼트(44), 스위치(46)가 설치되며, 스트라이크(30)에는 2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된다.
데드볼트(42)와 래치볼트(44)는 스트라이크(30)의 개구부(32)를 각각 출입하며 출입문(10)을 잠금 고정하는 구실을 한다. 그리고 스위치(46)는 데드볼트(42)와 래치볼트(44)의 사이에 설치되어 2 개구부(32)사이에 형성된 면과 접촉하며 출입문(10)의 여닫힘을 감지한다.
출입문(10)은 도난, 방열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열에 강하고 튼튼한 철재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출입문(10)은 상당한 무게를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출입문(10)을 설치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면 출입문(10)이 자중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출입문(10)의 처짐 현상은 출입문(10)의 여닫힘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출입문(10)의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보다 큰 문제점은 데드볼트(42), 래치볼트(44)의 위치가 문틀(20)에 설치된 스트라이크(30)의 개구부(32)의 위치와 상이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데드볼트(42)와 스위치(46)의 오작동이다.
즉, 출입문(10)이 중력방향으로 처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42)가 스트라이크(30)의 개구부(32)에 삽입되지 못해 잠금 작용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스위치(46)가 래치볼트(44)용 개구부(32)에 삽입되어 출입문(10)의 여닫힘 상태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어 도난사고의 우려가 높다. 때문에 종래 백셋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기간마다 출입문(10)의 위치를 교정해주는 작업이 반듯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문의 처짐 현상으로 인한 출입문의 자동 잠금 기능의 오작동을 해소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과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의 스크라이크로 돌출되는 데드볼트, 래치볼트 및 스위치가 마련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1스프링,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드 캠,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단이 상기 데드볼트의 밑면에 형성되는 걸림 턱에 끼워지는 걸쇠, 상기 걸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2스프링,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캠, 상기 래치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단이 상기 걸쇠의 타 단을 타격하는 누름쇠, 상기 누름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3스프링, 및 상기 래치볼트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에 설치되고 개방부를 갖는 스트라이크와, 이 스트라이크의 개방부로 돌출되는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그리고 이 스트라이크의 면부에 눌려지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의 잠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섹의 스위치는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 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크는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함께 수용하는 하나의 개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크와 도어락 장치용 백셋의 잠금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스위치의 바로 위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도어락 장치용 백셋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셋(100)은 내부에 여러 가지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백셋(100)의 일 측면에는 복수개의 통공(102)이 형성된다.
백셋(10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110), 래치볼트(130), 및 스위치(150)가 각각 통공(102)을 통해 백셋(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스위치(150)가 백셋(100)의 가장 아래쪽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데드볼트(110)가 백셋(100)의 제일 위쪽에 설치되고 그 아래쪽으로 래치볼트(130), 스위치(150)순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의 순서는 경우에 따라 바뀌어도 좋다.
데드볼트(110)는 출입문의 잠금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크기를 갖는다. 문틀(20, 도 2참조)에 삽입되는 데드볼트(110)의 일 단은 강도유지를 위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육각형태이나, 나머지 부분은 부피를 적게 차지하도록 얇은 막대형태이다. 데드볼트(110)의 타 단에는 돌기(112)가 형성되고, 밑면에는 걸림 턱(113)이 형성된다.
데드볼트(110)와 백셋(100) 사이에는 제1스프링(114)이 설치된다. 제1스프링(114)은 데드볼트(110)가 백셋(100)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관성을 갖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백셋(100) 내부의 상부에는 데드 캠(1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데드 캠(116)은 출입문(10, 도 2 참조)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연결되어 열쇠 또는 비밀번호 입력신호에 따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데드볼트(110)의 돌기(112)를 백셋(100)의 내측방향으로 잡아 당겨 데드볼트(110)를 백셋(100) 내부로 완전히 이동시킨다. 이때 제1스프링(114)은 압축된다.
데드볼트(110)의 아래쪽에는 걸쇠(1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쇠(120)에는 제1토션스프링(122)이 설치된다. 제1토션스프링(122)은 걸쇠(120)가 데드볼트(110)쪽으로 회전하려는 관성을 갖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걸쇠(120)는 데드볼트(110)가 백셋(100) 내부로 이동했을 때 데드볼트(110)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 턱(113)에 걸린다. 따라서, 데드볼트(110)는 백셋(100) 내부로 이동했을 때에는 제1스프링(114)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걸쇠(120)에 의해 백셋(1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래치볼트(130)는 데드볼트(110)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래치볼트(130)는 백셋(100)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134)에 의해 백셋(100)의 통공(102)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관성을 갖는다. 백셋(100) 밖으로 돌출되는 래치볼트(130)의 일 단은 출입문(10)이 닫힐 때 자연스럽게 백셋(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다. 래치볼트(130)의 타 단에는 돌기(132)가 형성된다.
백셋(100) 내부의 하부에는 래치 캠(13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 캠(136)은 출입문(10)의 손잡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래치볼트(130)에 형성된 돌기(132)를 백셋(100) 내부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입문(10)의 손잡이를 돌리면 래치볼트(130)는 래치 캠(136)에 의해 백셋(100) 내부로 이동된다.
한편, 래치 캠(136)은 데드 캠(116)과 맞닿게 설치되어 회전할 때 데드 캠(116)을 밀면서 회전시킨다. 따라서, 출입문(10)의 손잡이를 돌리면 래치 캠(136)과 함께 데드 캠(116)이 회전하면서 래치볼트(130)와 데드볼트(110)가 모두 백셋(100) 내부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은 출입문(10)의 내측 손잡이를 돌릴 때만 이루어지고 외측 손잡이를 돌릴 때에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는 본 출원인의 선행발명에 이미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치(150)는 래치볼트(130)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스위치(150)는 백셋(100)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152)에 의해 백셋(100) 외부로 돌출되려는 관성을 갖는다. 스위치(150)에는 장공(154)이 형성된다. 장공(154)에는 스위치(150)와 래치볼트(130)를 연결하는 핀(156)이 결합된다. 이 핀(156)은 장공(154)의 일 측 면에 맞닿게 설치되어 스위치(150)가 백셋(100) 내측으로 이동할 때 스위치(150)을 백셋 (100) 내부로 끌어 당기는 구실을 한다. 따라서, 래치볼트(130)가 백셋(100) 내 외측을 이동할 때에는 항상 스위치(150)가 따라 움직인다. 그러나, 스위치(150)가 백셋(100) 내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핀(156)이 장공(154)에 그대로 머물러 있으므로 래치볼트(130)는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래치볼트(130)에는 누름쇠(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쇠(140)의 일 단은 스위치(150)의 단 부에 맞닿으며 타 단은 걸쇠(120)의 일 단에 맞닿는다. 따라서, 스위치(150)가 백셋(100) 내부로 이동하면 누름쇠(14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누름쇠(140)가 걸쇠(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턱(113)에서 이탈시킨다. 즉, 데드볼트(110)가 백셋(100) 내부에 이동된 상태에서 스위치(150)가 백셋(100) 내부로 이동하면, 걸쇠(120)가 걸림 턱(113)에서 이탈되어 데드볼트(110)가 제1스프링(114)의 탄성에 의해 백셋(100)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들 외에도 백셋(100)에는 데드볼트(1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160)와 데드볼트(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경고음 내지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리미트스위치(170)가 더 설치된다.
도 4는 도 3의 도어락 장치용 백셋과 스트라이크가 설치된 출입문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셋(100)은 출입문(10)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백셋(100)과 짝을 이루는 스트라이크(30)가 문틀(20)에 설치된다. 백셋(100)에 설치된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는 스트라이크(30)의 개구부(32)를 출입하며 출입문(10)을 잠근다. 그리고 스위치(150)는 개구부(32)의 아래쪽 면에 접촉하며 백셋(100) 내 외측으로 왕복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가 인접해 있으므로 스트라이크(30)에 하나의 개구부(32)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라이크(30)의 구조가 간단해져 스트라이크(30)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 사이에 스위치(150)가 없으므로,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에 대해 개구부(32)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5는 도 4에서 출입문의 처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셋(100)이 설치된 출입문(10)이 하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처지면,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의 위치와 개구부(32)의 위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데드볼트(110)와 래치볼트(130)가 출입하는 개구부(32)가 하나로 형성되므로 데드볼트(110)가 개구부(32) 외측으로 벗어나거나, 스위치(150)가 개구부(32)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만, 출입문(10)의 처짐 현상이 매우 큰 경우 래치볼트(130)가 스트라이크(30)의 면에 부딪혀 개구부(32)로 돌출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데드볼트(110)와 스위치(150)는 각각 개구부(32) 및 스트라이크(30)의 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본연의 소임을 수행하므로 종래와 달리 출입문(10)의 잠금 작용은 정확히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출입문의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도어락 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도난우려가 줄어든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을 사용하면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를 간단한 구조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도어락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어락 장치용 백셋과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문틀의 스크라이크로 돌출되는 데드볼트, 래치볼트 및 스위치가 마련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1스프링,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드 캠,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단이 상기 데드볼트의 밑면에 형성되는 걸림 턱에 끼워지는 걸쇠,
    상기 걸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2스프링,
    상기 백셋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캠,
    상기 래치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단이 상기 걸쇠의 타 단을 타격하는 누름쇠,
    상기 누름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상기 백셋의 외측으로 미는 제3스프링, 및
    상기 래치볼트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스위치의 바로 위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
  3. 문틀에 설치되고 개방부를 갖는 스트라이크와, 이 스트라이크의 개방부로 돌출되는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그리고 이 스트라이크의 면부에 눌려지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용 백셋의 잠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섹의 스위치는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 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크는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함께 수용하는 하나의 개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크와 도어락 장치용 백셋의 잠금 구조.
KR1020050037002A 2005-05-03 2005-05-03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070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002A KR100700389B1 (ko) 2005-05-03 2005-05-03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002A KR100700389B1 (ko) 2005-05-03 2005-05-03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840A true KR20060114840A (ko) 2006-11-08
KR100700389B1 KR100700389B1 (ko) 2007-03-27

Family

ID=3765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002A KR100700389B1 (ko) 2005-05-03 2005-05-03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3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21B1 (ko) * 2006-09-22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100849524B1 (ko) * 2007-03-14 2008-07-31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922504B1 (ko) * 2007-12-11 2009-10-20 블루솔텍(주) 도어락 장치의 백셋
CN102747867A (zh) * 2012-07-02 2012-10-24 蒋沛辉 防盗门的防盗锁
CN103147630A (zh) * 2013-03-29 2013-06-12 刘春连 一种电子遥控安全锁具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625B1 (ko) * 2017-10-18 2018-03-08 동문산업개발 주식회사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58Y1 (ko) 2004-07-02 2004-09-23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 지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21B1 (ko) * 2006-09-22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100849524B1 (ko) * 2007-03-14 2008-07-31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922504B1 (ko) * 2007-12-11 2009-10-20 블루솔텍(주) 도어락 장치의 백셋
CN102747867A (zh) * 2012-07-02 2012-10-24 蒋沛辉 防盗门的防盗锁
CN102747867B (zh) * 2012-07-02 2014-10-22 蒋沛辉 防盗门的防盗锁
CN103147630A (zh) * 2013-03-29 2013-06-12 刘春连 一种电子遥控安全锁具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389B1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KR101188995B1 (ko) 도어락
KR100700389B1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US20060150692A1 (en) Lockable case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JP2022519427A (ja) ロックアセンブリ
US10184268B2 (en) Security swing handle assembly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CN114450460B (zh) 闩锁组件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20247Y1 (ko)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KR100749697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110101304A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322308B1 (ko) 썸턴 클러치 구조체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623160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110008450U (ko)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20200112351A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20150098498A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101990692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