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625B1 -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625B1
KR101822625B1 KR1020170134998A KR20170134998A KR101822625B1 KR 101822625 B1 KR101822625 B1 KR 101822625B1 KR 1020170134998 A KR1020170134998 A KR 1020170134998A KR 20170134998 A KR20170134998 A KR 20170134998A KR 101822625 B1 KR101822625 B1 KR 10182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lock
door
ar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동문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문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문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8Bolts with multiple head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도어락키(221)는 후진되어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가고 보조키(290)는 전진하여 본체(210)의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손잡이(101)의 조작 없이 그대로 문을 뒤쪽으로 회전시키면서 닫는다. 그러면 도어락키(221)가 문틀(2)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키홈(2a)이 있는 곳에 위치할 때까지 도어(1)가 닫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보조키(290)는 문틀(2)에 눌리면서 강제로 후진하여 밑으로 조금씩 내려가게 된다. 이후 도어락키(221)가 키홈(2a)의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꺽쇠형 회동편(230)의 제1팔(231)이 슬라이드 락킹 홈(270)에서 이탈되면서 도어락 스프링(2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도어락키(221)가 위로 전진하면서 튀어 올라 키홈(2a)에 끼워지고 보조키(290)는 꺽쇠형 회동편(230)의 회동에 의하여 밑으로 후진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됨으로써 도어(1)가 잠기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1)를 닫을 때에 도어락키(221)가 후진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가 있으므로 손잡이(101)의 조작이 없더라도 도어락키(221)와 문틀(2)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던 보조키(290)가 눌려 들어가면서 도어락키(221)가 키홈(2a)에 끼워지기 때문에 도어(1)가 자연스럽게 닫힌다.

Description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Door lock apparatus which can easily close door}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의 조작이 없더라도 문틀과의 마찰력 없이 도어가 손쉽게 닫힐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회사 등의 현관이나 출입문에 설치되는 종래의 도어락(door lock)은 손잡이 조작에 의해 도어락키가 전후진 함으로써 문이 열리고 닫히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도어락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잠김이 이루어지는 수직형(vertical type)의 경우를 예로 도시하였으나, 옆 방향으로 잠김이 이루어지는 수평형의 경우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는 손잡이(101)의 조작을 통하여 도어락키(121)가 문틀(2)의 키홈(2a)에 삽탈되고, 힌지(3)를 축으로 하여 여닫이 형태로 열리고 닫히도록 설치된다. 손잡이(101)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 형태의 회전식이 아닌 막대 형태(bar type)의 누름식일 수도 있다.
도어락 장치(100)의 본체(110)는 어느 일면이 문틀(2)의 키홈(2a)을 바라보도록 도어(1)에 부착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의 키홈(2a)을 바라보는 본체(110)의 면을 플레이트면(111)이라고 일관되게 명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도어락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110)는 문틀(2)의 키홈(2a)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면(111)을 갖도록 도어(1)에 부착 설치되며, 도어락키(121)는 플레이트면(111)을 관통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감으로써 문틀(2)의 키홈(2a)에 삽탈되도록 설치된다.
메인커넥터(122)는 손잡이(101)의 제어를 이어받아 도어락키(121)를 전후진 시키도록 손잡이(101)와 도어락키(121) 사이에 설치된다.
도어락 스프링(123)은 메인커넥터(122)에 장공을 형성하여 그 안에 설치되며, 도어락 스프링(123)의 밑단은 볼트막대(124)에 의해 막히고, 윗단은 메인커넥터(122)의 윗단(125)에 의해 막히도록 설치됨으로써 도어락키(121)가 본체(110)의 위로 전진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 반발력 부여한다.
메인커넥터(122)의 윗단(125)은 플레이트면(111)을 관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도어락 스프링(1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도어락키(121)가 위로 돌출되는 길이는 한정된다.
열리는 과정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같이, 손잡이(101)를 잡고 돌리면 손잡이(101)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커넥터(122)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하여 도어락키(121)가 본체(110)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가고, 이 때 도어(1)를 앞쪽으로 회전시키면 문이 열리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문이 열리는 방향을 앞쪽이라 하고 문이 닫히는 방향을 뒤쪽이라고 일관되게 명명한다.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 손잡이(101)를 놓으면 도 3b에서와 같이 도어락 스프링(1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메인커넥터(122)와 도어락키(121)가 위로 전진하면서 도어락키(121)가 본체(110)의 위로 돌출된다.
닫히는 과정
닫히는 과정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리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락키(121)가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손잡이(101)를 조작하여 도어락키(121)가 후진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면서 도어(1)를 뒤로 회전시켜 닫은 후에 손잡이(101)를 놓으면 도어락 스프링(1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도어락키(121)가 위로 전진하여 키홈(2a)에 끼워져 문이 잠기게 된다.
위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1)를 닫을 때에 손잡이(101)의 조작이 요구된다. 도어락키(121)는 도어락 스프링(1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위로 전진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만약에 손잡이(101)의 조작이 없는 상태로 도어(1)를 닫게 되면 도어락키(121)가 강제로 문틀(2)에 의해 눌리면서 닫혀져야 한다. 이 경우 도어락 스프링(123)의 탄성 반발력을 이길 정도로 문을 세게 닫지 않으면 도어락키(121)와 문틀(2) 사이의 마찰력 때문에 도어(1)가 제대로 안 닫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문을 출입하는 사람들은 도어(1)를 열 때에는 손잡이(101)를 잡고 돌리지만 도어(1)를 닫을 때에는 손잡이(101)의 조작 없이 그냥 도어(1)를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닫기 때문에 종래의 도어락 장치(1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의 조작이 없더라도 문틀과의 마찰력 없이 도어가 손쉽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문틀의 키홈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면을 갖도록 도어에 부착 설치되는 본체;
상기 플레이트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감으로써 상기 키홈에 삽탈되도록 설치되는 도어락키;
도어 손잡이의 제어를 이어받아 상기 도어락키를 전후진 시키도록 상기 도어 손잡이와 상기 도어락키 사이에 설치되며 측 부위에 슬라이드 락킹 홈이 형성되는 메인커넥터;
상기 도어락키를 전진시키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락 스프링;
꺽쇠 형태를 하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상기 메인커넥터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팔을 가지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메인커넥터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팔을 가지며,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커넥터의 옆에 설치되는 꺾쇠형 회동편;
상기 제2팔을 상기 플레이트면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꺽쇠형 회동편의 제1팔이 상기 메인커넥터에 강제 밀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꺽쇠형 회동편을 회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
상기 도어락키의 옆에 위치하면서 상기 도어락키보다 앞쪽에서 상기 플레이트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가도록 설치되는 보조키;
상기 꺽쇠형 회동편의 제2팔과 상기 보조키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커넥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어를 앞쪽으로 회전시켜 열 때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도어락키와 메인커넥터가 후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의 힘에 의한 상기 꺽쇠형 회동편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팔이 상기 슬라이드 락킹 홈에 끼워져 들어가 상기 도어락키의 후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또한 상기 제2팔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보조커넥터와 보조키가 전진되어 상기 보조키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도어를 뒤쪽으로 회전시켜 닫을 때에는 후진된 상태의 상기 도어락키가 먼저 상기 문틀에 진입하고 그 다음에 돌출된 상태의 상기 보조키가 진입함으로써 상기 보조키가 상기 문틀에 눌려 후진하여 상기 본체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꺽쇠형 회동편의 제1팔이 상기 슬라이드 락킹 홈에서 빠지면서 상기 도어락키가 상기 도어락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키는 상기 도어락키보다 상기 본체의 외부로 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키는 뒤쪽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꺽쇠형 회동편의 제1팔이 상기 메인커넥터에 강제 밀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커넥터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락킹 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팔의 끝단에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커넥터는 상기 제1팔이 강제 밀착되는 측면이 상기 제1팔 쪽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락키가 후진하여 본체의 내부로 들어가 있으므로 도어 손잡이의 조작이 없더라도 도어락키와 문틀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던 보조키가 눌려 들어가면서 도어락키가 키홈에 끼워지기 때문에 도어가 자연스럽게 닫힌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도어락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2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200)의 본체(210)는 문틀(2)의 키홈(2a)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면(211)을 갖도록 도어(1)에 부착 설치된다. 도어락키(221)는 플레이트면(211)을 관통하여 본체(210)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감으로써 문틀(2)의 키홈(2a)에 삽탈되도록 설치된다.
메인커넥터(222)는 손잡이(101)의 제어를 이어받아 도어락키(221)를 전후진 시키도록 손잡이(101)와 도어락키(221) 사이에 설치되며, 측 부위에는 슬라이드 락킹 홈(270)이 형성된다. 제1팔(231)이 강제 밀착되는 메인커넥터(222)의 측면은 슬라이드 락킹 홈(270) 쪽으로 갈수록 제1팔(231)이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22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락 스프링(223)은 도어락키(221)를 전진시키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메인커넥터(222)에 장공을 형성하여 그 안에 도어락 스프링(223)이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이 경우, 도어락 스프링(223)의 밑단은 볼트막대(224)에 의해 막히고, 윗단은 메인커넥터(222)의 윗단(225)에 의해 막히도록 설치함으로써 위와 같이 도어락키(221)가 본체(210)의 위로 전진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 반발력을 부여할 수 있다.
메인커넥터(222)의 윗단(225)은 플레이트면(211)을 관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도어락 스프링(2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도어락키(221)가 위로 돌출되는 길이는 한정된다.
메인커넥터(222)의 옆에 위치하도록 본체(210)에 회전축(250)이 설치된다.
꺽쇠형 회동편(230), 예컨대 L자형 회동편은 절곡부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메인커넥터(222)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팔(231)을 가지고 다른 한쪽에는 메인커넥터(222)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팔(232)을 갖는다. 꺽쇠형 회동편(230)은 절곡부가 회전축(250)에 끼워져 회전축(250)을 축으로 하여 즉, 절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꺽쇠형 회동편(230)의 제1팔(231)이 메인커넥터(222)에 강제 밀착된 상태에서 메인커넥터(22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락킹 홈(270)에 삽탈될 수 있도록 제1팔(231)의 끝단에 롤러(2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280)은 제2팔(232)을 플레이트면(211)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꺽쇠형 회동편(230)의 제1팔(231)이 메인커넥터(222)에 강제 밀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꺽쇠형 회동편(230)을 회동시키도록 설치된다.
보조키(290)는 도어락키(221)의 옆에 위치하면서 도어락키(221)보다 앞쪽에서 플레이트면(211)을 관통하여 본체(210)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가도록 설치된다. 보조키(290)는 도어락키(221)보다 본체(210)의 외부로 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키(290)는 뒤쪽면(290a)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커넥터(260)는 제2팔(232)과 보조키(29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은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열리는 과정
먼저, 도 4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1)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어락 스프링(2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메인커넥터(222)와 도어락키(221)가 위로 전진하여 도어락키(221)가 본체(210)의 위로 돌출된 상태에 놓인다.
다음에, 도 5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를 잡고 돌리면 손잡이(101)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커넥터(222)의 하향 움직임에 의해 도어락키(221)가 후진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제1팔(231)이 메인커넥터(222)의 경사면(222a)에 강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보조커넥터(260)를 밑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꺽쇠형 회동편(230)의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보조키(290)가 밑으로 후진하여 보조키(290)도 마찬가지로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간다. 그러면 결국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키(221)와 보조키(290)가 모두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되어 도어(1)의 열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도 6 및 도 7c에서와 같이 도어(1)가 문틀(2)에서 빠져 나오면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280)의 힘에 의한 꺽쇠형 회동편(230)의 회동에 의하여 제1팔(231)이 슬라이드 락킹 홈(270)에 끼워져 들어가 빠지지 않게 되므로 도어락키(221)의 후진 상태가 유지되고, 이 때 꺽쇠형 회동편(230)의 회동에 의하여 제2팔(232)이 위로 움직이게 되고 그로 인해 보조커넥터(260)와 보조키(290)가 위로 전진하여 보조키(290)가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닫히는 과정
도 8a에서와 같이 도어락키(221)는 후진되어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가고 보조키(290)는 전진하여 본체(210)의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손잡이(101)의 조작 없이 그대로 문을 뒤쪽으로 회전시키면서 닫는다.
그러면 도어락키(221)가 문틀(2)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도 8b에서와 같이 키홈(2a)이 있는 곳에 위치할 때까지 도어(1)가 닫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보조키(290)는 문틀(2)에 눌리면서 강제로 후진하여 밑으로 조금씩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보조키(290)가 조금씩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 보조키(290)의 뒤쪽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키(290)가 손쉽게 본체(210)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갈 수 있도록 보조키(290)는 도어락키(221)보다 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어락키(221)가 키홈(2a)의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꺽쇠형 회동편(230)의 제1팔(231)이 슬라이드 락킹 홈(270)에서 이탈되면서 도어락 스프링(2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도어락키(221)가 위로 전진하면서 튀어 올라 키홈(2a)에 끼워지고 보조키(290)는 꺽쇠형 회동편(230)의 회동에 의하여 밑으로 후진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됨으로써 도어(1)가 잠기게 된다.
이러한 닫힘 과정은 손잡이(101)의 조작 없이 단지 도어(1)를 뒤쪽으로 회전시켜 닫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1)를 닫을 때에 도어락키(221)가 후진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들어가 있으므로 손잡이(101)의 조작이 없더라도 도어락키(221)와 문틀(2)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던 보조키(290)가 눌려 들어가면서 도어락키(221)가 키홈(2a)에 끼워지기 때문에 도어(1)가 자연스럽게 닫힌다.
본 발명은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잠김이 이루어지는 수직형 도어락(vertical type door lock)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앞서 급한 바와 같이, 옆 방향으로 잠김이 이루어지는 수평형 도어락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 도어 2: 문틀
2a: 키홈 3: 힌지
100, 200: 도어락 장치 101: 도어 손잡이
110, 210: 본체 111, 211: 플레이트면
121, 221: 도어락키 122, 222: 메인커넥터
123, 223: 도어락 스프링 124, 224: 볼트막대
125, 225: 메인커넥터의 윗단 222a, 290a: 경사면
230: 꺽쇠형 회동편 231: 제1팔
232: 제2팔 240: 롤러
250: 회전축 260: 보조커넥터
270: 슬라이드 락킹 홈 280: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
290: 보조키

Claims (5)

  1. 문틀의 키홈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면을 갖도록 도어에 부착 설치되는 본체;
    상기 플레이트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감으로써 상기 키홈에 삽탈되도록 설치되는 도어락키;
    도어 손잡이의 제어를 이어받아 상기 도어락키를 전후진 시키도록 상기 도어 손잡이와 상기 도어락키 사이에 설치되며 측 부위에 슬라이드 락킹 홈이 형성되는 메인커넥터;
    상기 도어락키를 전진시키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락 스프링;
    꺽쇠 형태를 하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상기 메인커넥터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1팔을 가지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메인커넥터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팔을 가지며,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커넥터의 옆에 설치되는 꺾쇠형 회동편;
    상기 제2팔을 상기 플레이트면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꺾쇠형 회동편의 제1팔이 상기 메인커넥터에 강제 밀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꺾쇠형 회동편을 회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
    상기 도어락키의 옆에 위치하면서 상기 도어락키보다 앞쪽에서 상기 플레이트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가거나 내부로 후진하여 들어가도록 설치되는 보조키;
    상기 꺾쇠형 회동편의 제2팔과 상기 보조키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커넥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어를 앞쪽으로 회전시켜 열 때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도어락키와 메인커넥터가 후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락킹 스프링의 힘에 의한 상기 꺾쇠형 회동편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팔이 상기 슬라이드 락킹 홈에 끼워져 들어가 상기 도어락키의 후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또한 상기 제2팔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보조커넥터와 보조키가 전진되어 상기 보조키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도어를 뒤쪽으로 회전시켜 닫을 때에는 후진된 상태의 상기 도어락키가 먼저 상기 문틀에 진입하고 그 다음에 돌출된 상태의 상기 보조키가 진입함으로써 상기 보조키가 상기 문틀에 눌려 후진하여 상기 본체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꺾쇠형 회동편의 제1팔이 상기 슬라이드 락킹 홈에서 빠지면서 상기 도어락키가 상기 도어락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전진하면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키가 상기 도어락키보다 상기 본체의 외부로 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키는 뒤쪽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꺾쇠형 회동편의 제1팔이 상기 메인커넥터에 강제 밀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커넥터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락킹 홈에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팔의 끝단에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넥터는 상기 제1팔이 강제 밀착되는 측면이 상기 제1팔 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170134998A 2017-10-18 2017-10-18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KR10182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98A KR101822625B1 (ko) 2017-10-18 2017-10-18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98A KR101822625B1 (ko) 2017-10-18 2017-10-18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625B1 true KR101822625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998A KR101822625B1 (ko) 2017-10-18 2017-10-18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6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89B1 (ko) * 2005-05-03 2007-03-27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103543B1 (ko) * 2004-11-18 2012-01-09 한옥순 록 장치
KR101467285B1 (ko) * 2013-04-19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43B1 (ko) * 2004-11-18 2012-01-09 한옥순 록 장치
KR100700389B1 (ko) * 2005-05-03 2007-03-27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467285B1 (ko) * 2013-04-19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7364A (en) Sliding door lock assembly
KR20210065148A (ko) 도어 오프너
KR10194374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822625B1 (ko)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JP6369250B2 (ja) スライドドアの保持装置
JP2003201787A (ja) ウィンドーオペレータにおける改良
KR101922932B1 (ko) 오토락 문고리 래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334117B1 (ko) 사물함 손잡이의 잠금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20180004547A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20180046747A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CN110273603B (zh) 一种烤箱
KR101847986B1 (ko) 도어의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록 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365845B1 (ko)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KR200223979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KR101942920B1 (ko) 도어 잠금 장치
CN107152204B (zh) 便于开锁的锁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