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79Y1 -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79Y1
KR200223979Y1 KR2020000033793U KR20000033793U KR200223979Y1 KR 200223979 Y1 KR200223979 Y1 KR 200223979Y1 KR 2020000033793 U KR2020000033793 U KR 2020000033793U KR 20000033793 U KR20000033793 U KR 20000033793U KR 200223979 Y1 KR200223979 Y1 KR 200223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er
striker
hand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로 filed Critical 이병로
Priority to KR2020000033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7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거실과 바란다사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호차를 분해하더라도 문이 상측으로 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에 손잡이(2)의 회동에 따라 축(3)과 함께 회동하는 구동기어(4)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는 후크(8)가 형성된 회동편(6)의 종동기어(7)를 맞물리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편의 상측으로는 스트라이커(13)에 의해 눌려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푸셔(10)를 탄성부재(11)에 의해 탄력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3)에 푸셔(10)의 선단이 수용되는 요입홈(16)을 형성하여 후크(8)가 스트라이커(13)에 록킹된 상태에서 푸셔(10)의 선단이 요입홈(16)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본 고안은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특허 제250908호의 개량 고안으로서, 거실과 바란다사이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하우징(1)에 손잡이(2)의 축(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에는 구동기어(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의 누름동작에 따라 하우징(1)에 형성된 구멍(5)을 통해 출몰하는 회동편(6)의 일측에는 구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편(6)의 상측으로는 문을 닫을 때 손잡이(2)의 회동으로 회동편(6)의 후크(8)가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한 회동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문이 완전히 닫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잡이(2)를 당기더라도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잠금수단은 회동편(6)의 일측을 지지하는 스토퍼(9)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멍(14)을 통해 하우징(1)의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푸셔(10)와, 상기 푸셔의 후단에 접속되게 설치되어 푸셔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선단이 항상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1)와, 상기 푸셔의 진퇴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셔(10)의 진퇴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은 하우징(1)에 장공(1a)을 형성하고 푸셔(10)의 측면에는 장공에 끼워지는 돌기(10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푸셔(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진퇴 운동하도록 하우징(1)에 푸셔(10)의 상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문설주(12)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동편(6)이 회동됨에 따라 통공(13a)을 통해 후크(8)가 걸려 문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스트라이커(13)가 스크류(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문이 열려 있을 경우에는 손잡이(2)의 회동을 제한하는 푸셔(10)가 탄성부재(11)의 복원력에 의해 구멍(14)을 통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푸셔(10)의 스토퍼(9)가 회동편(6)의 후단과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손잡이(2)를 파지한 상태에서 문을 닫을 때 호차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문이 잘 닫히지 않더라도 손잡이가 회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문이 거의 닫혀 하우징(1)의 일측(스트라이커와의 접속면)으로 노출된 푸셔(10)가 스트라이커(13)에 접속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문을 닫으면 푸셔(10)가 스트라이커에 부딪혀 탄성부재(11)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되므로 회동편(6)의 제어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2)가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문이 완전히 닫히고 나면 손잡이(2)의 회동에 따라 구동기어(4)의 회전력이 종동기어(7)에 전달되어 회동편(6)을 회동시키게 되므로 도 2b와 같이 회동편(6)의 후크(8)가 통공(13a)을 통해 문설주(1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3)에 걸려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닫혀져 있던 문을 열기 위해 문의 열림방향으로 손잡이(2)를 당기면 구동기어(4)가 전술한바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스트라이커(13)에 걸려 있던 후크(8)가 문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면서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회동편(6)의 회전으로 후크(8)가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됨과 동시에 문이 열리기 시작하면 스트라이커(13)에 의해 눌려져 있던 푸셔(10)는 탄성부재(11)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와 같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스토퍼(9)가 회동편(6)의 일측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2)를 문의 닫힘방향으로 당기더라도 회동편(6)이 회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문이 열려 있는 동안에는 회동편(6)이 회동되지 않아 후크(8)가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부주의로 인한 스트라이커(13)와의 충돌로 인해 회동편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회동편(6)이 회동되므로 프레임의 폭에 구애받지 않고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지만, 회동편(6)의 후크(8)가 문설주(1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3)에 걸려 록킹된 상태에서 후크(8)의 높이(t)가 스트라이커(13)에 형성된 통공(13a)의 높이(T)보다 낮기 때문에 침입자가 문의 호차부위를 해체한 다음 문을 들어 올릴 경우에는 후크(8)가 도 2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3)에 형성된 통공(13a)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므로 잠금장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침입자가 호차부위를 해체하더라도 문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없도록 하여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에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축과 함께 회동하는 구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는 후크가 형성된 회동편의 종동기어를 맞물리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편의 상측으로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눌려 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푸셔를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에 푸셔의 선단이 수용되는 요입홈을 형성하여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록킹된 상태에서 푸셔의 선단이 요입홈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2a는 미닫이문이 개방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2b는 미닫이문이 닫히고, 잠겨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미닫이문이 개방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4b는 미닫이문이 닫히고, 잠겨진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손잡이
4 : 구동기어 6 : 회동편
7 : 종동기어 8 : 후크
9 : 스토퍼 10 : 푸셔
13 : 스트라이커 16 : 요입홈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 잠금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문설주(12)에 고정되어 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동편(6)의 후크(8)가 통공(13a)을 통해 걸려 문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스트라이커(13)에 푸셔(10)의 선단이 수용되는 요입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문이 열려 있을 경우에는 종래의 잠금장치와 마찬가지로 손잡이(2)의 회동을 제한하는 푸셔(10)가 탄성부재(11)의 복원력에 의해 구멍(14)을 통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푸셔(10)의 스토퍼(9)가 회동편(6)의 후단과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손잡이(2)를 파지한 상태에서 문을 닫을 때 손잡이가 회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문이 거의 닫혀 하우징(1)의 일측으로 노출된 푸셔(10)가 스트라이커(13)에 접속되기 시작하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된 푸셔(10)의 선단이 스트라이커(13)에 형성된 요입홈(16)내에 수용되면서 부딪히게 되므로 상기 푸셔는 탄성부재(11)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푸셔(10)가 스트라이커(13)에 부딪혀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면 스토퍼(9)가 회동편(6)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회동편(6)의 제어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2)가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계속되는 문의 닫힘동작으로 푸셔(10)가 하우징(1)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나면 손잡이(2)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문의 닫힘방향으로 손잡이(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2)와 축(3)으로 고정된 구동기어(4)가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린 종동기어(7)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회동편(6)이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편(6)이 회전하면 회동편(6)의 후크(8)가 도 4b와 같이 스트라이커(13)에 형성된 통공(13a)을 통해 회동되어 스트라이커(13)에 걸리게 되므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푸셔(10)의 선단은 스트라이커(13)의 요입홈(16)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이 닫히고 회동편(6)의 후크(8)가 스트라이커(13)에 걸려 있는 잠김상태에서는 문으로부터 호차를 분해하더라도 푸셔(10)의 선단이 요입홈(16)내에 위치하고 있어 문을 상측으로 들어 올릴 수 없게 된다.
한편,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닫혀져 있던 문을 열기 위해 문의 열림방향으로 손잡이(2)를 당기면 푸셔(10)에 의한 손잡이의 제어상태가 해제되어 있어 구동기어(4)가 전술한바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스트라이커(13)에 걸려 있던 후크(8)가 문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면서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회동편(6)의 회전으로 후크(8)가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됨과 동시에 문이 열리기 시작하면 스트라이커(13)의 요입홈(16)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눌려져 있던 푸셔(10)는 탄성부재(11)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와 같이 하우징(1)의 일측으로 노출되면서 스토퍼(9)가 회동편(6)의 일측에 접속되므로 손잡이(2)를 문의 닫힘방향으로 당기더라도 회동편(6)이 회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이 록킹된 상태에서 손잡이(2)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푸셔(10)가 스트라이커(13)의 요입홈(13a)내에 수용되어 있어 침입자가 문의 호차를 분해하더라도 문을 상측으로 들어 올릴 수 없게 되므로 문의 완전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하우징에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축과 함께 회동하는 구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는 후크가 형성된 회동편의 종동기어를 맞물리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편의 상측으로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눌려 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푸셔를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에 푸셔의 선단이 수용되는 요입홈을 형성하여 후크가 스트라이커에 록킹된 상태에서 푸셔의 선단이 요입홈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0000033793U 2000-12-01 2000-12-01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23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93U KR200223979Y1 (ko) 2000-12-01 2000-12-01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93U KR200223979Y1 (ko) 2000-12-01 2000-12-01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79Y1 true KR200223979Y1 (ko) 2001-05-15

Family

ID=7309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793U KR200223979Y1 (ko) 2000-12-01 2000-12-01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59B1 (ko) 2006-04-17 2007-05-10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미닫이문 잠금장치
KR100934321B1 (ko) 2008-01-25 2009-12-29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93336B1 (ko) 2012-05-11 2013-08-16 강재화 미닫이창문 레버형 잠금장치
KR101990918B1 (ko) * 2018-05-23 2019-06-19 김기철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59B1 (ko) 2006-04-17 2007-05-10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미닫이문 잠금장치
KR100934321B1 (ko) 2008-01-25 2009-12-29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93336B1 (ko) 2012-05-11 2013-08-16 강재화 미닫이창문 레버형 잠금장치
KR101990918B1 (ko) * 2018-05-23 2019-06-19 김기철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946B2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US20170145613A1 (en) Door lock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locking washing machine door
KR20220002185A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02311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RU2347876C2 (ru)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190025864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0223979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382892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03201787A (ja) ウィンドーオペレータにおける改良
KR20090009954U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0407480B1 (ko) 금고문 개폐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66997B1 (ko) 건물용 현관문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JP4453913B2 (ja) 自動扉の施錠装置
KR101398143B1 (ko) 도어의 일부 개방형 도어 잠금구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427402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391803B1 (ko) 현관문용 도어록
KR20190066437A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EP4345234A1 (en) Assembly for security locks and relative lock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