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803B1 - 현관문용 도어록 - Google Patents

현관문용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803B1
KR100391803B1 KR10-2000-0020326A KR20000020326A KR100391803B1 KR 100391803 B1 KR100391803 B1 KR 100391803B1 KR 20000020326 A KR20000020326 A KR 20000020326A KR 100391803 B1 KR100391803 B1 KR 10039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deadlock
lock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278A (ko
Inventor
추무기
Original Assignee
추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무기 filed Critical 추무기
Priority to KR10-2000-002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8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용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설치되는 데드록(dead lock)의 잠금버튼과, 데드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현관문잠금구를 현관문의 외측에서 리모콘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침입자들이 데드록을 열쇠로서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 데드록이 잠금버튼에 의해 잠겨서 개방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침입자들이 데드록을 파손시키더라도 현관문잠금구가 걸려 잠겨 있어서 현관문을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드록(1)과, 상기 데드록(1)이 설치된 현관문의 상측에 설치되는 통상의 현관문잠금구(13)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상부에는 제1솔레노이드(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21)와 연동하는 가동편(23)과 회동레버(16)가 현관문잠금구(13)의 회전힌지부(14c)에 설치된 회동축(15)과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하부에는 제2솔레노이드(2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24)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가동편(25)에 형성된 슬릿홈(26)에 힌지핀(19)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2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동편(20)의 타측은 잠금버튼봉(8)에 형성된 슬릿홈(18)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현관문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제1,2솔레노이드(21)(24)를 제어하는 신호수신기(s)가 설치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제1,2솔레노이드(21)(24) 대신에 모터(30)와 회동기어(27), 구동기어(28), 랙크(32)를 설치하여 외부침입자들이 데드록(1)을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 데드록(1)이 잠금버튼(7)에 의해 잠겨서 개방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침입자들이 데드록(1)을 파손시키더라도 현관문잠금구(13)가 잠겨 있어서 현관문을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문용 도어록{A door lock for an entrance door}
본 발명은 현관문용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설치되는 데드록(dead lock)의 잠금버튼과, 데드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현관문잠금구를 현관문의 외측에서 리모콘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침입자들이 데드록을 열쇠로서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 데드록이 잠금버튼에 의해 잠겨서 개방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침입자들이 데드록을 파손시키더라도 현관문잠금구가 걸려 잠겨 있어서 현관문을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사무실등의 출입문(현관문 포함)에는 출입문을 개폐시키기위한 손잡이가 출입문의 내외측으로 각각 설치되면서 출입문의 측단부에 도난을 방지하기 괘정구가 설치된 도어록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데, 이 한 개의 도어록으로는 도난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출입문의 내측에 이중자물쇠인 데드록과, 출입문의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현관문잠금구를 함께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데드록(1)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데드록(1)은, 데드록 커버(2)의 내측에 개폐손잡이 또는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괘정판개폐구(3)가 구비되고, 그 괘정판개폐구(3)의 일측에 괘정판개폐구(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며 데드록걸림쇠(도시되지 않음)에 걸리는 괘정구(11)를 구비한 괘정판(10)이 설치되며, 상기 괘정판개폐구(3)의 타측에는 괘정판개폐구(3)의 회동을 억제하는 괘정판개폐구 록커(6)를 구비한 잠금버튼(7)이 데드록 커버(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데드록(1)은 현관문의 내측에서 도시되지 않은 개폐손잡이를 돌리거나 또는 열쇠를 열쇠구멍(4)에 삽입시킨 상태로 돌리면 괘정판개폐구(3)가 회전하면서 괘정판(10)을 승하강시켜서 괘정판(10)의 단부에 설치된 괘정구(11)가 함께 승하강하면서 문틀에 설치된 데드록걸림쇠에 걸리거나 또는 해제되게 되고, 잠금버튼(7)을 좌우로 수평이동시킴에 따라 괘정판개폐구 록커(6)가 괘정판개폐구(3)를 록킹 또는 해제시켜서 외부에서 열쇠로 괘정판개폐구(3)를 돌려도 괘정판개폐구(3)가 록킹되어 있으면 괘정판개폐구(3)이 돌아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현관문잠금구(13)는 상기 데드록(1)이 설치된 현관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러한 현관문잠금구(13)는 현관문에 막대형의 레버몸체(14)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문틀에는 상기 레버몸체(14)가 걸릴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가 설치되는데, 상기 레버몸체(14)는 일측 소정위치에 개방부(14a)가 형성되고 그 개방부(14a)를 제외한 전둘레에 걸림턱(14b)이 형성되어 있으며,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에는 개방부(14a)를 통과하여 걸림턱(14b) 내측의 홈으로 유입되어 걸리게 하는 걸이핀(17a)이 형성되어 레버몸체(14)를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측으로 90°회전시키면 개방부(14a)가 걸이핀(17a)으로 유입되며 이상태에서 현관문을 개방하면 걸림턱(14b) 내측의 홈으로 걸이핀(17a)이 유입되어 현관문이 레버몸체(14)의 길이만큼만 개방되고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출입문(이하 현관문이라 통칭한다)에 도어록외에 데드록과 현관문잠금구가 추가로 설치된 경우라도 그 해당 건물에 거주자가 외출을 하여 외부에서 현관문을 잠글 경우에 열쇠로서 데드록과 도어록만을 잠을 잠글 수 있고, 현관문잠금구는 잠글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이 데드록과 도어록만을 잠을 잠글 수 있고, 현관문잠금구는 잠글 수 없기 때문에 자물쇠를 잘 여는 전문화된 외부침입자들은 상기 데드록과 도어록을 쉽게 열기 때문에 도난의 위험성을 항상 지니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관문의 외부에서 현관문을 부수기 전에는 열 수 없는 현관문잠금구와, 잠금버튼을 잠그면 데드록을 열수 없는 데드록의 이중안전장치인 잠금버튼을 현관문의 외부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물쇠를 잘 여는 전문화된 외부침입자라도 현관문을 부수기 전에는 열수 없도록 하는 현관문용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폐손잡이 또는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괘정판개폐구가 구비되고, 그 괘정판개폐구의 일측에 괘정판개폐구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며 데드록걸림쇠에 걸리는 괘정구를 구비한 괘정판이 설치되며, 상기 괘정판개폐구의 타측에는 괘정판개폐구의 회동을 억제하는 괘정판개폐구 록커를 구비한 잠금버튼이 데드록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데드록과, 상기 데드록이 설치된 현관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걸이핀이 형성된 현관문잠금구 걸림쇠와, 회전힌지부에는 개방부를 제외한 전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된 레버몸체가 설치된 통상의 현관문잠금구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데드록의 괘정판 상부에는 제1솔레노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와 연동하는 가동편과 회동레버가 현관문잠금구의 회전힌지부에 설치된 회동축과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데드록의 괘정판 하부에는 제2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가동편에 형성된 슬릿홈에 힌지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동편의 타측은 잠금버튼봉에 형성된 슬릿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현관문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제1,2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신호수신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제1,2솔레노이드 대신에 모터와 회동기어, 구동기어, 랙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데드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잠금구의 구조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도어록의 구조와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도어록의 구조와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드록 2 : 데드록 커버 3 : 괘정판개폐구
4 : 열쇠구멍 5 : 걸림턱 6 : 괘정판개폐구 록커
7 : 잠금버튼 8 : 잠금버튼봉 9 : 돌기
10 : 괘정판 11 : 괘정구 14c : 회전힌지부
13 : 현관문잠금구 14 : 레버몸체 15 : 회동축
16 : 회동레버 17 : 현관문잠금구 걸림쇠 18 : 슬릿홈
19 : 힌지핀 20 : 회동핀 21 : 제1솔레노이드
22 : 솔레노이드본체 23 : 가동편 24 : 제2솔레노이드
25 : 가동편 26 : 슬릿홈 27 : 회동기어
28 : 구동기어 29 : 모터축 30 : 모터
31 : 피니언 32 : 랙크 33 : 슬릿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관문용 도어록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개폐손잡이 또는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괘정판개폐구(3)가 구비되고, 그 괘정판개폐구(3)의 일측에 괘정판개폐구(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며 도시되지 않은 데드록걸림쇠에 걸리는 괘정구(11)를 구비한 괘정판(10)이 설치되며, 상기 괘정판개폐구(3)의 타측에는 괘정판개폐구(3)의 회동을 억제하는 괘정판개폐구 록커(6)를 구비한 잠금버튼(7)이 데드록 커버(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통상의 데드록(1)과, 상기 데드록(1)이 설치된 현관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걸이핀(17a)이 형성된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와, 회전힌지부(14c)에는 개방부(14a)를 제외한 전둘레에 걸림턱(14b)이 형성된 레버몸체(14)가 설치된 통상의 현관문잠금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상부에는 제1솔레노이드(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21)와 연동하는 가동편(23)과 회동레버(16)가 현관문잠금구(13)의 회전힌지부(14c)에 설치된 회동축(15)과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하부에는 제2솔레노이드(2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24)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가동편(25)에 형성된 슬릿홈(26)에 힌지핀(19)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2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동편(20)의 타측은 잠금버튼봉(8)에 형성된 슬릿홈(18)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관문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제1,2솔레노이드(21)(24)를 제어하는 신호수신기(s)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미설명 도면부호 14c는 회전힌지부, 22a,22b는 스프링, 22c는 고정철심이다.
상기 각각의 제1,2솔레노이드(21)(24)에 있어서 제1,2솔레노이드(21)(24)는 그 제1,2솔레노이드(21)(24) 본체에서 출몰하는 가동편(23)(25)을 마그네트로 형성하면서 제1,2솔레노이드(21)(24)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방향을 바꾸면 가동편(23)(25)이 전,후진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제1,2솔레노이드(21)(24)의 가동편을 자력이 없는 금속제로 형성하면서 전원을 한방향으로만 공급시키면 전원을 공급하는 방향에 따라 가동편(23)(25)을 단속적으로 한번만 밀거나 또는 당기는 동작을 하게되며, 이때는 가동편(23)(25)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22)(23)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2솔레노이드(21)(24)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잠금버턴(7)과 회동축(15)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2솔레노이드(21)(24)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이실시예에서는 모터(30)를 사용함으로서 그에 따른 주변의 구성이 서로 상이한 것이므로, 그에 따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잠금버턴(7)과 회동축(15)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좌측상부에는 모터축(29)이 구비된 모터(30)가 설치되며 모터축(29)에는 구동기어(28)와 회동기어(27)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힌지부(14c)에는 회동기어(27)가 설치된 회동축(15)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기어 (27)는 직각으로 만나는 두축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베벨기어가 사용된다.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8)에는 구동기어(28)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31)과, 이 피니언(31)과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며 선단부에는 회동핀(20)의 타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슬릿홈(33)이 형성되는 랙크(32)가 설치되고, 상기 랙크(32)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홈(33)과 잠금버튼(7)의 잠금버튼봉(8)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홈(18)에는 힌지핀(19)에 의하여 회동하는 회동핀(20)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관문용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현관문을 닫고 현관문의 바같쪽인 외측으로 나와서 현관문의 외측에서 데드록(1)의 열쇠구멍(4)으로 열쇠를 삽입하여 열쇠를 돌리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괘정판개폐구 록커(6)가 괘정판개폐구(3)를 록킹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괘정판개폐구(3)가 회전하면서 괘정판(10)을 하강시켜서 괘정판(10)의 선단부에 설치된 괘정구(11)가 괘정판(10)과 함께 하강하면서 문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데드록걸림쇠에 걸려서 현관문이 열리지 않게 종래와 같이 잠글 수 있게 된다.
이때는 열쇠구멍(4)으로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면 데드록(1)이 열려서 현관문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자물쇠를 잘 여는 도둑(외부침입자)의 경우에는 데드록(1)을 쉽게 해제시킨 뒤에 그 건물의 내부로 용이하게 침입을 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데드록(1)을 1차로 잠근 뒤에 거주자는 현관문의 외측에서 도시되지 않은 리모콘을 신호수신기(s)을 향하여 조작하면 리모콘의 신호를 신호수신기(s)가 수신하여 각각의 제1,2솔레노이드(21)(24)에 신호를 보내어 제1,2솔레노이드(21)(24)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동작이 시작되는 것으로, 현관문잠금구(13)를 회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경우부터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현관문잠금구(13)가 현관문과 수평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솔레노이드(21) 본체(22)내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솔레노이드본체(22)의 고정철심(22c)에 자력이 발생하면서 가동편(23)을 당기게 되며, 이 가동편(23)이 당겨짐에 따라 회동레버(16)의 자유단이 당겨지는데 이 회동레버(16)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면서 일측단에 레버몸체(14)와 회동되게 고정된 회동축(15)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가동편(23)의 선단부와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현관문과 직각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회동레버(16)가 가동편(23)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90。만큼 회동하면서 현관문과 수평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레버(16)가 회동함에 따라 레버몸체(14)는 문틀측으로 90。만큼 회동하면서 레버몸체(14)의 개방부(14a)가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의 걸이핀(17a) 사이로 들어가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의 걸이핀(17a)은 레버몸체(14)의 전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4b) 내측의 홈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현관문잠금구(13)가 록킹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은 열쇠구멍(4)을 구비한 괘정판개폐구(3)가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잠금버튼(7)에 대한 설명으로, 도시되지 않은 리모콘의 신호수신기(s)에서 신호를 받아 제2솔레노이드(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솔레노이드(24)에 설치된 가동편(25)이 전진하게 되는데, 이 가동편(25)에는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핀(19)에 힌지 결합되어 양단이 각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도면상 상단부가 잠금버튼봉(8)의 슬릿홈(18)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핀(20)의 하단부가 가동편(25)의 슬릿홈(2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동핀(20)의 하단부가 전방측인 "A"방향쪽으로 밀려가면서 회동하게 되고, 슬릿홈(18)에 삽입되어 있는 상단부는 하단부와 반대방향인 "B"방향쪽으로 회동하면서 잠금버튼봉(8)을 후방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버튼봉(8)을 구비한 잠금버튼(7)이 밀려 들어감에 따라 잠금버튼봉(8)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괘정판개폐구 록커(6)가 회동하면서 괘정판개폐구(3)의 걸림턱(5)에 걸리어 괘정판개폐구(3)가 돌아가지 못하도록 록킹시키게 되며, 괘정판개폐구(3)가 회동하지 못하므로 외부침입자가 열쇠구멍(4)으로 열쇠를 삽입시킨 상태로 돌려도 괘정판개폐구(3)가 록킹되어 돌아가지 않으므로 외부침입자가 실내로 침입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데드록(1)의 괘정구(11)와 데드록(1)의 잠금버튼(7), 그리고 현관문잠금구(13)를 모두 록킹시킴에 따라 데드록(1)의 괘정판개폐구(3)를 파손시키는 경우에도 현관문잠금구(13)가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에 걸려 록킹된 상태이므로 외부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여 도난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건물의 거주자가 귀가하여 상기와 같이 록킹시켰던 것을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록킹시킬때와 역순으로 리모콘을 조작하여 잠금버튼(7)과 현관문잠금구(13)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열쇠구멍(4)으로 열쇠를 삽입시켜 돌려서 데드록걸림쇠에 걸려진 괘정구(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후 실내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제1,2솔레노이드(21)(24)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로 형성한 각각의 가동편(23)(25)에 전원의 공급방향을 바꾸어 작동시키면 각각의 가동편(23)(25)이 전진 또는 후진하므로써 잠금버튼(7)과 현관문잠금구(13)를 각각 동작시킬 수 있게 되며, 그 동작에 따라 잠금버튼(7)과 현관문잠금구(13)의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솔레노이드(21)(24)가 양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가동편(23)(25)이 제1,2솔레노이드(21)(24)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22a)(22b)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상기 현관문잠금구(13)를 회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21)의 가동편(23)이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 만 당겨져서 현관문잠금구(13)에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게 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프링(22a)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편(23)을 밀어주어 현관문잠금구(13)가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에 자동적으로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잠금버튼(7)을 동작시키는 제2솔레노이드(24)는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회동핀(20)의 하단부를 당겨서 괘정판개폐구(3)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게 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프링(22b)의 탄력이 가동편(25)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잠금버튼(7)이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5에 도시한 이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에 있어서 이실시예의 기본적인 작용관계는 동일하므로 모터에 의해 현관문잠금구(13)와 잠금버튼(7)을 동작시키는 것이므로 그것에 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현관문용 도어록이 설치된 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그 건물의 현관문의 밖으로 나온 경우에는 현관문잠금구(13)가 현관문과 수평한 상태로서 록킹이 안된 상태이고, 잠금버튼(7)도 외부로 길게 나와 괘정판개폐구(3)에 대한 록킹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괘정판개폐구(3)를 열쇠로서 잠그고 리모콘을 조작시키면, 리모콘의 신호가 신호수신기(s)를 통하여 모터(30)에 신호를 보내어 모터(30)가 회전하는 동시에 구동기어(28)가 함께 회전되면 구동기어(28)와 맞물린 회동기어(27)가 회전하여 회동기어(27)와 일체로 되어 있는 회동축(15)에 의하여 회동하는 레버몸체(14)가 90。만큼 회전하여 레버몸체(14)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14a)가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의 걸이핀(17a)에 걸리게되어 문틀에 설치된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에 걸려서 현관문잠금구(13)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28)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구동기어(28)의 하측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31)이 구동기어(28)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 피니언(31)과 맞물려 있는 랙크(32)는 피니언(31)이 우회전함에 따라 랙크(32)는 데드록 커버(2)의 화살표의 "A"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랙크(32)의 슬릿홈(33)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핀(20)의 상단부를 데드록 커버(2)의 화살표의 "A" 의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되는 동시에 회동핀(20)이 힌지핀(19)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회동핀(20)의 하단부가 잠금버튼봉(8)을 데드록 커버(2)의 화살표의 "B" 방향인 내측 방향으로 밀게 되어 잠금버튼봉(8)의 말단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괘정판개폐구 록커(6)가 괘정판개폐구(3)를 록킹시키므로써, 현관문잠금구(13)와 잠금버튼(7)을 현관문의 바깥측에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잠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현관문의 바깥측에서 괘정구(11)와 현관문잠금구(13) 그리고 잠금버튼(7)을 현관문을 잠그고 외출한 뒤에 귀가하여 괘정구(11)와 현관문잠금구(13) 그리고 잠금버튼(7)을 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잠글때와는 역순으로 먼저 도시되지 않은 리모콘을 조작하여 신호수신기(S)에 신호를 보내어 모터(30)가 잠글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31), 랙크(32), 회동핀(20), 잠금버튼봉(8)의 각구성이 잠글 때와는 따르게 역방향으로 작용하여 현관문잠금구(13)와 잠금버튼(7)을 각각 개방시키고 난 후에 열쇠로서 괘정구(11)를 개방시켜 현관문을 열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현관문용 도어록은, 현관문의 비깥쪽인 외측에서 열쇠로서 데드록의 괘정구를 잠그고 난 후에 리모콘으로 현관문잠금구와 잠금버튼을 잠글 수 있도록 하며, 개방할 때는 상기 록킹시킬 때와 역순으로 실시하여 데드록과 현관문잠금구를 개방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므로써, 어떠한 자물쇠라도 잘 열 수 있는 자물쇠 전문가라도 현관문을 부수기 전에는 현관문을 열고 침입할 수 없으므로 도난을 예방하는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정 정) 개폐손잡이 또는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괘정판개폐구(3)가 구비되고, 그 괘정판개폐구(3)의 일측에 괘정판개폐구(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며 데드록걸림쇠에 걸리는 괘정구(11)를 구비한 괘정판(10)이 설치되며, 상기 괘정판개폐구(3)의 타측에는 괘정판개폐구(3)의 회동을 억제하는 괘정판개폐구 록커(6)를 구비한 잠금버튼(7)이 데드록 커버(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데드록(1)과,
    상기 데드록(1)이 설치된 현관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걸이핀(17a)이 형성된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와, 회전힌지부(14c)에는 개방부(14a)를 제외한 전둘레에 걸림턱(14b)이 형성된 레버몸체(14)가 설치된 통상의 현관문잠금구(13)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상부에는 제1솔레노이드(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21)와 연동하는 가동편(23)과 회동레버(16)가 현관문잠금구(13)의 회전힌지부(14c)에 설치된 회동축(15)과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하부에는 제2솔레노이드(2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24)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가동편(25)에 형성된 슬릿홈(26)에 힌지핀(19)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2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동편(20)의 타측은 잠금버튼봉(8)에 형성된 슬릿홈(18)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현관문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제1,2솔레노이드(21)(24)를 제어하는 신호수신기(s)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도어록.
  2. ( 삭 제 )
  3. ( 정 정 ) 개폐손잡이 또는 열쇠에 의해 회전하는 괘정판개폐구(3)가 구비되고, 그 괘정판개폐구(3)의 일측에 괘정판개폐구(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며 데드록걸림쇠에 걸리는 괘정구(11)를 구비한 괘정판(10)이 설치되며, 상기 괘정판개폐구(3)의 타측에는 괘정판개폐구(3)의 회동을 억제하는 괘정판개폐구 록커(6)를 구비한 잠금버튼(7)이 데드록 커버(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데드록(1)과,
    상기 데드록(1)이 설치된 현관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열림각을 제한하는 걸이핀(17a)이 형성된 현관문잠금구 걸림쇠(17)와, 회전힌지부(14c)에는 개방부(14a)를 제외한 전둘레에 걸림턱(14b)이 형성된 레버몸체(14)가 설치된 통상의 현관문잠금구(13)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데드록(1)의 괘정판(10) 좌측상부에는 모터축(29)이 구비된 모터(30)가 설치되며, 모터축(29)에는 구동기어(28)와 회동기어(27)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힌지부(14c)에는 회동기어(27)가 설치된 회동축(1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28)에는 구동기어(28)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31)과, 이 피니언(31)과 맞물려 수평으로 이동하며 선단부에는 회동핀(20)의 타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슬릿홈(33)이 형성되는 랙크(32)가 설치되고,
    상기 랙크(32)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홈(33)과 잠금버튼(7)의 잠금버튼봉(8)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홈(18)에는 힌지핀(19)에 의하여 회동하는 회동핀(20)이 설치되고,
    상기 현관문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모터(30)를 제어하는 신호수신기(s)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도어록.
KR10-2000-0020326A 2000-04-18 2000-04-18 현관문용 도어록 KR10039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326A KR100391803B1 (ko) 2000-04-18 2000-04-18 현관문용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326A KR100391803B1 (ko) 2000-04-18 2000-04-18 현관문용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278A KR20010096278A (ko) 2001-11-07
KR100391803B1 true KR100391803B1 (ko) 2003-07-12

Family

ID=1966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326A KR100391803B1 (ko) 2000-04-18 2000-04-18 현관문용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183A (ko) * 2003-08-18 2005-03-03 강춘섭 도어의 열림 방지장치
KR101876476B1 (ko) * 2017-06-14 2018-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CN107539846B (zh) * 2017-08-16 2023-07-18 曾培强 一种无线解锁的操作杆安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278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EP1521891B1 (en) Door locking mechanism
US4213315A (en) Key actuated security entry system
KR100391803B1 (ko) 현관문용 도어록
KR100367630B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JP3099000U (ja) 電子錠
CN107503568B (zh) 智能防盗机械锁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36459Y1 (ko) 현관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200353556Y1 (ko) 도어용 로킹장치
KR200267794Y1 (ko) 금고용 잠금장치
JPH0213662Y2 (ko)
KR100422190B1 (ko) 자물쇠뭉치의 좌,우 선택설치가 용이한 전자식도어록장치
KR920004860Y1 (ko) 차량용 도어래치 원격손잡이
KR200353555Y1 (ko)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실내도어 개방수단
KR200229620Y1 (ko) 화장실용 도어록 어셈블리
KR200277656Y1 (ko) 창문 손잡이 시건장치
KR20030068641A (ko) 출입문용 도어록장치
KR200243733Y1 (ko) 카드키 도어록
KR200214066Y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0433960B1 (ko) 금고용 잠금장치
KR200235203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200276139Y1 (ko) 출입문용 도어록장치
JP4225631B2 (ja) 引戸錠
KR20030069368A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