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66Y1 -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 Google Patents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66Y1
KR200214066Y1 KR2020000010787U KR20000010787U KR200214066Y1 KR 200214066 Y1 KR200214066 Y1 KR 200214066Y1 KR 2020000010787 U KR2020000010787 U KR 2020000010787U KR 20000010787 U KR20000010787 U KR 20000010787U KR 200214066 Y1 KR200214066 Y1 KR 200214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lasp
lock
switch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실드이노베이션
주식회사협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실드이노베이션, 주식회사협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실드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2020000010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66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현관에 설치되어 방범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에 관한 것으로 잠금장치상자(1)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면적의 최소화를 가져오게 하고, 동시에 한동작열림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서 내·외측 손잡이(3a)(3b)가 끼워져 결합되는 반달걸림쇠 구동축(13)과 반달걸림쇠(15) 및 잠금걸림쇠(9)를 동작시키는 반달걸림쇠 구동암(10)을 서로 분리구성시켜 시정시에는 공전하여 잠금장치상자(1) 내부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반달걸림쇠(15)도 함께 잠김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시정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잠금장치상자(1) 측에 설치된 자동잠금 스위치(19)에 대응한 수자동 전환스위치(52)는 인위적으로 상하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문틀에 설치되는 받이판(50)에 설치하여 잠금장치상자(1)의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THE ELECTRIC LOCK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 LOCKING}
본 고안은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소정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고, 문틈새를 이용하여 쇠톱 등을 절단할 수 없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실내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 외부로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한동작 열림기능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물리적 충격이나 과부하에 의해 잠금장치 내부가 손상되거나 해정되지 않는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근래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지문인식 시스템이나 암호번호를 이용한 출입통제장치, 전파식, 마그네틱식 등 각종 카드키 시스템 및 각종 출입통제 시스템과 연동되는 전기정이 개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지나치게 고가일 뿐만아니라 규격 및 편의성, 안전성 면에서도 국내의 보안환경과는 다소 동떨어진 제품들로서 극히 일부에서만 국한 사용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정이란 일반적으로 잠금장치의 해정수단으로서 전자석이나 전동모터 등을 이용하되 이를 잠금장치상자(BACKSET)에 내장하여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시·해정('열리고 닫힘'을 뜻함)을 행할 수 있는 시건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대략 다음의 2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a,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정(100)은 우선 외부(실외)에서 시정상태는 자동잠금 스위치(108)가 눌림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외측 손잡이(103b)가 내부 제어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 즉, 시정상태를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받으면 내부제어장치가 해제되고 그 후 외측 손잡이(103b)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달걸림쇠(104)가 잠금장치상자(101)의 내부로 삽입되어 해정(열림)되는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내측(실내)에서는 제품에 따라 한동작 열림기구(PANIC기능)가 장착된 사양도 있으나 도시한 제품은 일단 내측 돌림손잡이(105)를 돌려 내부제어장치를 풀고 내측 손잡이(103a)를 눌러 회전시키면 해정이 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는 종래 또다른 예의 전기정을 나타낸 것으로 그 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반달걸림쇠 구동암(202)의 회전에 의해 반달 걸림쇠(203)가 잠금장치상자(201) 내부로 삽입되게 되어 있으나 시정시에는 잠금걸림쇠(204)는 동작되지 않아 시정상태를 유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받으면 전자석에 의해 잠금걸림쇠 작동구(205)를 움직여 외부손잡이를 눌러 회전시키면(도면의 반대편으로 도시생략) 반달형걸림쇠 구동암(202)에 의해 잠금걸림쇠 작동구(205)를 거쳐 잠금걸림쇠 연결편(206)에 의해 잠금걸림쇠 구동암(207)을 회전시켜 잠금걸림쇠(204)를 해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 2 의 전기정(200)은 문이 닫힘과 동시에 자동잠금 스위치(208)가 눌리면서 잠금걸림쇠(204)가 돌출되어 시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문이 채 닫히기도 전에 자동잠금 스위치(208)가 먼저 눌려 잠금걸림쇠(204)가 돌출되므로서 문 자체가 닫히지 않게 되는 사태가 흔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기정(200) 자체 및 문짝의 훼손을 가져왔던 것이다.
또한 자동잠금 스위치(208)에 근접하여 수동 및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수자동 전환스위치(209) 및 그와 관련한 기구들이 잠금장치상자(201)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잠금걸림쇠 리턴스프링(210) 및 그에 따른 기구도 독립형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잠금장치상자(201) 내부가 지나치게 복잡해 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특히 이와같은 구조물들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결국 잠금장치상자(201)의 규격이 커져야 하며 이와같이 규격이 클 경우 기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규격보다 커 호환성이 결여되는 문제 등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2 의 전기정(200) 역시 내·외측 손잡이를 한개의 축(211)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유로 한동작 열림기구는 장착할 수 없으며, 내측에서 문을 열 경우 도 1 의 예와 같이 내측의 돌림손잡이를 돌린후 손잡이를 눌러 회전시켜 문을 열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기존 사용되고 있는 종래 전기정의 문제점을 정리 종합해 보면,
첫째 : 방범대책에 민감하여 주현관키 외에 보조키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을 일반화하고 있는 국내현실에 비추어 볼때, 잠금걸림쇠나 반달걸림쇠 하나만이 시정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는 안전성 면에서 다소 불안감을 주고,
둘째 : 다기능을 제한된 잠금장치상자 내부공간에 부가설치하기 위해서는 구조가 복잡해져 고장의 원인이 되게 되며,
셋째 : 다기능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잠금장치상자의 크기가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일반규격에 비해 지나치게 크고,
넷째 : 손잡이 고정형의 경우 강제열림시도시 해정되거나 잠금장치상자가 파손될 위험성이 높으며,
다섯째 : 내부에서 한동작 열림기구의 장착이 어려웠던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로 국내에서 일반 규격화 된 잠금장치상자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문틈으로 쇠톱 등을 이용한 절단시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재 등의 비상시 외부로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한동작 열림기능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이나 과부하에 의해 잠금장치 내부가 손상되거나 해정되지 않도록 시정시 공전형 구조로 불필요한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 전기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전기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 는 전기정을 외부에서 본 상태도이고, 도 1b 는 전기정을 내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전기정의 잠금장치상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전기정의 잠금장치상자를 나타낸 측면도와 상기 잠금장치상자에 대응하여 문틀에 부착되어 각 잠금장치들이 끼워지는 받이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문짝의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상자와 문짝의 내·외측에 부착되는 실내·외측 몸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받이판의 수자동 전환스위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받이판의 수자동 전환스위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잠금장치상자 2a,2b : 내·외측 몸체
3a,3b : 내·외측 손잡이 4 : 비상키
5 : 돌림 손잡이 6 : 잠금쇠 연결축
7 : 손잡이 축 8 : 잠금걸림쇠 구동암
9 : 잠금걸림쇠 10 : 반달걸림쇠 구동암
11 : 연결핀누름구 12 : 구동축 연결핀
13 : 반달걸림쇠 구동축 14 : 홈
15 : 반달걸림쇠 16 : 반달걸림쇠 연결편
17 : 전동모터 18 : 연결핀 밀대
19 : 자동잠김 스위치 20 : 반달걸림쇠 리턴스프링
21 : 돌출핀 22 : 스톱퍼 해제구
23 : 잠금걸림쇠 정지구 24 : 잠금걸림쇠 스프링
50 : 받이판 51 : 받이판의 구멍
52 : 수자동 전환스위치 53 : 받이판의 틀체
54 : 볼베어링 55 : 코일스프링
56 : 자석
도 3 내지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외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잠금장치상자(1)와 상기 잠금장치상자(1)의 양측에 설치되며 동시에 문짝의 실내·외측에 부착되는 내·외측 몸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전기정(10)은 기본구성으로서 외측 몸체(2b)에는 외측 손잡이(3b)와 비상키(4)로 구성되고, 내측 몸체(2a)에는 한동작 열림기구가 제외된 상태에서 시·해정을 할 수 있는 돌림손잡이(5)와 내측손잡이(3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외측 몸체(2a)(2b)의 사이에는 문짝에 끼워져 설치되는 잠금장치상자(1)와, 상기 잠금장치상자(1)에 대응하여 문틀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상자(1)에 설치된 잠금장치들이 끼워져 시정상태를 유지하게 해주는 받이판(50)(받이판은 도 3 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외측 몸체(2a)(2b)간에 있어서 상부에는 실외의 비상키(4)와 실내의 돌림손잡이(5) 사이에 단면이 사각 형상의 잠금쇠 연결축(6)이 잠금장치상자(1)내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는 내·외측 손잡이(3a)(3b)간에 단면이 사각형상의 손잡이축(7)이 잠금장치상자(1) 내를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내·외측 몸체(2a)(2b)의 기본 구조는 동일하나 내측 몸체(2a)에는 한동작 열림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각부가 서로 연동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수동식 열림방식의 구조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해정하는 전기적 열림방식구조가 있을 수 있는데 우선 수동식 열림방식 구조를 살펴보면(도 3 및 도 4 참조), 예로서 시건장치를 해정할 경우에는 실외에서 비상키(4)의 뚜껑을 열고 비상키(4)에 열쇠를 넣고 돌리면 잠금쇠연결축(6)이 회전하면서 축(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잠금걸림쇠 구동암(8)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구동암(8)과 접속된 잠금걸림쇠(9)는 후진하여 잠금장치상자(1) 내부로 끌어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잠금걸림쇠(9)와 반달걸림쇠 구동암(10) 사이에 설치된 연결핀누름구(11)가 상기 잠금걸림쇠(9)의 후진작동시 반달걸림쇠 구동암(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축 연결판(12)을 반달걸림쇠 구동축(13)에 형성된 홈(14) 내에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되어 외측 손잡이(3b)를 눌러 회전시킬때 반달걸림쇠 구동축(13)과 반달걸림쇠 구동암(10)이 함께 회전되고 이때 상방으로 길게 뻗은 반달걸림쇠 구동암(10)이 우회전하면서 반달걸림쇠(15)와 접속되어 있는 반달걸림쇠 연결편(16)을 후방으로 끌어 당기므로서 동시에 해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기적 신호에 의한 각부의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가해졌을 때는 전동모터(17)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전동모토(17) 측의 기어(17a)와 맞물려 이와 접속된 연결핀 밀대(18)가 일측방향(도 1 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연결핀 밀대(18)에 설치된 구동축 연결핀(12)이 반달걸림쇠 구동축(13)에 형성된 홈(14) 내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외측 손잡이(3b)를 눌러 회전시키면 반달걸림쇠 구동축(13)과 반달걸림쇠 구동암(10)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암(10)의 상부 선단이 반대측에 설치된 잠금걸림쇠 구동암(8)을 밀어 반시계침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잠금상태에 있던 잠금걸림쇠(9)를 내측으로 후진시켜 해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실외에서 해정하는 경우 비상키(4)를 이용하여 수동식으로 열릴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동모터(17)를 구동시켜 전기식으로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전기정(10)을 실내에서 해정할 때는 실내측의 돌림손잡이(5)를 잡고 일측방향으로 돌린 후 내측 손잡이(3a)를 눌러 회전시키면 상기한 외측에서의 수동식 열림구조와 같은 방법으로 각 부품이 작동하여 열리게 되는 것으로 단 이 경우는 사용자의 사용환경 예로서 우유투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구조의 문이 설치된 경우 등에 따라 한동작 열림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한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내·외측 한동작 열림기구를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적 신호와는 상관없이 혹은 돌림손잡이(5)를 돌리는 별도의 조작없이 내측 손잡이(3a)를 눌러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한동작 열림기구에 의해 반달걸림쇠 구동암(10)을 직접 회전 시키므로써 해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정방법은 해정시와 마찬가지로 수동 및 자동식이 있으며 이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수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잠금장치에 대응하여 문틈에 설치되는 받이판(5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받이판(50)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50a)의 중앙에 길게 뚫린 구멍(51)에 상하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수자동 전환스위치(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자동 전환스위치(52)는 사용자의 조절에 따라 잠금장치상자(1) 측의 자동잠김 스위치(19)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혹은 자동잠김 스위치(19)와 다른 위치로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동잠김방식에 의한 문이 닫힐 때는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달걸림쇠(15)와 자동잠김 스위치(19)가 문틀쪽에 장착되어 있는 받이판(50)의 측면에 맞닿아 눌려 받이판(50)에 뚫린 구멍(51) 내로 유입되게 되고, 자동잠김 스위치(19)가 수자동 전환스위치(52)와 맞닿아 눌림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문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그 하부의 반달걸림쇠(15)는 후측에 설치된 반달걸림쇠 리턴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받이판(50)의 구멍(51) 내로 삽입되고 이때 반달걸림쇠 연결편(16)에 결합되어 돌출되어 있는 돌출핀(21)이 눌림상태를 유지한 채 정지상태에 있는 자동잠김 스위치(19)의 스톱퍼 해제구(22)를 위로 올려 바로 윗쪽의 잠금걸림쇠 정지구(23)를 해제시키면 상부의 잠금걸림쇠(9)가 자체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받이판(50)쪽으로 돌출되면서 시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잠김방식이 아닌 수동잠김방식은 외측에서 열쇠를 사용하거나 혹은 내측에서 돌림손잡이(5)를 돌리면 이들에 직결되어 있는 잠금걸림쇠 구동암(10)이 회전하면서 회전하므로서 시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자동잠김방식의 경우에도 수동조작으로도 시정할 수 있도록 외측에서 열쇠를 사용하거나 내측에서 돌림손잡이(5)를 돌리면 잠금걸림쇠 구동암(10)에 연동하는 스톱퍼 해정구(22)에 의해 스톱퍼 해제구(22)가 아래로 눌려 잠금걸림쇠(9)에 접속설치된 스프링(24)의 장력에 의해 시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수자동전환은 받이판(50)에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수자동 전환스위치(52)를 자동잠김 스위치(19)와 닫지 않도록 상부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수동모드로 전환되고, 또한 수자동 전환스위치(52)를 자동잠김 스위치(19)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하부로 이동시키면 자동모드로 전환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자동 전환스위치(52)를 자동모드로 하는 경우 경·조사시 등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경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 수자동 전환스위치(52)가 종래와 같이 잠금장치상자(1) 내에 설치되지 아니하고 받이판(50)에 설치되므로 잠금장치상자(1)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자동 전환스위치(52)는 예로써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 형상의 틀체(53) 내부에 볼베어링(54)과 코일스프링(55)을 결합시켜 상기 스프링(55)과 베어링(54)의 탄발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혹은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틀체(53) 후측에 자석(56)을 결합시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설계변경에 따라 수자동 전환스위치(52)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임의로 적절히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수자동 전환스위치를 복잡하고 한정된 면적으로 되어 있는 잠금장치상자 내부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이와 대응하는 별도의 받이판에 장착하므로써 제한된 규격의 잠금장치상자 내부공간을 단순하며 효율적으로, 또 다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한개의 축을 사용하는 내·외측 손잡이에 연결된 반달걸림쇠 구동축과 반달걸림쇠 및 잠금걸림쇠를 직접 동작시키는 역할의 반달걸림쇠 구동암을 분리시키므로서 시정시에는 공전하게 하여 잠금장치상자 내부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이로 인해 반달 걸림쇠도 잠김상태를 유지 시정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이중잠금의 효과를 가져와 방법성을 향상시켰으며, 자동잠김방식의 전기정을 기본으로 일부 부품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다용도 및 다사양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문측에 각종 장치들이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상자(1)를 중심으로 내·외측 손잡이(3a)(3b)와 비상키(4) 및 돌림손잡이(5)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상자(1)에 대응하여 잠금장치상자(1)측에 설치된 잠금걸림쇠(9) 및 반달잠금쇠(15)가 끼워지거나 빠지면서 시정 및 해정될 수 있도록 문틀에 받이판(50)을 형성하여서 된 전기정에 있어서, 내·외측 손잡이(3a)(3b)가 끼워져 결합되는 반달걸림쇠 구동축(13)과 반달걸림쇠(15) 및 잠금걸림쇠(9)를 직접 동작시키는 반달걸림쇠 구동암(10)이 서로 분리 구성되어 시정시에는 공전하여 잠금장치상자(1) 내부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반달걸림쇠(15)도 함께 잠김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시정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잠김 스위치(19)에 대응한 수자동 전환스위치(52)는 문틀에 설치되는 받이판(50)에 구성시켜 잠금장치상자(1)의 면적을 최소화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자동 전환스위치(52)는 스프링(55) 및 볼베어링(54)의 탄발력에 의해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자동 전환스위치(52)는 자석(56)의 자력에 의해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2020000010787U 2000-04-17 2000-04-17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200214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87U KR200214066Y1 (ko) 2000-04-17 2000-04-17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87U KR200214066Y1 (ko) 2000-04-17 2000-04-17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005A Division KR100367630B1 (ko) 2000-04-17 2000-04-17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066Y1 true KR200214066Y1 (ko) 2001-02-15

Family

ID=7308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787U KR200214066Y1 (ko) 2000-04-17 2000-04-17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60B1 (ko) * 2002-02-19 2005-05-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도어핸들용 원격제어 전자식 키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60B1 (ko) * 2002-02-19 2005-05-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도어핸들용 원격제어 전자식 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US4736970A (en)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JP4611340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KR100415001B1 (ko)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KR20030038657A (ko) 전기작동식 래칫 폴 래치
KR100367630B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US6341513B1 (en) Two-in-one combination safe lock
GB2297797A (en) Security device for locks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US7237412B1 (en) All purpose type deadbolt lock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0214066Y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0446415B1 (ko)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0897023B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JP2944252B2 (ja) 冷蔵庫装置
KR100404749B1 (ko) 레버형 도어록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0391803B1 (ko) 현관문용 도어록
KR100453715B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잠금장치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100436497B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CN111927214B (zh) 一种锁体及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