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877Y1 -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877Y1
KR200407877Y1 KR2020050032825U KR20050032825U KR200407877Y1 KR 200407877 Y1 KR200407877 Y1 KR 200407877Y1 KR 2020050032825 U KR2020050032825 U KR 2020050032825U KR 20050032825 U KR20050032825 U KR 20050032825U KR 200407877 Y1 KR200407877 Y1 KR 200407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 switch
door lock
lock
lev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자 주식회사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자 주식회사, 김종수 filed Critical 엘에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도어록의 실내케이스에 설치되는 자동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정상태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가 잠금위치로 세팅된 상태에서, 실내케이스에 설치된 레버를 적은 각도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셀렉트 스위치가 해정위치로 신속히 이동하여 전자식 도어록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실외로 나가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번거러움을 방지함으로서 전자식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화재발생과 같이 긴급대피를 요하는 상황에서 실내 거주자의 신속한 실외대피 및 이로 인한 인명손실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는,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버튼입력부 또는 지문인식부와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실외케이스(11)와,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그 내부 상측에 전원공급용 배터리가 삽입되는 실내케이스(12)와, 도어(1)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실내외케이스(11)(12)의 레버(16)와 연결되는 레버축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를 출몰시키기 위한 도어록(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케이스(12)의 외측에는 배터리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 또는 해정 상태를 실내측에서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 스위치(15)가 설치되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15)의 배면측에는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를 센서 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팁(28)이 실내케이스(12)의 내부로 돌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내케이스(12)의 내부 하측에는 레버축(17)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암(21)과, 상기 클러치암(21)의 회전에 따라 힌지핀(23)을 중심으로 각운동하여 셀렉트 스위치(15)를 잠금위치에서 해정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러치레버(22)와, 상기 클러치레버(22)와 일체로 고정된 롤러핀(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클러치암(21)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25)로 이루어지는 자동해정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15)의 배면측에는 실내케이스(12)의 내측에 고정된 커버판(29)의 절개부(29a)를 통하여 상기 센서팁(28)과 함께 노출되어 클러치레버(22)에 의한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이동과 잠금 및 해정상태에서의 위치고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위치볼(27)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식 도어록, 실내케이스, 잠금장치, 해정장치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Automatic un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type door-lock}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식 도어록의 외관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전자식 도어록의 실내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가 실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해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도어록 3 : 래칫볼트
4 : 데드볼트 5 : 케이스 플레이트 10 : 전자식 도어록
11 : 실외케이스 12 : 실내케이스 13 : 배터리커버
14 : 도어록킹버튼 15 : 셀렉트 스위치 16 : 레버
17 : 레버축 18 : 연결로드 19 : 체결공
20 : 자동해정장치 21 : 클러치암 22 : 클러치레버
23 : 힌지핀 24 : 롤러핀 25 : 롤러
26 : 스위치암 27 : 스위치볼 28 : 센서팁
29 : 커버판 29a : 절개부 30 : 복원스프링
31 : 스프링지지구
본 고안은 전자식 도어록의 실내케이스에 설치되는 자동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정상태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가 잠금위치로 세팅된 상태에서, 실내케이스에 설치된 레버를 적은 각도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셀렉트 스위치가 해정위치로 신속히 이동하여 전자식 도어록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실외로 나가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번거러움을 방지함으로서 전자식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화재발생과 같이 긴급대피를 요하는 상황에서 실내 거주자의 신속한 실외대피 및 이로 인한 인명손실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건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도어록 장치는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만이 도어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그 케이스가 도어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데드볼트와 래칫볼트를 출몰시키는 회전레버나 회전노브 등이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형태가 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록 장치에는 실외측에서 도어를 임의대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데,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록의 잠금과 해정을 수행하도록 한 기계식 도어록과, 비밀번호나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을 통하여 솔레노이드식 전자석과 클러치레버를 작동시킴으로서 도어록의 잠금과 해정을 수행하도록 한 전자식 도어록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한 기계식 도어록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간단하여 도어록에 대한 어느 정도의 상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도어록을 쉽게 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버튼이나 키패드 또는 지문인식기나 카드리더기 등과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정보를 전기 및 전자식으로 판단함으로서 우수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전자식(또는 디지털식) 도어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식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튼이나 키패드 또는 지문인식기나 카드리더기 등과 같은 패스워드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상태로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케이스(11)와,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전원공급용 배터리가 슬라이드식 배터리커버(13)에 의하여 덮혀지도록 삽입되는 실내케이스(12)와, 상기 각각의 케이스(11)(12)에 설치된 레버(16)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와 래칫볼트(3)가 케이스 플레이트(5)를 통하여 출몰되도록 도어(1)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도어록(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자식 도어록(10)은 데드볼트(4)와 래칫볼트(3)를 출몰시키는 도어(1)의 주된 개폐구조가 실내케이스(12)의 레버축을 따라 도어록(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케이스(11)의 내부에는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판단하여 도어(1)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잠금장치(미도시)(본 출원인이 2003년 특허출원 제 39220호로 출원하여 제 514116호로 등록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케이스(12)에는 배터리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 및 해정상태를 실내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킹버튼(14) 및 셀렉트 스위치(15)가 각각 설치된다.
즉,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인가된 출입자임을 확인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인가된 출입자가 실외측에서 도어(1)를 열 수 있는 해정상태로 세팅되며, 이와 같은 도어(1)의 해정상태에서 출입자가 도어(1)를 열고 실내로 들어가서 도어(1)를 닫은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도어록킹버튼(14)을 누르게 되면,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도어(1)를 다시 잠금상태로 세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도어(1)를 잠금상태로 세팅하게 되면,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적합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한 도어(1)를 실외측에서 열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셀렉트 스위치(15)를 "UNLOCK(해정)" 위치에서 "LOCK(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전자식 도어록(10)을 통한 배터리의 전원공급 자체가 완전히 차단되어 실외측 뿐만 아니라 실내측에서도 도어(1)를 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15)를 "UNLOCK(해정)" 위치에서 "LOCK(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실내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가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중앙처리장치(CPU)로 해당 정보를 전송시키게 됨으로서, 중앙처리장치(CPU)가 도어(1)의 해정을 위한 각종 메카니즘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실내케이스(12)의 레버(16)로부터 도어록(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레버축의 완전한 회전 즉, 데드볼트(4)의 출몰이 가능한 정도의 레버(16)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스토퍼(미도시)와 같은 각종 전기적, 기계적 메카니즘에 의하여 세팅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15)를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실외측에서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정확한 출입정보를 입력시킨다 하더라도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잠금장치 자체가 그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실내측에서도 도어록(2)의 데드볼트(4)가 케이스 플레이트(5)의 내부로 완전하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각도만큼 레버(16)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식 도어록(10)의 실내케이스(12)에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은 셀렉트 스위치(15)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전자식 도어록(10)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실내에서 도어(1)를 열고 실외로 나가고자 할 경우 반드시 셀렉트 스위치(15)를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번거러운 스위치 조작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 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화재발생과 같이 실내 거주자의 긴급대피를 요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셀렉트 스위치(15)의 번거러운 조작에 의하여 실내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어린이나 다른 외부인과 같이 셀렉트 스위치(15)의 조작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수행하기 어려운 사람이나 셀렉트 스위치(15)의 조작에 따른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시 그 신속한 대피가 더욱 어렵게 되어 불필요한 인명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정상태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가 잠금위치로 세팅된 상태에서, 실내케이스에 설치된 레버를 적은 각도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셀렉트 스위치가 해정위치로 신속히 이동하여 전자식 도어록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실외로 나가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번거러움을 방지함으로서 전자식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화재발생과 같이 긴급대피를 요하는 상황에서 실내 거주자의 신속한 실외대피 및 이로 인한 인명손실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버튼입력부 또는 지문인식부와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실외케이스와,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그 내부 상측에 전원공급용 배터리가 삽입되는 실내케이스와, 도어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실내외케이스의 레버와 연결되는 레버축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를 출몰시키기 위한 도어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케이스의 외측에는 배터리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또는 해정 상태를 실내측에서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의 배면측에는 셀렉트 스위치의 위치를 센서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팁이 실내케이스의 내부로 돌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내케이스의 내부 하측에는 레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암과, 상기 클러치암의 회전에 따라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운동하여 셀렉트 스위치를 잠금위치에서 해정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러치레버와, 상기 클러치레버와 일체로 고정된 롤러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클러치암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자동해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의 배면측에는 실내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된 커버판의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센서팁과 함께 노출되어 클러치레버에 의한 셀렉트 스위치의 위치이동과 잠금 및 해정상태에서의 위치고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위치볼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가 실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해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배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자동해정장치가 설치되는 전자식 도어록(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중심으로 한 종래의 기술내용에서도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버튼이나 키패드 또는 지문인식기나 카드리더기 등과 같은 패스워드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상태로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케이스(11)와,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전원공급용 배터리가 슬라이드식 배터리커버(13)에 의하여 덮혀지도록 삽입되는 실내케이스(12)와, 상기 각각의 케이스(11)(12)에 설치된 레버(16)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와 래칫볼트(3)가 케이스 플레이트(5)를 통하여 출몰되도록 도어(1)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도어록(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데드볼트(4)와 래칫볼트(3)를 출몰시키는 도어(1)의 주된 개폐구조는 실내케이스(12)의 레버축상에 설치되고, 각종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판단함으로서 도어(1)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잠금장치가 상기 실외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된다는 점과, 상기 실내케이스(12)상에 배터리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 및 해정상태를 실내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킹버튼(14) 및 셀렉트 스위치(15)가 각각 설치된다는 점에서도 일반적인 전자식 도어록(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도어(1)를 개방시킨 후, 도어(1)를 다시 닫음과 동시에 도어(1)와 문틀에 각각 설치된 센서수단 에 의하여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잠금장치가 자동적으로 잠금상태로 세팅되도록 한 경우에는 실내케이스(12)상에 상기 도어록킹버튼(14)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는 전자식 도어록(10)의 제조업자가 임의대로 설계 변경 가능한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해당하는 상기 자동해정장치(20)는 배터리의 삽입공간을 제외한 실내케이스(1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케이스(12)의 레버(16)와 연결되는 레버축(17)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암(21)과, 상기 클러치암(21)의 회전에 따라 힌지핀(23)을 중심으로 각운동하여 셀렉트 스위치(15)를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러치레버(22)와, 상기 클러치레버(22)와 일체로 고정된 롤러핀(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클러치암(21)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암(21)은 레버축(17)상에 고정 설치되는 판상 구조물의 상부측에서 원호상으로 만곡되는 "V"자형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의 회전에 따라 레버축(17)과 함께 회전하면서 클러치레버(22)의 하단 롤러핀(24)을 도면상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상기 클러치암(21)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레버(22)는 개략 "<" 형태로 절곡되는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의 상단부는 실내케이스(12)의 내부로 돌출되는 셀렉트 스위치(15)에 걸리게 되는 스위치암(26)으로 형성되고, 그 몸체의 하단 일측부는 실내케이스(12)의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핀(23)을 통하여 삽입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23)과 인접하는 몸체의 하단 타측부에는 클러치암(21)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핀(24)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축(17)의 회전에 따른 클러치암(21)의 회전으로 상기 롤러(25)가 클러치암(21)의 상단 곡면부와 구름 접촉하면서 롤러핀(24)을 중심으로 자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핀(24)이 클러치암(21)에 의하여 상부로 밀려져 나가면서 클러치레버(22)가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즉, 셀렉트 스위치(15)를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범위만큼 각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에 의한 레버축(17)의 회전에 따라 셀렉트 스위치(15)를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클러치레버(22)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메카니즘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내케이스(12)의 내부 공간 및 셀렉트 스위치(15)와 레버축(17) 사이의 거리와 같은 여러 가지 외부요인을 고려하여 레버(22) 자체의 형상이나 그 회전 각도는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클러치레버(2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셀렉트 스위치(15)가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될 경우, 또는 실내측에서 사용자가 상기 셀렉트 스위치(15)를 "UNLOCK(해정)" 위치에서 "LOCK(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와 같은 셀렉트 스위치(15)의 조작시에, 셀렉트 스위치(15)가 "LOCK(잠금)" 위치 또는 "UNLOCK(해정)" 위치에서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수단 이 셀렉트 스위치(15)와 함께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 수단은 도면상 "F"자 형태의 절개부(29a)가 형성된 상태로 실내케이스(12)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판(29)과, 상기 셀렉트 스위치(15)의 배면측으로부터 커버판(29)의 절개부(29a)를 통하여 일정 길이만큼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센서팁(28)과, 상기 셀렉트 스위치(15)의 배면측으로 코일스프링(미도시)를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되고 커버판(29)의 절개부(29a)를 통하여 그 몸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셀렉트 스위치(15)와 커버판(29)의 사이에서 탄력 지지되는 스위치볼(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팁(28)은 커버판(29)에 형성된 "F"자 형태의 절개부(29a) 중 일자(一)형의 장공 부분을 통하여 일정 길이만큼 노출됨으로서 셀렉트 스위치(15)와 함께 해당 장공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커버판(29) 또는 실내케이스(12)의 배면 덮개측에서 센서팁(28)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센서(위치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등)에 의하여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전송시킴으로서,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 및 해정작동을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에 맞추어 수행토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볼(27)은 커버판(29)에 형성된 "F"자 형태의 절개부(29a) 중 일자(一)형의 장공 부분과 연결되는 한 쌍의 구멍을 통하여 그 몸체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서, "LOCK(잠금)" 위치와 "UNLOCK(해정)" 위치 사이를 통한 셀렉트 스위치(15)의 이동 및 해당 위치에서의 셀렉트 스위치(15) 고정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센서팁(28)만이 커버판(29)을 거쳐 실내케이스(12)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볼(27)은 커버판(29)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대신 커버판(29)과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기만 하더라도 셀렉트 스위치(15)의 이동 및 그 위치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버판(29)상에 형성되는 절개부(29a)는 "F"자 형태 이외에 일자(一)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커버판(29)의 하부에 센서팁(28)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서도 이와 같은 셀렉트 스위치(15)의 작동은 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에서 도면부호 "18"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실외케이스(11)와 실내케이스(12)를 일체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로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면부호 "19"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해정장치(20)를 실내케이스(12)의 배면측에서 커버하기 위한 미도시된 커버판의 체결공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부호 "30" 및 "31"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가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스프링 및 상기 복원스프링을 레버축(17)과 연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지지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해정장치(20)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러치레버(22)의 롤러(25)가 롤러핀(24)과 함께 "V"자 형을 가지는 클러치암(21)의 중앙 홈부에 위치하고, 상기 셀렉트 스위치(15)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밀려져 나가서 셀렉트 스위치(15)의 센서팁(28)과 스위치볼(27)이 커버판(29)의 절개부(29a) 우측단에 위치 하는 상태는, 셀렉트 스위치(15)가 전자식 도어록(10)의 "LOCK(잠금)" 위치에 놓여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셀렉트 스위치(15)가 "LOCK(잠금)" 위치에 놓여진 상태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도 이미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실내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가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를 센서팁(28)으로부터 파악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중앙처리장치(CPU)로 해당 정보를 전송시키게 됨으로서, 중앙처리장치(CPU)가 도어(1)의 해정을 위한 각종 메카니즘으로의 전원공급을 완전히 차단시키기 때문에, 실외측에서 패스워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정확한 출입정보를 입력시킨다 하더라도 실외측에서 도어(1)를 열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10)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셀렉트 스위치(15)에 의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이 잠금상태로 세팅된 도 4의 (가)에 도시된 상태에서,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를 손으로 잡고 도면상(도 3) 반시계 방향으로 레버(16)를 회전시키게 되면, 레버(16)에 의한 레버축(17)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암(21)이 레버축(17)과 함께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암(21)이 레버축(17)과 함께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암(21)의 우측 곡면부가 롤러(25)와 구름 접촉하면서 롤러핀(24)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됨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레버(22)가 힌지핀(23)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클러치레버(22)의 상단 스위치 암(26)이 셀렉트 스위치(15)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레버(22)의 상단 스위치암(26)이 셀렉트 스위치(15)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면, 셀렉트 스위치(15)의 스위치볼(27)이 커버판(29)의 바닥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셀렉트 스위치(15)가 센서팁(28)과 함께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셀렉트 스위치(15)가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판(29)의 절개부(29a) 좌측단에서 스위치볼(27)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위치 고정됨으로서, 셀렉트 스위치(15)가 전자식 도어록(10)의 "UNLOCK(해정)"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셀렉트 스위치(15)가 전자식 도어록(10)의 "UNLOCK(해정)" 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실내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가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 즉, 센서팁(28)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중앙처리장치(CPU)로 해당 정보를 전송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중앙처리장치(CPU)가 도어(1)의 해정을 위한 각종 메카니즘을 통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시키게 됨으로서 전자식 도어록(10)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레버(22)에 의하여 셀렉트 스위치(15)가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하는 작동 과정이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의 초기 회전(약 15°각도 내외)과 거의 동시에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상태에서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를 평상시와 같이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전자식 도어록(10)이 해정상태로 신속하게 자동 복귀되어 도어(1)를 정상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실내에서 도어(1)를 열고 실외로 나가기 위하여 셀렉트 스위치(15)를 "LOCK(잠금)" 위치에서 "UNLOCK(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번거러운 스위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자식 도어록(10)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전자식 도어록(10)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실내의 화재발생과 같이 실내 거주자의 긴급대피를 요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실내케이스(12)에 설치된 레버(16)를 평상시와 같이 회전시키기만 하면 전자식 도어록(10)이 정상작동 상태가 되어 도어(1)를 열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린이나 다른 외부인과 같이 셀렉트 스위치(15)의 조작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수행하기 어려운 사람이나 셀렉트 스위치(15)의 조작에 따른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도,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시 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인명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15)가 "UNLOCK(해정)"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러치레버(22)의 하단부가 클러치암(21)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셀렉트 스위치(15)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실외케이스(11)에 설치된 패스워드 입력수단 및 실내외케이스(11)(12)에 설치된 레버(16)를 사용하여 도어(1)를 통한 정상적인 실내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측으로 들어가 도어(1)를 닫고 레버(16)를 놓게 되면, 복원스프링(30)에 의하여 레버(16)가 최초의 위치로 자동 복원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셀렉트 스위치(15)를 "UNLOCK(해정)" 위치에서 "LOCK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셀렉트 스위치(15)가 도 4의 (나)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클러치레버(22)가 힌지핀(23)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최초의 상태, 즉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정상태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가 잠금위치로 세팅된 상태에서, 실내케이스에 설치된 레버를 평상시와 같이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셀렉트 스위치가 레버의 초기 회전시점에서 그 해정위치로 신속히 이동하여 전자식 도어록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실외로 나가기 위하여 셀렉트 스위치를 잠금위치에서 해정위치로 이동시키는 번거러운 스위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자식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보안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전자식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은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내의 화재발생과 같이 실내 거주자의 긴급대피를 요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실내케이스에 설치된 레버를 평상시와 같이 회전시키기만 하면 전자식 도어록이 정상작동 상태가 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린이나 다른 외부인과 같이 셀렉트 스위치의 조작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수행하기 어려운 사람이나 셀렉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도, 화 재와 같은 긴급상황시 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인명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버튼입력부 또는 지문인식부와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실외케이스(11)와,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그 내부 상측에 전원공급용 배터리가 삽입되는 실내케이스(12)와, 도어(1)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실내외케이스(11)(12)의 레버(16)와 연결되는 레버축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를 출몰시키기 위한 도어록(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케이스(12)의 외측에는 배터리에 의한 전자식 도어록(10)의 잠금 또는 해정 상태를 실내측에서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 스위치(15)가 설치되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15)의 배면측에는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를 센서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팁(28)이 실내케이스(12)의 내부로 돌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내케이스(12)의 내부 하측에는 레버축(17)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암(21)과, 상기 클러치암(21)의 회전에 따라 힌지핀(23)을 중심으로 각운동하여 셀렉트 스위치(15)를 잠금위치에서 해정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러치레버(22)와, 상기 클러치레버(22)와 일체로 고정된 롤러핀(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클러치암(21)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25)로 이루어지는 자동해정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15)의 배면측에는 실내케이스(12)의 내측에 고정된 커버판(29)의 절개부(29a)를 통하여 상기 센서팁(28)과 함께 노출되어 클러치레버(22)에 의한 셀렉트 스위치(15)의 위치이동과 잠금 및 해정상태에서의 위치고정을 탄력 적으로 지지하는 스위치볼(27)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20050032825U 2005-11-21 2005-11-21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407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5U KR200407877Y1 (ko) 2005-11-21 2005-11-21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5U KR200407877Y1 (ko) 2005-11-21 2005-11-21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87A Division KR100734032B1 (ko) 2005-11-21 2005-11-21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877Y1 true KR200407877Y1 (ko) 2006-02-06

Family

ID=4448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25U KR200407877Y1 (ko) 2005-11-21 2005-11-21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8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8B1 (ko) * 2006-09-07 2007-12-24 (주) 월드크로스 도어록의 원터치 해정장치 및 아웃레버 공회전장치
KR200448138Y1 (ko) 2008-04-08 2010-03-18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8B1 (ko) * 2006-09-07 2007-12-24 (주) 월드크로스 도어록의 원터치 해정장치 및 아웃레버 공회전장치
KR200448138Y1 (ko) 2008-04-08 2010-03-18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100894319B1 (ko)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록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US11459795B2 (en) Electric strike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912128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출입문 구조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2000005380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2291961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200208015Y1 (ko) 현관문에 부설되는 보조키겸용 자동개폐기
KR102291966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100945006B1 (ko)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091039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