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258B1 -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 Google Patents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258B1
KR101115258B1 KR1020100016166A KR20100016166A KR101115258B1 KR 101115258 B1 KR101115258 B1 KR 101115258B1 KR 1020100016166 A KR1020100016166 A KR 1020100016166A KR 20100016166 A KR20100016166 A KR 20100016166A KR 101115258 B1 KR101115258 B1 KR 10111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outdoor
door lock
pus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744A (ko
Inventor
윤자호
Original Assignee
윤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자호 filed Critical 윤자호
Priority to KR102010001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2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5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에 관한 것으로, 실내측 및 실외측 바디와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푸시 혹은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상기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푸시 혹은 풀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 동력전환부재와; 상기 동력전환부재와 걸림되어 상하유동시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삽입되고, 실내외측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인 모티스와 연결된 메인작동로드와; 상기 모티스와 연결되어 메인작동로드 동작시 데드볼트를 개폐하는 데드볼트 작동로드와;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양단에 결합되고,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 상에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개폐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는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실내측에서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당기기만 하여도 모든 잠금상태를 해제하면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부정행위 방지 기능이 강화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BODY FOR USING PUSH AND PULL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면서 비상시 실내측에서 레버를 조작하기만 하면 모든 잠금상태가 무조건 해제되도록 하여 도어 개방을 쉽게 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면서 부정행위 방지 기능이 더욱 강화된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 Lock)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때, 도어락 바디(Body)는 도어락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면서 도어의 측단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인 모티스(Mortise)와 연결되어 상기 모티스의 개폐 동작을 위한 주장치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도어락 바디는 보통 도어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기 대향 설치되는 작동레버가 각기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유동시키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형식의 모티스와 연결되어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는 회동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회동식 도어락은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레버를 반드시 회전시켜야 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회동식 도어락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동작되어야만 개방이 가능한데 노령화 사회의 심화와 더블어 장애인 등 노약자들의 경우 작동레버를 회전조작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최근에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혹은 당기기만 해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시풀형 도어락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푸시풀형 도어락은 기존 회동식 도어락에 비해 구조상 작동레버가 움직일 수 있는 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데드볼트를 유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상당히 복잡한 기계적 연결구조를 갖추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고, 따라서 도어락 바디의 볼륨이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도어락의 발전에 맞춰어 부정행위의 방식도 날로 진화되고 있으며, 일 예로 우유 투입구를 통해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를 부정한 방식으로 강제 개방시켰던 방식에서 벗어나 도어락 바디의 주요 부위에 구멍을 뚫고 와이어 등의 부재를 삽입하여 실내측 작동레버를 조작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도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도어락 바디는 실내에서 이중 안전잠금을 실시한 경우 실내측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중 안전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에라야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도어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고 번거로우며, 긴급 상황에서는 판단력이 더욱 흐려지기 때문에 도어 오픈이 쉽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 등 인명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레버의 짧은 동작거리 내에서도 개폐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어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실내측에서 작동레버를 밀거나 당기기만 하여도 모든 잠금상태가 일거에 해제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노약자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의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나아가 지능화되어 가는 부정행위자들에 의한 도어 강제 개방을 매우 어렵게 하여 보안성을 극대화시킨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의 제공을 그 주된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실내측 및 실외측 바디와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푸시 혹은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상기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푸시 혹은 풀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 동력전환부재와; 상기 동력전환부재와 걸림되어 상하유동시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삽입되고, 실내외측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연결된 메인작동로드와; 상기 모티스와 연결되어 메인작동로드 동작시 데드볼트를 개폐하는 데드볼트 작동로드와;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양단에 결합되고,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 상에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개폐노브를 포함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바디의 외측면 하단에는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작동로드와 회동체 간의 동력을 단속시키는 부정행위방지레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실내측 동력전환부재는 중앙부가 상하로 절개되어 Y형상을 이루며, 상단은 상하로 단차를 두고 절곡되어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와 상하로 엇갈리게 결합되고, 몸체 일부에는 상하로 단차를 두고 끼움공이 형성되며, 끼움공에는 상기 회동체에 돌출된 동력발생돌기와 엇갈리게 걸림고정되는 동력발생로드가 끼워진 구조이고; 상기 실외측 동력전환부재는 H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는 사선방향으로 절개된 동력발생홈이 천공형성되고, 동력발생홈에는 실외측 작동레버에 설치된 유동축이 끼워지며, 하단 내부에는 회동체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와 엇갈리게 걸림고정되어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구조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측 회동체의 하면 일부는 실외측 바디의 하측에 내장된 비상키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실내측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막아 이중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이중잠금레버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잠금레버와 리미트스위치 사이에는 데드볼트작동로드의 회전동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이중잠금레버의 잠금과 해제를 제어하는 안전잠금편이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일단은 상기 실내측 개폐노브와 연결되고 연장된 노브연장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와 연결된 노브연장부에 삽입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는 스프링의 개재하에 탄성복귀되도록 노브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가 상기 노브연장부와 결합되는 부분은 단차 가공을 통해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가 외측으로 후퇴되었을 때에만 상기 노브연장부를 회동시키고 전진된 정상상태에서는 자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는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실내측에서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당기기만 하여도 모든 잠금상태를 해제하면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부정행위 방지 기능이 강화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예시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실내측 바디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실내측 바디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실내측 바디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실내측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실외측 내부를 보인 사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의 실외측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는 실내측 바디(100)와 실외측 바디(200)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측 바디(100)와 실외측 바디(200) 사이에는 도어의 측면에 삽입설치되어 실질적인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모티스(mortise)(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바디(100)에는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를 위해 푸시풀(Push and Pull) 형태로 조작할 수 있는 실내측 작동레버(110), 즉 실내측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바디(200)에는 실외측 작동레버(210), 즉 실외측 손잡이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실내측 바디(100)의 하측인 실내측 작동레버(110) 안쪽에는 부정행위방지레버(120)가 구비되고, 실내측 작동레버(110) 상에는 모티스와 연결된 데드볼트작동로드(310)를 직접 개폐할 수 있는 실내측 개폐노브(130)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110)의 상측에는 실내측에서 잠그면 실외측에서 열 수 없는 이중잠금레버(140)가 설치되고, 실내측 바디(100)의 상부에는 건전지박스(B)가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110) 또는 실외측 작동레버(210)의 조작에 의해 모티스와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310)를 회전시키는 메인작동로드(300)도 구비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측 바디(200)의 실외측 작동레버(110) 상에도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310)를 직접 개폐할 수 있는 실외측 개폐노브(230)가 설치되고, 실외측 바디(200)의 상단면에는 비밀번호 입력방식으로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키패드(240)가 설치되며, 상기 키패드(240)는 키패드커버(242)에 의해 보호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바디(100)의 중앙 적소에는 레버설치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설치공(101) 내부 상측에는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축홈(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110)의 상단에는 상기 축홈(102)에 대응되게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마주보고 돌출된 레버축(112)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레버축(112)의 돌출방향과 직교되게 한 쌍의 레버작동부(111)가 돌출되어 상기 레버설치공(101)에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작동부(111)에는 이를 좌우로 관통하는 승하강로드(113)가 끼워져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110)가 축홈(102) 내에서 레버축(11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설치공(101)에는 실내측 노브몸체(131)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실내측 노브몸체(131)에는 이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노브연장부(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노브연장부(132)는 실내측 개폐노브(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브연장부(13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일부 외주면에는 홈(133)과 돌기(134)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노브연장부(132)의 선단면에는 앞서 설명한 데드볼트작동로드(310)가 삽입고정되는데, 대략 사각형상을 갖고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측 개폐노브(130)의 조작시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310)가 직접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 실내측 작동레버(110)를 푸시풀하지 않고, 상기 실내측 개폐노브(130)를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브연장부(132)의 상측에는 이와 간격을 두고 스위치본체(4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위치본체(400)는 실내측 바디(100)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본체(400)에는 리미트스위치(410)가 구비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410)는 이중잠금레버(140)의 회전동작에 따라 동작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이중잠금레버(140)는 실내측 노브몸체(13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상태에서 직경방향으로 양측이 돌출되되 어느 일측은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와 접촉되는 걸림돌기(142)를 구성하고, 타측은 실내측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는 조작부(144)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410)는 상기 조작부(144)가 하방향으로 내려온 상태, 즉 상기 걸림돌기(142)가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와 접촉되어 밀고 있는 상태일 경우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중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기(142)가 리미트스위치(410)로부터 이격되면 온되게 구성되며, 이에 관한 제어는 키패드(242, 도 1 참조) 상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PCB)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이중잠금레버(14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토션스프링에 의해 항상 해제상태, 즉 걸림돌기(142)가 항상 리미트스위치(4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410) 작동과 관련하여 이중잠금레버(140)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안전잠금편(146)이 마련된다.
상기 안전잠금편(146)은 판상의 철편을 다수회 절곡시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실내측 노브몸체(131)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리미트스위치(410)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노브연장부(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33)과 돌기(134)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그 상단을 리미트스위치(410) 하방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는 절곡부(148)가 상기 노브연장부(132)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그리하여,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되면 도 6을 기준으로 절곡부(148)가 홈(133)에 들어간 상태가 되고, 따라서 안전잠금편(146)의 절곡된 상단은 리미스트위치(410) 하방으로 삽입되려고 하지만 이중잠금레버(140)의 걸림돌기(142)가 이를 막고 있으므로 들어가지 못하다가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이중잠금레버(140)를 조작하여 이중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그와 동시에 조작부(144)는 하강하고 걸림돌기(142)는 상승되면서 리미트스위치(410)를 밀게 됨과 아울러 그 하측에는 빈공간이 생기므로 동시에 안전잠금편(146)의 상단이 탄성적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이중잠금레버(140)가 풀리지 않게 잠그게 된다.
즉, 이 상태는 리미트스위치(410)가 오프된 상태이고, 이중잠금레버(140)는 상기 안전잠금편(146)이 빠지지 않는 한 열리지 않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상태는 리미트스위치(41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실외에서는 어떠한 조작을 해도 도어를 열 수 없는 상황이고, 다만 실내측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다른 한편, 상기 승하강로드(113)에는 동력전환부재(150)가 연결설치된다.
상기 동력전환부재(150)는 실내측 작동레버(110)의 푸시풀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환부재(150)는 승하강로드(113)와 함께 상하유동되도록 실내측 바디(100)에 형성된 가이드(103)를 따라 상하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03)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동력전환부재(150)의 양측면에는 안내부(154)가 절곡형성되고, 또한 이의 이탈을 막기 위해 별도의 안내돌기(152)가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돌기(152)는 실내측 바디(100)에 형성된 돌기고정홈(104)에 고정될 때 동력전환부재(15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15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환부재(150)는 상기 안내돌기(152)와 가이드(103)에 의해 안전하게 상하왕복운동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동력전환부재(150)의 중앙부에는 절개홈(153)이 형성되며, 상단까지 절개되고, 절개된 상단 양측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수직절곡된 형태의 상단걸이부(155)와 하단걸이부(156)를 구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상단걸이부(155)는 상기 승하강로드(113)의 일단 상측에, 그리고 하단걸이부(156)는 상기 승하강로드(113)의 타단 하측에 걸림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승하강로드(113)는 상기 상단걸이부(155)와 하단걸이부(156)에 엇갈리게 걸림된다고 이해하면 좋다.
그러므로, 동력전환부재(150)는 상기 승하강로드(113)가 상승을 하든지 아니면 하강을 하든지 어느 경우와 상관없이 항상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환부재(150)의 양측에는 서로 상하로 단차를 두고 끼움공(157,158)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157,158)에는 각각 동력발생로드(162a,162b)가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동력발생로드(162a,162b)는 동력발생돌기(161a,161b)와 걸림되는 형태로 접촉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상,하단걸이부(155,156)처럼 회동체(160)의 직경 대비 대각선방향으로 대칭되게 돌출된 동력발생돌기(161a,161b)와 엇갈리게 걸림된다.
이때, 상기 회동체(160)는 상기 동력전환부재(150)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홈(153)을 관통하여 실내측 바디(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실내측에서는 이 회동체(160)에 부정행위방지레버(120, 도 2 및 도 7 참조)가 결합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160)의 타단에는 모티스와 연결된 메인작동로드(300)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회동체(16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11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레버작동부(111)와 연결된 승하강로드(113)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걸림된 동력전환부재(150)도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환부재(150)에 결속된 동력발생로드(162a,162b)는 그 유동방향에 따라 동력발생돌기(161a,161b)를 누르거나 밀어올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동력발생돌기(161a,161b)가 고정된 회동체(160)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는 곧 메인작동로드(3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메인작동로드(300)의 회전동작에 따라 이와 연결된 모티스의 내부 동력전달 구조(공지된 구조여도 무방)에 의해 결국 데드볼트작동로드(3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310)의 회전은 노브연장부(132)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33)과 접촉하고 있던 절곡부(148)를 회전에 의해 돌기(134)가 절곡부(148)와 접촉되면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전잠금편(146)의 상단이 회전되면서 리미트스위치(410)의 하방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이와 동시에 탄성복귀력을 갖고 있던 이중잠금레버(140)는 원래 위치로 회전이동하게 되므로 리미트스위치(400)가 온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측에서는 실내측 작동레버(110) 하나만을 조작하여도 모든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긴급, 비상시 매우 편리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극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덧붙여, 이중잠금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142)에 의해 안전잠금편(146)의 동작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그것의 존재와 상관없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실외측 바디(200)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작동레버(210)의 레버축(21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버작동부(211)가 실외측 바디(200) 내부에서 유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레버작동부(211)에는 유동축(254)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유동축(254)은 동력전환부재(250)의 동력발생홈(252)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동력발생홈(252)은 동력전환부재(250)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사선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측 작동레버(210)를 당기거나 밀게 되면 상기 유동축(254)이 회동되면서 상기 동력전환부재(250)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환부재(250)의 내부 하측에는 회동체(260)가 내장되는데, 상기 회동체(260)는 앞서 설명한 실내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력전환부재(250)의 상하유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에는 메인작동로드(300)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회동체(260)의 외주면 일부는 돌출되어 비상키(M)와 연결되며, 비상키(M)는 실외측 바디(200)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회동체(260)가 회전되는 각도는 6°미만의 각도로서 매우 미약하므로 비상키(M)와의 연결을 통한 회전동작에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실외측에서는 키패드(240)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혹은 비상키(M)를 회전시켜 회동체(26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작동로드(300)가 회전되면서 모티스를 경유하여 데드볼트작동로드(310)를 동작시키게 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실외측 작동레버(210)에는 실내측 작동레버(110)와 같이 노브몸체(231)가 내장되며, 노브몸체(231)에는 실외측 개폐노브(230)가 삽입되고, 실외측 개폐노브(230)는 노브연장부(232)에 삽입되며, 노브연장부(232)에는 데드볼트작동로드(31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230)중 노브연장부(232)로 삽입되는 단부에는 적절히 단차가공되고 걸림턱 기능을 구비하여 실외측 개폐노브(230)를 실외측으로 당길 때만 상기 노브연장부(232)와 걸림되어 이를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외에는 아이들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230)를 당겼을 때 탄성복귀력을 주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S)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링(S)은 실외측 개폐노브(23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플랜지(234)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노브몸체(231)의 내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게 된다. 다만, 도 8,9에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다보니 도시의 한계상 실외측 개폐노브(230)와 동력전환부재(250) 사이에 배치된 것처럼 보일 뿐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부정행위방지레버(12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부정행위방지레버(120)는 메인작동로드(300)와 연결되면서 실내측 작동레버(110)의 안쪽에 실내측 작동레버(110)와 이격된 상태로 실내측 바디(100) 상에 설치된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작동로드(300)가 회동체(160, 도 6 참조) 내부에는 사각홈과 원형홈이 연하여 형성되고, 사각홈에는 메인작동로드(300)의 사각형상 부위가 일부 걸림되고 원형홈에는 슬립부(302)가 끼워지며, 단부에는 삽입부(303)가 형성되고, 삽입부(303)는 와셔(304)를 관통하여 부정행위방지레버(120)와 끼워지도록 구성되되, 원형홈의 테두리에 반경방향을 높이차를 두어 상기 부정행위방지레버(120)를 돌리게 되면 상기 메인작동로드(300)가 약간 밀리면서 사각홈에 걸려 있던 부분이 빠지게 되어 결국 슬립부(302)만 회동체(160)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아이들하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부정행위자가 내부로 와이어 등의 수단을 투입시킨 다음 실내측 작동레버(110)를 조작한다고 해도 부정행위방지 기능이 가동중에는 회동체(160)가 아이들하게 회전하므로, 즉 회동체(160)는 회전하는데 메인작동로드(300)는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 부정행위방지레버(120)는 실내측 바디(100)의 하단 외측과 실내측 작동레버(110) 사이에 숨어 있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조작이 불가능하다.
반면, 부정행위방지레버(120)가 잠겨 있는 상태라도 실외측에서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과정을 밟아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부정행위방지레버(120)의 잠김 유무와 상관없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다만, 도어 개방 후 실내측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정행위방지레버(1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바디는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은 물론 이중안전기능, 부정행위방지기능이 부가된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100 : 실내측 바디 110 : 실내측 작동레버
200 : 실외측 바디 210 : 실외측 작동레버
300 : 메인작동로드 310 : 데드볼트작동로드
400 : 스위치본체 410 : 리미트스위치

Claims (8)

  1. 삭제
  2. 실내측 및 실외측 바디와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푸시 혹은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상기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푸시 혹은 풀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 동력전환부재와; 상기 동력전환부재와 걸림되어 상하유동시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삽입되고, 실내외측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연결된 메인작동로드와; 상기 모티스와 연결되어 메인작동로드 동작시 데드볼트를 개폐하는 데드볼트 작동로드와;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양단에 결합되고,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 상에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개폐노브를 포함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바디의 외측면 하단에는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작동로드와 회동체 간의 동력을 단속시키는 부정행위방지레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동력전환부재는 중앙부가 상하로 절개되어 Y형상을 이루며, 상단은 상하로 단차를 두고 절곡되어 상기 실내측 작동레버와 상하로 엇갈리게 결합되고, 몸체 일부에는 상하로 단차를 두고 끼움공이 형성되며, 끼움공에는 상기 회동체에 돌출된 동력발생돌기와 엇갈리게 걸림고정되는 동력발생로드가 끼워진 구조이고;
    상기 실외측 동력전환부재는 H형상을 이루며, 양측면에는 사선방향으로 절개된 동력발생홈이 천공형성되고, 동력발생홈에는 실외측 작동레버에 설치된 유동축이 끼워지며, 하단 내부에는 회동체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와 엇갈리게 걸림고정되어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회동체의 하면 일부는 실외측 바디의 하측에 내장된 비상키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막아 이중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이중잠금레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중잠금레버와 리미트스위치 사이에는 데드볼트작동로드의 회전동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이중잠금레버의 잠금과 해제를 제어하는 안전잠금편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일단은 상기 실내측 개폐노브와 연결되고 연장된 노브연장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와 연결된 노브연장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는 스프링의 개재하에 탄성복귀되도록 노브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가 상기 노브연장부와 결합되는 부분은 단차 가공을 통해 상기 실외측 개폐노브가 외측으로 후퇴되었을 때에만 상기 노브연장부를 회동시키고 전진된 정상상태에서는 자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20100016166A 2010-02-23 2010-02-23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111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66A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0-02-23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66A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0-02-23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44A KR20110096744A (ko) 2011-08-31
KR101115258B1 true KR101115258B1 (ko) 2012-02-15

Family

ID=4493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166A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0-02-23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2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622B1 (ko) 2013-03-26 2014-04-10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KR200473527Y1 (ko) 2013-03-13 2014-07-08 (주)혜강씨큐리티 핸들에 핸들커버가 구비된 도어락
KR20160000788A (ko) 2014-06-25 2016-01-05 남경훈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90028581A (ko) 2017-08-25 2019-03-19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200489832Y1 (ko) 2018-09-19 2019-08-19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102031721B1 (ko) 2018-09-21 2019-10-14 (주)유니코 하이테크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20220126831A (ko)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90B1 (ko) * 2012-05-23 2013-09-10 (주)혜강씨큐리티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480508B1 (ko) * 2013-03-11 2015-0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
KR101793490B1 (ko) * 2016-12-14 2017-11-06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KR101793491B1 (ko) * 2016-12-14 2017-11-06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KR20080099574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수퍼락 양방향 푸시풀 도어락 바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KR20080099574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수퍼락 양방향 푸시풀 도어락 바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27Y1 (ko) 2013-03-13 2014-07-08 (주)혜강씨큐리티 핸들에 핸들커버가 구비된 도어락
KR101383622B1 (ko) 2013-03-26 2014-04-10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KR20160000788A (ko) 2014-06-25 2016-01-05 남경훈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90028581A (ko) 2017-08-25 2019-03-19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200489832Y1 (ko) 2018-09-19 2019-08-19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102031721B1 (ko) 2018-09-21 2019-10-14 (주)유니코 하이테크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20220126831A (ko)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44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258B1 (ko)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11150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656027B1 (ko)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US20050199025A1 (en) Latching devices for gates and doors
AU2009229472A1 (en) Micro motor locking system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CN105298225A (zh) 插锁
AU2003244611B2 (en) A lock mechanism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0894319B1 (ko)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록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JP3099000U (ja) 電子錠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2123861B1 (ko) 도어 락용 세이프티 핸들 어셈블리
JP3906407B2 (ja) カ−ド式錠装置
KR20041886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제어장치
KR200445717Y1 (ko) 목재재질의 도어용 디지털도어락
TWI725893B (zh) 防盜鐵窗之鎖扣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