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581A -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581A
KR20190028581A KR1020170107985A KR20170107985A KR20190028581A KR 20190028581 A KR20190028581 A KR 20190028581A KR 1020170107985 A KR1020170107985 A KR 1020170107985A KR 20170107985 A KR20170107985 A KR 20170107985A KR 20190028581 A KR20190028581 A KR 20190028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door
coupled
spring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267B1 (ko
Inventor
강윤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Priority to KR102017010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5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도어의 측면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걸쇠가 출몰작동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도어락 어셈블리의 걸쇠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며 도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도어핸들;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도어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틸팅베이스; 틸팅베이스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며 도어락 어셈블리의 걸쇠의 출몰작동을 제어하여 도어핸들이 결합되는 틸팅아암; 틸팅아암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스프링; 스프링과 틸팅아암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틸팅베이스에 결합되는 틸팅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틸팅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도어 손잡이의 작동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어 도어 손잡이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비용 낭비 없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PUSH PULL DOOR LOCK}
개시되는 내용은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락(Door Lock)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어락 바디(Body)는 도어락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면서 도어의 측단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인 모티스(Mortise)와 연결되어 상기 모티스의 개폐 동작을 위한 주장치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도어락 바디는 보통 도어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기 대향 설치되는 작동레버가 각기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유동시키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형식의 모티스와 연결되어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는 회동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회동식 도어락은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레버를 반드시 회전시켜야 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최근에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혹은 당기기만 해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쉬풀형 도어락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 풀 도어는 도어 손잡이의 방향,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따라 구분되어 제작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방향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 중에 문의 위치가 바뀌면서 도어 손잡이의 위치가 바뀔경우에는 다시 제품을 구입해야하므로 추가적인 비용 부담과 재 시공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258호
개시되는 내용은, 도어 손잡이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도어의 측면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걸쇠가 출몰작동하는 도어락 어셈블리와, 도어락 어셈블리의 걸쇠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며 도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도어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어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틸팅베이스; 틸팅베이스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며 도어락 어셈블리의 걸쇠의 출몰작동을 제어하여 도어핸들이 결합되는 틸팅아암; 틸팅아암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스프링; 스프링과 틸팅아암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틸팅베이스에 결합되는 틸팅커버를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틸팅아암은, 상기 틸팅베이스의 링크편 관통홈으로 관통되는 링크편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핸들이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되며, 착설홈에 삽입되는 바디로 구성되며, 바디의 일측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틸팅베이스의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는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형성되며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틸팅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도어 손잡이의 작동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어 도어 손잡이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비용 낭비 없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부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의 양측 틸팅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의 양측 틸팅아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부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의 양측 틸팅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의 양측 틸팅아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A)는, 도어(100)의 측면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걸쇠(220)가 출몰작동하는 도어락 어셈블리(200); 상기 도어락 어셈블리(200)의 걸쇠(220)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며 도어(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도어핸들(H);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어(100)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틸팅베이스(4); 틸팅베이스(4)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락 어셈블리(200)의 걸쇠(220)의 출몰작동을 제어하여 도어핸들(H)이 결합되는 틸팅아암(6); 틸팅아암(6)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스프링(8); 스프링(8)과 틸팅아암(6)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틸팅베이스(4)에 결합되는 틸팅커버(9);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베이스(4)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도어(100)의 외면에 나사 체결로 부착된다.
틸팅베이스(4)는 일측에 원형으로 요입형성되는 결합홈(42)과, 상기 결합홈(42) 보다 더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며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43)가 형성된 착설홈(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설홈(44)의 상단 양측에는 피벗축 결합부(45)가 형성된다.
피벗축 결합부(45)는 결합홈(42)의 양측에 대칭 형성된다.
착설홈(44)의 저면에는 후술될 틸팅아암(6)의 링크편(62)이 관통결합되는 링크편 관통홈(442)이 형성된다.
틸팅아암(6)은 상기 틸팅베이스(4)의 결합홈(42)과 착설홈(44)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피벗축 결합부(45)에 결합되는 피벗축(46)이 양측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며 도어핸들(H)이 결합된다.
틸팅아암(6)은 일방향으로 회전작동된 후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틸팅아암(6)은, 틸팅베이스(4)의 링크편 관통홈(442)으로 관통되는 링크편(62)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핸들(H)이 결합되는 보스(63)가 형성되며, 상기 착설홈(44)에 삽입되는 바디(64)로 구성된다.
바디(64)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링크편(62)이 길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사각형의 보스(6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디(64)의 외면 양측에는 피벗축(46)이 관통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바디(64)의 일측에는 스프링(8)이 삽입되도록 스프링안착홈(65)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베이스(4)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43)는 좌측 또는 우측에 각기 형성되며 이격 형성된다.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43) 중 어느 하나에 스프링(8)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스프링(8)은 바디(64)의 스프링안착홈(65)에 삽입됨으로써 바디(64)를 일측으로 밀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틸팅아암(6)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틸팅커버(9)는 틸팅아암(6)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베이스(4)의 결합홈(42)에 결합되어 틸팅아암(6)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부품의 유실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틸팅커버(9)는 결합홈(42)에 삽입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호형의 곡률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틸팅아암(6)의 회전작동에 동반되어 결합홈(42)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작동시 측면이 결합홈(42)의 내주벽면에 걸리는 폐단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100)의 양면에 각기 틸팅베이스를 부착한다. 구별의 편의상 도어 내측면과 도어 외측면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결합되는 내측 틸팅베이스(4)와 외측 틸팅베이스(4')로 구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틸팅베이스(4)를 보면 2개의 스프링고정돌기(43)가 링크편 관통홈(442) 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외측 틸팅베이스(4')는 2개의 스프링고정돌기(43)가 링크편 관통홈(442) 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틸팅베이스(4)에 결합되는 틸팅아암(6)의 링크편(62)과, 외측 틸팅베이스(4')에 결합되는 틸팅아암(6)의 링크편(62)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양측 틸팅아암(6)의 각각의 링크편(62)은 도어락 어셈블리(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걸쇠(220)의 인출 및 인입 작동을 구동시키게 된다. 도어락 어셈블리(200)의 내부 구성 및 걸쇠(220)의 연결되는 구성은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에서 도어핸들(H)을 당기면 도어락 어셈블리(200)의 걸쇠(220)가 인입됨으로써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100)가 열린다.
또는 안쪽에서는 도어핸들(H)을 밀면 도어락 어셈블리(200)의 걸쇠(220)가 인입됨으로써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100)가 열린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H)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을 경우는 도어핸들(H)을 분리하고, 틸팅커버(9)를 개방한 후 틸팅아암(6)을 분리한 다음 스프링(8)의 위치를 변경시켜 원래 고정된 위치였던 일측 스프링고정돌기(43)로부터 분리하여 타측의 스프링고정돌기(43)로 이동시켜 스프링(8)을 장착한다.
이후 틸팅아암(6)을 180° 반전시켜 스프링안착홈(65)이 변경된 스프링(8)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조정한다.
이후 틸팅커버(9)를 결합한 후 도어핸들(H)의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로 틸팅아암(6)의 보스(63)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변경 방식에 의해 도어핸들(H)의 방향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변경가능하게 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4 ; 틸팅베이스 6 : 틸팅아암
8 :스프링 9 : 틸팅커버
42 : 결합홈 44 : 착설홈
43 : 스프링고정돌기 45 : 피벗축 결합부
62 : 링크편 63 : 보스
64 : 바디 65 : 스프링안착홈
442 : 관통홈

Claims (4)

  1. 도어의 측면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걸쇠가 출몰작동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상기 도어락 어셈블리의 걸쇠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며 도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도어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어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틸팅베이스;
    상기 틸팅베이스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락 어셈블리의 걸쇠의 출몰작동을 제어하여 도어핸들이 결합되는 틸팅아암;
    상기 틸팅아암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틸팅아암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틸팅베이스에 결합되는 틸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베이스는
    요입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 보다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며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된 착설홈을 포함하고,
    상기 착설홈의 양측에 피벗축 결합부가 대칭 형성되며,
    상기 착설홈의 저면에는 링크편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아암은,
    상기 틸팅베이스의 링크편 관통홈으로 관통되는 링크편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도어핸들이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착설홈에 삽입되는 바디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의 일측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베이스의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는 좌측 또는 우측에 각기 형성되며 이격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에 스프링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커버는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호형의 곡률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20170107985A 2017-08-25 2017-08-25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199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85A KR101992267B1 (ko) 2017-08-25 2017-08-25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85A KR101992267B1 (ko) 2017-08-25 2017-08-25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581A true KR20190028581A (ko) 2019-03-19
KR101992267B1 KR101992267B1 (ko) 2019-06-25

Family

ID=6590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85A KR101992267B1 (ko) 2017-08-25 2017-08-25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844A (zh) * 2019-07-31 2019-11-08 浙江大学山东工业技术研究院 一种推拉门锁及系统
KR102627404B1 (ko) * 2023-05-03 2024-01-19 주식회사 거도산업 일방향 개폐형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762A (ko) * 2000-10-24 2002-05-03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JP2005264487A (ja) * 2004-03-17 2005-09-29 Miwa Lock Co Ltd プッシュプル錠のハンドル機構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20160000788A (ko) * 2014-06-25 2016-01-05 남경훈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762A (ko) * 2000-10-24 2002-05-03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JP2005264487A (ja) * 2004-03-17 2005-09-29 Miwa Lock Co Ltd プッシュプル錠のハンドル機構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20160000788A (ko) * 2014-06-25 2016-01-05 남경훈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844A (zh) * 2019-07-31 2019-11-08 浙江大学山东工业技术研究院 一种推拉门锁及系统
KR102627404B1 (ko) * 2023-05-03 2024-01-19 주식회사 거도산업 일방향 개폐형 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267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TW201901005A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US20020163209A1 (en) Inner handle assembly of a sliding door
KR101992267B1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0575157B1 (ko) 컴퓨터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JP4823874B2 (ja) 電気錠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1847986B1 (ko) 도어의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록 장치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2019107265A (ja) 家具におけるハンドルケース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0342341Y1 (ko) 소화전함 도어용 개폐장치의 잠금구 구조
KR102362325B1 (ko) 안전 손잡이 잠금 장치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100010220A (ko) 자석손잡이를 이용한 자동식 도어 잠금장치
JP2004225384A (ja) プッシュ・プル錠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KR200386046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JP5110515B2 (ja) 開閉装置
KR20180002166U (ko)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손잡이
JP2016037713A (ja) 錠前金具
KR200284630Y1 (ko) 보조 자물쇠용 안전장치
KR101569990B1 (ko) 사물함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