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404B1 - 일방향 개폐형 펜스 - Google Patents

일방향 개폐형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404B1
KR102627404B1 KR1020230057478A KR20230057478A KR102627404B1 KR 102627404 B1 KR102627404 B1 KR 102627404B1 KR 1020230057478 A KR1020230057478 A KR 1020230057478A KR 20230057478 A KR20230057478 A KR 20230057478A KR 102627404 B1 KR102627404 B1 KR 10262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opening
hinge
cam
clos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장보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도산업
Priority to KR102023005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로와 도로변이 인접되는 지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일측이 상기 지주와 힌지로 연결되며, 도로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개폐각을 제한하는 개폐각제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각제한부는, 상기 벽체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벽체의 개폐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펜스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하여 보행자가 도로 방향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펜스의 개폐각이 제한되도록 하여 펜스가 개방되더라도 보행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방향 개폐형 펜스{One-way opening and closing fence}
본 발명은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에서만 개방이 가능하여 평상시에는 인도의 보행자를 보호가능하되, 유사시에는 도로에서 인도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보호구역의 통학로나, 보행로에서 도로와 인접한 가장자리에는 보행자 보호용 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펜스는 보차분리를 위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해당구역 내에서 차량운전자가 도로변에 단기간 정차하여 점포를 이용할 때 해당 펜스에 의해 이용객의 출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되어 정차하는 경우, 후속 차량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는 보행로 측에서 대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펜스에 의해 운전자가 보행로로 넘어가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행자 보호용 펜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71025를 살펴보면, 두 펜스 사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개폐가능한 개폐형 안전펜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보행로 측에서도 개방이 가능하여 펜스가 차도를 침범하여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어린이가 보행로를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71025호 (2022.03.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행자 보호용 펜스가 도로에서 보행로측 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있어서, 보행로와 도로변이 인접되는 지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일측이 상기 지주와 힌지로 연결되며, 도로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개폐각을 제한하는 개폐각제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각제한부는, 상기 벽체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벽체의 개폐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펜스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하여 보행자가 도로 방향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스의 개폐각이 제한되도록 하여 펜스가 개방되더라도 보행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를 도로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 잠금부재에 의해 벽체가 지주에 고정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 잠금해제부에 의해 벽체가 보행로 방향으로 개방된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를 도로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작동레버가 하부에 설치된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평면도로, 벽체가 지주에 고정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평면도로, 스토퍼에 의해 벽체의 개폐각이 제한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평면도로, 벽체가 지주에 고정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평면도로, 구배공간부에 의해 벽체의 개폐각이 제한된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캠부와 간섭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힌지의 중앙부에 대한 단면도로, 간섭부재가 맞닿으며 개폐각이 제한된 모습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를 도로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 잠금부재와 잠금해제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 제4실시예의 잠금해제부에 의해 벽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를 도로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작동버튼이 하부에 설치된 모습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행로와 도로변이 인접되는 지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100), 일측이 상기 지주(100)와 힌지(50)로 연결되며, 도로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벽체(200) 및,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을 제한하는 개폐각제한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각제한부(300)는, 상기 벽체(200)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벽체(200)의 개폐각을 제한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도로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펜스가 선택에 따라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펜스가 개방되는 개폐각이 제한되도록 하여 펜스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보행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보행로 측의 보행자가 펜스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지주(100)는, 상기 보행로와 도로의 인접면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나열되며 직립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100)는, 상기 벽체(200)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벽체(200)가 상기 보행로와 도로의 인접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벽체(200)가 외부 충격에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지주(100)는 사각기둥 형태로 마련되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원기둥이나, 다른 형태의 모습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는, 상기 벽체(200)가 힌지(5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회전축 역할을 하는 지주(100A)와, 상기 벽체(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주(100B)로 구분되었으나, 상기 지주(100)와 벽체(200)는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지주(100)가 상기 벽체(200)의 회전축과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벽체(200)는, 상기 지주(100)에 의해 고정되어 도로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벽체(200)는, 상기 지주(100A)와 결합된 힌지(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A)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벽체(200)는, 평상시에는 고정되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벽체(200)는, 상기 벽체(200)의 측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벽체(200)와 힌지(50) 연결되는 지주(100A)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주(100B)에 결속될 수 있는 잠금부재(210), 상기 벽체(200)의 양면 중 도로방향의 일면에 마련되며, 작동 시 상기 잠금부재(210)의 결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부(220) 및, 상기 벽체(200)의 양면 중 보행로 측의 일면에 설치되며, 회전반경 내에 상기 지주(100)가 닿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벽체(200)가 도로측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플레이트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210)는, 상기 벽체(200)의 내측에 인입되거나, 상기 벽체(20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부재(210)는, 상기 벽체(200)의 측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주(100B) 내에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21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211)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211)는 코일형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잠금부재(210)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주(100)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부재(2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인입부(101)가 구비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잠금부재(210)가 상기 탄성부재(211)에 의해 바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입부(101) 내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벽체(200)의 일측이 상기 잠금부재(210)에 의해, 지주(100B)에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210)는,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되되, 일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마련된다. 예를들면, 상기 잠금부재(210)는, 도로 방향과 대응되는 부분이 둥글게 마련되고, 보행로 방향과 대응되는 부분이 평평하게 마련된다. 이로인해, 상기 벽체(200)가 보행로 측에서 도로 방향으로 회전되며 폐쇄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10)의 둥근면이 상기 인입부(101)의 일측과 닿으며 슬라이딩되어 상기 잠금부재(210)가 자연스럽게 상기 벽체(200)의 내측으로 인입되었다가, 다시 상기 잠금부재(210)가 돌출되며 상기 인입부(10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부(220)는, 상기 잠금부재(210)가 상기 벽체(200)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하여 상기 벽체(20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부(220)는, 사용자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가능한 작동레버(221), 상기 작동레버(221)에 의해 축회전되는 작동축(222) 및 상기 작동축(222)과 잠금부재(210)를 연결하는 판스프링(2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221)는, 상기 잠금부재(210)와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재(210)가 벽체(20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작동레버(221)는, 상기 벽체(200)의 일측에 마련된 작동축(22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작동레버(221)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작동축(221)을 기준으로 보행로나 도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23)은, 일단부가 상기 작동축(22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축(2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타단부가 상기 잠금부재(21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23)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221)가 상기 보행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축(222)에 판스프링(223)이 감겨지며, 상기 잠금부재(210)가 벽체(200)의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잠금부재(210)에 의한 벽체(200)의 결속이 해제되어 상기 벽체(200)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 위의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일 때, 사용자는 보행로 위로 탈출하기 위해 상기 벽체(200)가 개방될 수 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잠금해제부(220)는, 보행로 방향으로 가압되면 작동하는 방식으로, 유사시에 사용자가 상기 벽체(20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부(220)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위치 외에 발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레버나, 버튼 형태 외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해제부(220)가 발을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설치된 모습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부(220)가 하부에 마련된 경우, 상기 작동레버(221)가 벽체(20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밀어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각제한부(300)는, 상기 벽체(200)가 개방되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개폐각제한부(300)는, 상기 벽체(200)와 힌지(50) 연결되는 지주(100)로부터 상기 벽체(200) 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31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10)는, 상기 벽체(200)가 개방될 때, 상기 벽체(200)의 회전반경에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스토퍼(310)는, 상기 벽체(200)의 회전축에 해당되는 지주(100A)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지주(100A)로부터 벽체(200)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10)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310)의 단면은, 지주(100) 측의 면이 벽체(200) 측의 면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10)는, 일면이 상기 벽체(200)와 이격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10)와 벽체(200)가 이격된 간격만큼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이 확보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벽체(200)가 회동되어 보행로 측으로 개방되는 경우,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벽체(200)의 일면과 상기 스토퍼(310)의 일면이 맞닿게 되며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200)는, 상기 스토퍼(310)와 맞닿는 부분이 굴곡지도록 마련되어 형성되는 굴곡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310)의 측면부를 감싸며 컴팩트하게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230)는, 상기 스토퍼(310)가 상기 벽체(200)와 맞닿을 때 작용받는 모멘트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굴곡부(230)는, 개방중인 벽체(200)와 스토퍼(310)가 맞닿은 경우, 상기 벽체(200)에 의해 스토퍼(310)에 가해지는 힘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310)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310)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인해, 상기 스토퍼(310)는, 상기 벽체(200)가 최대 개폐각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힘이 가해질 때, 탈락되지 않고 상기 벽체(200)의 제한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와 지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마련되어 이격된 만큼의 개폐각이 설정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이 외 중첩되는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각제한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각제한부(400)는, 상기 벽체(200)와 지주(100) 사이에 마련되는 구배공간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구배공간부(410)는, 상기 벽체(200)의 양단부 중 힌지(50) 연결되는 부분의 일단부가 사선지게 마련되어, 상기 지주(100)와 벽체(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마련된다. 예를들면, 도 7과 같이, 상기 벽체(200)와 지주(100)를 수직으로 내려다 본 모습인 평면도에서, 상기 구배공간부(410)는, 상기 벽체(200)의 단부면을 빗면으로 한 직각삼각형 형태로 마련된다. 즉, 상기 구배공간부(410)는, 상기 벽체(200)의 단부면이 지주(200)와 이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벽체(200)가 보행로 방향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벽체(200)의 단부면이 지주(200)에 맞닿게 되며 더 이상 개방될 수 없는 것이다. 상기 구배공간부(41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된 공간이 넓을수록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이 더 확장되는 것이고, 공간이 좁을수록 상기 벽체의 개폐각이 보다 축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의 캠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벽체의 개폐각이 제한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이 외 중첩되는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벽체(200)의 개폐각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50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500)는, 상기 지주(100)와 벽체(2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경첩부(510), 상기 경첩부(510)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고정핀(501)에 의해 동축으로 회전가능한 캠부(520) 및, 상기 캠부(520)의 단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간섭부재(530)를 포함한다. 상기 경첩부(510)는, 상기 벽체(200)와 지주(100)에 각각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경첩부(510)는, 상기 지주(100)에 설치되는 제1경첩(511) 및 상기 벽체(200)에 설치되는 제2경첩(5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첩부(510)는, 철편 형태로 상기 지주(100)와 벽체(200)에 체결될 수 있으나, 상기 지주(100)와 벽체(20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캠부(520)는, 상기 경첩부(5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핀(501)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경첩(511)에 마련되는 캠부(520)를 제1캠(521)이라 하고, 상기 제2경첩(512)에 마련되는 캠부(520)를 제2캠(522)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첩(511)과 제2경첩(512)가 나란히 배치되면, 상기 제1캠(521)과 제2캠(522)이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501)에 의해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캠(521)과 제2캠(522)은, 상기 고정핀(501)에 의해 동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521)은, 상기 제2캠(5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있으나, 상기 경첩부(510)의 설치 방법에 따라 위치가 역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530)는, 상기 캠부(520)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530)의 단면은, 서로 다른 반지름의 두 부채꼴의 호와 현으로 감싸진 형태로, 알파벳 ‘C’가 이등분된 형상과 같이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간섭부재(530)는, 상기 제1캠(521)과 제2캠(522)의 단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캠(521)에 마련되는 제1간섭부재(531) 및 상기 제2캠(522)에 마련되는 제2간섭부재(5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간섭부재(530) 중 제1캠(52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간섭부재(531)는, 상기 제2캠(522)의 하단부와 맞닿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530) 중 제2캠(522)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간섭부재(532)는, 상기 제2캠(521)의 상단부와 맞닿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캠(521) 및 제2캠(522)에 각각 마련된 제1,제2간섭부재(531,532)는, 서로 동일한 원주 상에서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측면이 서로 맞닿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벽체(200)가 보행로 방향으로 개방될 때, 도 11과 같이, 상기 제2간섭부재(532)가 상기 제1간섭부재(531)에 닿으면서 개폐각이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형 펜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해제부가 레버 형태가 아닌 버튼 형태로 마련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이 외 중첩되는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지주(100)에 연결되는 벽체(600)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600)는, 상기 벽체(600)가 지주(100)에 결속되도록 하는 잠금부재(610), 상기 잠금부재(610)의 결속을 해제시키는 잠금해제부(6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잠금해제부(620)는, 상기 벽체(600)의 일면에 마련되는 작동버튼(621), 상기 작동버튼(621)에 연결되는 제1랙기어(622), 상기 제1랙기어(622)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623) 및 상기 피니언기어(623)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2랙기어(6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버튼(621)은, 상기 벽체(600)의 일면으로부터 도로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작동버튼(621)은, 사용자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 가압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버튼(621)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잠금부재(610)가 벽체(6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벽체(60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면, 상기 제1랙기어(622)는, 상기 작동버튼(621)이 가압되어 인입되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623)는, 상기 제1랙기어(622)에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랙기어(622)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운동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623)는, 상기 제2랙기어(624)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2랙기어(624)가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랙기어(624)는, 상기 잠금부재(610)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송 될 수 있고, 상기 잠금부재(610)의 후단부와 연결된다. 즉, 상기 작동버튼(621)이 가압되면, 상기 제2랙기어(624)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610)가 당겨지며 벽체(600) 내측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621)에 대한 가압이 정지되면, 상기 탄성부재(611)에 의해 제2랙기어(624)가 다시 원복되어 상기 작동버튼(621)도 함께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부(620)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위치 외에 발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해제부(620)가 발을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설치된 모습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부(620)가 하부에 설치되면, 상기 작동버튼(621)이 벽체(6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버튼(621)을 밟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 힌지
51 : 고정핀
100 : 지주
101 : 인입부
200 : 벽체
210 : 잠금부재
211 : 탄성부재
220 : 잠금해제부
221 : 작동레버
222 : 작동축
223 : 판스프링
230 : 굴곡부
240 : 플레이트부재
300 : 개폐각제한부
310 : 스토퍼
400 : 개폐각제한부
410 : 구배공간부
500 : 힌지
501 : 고정핀
510 : 경첩부
511 : 제1경첩
512 : 제2경첩
520 : 캠부
521 : 제1캠
522 : 제2캠
530 : 간섭부재
531 : 제1간섭부재
532 : 제2간섭부재
600 : 벽체
610 : 잠금부재
611 : 탄성부재
620 : 잠금해제부
621 : 작동버튼
622 : 제1랙기어
623 : 피니언기어
624 : 제2랙기어

Claims (5)

  1. 보행로와 도로변이 인접되는 지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일측이 상기 지주와 힌지로 연결되며, 도로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개폐각을 제한하는 개폐각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벽체의 측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벽체와 힌지 연결되는 지주의 반대편에 위치한 지주에 결속될 수 있는 잠금부재; 및
    상기 벽체의 양면 중 도로방향의 일면에 마련되며, 작동 시 상기 잠금부재의 결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잠금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사용자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가능한 작동레버;
    상기 작동레버에 의해 축회전되는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과 잠금부재를 연결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각제한부는,
    상기 벽체와 힌지 연결되는 지주로부터 상기 벽체 측으로 돌출되어 벽체와 맞닿으며,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사다리꼴 형태의 스토퍼 측면부를 감싸며 컴팩트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와 맞닿는 부분이 굴곡지도록 마련되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지주와 벽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경첩부;
    상기 경첩부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고정핀에 의해 동축으로 회전가능한 캠부; 및
    상기 캠부의 단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첩부는,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제1경첩 및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제2경첩으로 구성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제1경첩에 마련되는 제1캠 및 제2경첩에 마련되는 제2캠으로 구성되고,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제1캠과 제2캠의 단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알파벳 ‘C’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캠에 마련되는 제1간섭부재 및 상기 제2캠에 마련되는 제2간섭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간섭부재 및 제2간섭부재는, 서로 동일한 원주 상에서 동축으로 회전되면서 측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상기 벽체의 개폐각이 제한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각제한부는, 상기 벽체가 도로에서 보행로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벽체의 개폐각을 제한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되되, 도로방향과 대응되는 부분의 일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벽체가 보행로 측에서 도로 방향으로 회전되며 폐쇄되는 경우, 상기 인입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자연스럽게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벽체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에 의해 밀려지며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작동축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타단부가 상기 잠금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보행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축에 판스프링이 감겨지며, 상기 잠금부재가 벽체의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벽체가 개방될 때, 상기 벽체의 회전반경에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체의 개폐각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벽체와 스토퍼가 맞닿은 경우, 상기 벽체에 의해 스토퍼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스토퍼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벽체의 제한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개폐형 펜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57478A 2023-05-03 2023-05-03 일방향 개폐형 펜스 KR10262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478A KR102627404B1 (ko) 2023-05-03 2023-05-03 일방향 개폐형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478A KR102627404B1 (ko) 2023-05-03 2023-05-03 일방향 개폐형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404B1 true KR102627404B1 (ko) 2024-01-19

Family

ID=8971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478A KR102627404B1 (ko) 2023-05-03 2023-05-03 일방향 개폐형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9951A (ja) * 2000-08-31 2002-03-08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開閉扉を備えるガードレール
KR20060116144A (ko) * 2006-02-07 2006-11-14 남중선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20110047958A (ko) * 2009-10-30 2011-05-09 조용준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여닫이 도어
KR101565283B1 (ko) * 2015-07-02 2015-11-06 (주)스페이스탑 여닫이문 열림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스토퍼
KR20190028581A (ko) * 2017-08-25 2019-03-19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2371025B1 (ko) 2021-05-11 2022-03-10 주식회사 대도 개폐형 안전펜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9951A (ja) * 2000-08-31 2002-03-08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開閉扉を備えるガードレール
KR20060116144A (ko) * 2006-02-07 2006-11-14 남중선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20110047958A (ko) * 2009-10-30 2011-05-09 조용준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여닫이 도어
KR101565283B1 (ko) * 2015-07-02 2015-11-06 (주)스페이스탑 여닫이문 열림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스토퍼
KR20190028581A (ko) * 2017-08-25 2019-03-19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2371025B1 (ko) 2021-05-11 2022-03-10 주식회사 대도 개폐형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024929C2 (de) Zylinderschloß
CN104285026B (zh) 儿童安全闸门
KR102627404B1 (ko) 일방향 개폐형 펜스
KR101663461B1 (ko) 개폐가능 펜스
US20110308446A1 (en) Expandable traffic cone
DE10204422A1 (de) Drehfallenverschluss
EP0133193B1 (de) Mit Permutationsschloss ausgerüsteter Verschluss für Koffer oder dergleichen
KR101293619B1 (ko) 전개형 안전펜스를 갖는 도로용 가이드레일
DE602005004953T2 (de) Fahrradständer
CN1108348A (zh) 可改变的梯子组件
KR100963242B1 (ko) 매립식 자전거 보관대
KR102385140B1 (ko) 트랩형 노면 경전철 도로용 안전 난간
DE3044912A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eine tuer o.dgl.
JP3198423U (ja) スライド型門扉
KR102522941B1 (ko)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DE2261029A1 (de) Schnallen-kombinationsschloss
CN107117407A (zh) 一种门端闭锁装置及集装箱笼架
DE202017006952U1 (de) Fahrradfaltschloss mit Gelenkschutz
KR200244680Y1 (ko) 차량 높이 제한장치
KR101251954B1 (ko) 상하 이동식 볼라드
JP2000129638A (ja) 車椅子用ゲート
DE602005001058T2 (de) Sicherheitsbügel
US6758072B1 (en) Vehicular steering wheel lock
JP3973214B2 (ja) 駐輪場用ゲート
DE202013004326U1 (de) Koffersch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