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21B1 -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21B1
KR102031721B1 KR1020180113705A KR20180113705A KR102031721B1 KR 102031721 B1 KR102031721 B1 KR 102031721B1 KR 1020180113705 A KR1020180113705 A KR 1020180113705A KR 20180113705 A KR20180113705 A KR 20180113705A KR 102031721 B1 KR102031721 B1 KR 10203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andle
door
disposed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헌승
Original Assignee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코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8011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E05B3/065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with spring biasing means for moving the handle over a substantial distance, e.g. to its horizont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이 회전기어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스토퍼의 조합에 의해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행할수 있는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어의 내외측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손잡이가 부가된 통상의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면서 모티스에 배설된 레치볼트를 작동시키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외측에 부설되어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Handle rotation control apparatus of door lock}
본 발명은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이 회전기어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스토퍼의 조합에 의해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행할수 있는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도어락은 거주자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지문을 인식하게한 다음에 손잡이를 좌,우로 회전시켜 모티스를 구성하는 레치기어를 해제하므로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 도어를 개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소위 풀-푸쉬 타입의 디지털 도어락은 실외측과 실내측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 방향을 미리 고려하여 실외측과 실내측 본체를 구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즉 도어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형태일 경우에 실외측 손잡이는 당겨야 회동이 이루어지고, 실내측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밀어서 회동되는 구조이어야 만이 도어의 개방방향과 손잡이의 회동방향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도어락의 제작단계에서 각 본체의 손잡이 연동구조가 일방향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도어락의 설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15064호의 등록특허공보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15258호의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승강 랙기어와 회동기어 및 스토퍼의 구조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필요 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내외측 본체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동일 방향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하부에 손잡이에 배설된 사각축이 결합되는 사각홀이 형성되고, 상부의 일측면에 회전기어에 배설된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부가된 수용부가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부재와, 중앙에 사각홀이 형성된 소구경부와, 상기 소구경부의 외측에 좌,우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중구경부 및 일측면에 기어가 배설되어 있는 대구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구성하는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면서 모티스에 배설된 레치볼트를 작동시키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외측에 부설되어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돌기부와, 하우징에 배설된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2개의 슬아이드 홈과, 좌우이동을 손쉽게 행하기 위한 노브와, 고정볼트에 의해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승강 랙기어를 상,하로 작동시켜 내측에 설치된 회전기어와 연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기어의 회동방향을 결정하는 스토퍼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므로 내,외측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 랙기어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기어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a)(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상태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 랙기어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기어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토퍼부재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어가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실외측 본체(10)의 손잡이(15)를 밀거나 실내측 손잡이를 당겨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도어의 개방방향에 따라 반대의 구성 즉 실외측 본체(10)의 손잡이(15)를 당기거나 실내측 본체의 손잡이를 밀어서 도어를 실외측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구성과 이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대별하면 실외측 본체와 실내측 본체로 사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서 전,후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손잡이(15)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손잡이(15)의 작동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승강부재(20)와, 상기 승강부재(20)를 구성하는 수용부(18)에 설치되어 승강부재(20)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기어(30) 및 이 회전기어(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는 손잡이(15)이 부설된 사각축(12)을 삽입하기 위한 사각홀(1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기어(30)에 형성된 기어(27)와 치합되는 랙기어(17)가 부설된 수용부(18)가 일체로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20)를 구성하는 수용부(18)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기어(30)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중앙에는 사각홀(22)이 형성된 소구경부(23)와, 이 소구경부(23)의 외측에는 좌,우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안내홈(24)이 형성된 중구경부(26) 및 일측면에 기어(27)가 배설되어 있는 대구경부(2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30)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40)는 상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돌기부(32)와, 하우징(10)에 고정된 가이드핀(7)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2개의 슬라이드홈(34)과, 스토퍼 부재(40)의 좌우이동을 손쉽게 행하기 위한 노브(36)와, 고정볼트(39)를 이용하여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체결공(38)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토퍼부재(30)는 도어락을 설치할 도어의 구조에 따라 도 5(a)와 도 5(b)에 예시한 바와같이, 중앙부에 부설된 노브(36)를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므로서 회전기어(30)의 회전방향을 절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기어(30)의 좌,우에 배설되어 있는 안내홈(24)의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므로서 회전각도로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5)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20)와, 이 승강부재(20)와 연동되는 회전기어(30) 및 이 회전기어(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4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승강부재(20)의 상승과 하강은 손잡이(15)를 전측으로 밀게 되면 상승하고, 놓게 되면 내설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승강부재(20)는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므로서 모티스에 배설되어 있는 레치볼트가 외부로 인출되어 도어가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10)에 장착된 손잡이(15)를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키면 손잡이(15)에 부설되어 있는 사각축(12)에 의해서 승강부재(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20)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기어(3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20)가 상승하면 이에 부가된 랙기어(17)와 회전기어(30)를 구성하는 기어(27)의 치합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하강하면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치볼트가 모티스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락은 도어에 설치한 다음에 사용자가 손잡이(15)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회전시키면 사각축(12)의 상,하 스윙동작에 의해 승강부재(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승강부재(20)의 랙기어(17)와 회전기어(30)에 형성된 기어(27)의 물림에 의해 승강부재(20)의 상,하 직선운동이 회전기어(30)를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회전기어(30)를 회전시키므로 회전기어(30)와 연동하는 사각회전축에 의해 모티스에 설치되어 있는 레치볼트에 전달되어 모티스에 인입되거나 또는 레치볼트가 모티스에서 인출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 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10 : 하우징 12 : 사각축 15 : 손잡이 17 : 랙기어 18 : 수용부
20 : 승강부재 24 : 안내홈 27 : 기어 30 : 회전기어 32 : 돌기부
34 : 슬라이드홈 36 : 노브 40 : 스토퍼부재

Claims (4)

  1. 하부에 손잡이에 배설된 사각축이 결합되는 사각홀이 형성되고, 상부의 일측면에 회전기어에 배설된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부가된 수용부가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부재와, 중앙에 사각홀이 형성된 소구경부와, 상기 소구경부의 외측에 좌,우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중구경부 및 일측면에 기어가 배설되어 있는 대구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구성하는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면서 모티스에 배설된 레치볼트를 작동시키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외측에 부설되어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돌기부와, 하우징에 배설된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2개의 슬아이드 홈과, 좌우이동을 손쉽게 행하기 위한 노브와, 고정볼트에 의해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3705A 2018-09-21 2018-09-21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10203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05A KR102031721B1 (ko) 2018-09-21 2018-09-21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05A KR102031721B1 (ko) 2018-09-21 2018-09-21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721B1 true KR102031721B1 (ko) 2019-10-14

Family

ID=6817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05A KR102031721B1 (ko) 2018-09-21 2018-09-21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7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611A (ko) 2020-08-19 202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20126831A (ko) *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20170098548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20170098548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611A (ko) 2020-08-19 202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20126831A (ko) *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102460697B1 (ko) * 2021-03-09 2022-11-01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US9482035B2 (en) Recessed lock actuating device for sliding doors
KR102031721B1 (ko)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US7287787B1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KR101271518B1 (ko)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200428162Y1 (ko)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KR102064296B1 (ko)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KR200489832Y1 (ko)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JP6113765B2 (ja) 打掛錠
KR10212981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레버 작동 방향 전환장치
KR101249150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
KR200454646Y1 (ko)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200496291Y1 (ko) 도어락 잠금장치
KR20150042955A (ko) 확장된 발코니용 창호 시스템
KR200495519Y1 (ko) 디지털 도어락
KR20180065836A (ko) 스토퍼가 장착된 현관문
CN109881979B (zh) 滑动式可伸缩和转动的锁舌控制机构
KR101942920B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