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697B1 -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697B1
KR102460697B1 KR1020210030597A KR20210030597A KR102460697B1 KR 102460697 B1 KR102460697 B1 KR 102460697B1 KR 1020210030597 A KR1020210030597 A KR 1020210030597A KR 20210030597 A KR20210030597 A KR 20210030597A KR 102460697 B1 KR102460697 B1 KR 10246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andle
hole
pinion gea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831A (ko
Inventor
이공수
이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봉
Priority to KR102021003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6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니언기어의 설치위치에 따라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Door lock with select front and rear swivel handles}
본 발명은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10)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되, 전면측에 회동축(210)을 포함하는 기어박스(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축(210)과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핸들(300);과,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300)의 전진 또는 후진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기어링크부(400); 및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링크부(400)와 연결되어 톱니기어(5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300)이 전진 또는 후진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피니언기어(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도어의 실내와 실외측에 설치하여 도어를 개폐 작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기계식, 전자식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어락의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서 락킹기능이 해지되도록 하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락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실내측 도어락과 실외측 도어락, 그리고 상기 도어락에 연결되는 락킹 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도어락을 키나 번호키 등을 풀어 준 다음 도어락의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서 도어의 락킹 장치 잠금을 해지시켜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푸쉬풀 도어락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게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5258호)”는 실내측 및 실외측 바디와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푸시 혹은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상기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푸시 혹은 풀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 동력전환부재와; 상기 동력전환부재와 걸림되어 상하유동시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삽입되고, 실내외측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연결된 메인작동로드와; 상기 모티스와 연결되어 메인작동로드 동작시 데드볼트를 개폐하는 데드볼트 작동로드와;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양단에 결합되고,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 상에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개폐노브를 포함하는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바디의 외측면 하단에는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작동로드와 회동체 간의 동력을 단속시키는 부정행위방지레버가 더 설치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는 작동레버의 구조가 일방향만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설치공간, 위치, 목적 등의 상황에 따라 작동레버를 선택적으로 당기거나 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525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니언기어의 설치위치에 따라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은, 도어(10)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되, 전면측에 회동축(210)을 포함하는 기어박스(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축(210)과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핸들(300);과,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300)의 전진 또는 후진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기어링크부(400); 및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링크부(400)와 연결되어 톱니기어(5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300)이 전진 또는 후진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피니언기어(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200)는, 하부측에 통과공(220)이 타공형성되고, 후면측에 상기 기어링크부(40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3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300)은, 후면측에 상기 회동축(210)의 양 끝단과 결합되는 힌지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310)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과공(220)을 통과하는 가압돌기(32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링크부(400)는, 하부측에 상기 통과공(220)을 통해 통과된 상기 가압돌기(32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410)이 타공형성되고, 중앙측에 상기 가이드돌기(230)가 삽입되는 제1 수직이동가이드공(420)이 타공형성되며, 상부측에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삽입되는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의 일측에는 상기 톱니기어(510)와 맞물리는 풀기어홀(431)이 함몰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톱니기어(510)와 맞물리는 푸쉬기어홀(432)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500)는, 일측 외주면 일부에만 상기 톱니기어(5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제한돌기(520)가 더 돌출형성되어,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푸쉬기어홀(432)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은 전면방향으로만 밀 수 있고,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풀기어홀(431)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은 후면방향으로만 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공간, 위치, 목적에 따라 도어락의 핸들을 당기거나 밀어 락킹을 해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생산단가 또한 유사 제품 대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핸들이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작동 모습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구성 중 톱니기어가 풀기어홀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구성 중 톱니기어가 푸쉬기어홀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구성 중 핸들을 당겼을 때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의 구성 중 핸들을 밀었을 때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1)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1)은 크게, 하우징(100), 기어박스(200), 핸들(300), 기어링크부(400) 및 피니언기어(5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1)의 각 구성요소들은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PCB, 모터, 터치식 비밀번호 입력패드, 전원인가장치 및 모티스 등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1)는 구조상 도어(1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반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전면측으로 설정)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어(10)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는 PCB 등의 전자제어부품 및 기타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공간이 제공되고, 전면에는 후술할 가압돌기(320)가 통과되어 상기 가압돌기(32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인입공(110)이 타공형성된다.
다음으로, 기어박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어박스(200)는 상기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핸들(300)이 회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상기 핸들(300)의 조작여부에 따라 이동되는 후술할 기어링크부(40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회동축(210), 통과공(220) 및 가이드돌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210)은 상기 기어박스(200)의 전면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인입공(110) 측에 위치되어 후술할 힌지부(31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축(210)을 기준으로 상기 핸들(300)이 전진 또는 후진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통과공(220)은 상기 기어박스(200)의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통공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핸들(300)이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할 가압돌기(320)가 통과되어 상기 가압돌기(320)가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30)는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제1 수직이동가이드공(42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핸들(300)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후술할 기어링크부(400)의 정확한 수직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핸들(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들(30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측에 위치되어 전진 또는 후진 회동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락킹기능을 해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힌지부(310) 및 가압돌기(320)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310)는 상기 핸들(300)의 후면측의 양쪽에 상기 회동축(210)의 양 끝단과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핸들(300)이 상기 회동축(210)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압돌기(320)는 상기 핸들(300)의 후면측, 상기 힌지부(310)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압돌기(320)는 상기 통과공(220)을 통과하여 후술할 삽입공(4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300)을 전진시켜 밀게 되면 후술할 피니언기어(500)의 푸쉬(PUSH) 위치와 연동되어 상기 기어링크부(400)는 하강되고, 상기 핸들(300)을 후진시켜 당기게 되면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풀(PULL)위치와 연동되어 상기 기어링크부(400)가 상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기어링크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어링크부(400)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위치 및 상기 핸들(300)의 전진 또는 후진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락킹을 해제하는 구성요소로서, 삽입공(410), 제1 수직이동가이드공(420) 및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공(410)은 상기 기어링크부(400)의 하부측에 타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통과공(2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통과공(220)을 통과한 상기 가압돌기(320)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돌기(320)와 상기 기어링크부(400)가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가압돌기(320)와 상기 삽입공(410)의 결합구조는 랙과 피니언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해당 부분이 기구적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공차 없이 전, 후 회동이 가능하여 보다 정확하고 원활한 기구적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이동가이드공(420)은 상기 기어링크부(400)의 중앙측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타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이드돌기(230)가 삽입되어 상기 기어링크부(40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정확한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은 상기 기어링크부(4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의 일측에는 후술할 톱니기어(510)와 맞물리는 풀기어홀(431)이 함몰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톱니기어(510)와 맞물리는 푸쉬기어홀(432)이 함몰형성된다.
이때, 상기 푸쉬기어홀(432)과 상기 풀기어홀(431)은 서로 높이차가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 실시예로는 상기 푸쉬기어홀(432)이 상기 풀기어홀(431) 보다 높은 위치에 함몰형성됨으로써, 상기 핸들(300)의 전진 또는 후진 회동에 의해 상기 기어링크부(400)가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상, 하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피니언기어(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피니언기어(500)는 도 2,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링크부(400)와 연결되어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200)이 전진 또는 후진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톱니기어(510) 및 회전제한돌기(520)로 구성된다.
상기 톱니기어(510)는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일측 외주면 일부에만 돌출형성되어 상기 풀기어홀(431) 또는 푸쉬기어홀(432) 중 한 곳에 맞닿는다.
상기 회전제한돌기(520)는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외주면에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풀기어홀(431)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300)을 당기게 되면, 상기 기어링크부(400)가 상승하여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락킹이 해제되지만 원위치에서 상기 핸들(300)를 밀게 되면, 상기 회전제한돌기(52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핸들(300)이 밀리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풀기어홀(431)에 맞닿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이 당겨지는 동작만 가능해 진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푸쉬기어홀(432)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300)을 밀게 되면, 상기 기어링크부(400)가 하강하여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락킹이 해제되지만 원위치에서 상기 핸들(300)를 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제한돌기(52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핸들(300)이 당겨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푸쉬기어홀(431)에 맞닿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이 밀려지는 동작만 가능해 진다.
다시 말해,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푸쉬기어홀(432)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은 전면방향으로만 밀 수 있고,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풀기어홀(431)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은 후면방향으로만 당길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300)의 회동 위치를 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100: 하우징 110: 인입공
200: 기어박스 210: 회동축
220: 통과공 230: 가이드돌기
300: 핸들 310: 힌지부
320: 가압돌기
400: 기어링크부 410: 삽입공
420: 제1 수직이동가이드공 430: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
431: 풀기어홀 432: 푸쉬기어홀
500: 피니언기어
510: 톱니기어 520: 회전제한돌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도어(10)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되, 전면측에 회동축(210)을 포함하는 기어박스(2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축(210)과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핸들(300);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300)의 전진 또는 후진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기어링크부(400); 및
    상기 기어박스(200)의 후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링크부(400)와 연결되어 톱니기어(5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300)이 전진 또는 후진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상기 핸들(300)을 전면방향으로만 밀 수 있거나 상기 핸들(300)을 후면방향으로만 당길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피니언기어(500);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박스(200)는,
    하부측에 통과공(220)이 타공형성되고,
    후면측에 상기 기어링크부(40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3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핸들(300)은,
    후면측에 상기 회동축(210)의 양 끝단과 결합되는 힌지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310)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통과공(220)을 통과하는 가압돌기(32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기어링크부(400)는,
    하부측에 상기 통과공(220)을 통해 통과된 상기 가압돌기(32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410)이 타공형성되고,
    중앙측에 상기 가이드돌기(230)가 삽입되는 제1 수직이동가이드공(420)이 타공형성되며,
    상부측에 상기 피니언기어(500)가 삽입되는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이동가이드공(430)의 일측에는 상기 톱니기어(510)와 맞물리는 풀기어홀(431)이 함몰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톱니기어(510)와 맞물리는 푸쉬기어홀(432)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500)는,
    일측 외주면 일부에만 상기 톱니기어(5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5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제한돌기(520)가 더 돌출형성되어,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푸쉬기어홀(432)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은 전면방향으로만 밀 수 있고,
    상기 톱니기어(510)가 상기 풀기어홀(431)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00)를 위치시키면 상기 핸들(300)은 후면방향으로만 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320)와 상기 삽입공(410)의 결합구조는 랙과 피니언 기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1).
KR1020210030597A 2021-03-09 2021-03-09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10246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597A KR102460697B1 (ko) 2021-03-09 2021-03-09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597A KR102460697B1 (ko) 2021-03-09 2021-03-09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31A KR20220126831A (ko) 2022-09-19
KR102460697B1 true KR102460697B1 (ko) 2022-11-01

Family

ID=8346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597A KR102460697B1 (ko) 2021-03-09 2021-03-09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6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08B1 (ko) * 2016-03-24 2016-11-01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747925B1 (ko) * 2016-10-21 2017-06-16 밀레시스텍(주)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2031721B1 (ko) * 2018-09-21 2019-10-14 (주)유니코 하이테크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08B1 (ko) * 2016-03-24 2016-11-01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747925B1 (ko) * 2016-10-21 2017-06-16 밀레시스텍(주)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2031721B1 (ko) * 2018-09-21 2019-10-14 (주)유니코 하이테크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31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21Y1 (ko)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US7469943B2 (en) Operating device of a door latch in a vehicle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2062274B1 (ko)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KR20140048852A (ko)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KR20180007076A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2460697B1 (ko)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200489050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200488399Y1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JP5074949B2 (ja) プッシュプル錠
KR102147861B1 (ko) 독립된 푸시-풀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잠금장치
KR101534685B1 (ko) 제품의 소형화를 위한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2215723B1 (ko)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JP5538863B2 (ja) 電気錠の自動施錠装置
JP4424924B2 (ja) プシュ・プル錠
JP5368963B2 (ja) 錠前
KR100420339B1 (ko) 전자레인지의 인터록장치
CN221096157U (zh) 电器门锁
KR89000698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101783771B1 (ko) 방화문의 2중 잠금장치
KR101123180B1 (ko) 도어록 개폐장치
JP2007198089A (ja) 鎌錠の自動施錠機構
ITUA20164488A1 (it) Dispositivo di apertura e chiusura di un portello con meccanica push push di tipo silenzioso.
KR100402607B1 (ko) 전자레인지의 인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