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852A -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852A
KR20140048852A KR1020137023572A KR20137023572A KR20140048852A KR 20140048852 A KR20140048852 A KR 20140048852A KR 1020137023572 A KR1020137023572 A KR 1020137023572A KR 20137023572 A KR20137023572 A KR 20137023572A KR 20140048852 A KR20140048852 A KR 2014004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pring
locking device
stop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938B1 (ko
Inventor
톨스텐 벤델
세르칸 귈칸
카르스텐 바르트
두산 페트루스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4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perpendicular to cylinder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37Attachments or mountings; Mounting of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51Spring projected
    • Y10T292/1052Operating means
    • Y10T292/1055Link and lev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래치(4)와 적어도 하나의 폴(6)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가져 스프링 력에 의하여 선회 가능한 요소를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의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플랩 또는 도어용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23)은 록킹 장치의 록킹 하우징(25)에 일체로 연결된 베어링 스터드(22)에 의하여 유지되며, 베어링 스터드는 스프링을 위한 멈춤부(24)를 포함하고/하거나, 베어링 스터드(22)는 멈춤부(24)에 일체로 연결되며, 멈춤부(24)는 선회 가능한 요소가 그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Lock for a flap or door}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갖는,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또는 플랩은 차량 또는 건축물의 도어 또는 플랩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록킹 장치는 로터리 래치와 적어도 폴(pawl)을 갖는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로터리 래치는 닫힌 위치에서 폴과 래칭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록킹 플레이트 또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록킹 케이스 상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록킹 장치는 또한 록킹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록킹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외부 환경에 대하여 록킹 장치의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장치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록킹 커버 및/또는 중앙 록킹을 위한,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보호를 제공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를 위한 폴 (이하, "메인 록킹 폴"이라 칭함), 로터리 래치의 중간 록킹 위치를 위한 폴(이하, "중간 록킹 폴"이라 칭함) 그리고 메인 록킹 폴을 위한 블록킹 레버를 갖는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록킹 장치는 독일특허공보 DE10 2007 003 948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DE10 2007 003 948A1으로부터 알려진 차량 록킹 장치의 로터리 래치는 포크와 비슷한 인테이크 슬롯(intake slot)을 포함하며, 차량 도어 또는 차량 플랩(flap)이 닫힐 때 차량 도어의 또는 차량 플랩의 록킹 볼트는 이 인테이크 슬롯 내로 이동한다. 이 경우, 록킹 볼트는 로터리 래치를 개방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선회시킨다. 로터리 래치가 닫힘 위치에 도달하면, 록킹 볼트는 더 이상 로터리 래치의 인테이크 슬롯 내에 남아 있을 수 없다. 닫힘 위치에서, 폴을 로터리 래치를 래칭시키며 따라서 로터리 래치는 더 이상 개방 위치로 회전할 수 없다. 그 후 록킹 장치는 래칭된 배치 또는 래칭된 위치에 있다.
DE10 2007 003 948A1에 개시된 록킹 장치는 2개의 멈춤 위치, 즉 소위 로터리 래치의 중간 록킹 위치와 소위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를 포함하며, 닫힘 동안 로터리 래치는 연속적으로 이 2개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폴이 의도적이지 않게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터리 래치가 래칭될 때 이러한 이동을 차단하는 블록킹 레버가 제공될 수 있다. 독일특허공보 DE10 2007 003 948A1에 개시된 록킹 장치에서, 메인 록킹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가 개방 모멘트를 메인 록킹 폴 내에 도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와 메인 록킹 폴이 설계됨에 따라 이러한 블록킹 레버는 메인 록킹 폴을 위하여 요구된다.
선행 기술로부터 이미 알려진 위의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된 형태로 본 발명의 대상물과 결합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록킹 장치는 폴, 블록킹 레버 또는 선회될 수 있거나 선회되어야만 하는 로터리 래치와 같은 요소들을 갖는다. 규칙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또한 스프링 력에 의하여 이러한 요소의 원하는 선회 운동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텐션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프리텐션된 스프링은 폴을 그의 멈춤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는 로터리 래치를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10 2007 003 948A1는 스프링 부하를 받는 로터리 래치, 즉 스프링의 스프링 력에 의하여 선회될 수 있는 로터리 래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록킹 장치를 더욱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 1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록킹 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터리 래치, 적어도 폴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를 제공한다. 스프링은 록킹 장치의 선회 가능한 요소를 스프링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프링, 특히 레그 스프링(leg spring)은 록킹 장치의 록킹 하우징에 연결된 베어링 맨드릴에 의하여 유지되어 단일 부재를 형성한다. 의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을 유지하는 부재에 의하여 어떠한 개별 맨드릴도 리벳 고정될 필요가 없다. 특히, 스프링을 위한 베어링 맨드릴은 록킹 하우징과 함께 사출 성형에 의하여 간단히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치는 단일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록킹 하우징과 베어링 맨드릴에 연결된 스프링을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여 선회 가능한 요소가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선회 가능한 요소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의 압력 없이 선회 가능한 요소는 종료 위치로 진입한다. 스프링이 선회 가능한 요소 상에 종료 위치까지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는 현저한 소음 감소를 야기한다. 따라서 멈춤부는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하여 록킹 하우징과 함께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 멈춤부는 종료 위치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선회 가능한 요소에 작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어떠한 방식으로 프리텐션될 수 있다. 따라서 선회 가능한 요소가 원하는 속도 및/또는 충분한 힘으로 선회되는 방식으로 스프링의 프리텐셔닝 (pretensioning)은 선택될 수 있다. 멈춤부는 또한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력이 선회 가능한 요소 상에 작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서 비교적 상당한 프리텐션닝을 받을지라도 선회 가능한 요소는 종료 위치에서 확실하게 스프링 하중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레그 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하우징은 레그 스프링의 레그를 위한 적어도 2개의 멈춤부를 포함한다. 록킹 하우징은 또한 록킹 하우징에 연결되어 단일 부재를 형성하며,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단일 부재 제조 공정은 제조되어야 할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멈춤부는 특히 베어링 맨드릴에 평행하게 연장된 록킹 하우징의 측벽이다. 바람직하게, 측벽은 특히 삼각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의 바닥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가 장착된 측벽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수직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의 바닥은 측벽과 수직을 이룬다. 스프링의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레그는 이 바닥부에 접촉하며 스프링이 설치될 때 설치 위치에서 돌출부에 의하여 유지된다. 측벽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하향 연장된 돌출부의 상단은 램프(ramp)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조립 동안 돌출부 상단을 간단하게 밀므로써 스프링의 레그가 정확한 설치 위치에서 쉽게 배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스프링 레그와 관계 없이, 스프링의 레그를 위한 다른 멈춤부는 록킹 하우징에 연결되어 단일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 멈춤부는 스프링의 베어링 맨드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멈춤부는 레그 스프링의 각 레그의 가이드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그러면, 스프링의 레그는 이 가이드와 접촉한다. 스프링 부하를 받는 선회 가능한 요소를 시작 위치에서 종료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록킹 장치의 작동 동안의 특정 시간에 이 레그는 선회한다.
대체로, 본 실시예는 록킹 하우징이 스프링과 함께 록킹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기 전에 또는 록킹 장치의 록킹 케이스 내에 삽입되기 전에 스프링의 설치를 허용한다. 록킹 플레이트 또는 록킹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록킹 메커니즘은 록킹 플레이트 또는 록킹 케이스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는 특히 간단한 설치를 제공한다.
선회 가능한 요소의 스프링 부하는 바람직하게는 종료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끝난다. 따라서 선회 가능한 요소가 그 종료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이는 선회 가능한 요소가 더 이상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종료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몇도 만큼 회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특히 요소는 스프링력의 지원 없이 작은 거리를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한 실시예에서, 가해지는 어떠한 스프링력으로 종료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요소는 5°이상, 또는 바람직하게는 3°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상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선회 가능한 요소는 폴 및/또는 블록킹 레버일 수 있다. 각 요소는 또한 초기 위치에서 스프링 하중을 받으나, 종료 위치에서는 스프링 하중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력은 선회 가능한 요소에 작용하지 않는다. 선회 가능한 요소가 폴인 경우, 멈춤 위치 밖으로 폴을 이동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개방력은 줄어든다. 따라서 이 경우는 현저한 소음 감소 외에도 다른 이점들을 가져다 준다.
도 1은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개방 위치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중간 위치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개방 위치에서의 부분 도면.
도 6은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의 부분 도면.
이하,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움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점들이 개시된다.
도 1은 차량 록킹 장치의 벽(1) 쪽으로의 평면도이다. 벽(1)은 록킹 플레이트 또는 록킹 케이스의 부분일 수 있다. 벽(1)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벽(1)은 인테이크 슬롯(2; intake slot)을 포함하며, 차량 도어 또는 차량 플랩이 닫혀질 때 차량 도어의 또는 차량 플랩의 록킹 볼트(3)는 인테이크 슬롯 내로 이동한다. 로터리 래치(4)는 벽(1)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리고 그 고정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은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록킹 볼트(3)가 벽 인테이크 슬롯(2) 밖으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는 방식으로 이 메인 록킹 위치에서 벽 인테이크 슬롯(2) 내의 록킹 볼트(3)는 로터리 래치의 인테이크 슬롯으로 둘러싸여 있다.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의 폴의 래칭 결과로서 차량의 각 도어 또는 플랩은 그 후 닫혀진다. 도면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록킹 폴(6)이 정지함에 따라 로터리 래치는 도면에 도시된 메인 록킹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도시된 화살표(11)의 방향으로 뒤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다. 메인 록킹 폴(6) 역시 벽(1) 상에 장착되며, 그 고정 축(7)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로터리 래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프리텐션(pretensioned)되어 있다. 이 프리텐션의 결과로서, 로터리 래치는 메인 록킹 폴의 경사진 멈춤부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 경사는 메인 록킹 폴(6)을 멈춤 위치 밖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개방 모멘트(opening moment)가 메인 록킹 폴(6) 내로 도입된다.
로터리 래치(4)가 스프링에 의하여 프리텐션되지 않는다면, 차량 도어 또는 차량 플랩이 개방될 때, 적어도 록킹 볼트(3)는 화살표(11)로 지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의 로터리 래치(4)의 선회 운동을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토크는 그 후 메인 록킹 폴(6)을 멈춤 위치 밖으로 밀게 된다.
그러나, 차량 도어 또는 차량 플랩이 닫혀진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적으로 장착된 블록킹 레버(8)에 의하여 이러한 동작은 방지된다. 블록킹 레버(8) 또한 벽(1) 상에 선회적으로 장착되며 그 고정 축(9)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스프링(10)의 아암(10b)은 블록킹 레버(8)의 측면 윤곽 영역에 부딪힌다. 스프링(10)의 아암(10b)이 도시된 블록킹 위치의 방향으로 블록킹 레버(8)를 미는 방식으로 스프링(10)은 프리텐션된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블록킹 레버의 선회 모멘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볼트로서 벽(1) 상에 장착된 멈춤부(12)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래에 위치한 요소의 도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투명하게 도시된, 선회 가능한 중간 록킹 폴(13)은 메인 록킹 폴(6) 위에 배치된다. 중간 록킹 폴(13)은 또한 축(7)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따라서 이 축(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중간 록킹 폴(13)의 외곽은 점선으로 나타나있다. 중간 록킹 폴(13)은 도 1에서 역시 투명하게 도시된 볼트(14)를 포함하며, 이 볼트는 중간 록킹 폴(13)로부터 벽(11)의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10)의 다른 아암(10a)은 중간 록킹 폴(13) 상에 장착된 이 볼트(14)에 기대어 있다.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 볼트(14)는 또한 블록킹 레버(8)의 측면 윤곽 영역에 기대어 있다. 레버 아암(21)을 작동시킴으로써 중간 록킹 폴(3)이 화살표(16)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볼트(14)는 블록킹 레버(8)를 블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록킹 레버(8)가 블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한다면, 메인 록킹 폴(6)은 로터리 래치(4)에 의하여 도시된 멈춤 위치 밖으로 밀려나간다. 마찬가지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간 록킹 폴(13)의 측면 윤곽 영역은 선회 운동의 결과로서 메인 록킹 폴(6) 상에 장착되고 멈춤부로써 작용하는 돌출 볼트(17)와 맞물린다. 그 결과, 메인 록킹 폴(6)은 멈춤 위치 밖으로 선회되고 로터리 래치를 해제한다. 그 후 화살표(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래치는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선회되고, 최종적으로 록킹 볼트(3)를 해제한다. 그 후 도어 또는 플랩은 개방될 수 있다.
로터리 래치(2)의 돌출 볼트(18)가 중간 록킹 폴(13)의 측면 블록킹 표면(19)과 접촉할 때, 중간 록킹 폴(13)은 또한 로터리 래치(4)를 래칭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화살표(11)로 지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의 폴의 선회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록킹 폴(13)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멈춤 위치의 방향으로 프리텐션되며, 블록킹 레버와 유사하게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벽 (1)에 장착되고 멈춤부로서 사용되는 돌출 볼트(20)는 멈춤 위치를 지나는 중간 록킹 폴의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1에 따른 록킹 장치는 메인 록킹 폴(6)과 함께 프리텐션된 스프링(23)을 포함하며, 메인 록킹 폴은 비래칭된 위치, 즉 그의 초기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즉 도 1에 도시된 멈춤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이 스프링(23)의 스프링 아암(23a)을 위한 멈춤부(24)에 의하여 방지됨에 따라서 메인 록킹 폴(6)은 도 1에 도시된 멈춤 위치, 즉 종료 위치에 있으나, 아직은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다. 스프링(23), 멈춤부(24) 그리고 스프링(23)의 다른 아암을 위한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록킹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록킹 하우징은 다른 도시된 요소들 상에서 도면을 불명확하게 하기 때문에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 선회 가능한 요소, 즉 메인 록킹 폴(6)은 다른 요소에 의하여 선회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예를 들어 이러한 부가적인 선회는 블록킹 레버(8)의 차단 위치로의 선회 운동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가적인 선회는 절대적으로 강제적인 것은 아니다. 비록 선회 가능한 요소가 그 종료 위치에서 더 이상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을지라도 스프링력의 도움으로 인한 선회에 의하여 생성된 운동 에너지는 선회 가능한 요소를 그 종료 위치까지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스프링(23)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록킹 하우징의 부품, 즉 록킹 하우징과 단일체로 제조된 맨드릴(22)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 2는 도 1의 록킹 장치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2에서 중간 록킹 폴(13)은 투명하지 않다. 따라서, 중간 록킹 폴은 메인 록킹 폴(3)뿐만 아니라 스프링(23)의 스프링 아암(23a)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 3은 개방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4), 메인 록킹 폴(6), 블록킹 레버(8), 스프링(23), 스프링(10) 그리고 록킹 볼트(3)의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중간 록킹 폴(13)의 위치는 투명하게 도시된 영역으로 나타나 있다. 록킹 볼트(3)는 인테이크 슬롯(2) 밖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도어 또는 플랩은 개방될 수 있다. 스프링 아암(23a)은 메인 록킹 폴(6)의 선회에 의하여 멈춤부(24)로부터 떨어져 다른 스프링 아암(23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스프링(23)의 프리텐션닝이 증가된다. 이 초기 위치에서, 스프링(23)은 스프링 력에 의하여 메인 록킹 폴(6)을 멈춤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메인 록킹 폴(6)은 스프링(23)에 의하여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도 4는 로터리 래치(4)의 개방 위치와 메인 록킹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도시한다. 만일 로터리 래치(4)가 볼트(3)에 의하여 메인 록킹 위치의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면, 투명하게 도시된 중간 록킹 폴(13)은 가장 먼저 그의 멈춤 위치에서 맞물릴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 중간 위치에서, 메인 록킹 폴(6)은 스프링(23)에 의하여 계속해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중간 록킹 위치에 도달하면, 바람직하게는 메인 록킹 폴(6)은 계속해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만일 로터리 래치(4)가 중간 록킹 위치에서 메인 록킹 위치로 이동하면, 이 스프링 부하는 메인 록킹 폴(6)을 그의 멈춤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5는 개방 위치에서의 록킹 장치의 확대 도면의 일부를 도시하며, 이전 도면과 반대로 도 5는 록킹 장치의 록킹 플레이트 또는 록킹 케이스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베어링 맨드릴(22)이 록킹 하우징(25)에 연결되어 단일 부재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 베어링 맨드릴(22)은 2개의 돌출된 러그(22a)를 포함하여 스프링(23)이 베어링 맨드릴(22)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된 러그(22a)는 램프 형상을 가져 스프링(23)에 힘을 가하고 밀어붙임으로써 스프링은 도시된 설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록킹 하우징(25)의 측벽은 스프링(23)의 스프링 아암(23a)을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돌출부(25a)를 포함한다. 측벽은 또한 스프링 아암(23b)을 위한 멈춤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스프링 아암은 도시된 위치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다. 멈춤부(24)는 캔틸레버 아암(24a)을 포함하며, 록킹 케이스 또는 록킹 하우징에서 보았을 때, 캔틸레버 아암은 항상 스프링 아암(23a) 위에 있다. 캔틸레버 아암(24a)은 또한 스프링 아암(23a)이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스프링(23)의 프리텐션된 스프링 아암(23a)은 메인 록킹 폴(6)과 부딪힌다. 따라서 메인 록킹 폴(6)은 이 초기 위치에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도 6은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의 도 5의 부분을 도시한다. 스프링 아암(23a)은 메인 록킹 폴(6)을 건드리지 않고 멈춤부(24)에 부딪힌다. 따라서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 메인 록킹 폴(6)은 더 이상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다.
1: 록킹 플레이트 또는 록킹 케이스의 벽
2: 인테이크 슬롯
3: 록킹 볼트
4: 로터리 래치
5: 고정 축
6: 메인 록킹 폴
7: 고정 축
8: 블록킹 레버
9: 고정 축
10: 스프링
10b: 스프링 아암
10b: 스프링 아암
11: 개방 방향
12: 멈춤부
13: 중간 록킹 폴
14: 볼트
16: 회전 방향
17: 볼트
18: 볼트
19: 중간 록킹 폴의 블록킹 표면
21: 중간 록킹 폴의 레버 아암
20: 볼트
22: 맨드릴
22a: 러그
23: 프리텐션된 스프링
23a: 스프링 아암
23b: 스프링 아암
24: 멈춤부
24a: 캔틸레버 아암
25: 록킹 하우징
25a: 돌출부

Claims (13)

  1. 로터리 래치(4)와 적어도 하나의 폴(6)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가져 스프링 력에 의하여 선회 가능한 요소를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의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23)은 단일 부재로서 록킹 장치의 록킹 하우징(25)에 연결된 베어링 맨드릴(22)에 의하여 유지되며, 베어링 맨드릴은 스프링을 위한 멈춤부(24)를 포함하고/하거나, 베어링 맨드릴(22)은 멈춤부(24)에 연결되어 단일의 부재를 형성하며, 멈춤부(24)는 그 종료 위치에서 스프링 력이 선회 가능한 요소 상에 작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23)은 레그 스프링이며, 레그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는 종료 위치에서 선회 가능한 요소에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멈춤부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록킹 하우징(25)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하우징(25)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록킹 플레이트 상에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록킹 케이스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회 가능한 요소는 폴(6, 13) 및/또는 블록킹 레버(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는 로터리 래치의 중간 록킹 위치와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를 포함하며, 선회 가능한 요소는 메인 록킹 폴(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메인 록킹 폴(6)은 로터리 래치(4)의 중간 록킹 위치에서 스프링 부하를 받으며 그리고/또는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 위치에서 스프링(23)에 의하여 스프링 부하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는 메인 록킹 폴과 중간 록킹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4)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록킹 위치에서 폴(6) 내로 개방 모멘트 (opening moment)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23)의 아암(23a, 23b)은 스프링(23)을 위한 멈춤부(24)의 캔틸레버 아암(24a)에 의하여 또는 록킹 장치의 록킹 하우징의 돌출부(25a)에 의하여 유지되거나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멈춤부는 록킹 하우징(25)의 측벽으로서 스프링(23)의 베어링 맨드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록킹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25a), 특히 레그 스프링(23)의 레그를 유지하기 위한 램프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2. 제10 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그 스프링(23)의 레그를 위한 멈춤부(24)는 록킹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베어링 맨드릴(22)과 평행하게, 특히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베어링 맨드릴(22)과 평행하게 연장된 멈춤부(24)는 캔틸레버 아암(24a)을 포함하여 레그 스프링(23)의 레그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KR1020137023572A 2011-02-15 2012-01-19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KR101956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0341.8 2011-02-15
DE201120000341 DE202011000341U1 (de) 2011-02-15 2011-02-15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PCT/DE2012/000047 WO2012110014A2 (de) 2011-02-15 2012-01-19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852A true KR20140048852A (ko) 2014-04-24
KR101956938B1 KR101956938B1 (ko) 2019-06-24

Family

ID=4601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572A KR101956938B1 (ko) 2011-02-15 2012-01-19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11677B2 (ko)
EP (1) EP2675975B1 (ko)
JP (1) JP5991995B2 (ko)
KR (1) KR101956938B1 (ko)
CN (1) CN103477008B (ko)
DE (1) DE202011000341U1 (ko)
RU (1) RU2013140478A (ko)
WO (1) WO20121100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2592A1 (de) * 2013-07-30 2015-02-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4201799A1 (de) * 2014-01-31 2015-08-06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JP6535919B2 (ja) * 2014-10-29 2019-07-0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の組立方法
CN104763251B (zh) * 2015-03-26 2016-09-07 上海恩坦华汽车门系统有限公司 基于杠杆原理的电动抓紧锁扣
CN113431448B (zh) * 2016-04-08 2022-06-14 J·P·希瓦利埃 用于锁定可移动面板的锁定系统
DE202016106308U1 (de) 2016-11-10 2018-02-1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JP7311449B2 (ja) 2017-03-24 2023-07-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07642284A (zh) * 2017-10-31 2018-01-30 无锡瑞林控制软件有限公司 汽车侧门锁传动装置
DE102019134659A1 (de) 2018-12-18 2020-06-18 Magna Closures Inc. Intelligente verriegelungsvorrichtung mit doppelklinken-verriegelungsmechanismus mit flexibler verbindung zu einem lösemechanismus
JP7215153B2 (ja) * 2018-12-26 2023-01-31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10644865B (zh) * 2019-10-09 2021-06-04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门锁机构
JP7443951B2 (ja) * 2020-06-19 2024-03-0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627A (en) * 1973-01-25 1975-09-16 Aisin Seiki Door lock mechanism
US4971373A (en) * 1988-09-26 1990-11-20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Noise suppressing device in lock device for vehicle
US6059328A (en) * 1997-10-06 2000-05-09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US20100052336A1 (en) * 2006-11-22 2010-03-04 Kiekert Ag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4934A (en) * 1965-08-09 1967-08-08 Gen Motors Corp Closure latch
DE2253954A1 (de) * 1972-11-03 1974-05-16 Kiekert Soehne Arn Kraftfahrzeug-tuerverschluss
US4538845A (en) * 1982-05-31 1985-09-03 Mitsui Kinzoku Kogyo K. K. Automobile locking apparatus
JPS6378977A (ja) * 1986-09-22 1988-04-09 株式会社 安成工業 自動車用ドアロツクのボデイ−
JPH0742818B2 (ja) * 1988-09-26 1995-05-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扉における開扉音防止装置
CA2047425C (en) * 1990-07-20 1998-08-11 Thoru Shibata Vehicular door lock device
US5328219A (en) * 1992-12-24 1994-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DE4306142C2 (de) * 1993-02-27 1998-09-1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einem Schloßblech sowie mit einem Schloßgehäuse mit Gehäuseboden und Stirnwand
JP3430436B2 (ja) * 1997-03-28 2003-07-2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3143601B2 (ja) * 1997-05-16 2001-03-0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の車内鍵忘れ防止装置
DE19725416C1 (de) * 1997-06-17 1999-01-21 Huf Huelsbeck & Fuerst Gmbh Drehfallen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GB0006931D0 (en) * 2000-03-23 2000-05-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mechanism
US6581987B1 (en) * 2000-11-15 2003-06-2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Hood latch mechanism with in-line striker spring
US7175211B2 (en) * 2002-02-25 2007-02-13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Latch with shipping condition
ITTO20020511A1 (it) * 2002-06-14 2003-12-15 Intier Automotive Closures Spa Assieme di supporto per una serratura di un autoveicolo e metodo di realizzazione di tale assieme
JP4230792B2 (ja) * 2003-02-14 2009-02-2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ロック装置
DE102004001988A1 (de) * 2004-01-13 2005-08-04 Kiekert Ag Lagerdorn für Sperrteile und Kraftfahrzeug-Türschloss mit einem Lagerdorn
US20100127512A1 (en) * 2008-11-26 2010-05-27 Inteva Products Llp Vehicle door latch
DE102009026452B4 (de) * 2009-05-25 2019-05-23 Kiekert Ag Auslösehebel mit einer ein öffnendes Moment für die Drehfalle erzeugenden Kontur bei Mehrklinken-Gesperre
DE102010003483B4 (de) * 2009-06-12 2019-08-01 Kiekert Ag Schloss mit Zwangsführung für Sperrklinke
US8235428B2 (en) * 2009-07-14 2012-08-07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CN201679327U (zh) * 2010-04-20 2010-12-22 无锡皓月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静音汽车门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627A (en) * 1973-01-25 1975-09-16 Aisin Seiki Door lock mechanism
US4971373A (en) * 1988-09-26 1990-11-20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Noise suppressing device in lock device for vehicle
US6059328A (en) * 1997-10-06 2000-05-09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US20100052336A1 (en) * 2006-11-22 2010-03-04 Kiekert Ag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5975A2 (de) 2013-12-25
KR101956938B1 (ko) 2019-06-24
US9611677B2 (en) 2017-04-04
WO2012110014A3 (de) 2012-11-08
DE202011000341U1 (de) 2012-05-16
WO2012110014A2 (de) 2012-08-23
JP2014510205A (ja) 2014-04-24
US20140217753A1 (en) 2014-08-07
CN103477008A (zh) 2013-12-25
EP2675975B1 (de) 2015-03-11
RU2013140478A (ru) 2015-03-27
JP5991995B2 (ja) 2016-09-14
CN103477008B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852A (ko)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US8348310B2 (en) Hold open lever integrated to latch housing
US8827329B2 (en) Lock unit having a multi-pawl locking mechanism
US9151092B2 (en) Lock unit having a multi-pawl locking mechanism
US10557289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20110181052A1 (en) Motor vechicle lock arrangement
US20100052336A1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94351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ovement of release mechanism of a vehicle latch
KR20140048846A (ko)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US10519700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50053957A (ko) 차량 도어 록
KR20130024908A (ko) 차량 록킹 장치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US20150115626A1 (en) Lock for a flap or door
KR20140090212A (ko) 다중-부품 포올을 갖는 록킹 장치
US20150354250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40139514A (ko) 패널 또는 도어용 록
KR20210080485A (ko) 자동차 로크
US8632106B2 (en) Drive unit comprising a blocked functional element for a central locking mechanism
US20140217751A1 (en) Latch mechanism
US7697277B1 (en) Auto-depress disk drive bracket mechanism
JP5395730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KR20150013205A (ko) 플랩 또는 도어용 록
KR200351071Y1 (ko) 중장비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
JP6197199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