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514A - 패널 또는 도어용 록 - Google Patents

패널 또는 도어용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514A
KR20140139514A KR1020147026952A KR20147026952A KR20140139514A KR 20140139514 A KR20140139514 A KR 20140139514A KR 1020147026952 A KR1020147026952 A KR 1020147026952A KR 20147026952 A KR20147026952 A KR 20147026952A KR 20140139514 A KR20140139514 A KR 2014013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wl
rotary latch
lever arm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344B1 (ko
Inventor
미카엘 숄츠
아르민 한드케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3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Lev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차량을 위하여 확실하게 작용하는 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 또는 패널용 록이 로터리 래치 그리고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올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 목적은 이루어진다. 로터리 래치와 포올은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래치가 포올로 열림 토크를 도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록킹 메커니즘은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트리거 레버를 갖는다. 트리거 레버의 선회 운동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특히 팔로워에 의하여 포올을 포올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달 레버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가 더 제공된다. 전달 레버에 의하여 야기된 선회 운동 전달을 기초로 하여, 트리거 레버의 상대적으로 적은 선회 운동이 팔로워에 의하여 포올을 록킹 위치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트리거 레버가 전체의 원래 거리에 걸쳐 더 이상 선회될 수 없을 때에도 록킹 메커니즘이 확실하게 열릴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Description

패널 또는 도어용 록{Lock for a panel or door}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패널 또는 도어용 록에 관한 것이다. 도어 또는 패널은 차량 또는 건물의 도어 또는 패널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록은 로터리 래치 및 닫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올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다. 닫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는 도어 또는 패널의 록킹 핀을 유지할 수 있어 도어 또는 패널은 열릴 수 없다. 만일, 로터리 래치가 열림 위치에 있다면, 록킹 핀은 록킹 메커니즘을 떠나며, 도어 또는 패널은 열릴 수 있다.
독일특허공보 DE 10 2010 003 483 A1는 메인 캐치 위치에서 포올이 로터리 래치를 록킹할 때 로터리 래치가 포올 내로 열림 토크(opening torque)를 도입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도어 실링 압력 및/또는 로터리 래치를 그의 열림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프리텐션 스프링의 결과로서 그리고/또는 각 도어 또는 패널을 열므로써, 로터리 래치는 이러한 토크를 포올로 도입할 수 있다. 열림 토크는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dent position)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록킹된 록킹 메커니즘의 경우에서 위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포올이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블록킹 레버가 제공된다. 이러한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의 도움으로 블록킹 레버는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선회된다. 록의 경우에,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를, 예를 들어 단지 9°만큼 선회시키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 내로 도입된 열림 토크는 록킹 메커니즘을 분리하기에 또는 열기에 충분하다.
먼지, 록킹 메커니즘 및/또는 트리거 레버의 작동 체인 내의 공차 및/또는 도어 밀봉 고무(door sealing rubber)의 불충분한 압력은 로터리 래치로부터 포올을 해제하기 위하여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 내로 도입될 토크를 야기하지 않을 수 있거나 불충분한 토크를 야기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 래치와 포올 사이의 정지 마찰을 극복하기 위하여 또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 부가적인 힘이 관련된 도어 또는 패널에 도입되어야 한다.
불충분한 열림 토크가 포올로 도입되는 경우에 록킹 메커니즘이 또한 해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트리거 레버 상에 배치된 팔로워가 제공되며 그리고/또는 DE10 2010 003 483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팔로워(follower)는 이 공보에 개시된 중간 캐치 포올 상에 배치된다. 가해진 열림 토크의 결과로서 포올이 단독으로 멈춤 위치를 떠날 수 없을 때 특히, 이러한 팔로워는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선회시키는 과제를 갖는다.
팔로워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트리거 레버 상에 제공된 팔로워는 충분하게 넓은 각도를 가로질러 선회될 수 있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20°까지의 각도, 특히 30°까지의 각도, 예를 들어 약 12°의 각도가 팔로워가 포올을 단독으로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핸들의 작동의 결과로서 록킹 메커니즘의 트리거 레버는 일반적으로 선회된다. 핸들은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도어 핸들일 수 있다. 핸들을 작동시킴에 의하여 트리거 레버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핸들은 일반적으로 로드 또는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에 의하여 트리거 레버에 연결된다. 공차가 록의 수명에 걸쳐 증가하거나 로드 또는 보덴 케이블이 느슨해진다면, 트리거 레버가 핸들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될 수 있는 선회 범위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노후의 결과로서 록이 더 이상 열릴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트리거 레버가 포올의 블록킹 레버를 해제할 수는 있으나, 트리거 레버의 선회 각도는 포올을 로터리 래치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로터리 래치와 포올의 접촉 표면 사이의 먼지로 인하여 록킹 메커니즘이 자체적으로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록을 열기 위하여 또는 록킹 메커니즘을 분리하기 위하여 록에 부가적인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어를 밀거나 잡아당김으로써 부가적인 힘이 록에 가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확실하게 기능을 수행하는 록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항의 특징부를 갖는 록에 의하여 해결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또는 패널을 위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차량 또는 건물을 위하여 사용된 본 발명의 록은 로터리 래치 그리고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올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래치가 포올 내로 열림 토크를 도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와 포올이 설계된다. 록킹 메커니즘은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트리거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 레버의 선회 운동을 증가시키는 전달 장치가 제공되며, 이 전달 장치는 특히 팔로워(follower)에 의하여 포올을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달 레버를 포함한다.
전달 레버에 의하여 야기된 선회 운동의 전달로 인하여, 트리거 레버의 상대적으로 작은 선회 운동은 특히 팔로워의 도움으로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렇게 하여, 노후의 결과로서 트리거 레버가 전체 원래 길이를 따라 더 이상 선회될 수 없다면 록킹 메커니즘이 또한 확실하게 열릴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이 한 실시예에서, 2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16°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와 같은 14°까지의 트리거 레버의 회전 운동이 팔로워의 도움으로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전달 장치는 트리거 레버의 회전 운동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팔로워의 도움으로 포올을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8°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까지의 트리거 레버의 회전 운동이 요구된다.
선회 운동을 적절하게 증가시키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의 한 실시예는 공통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2개의 레버 아암, 즉 짧은 레버 아암과 비교적 긴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긴 레버 아암의 도움으로 포올이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선회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트리거 레버는 각 레버 아암의 자유 종단을 선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회 운동을 적절하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긴 레버 아암은 짧은 레버 아암보다 적어도 1.5배 길다. 바람직하게는, 요구되는 공간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포올을 그 멈춤 위치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충분히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긴 레버 아암은 짧은 레버 아암보다 2.5배 이상 길지 않다. 긴 레버 아암 또는 그 종단은 포올을 위한 팔로워의 역할을 한다.
한 실시예에서, 유리한 전달율을 이루기 위하여,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을 이동시킬 수 있는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은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과 비교하여 길다. 트리거 레버의 이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보다 적어도 1.5배 길다. 원하는 설치 공간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전달 레버의 이 레버 아암은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보다 2.5배 이상 길지 않은 것이 충분하다.
유리한 전달율을 이루기 위하여, 전달 레버에 의하여 이동하는 포올의 레버 아암과 비교하여 포올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길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레버의 이 레버 아암은 포올의 레버 아암보다 적어도 1.5배 길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레버의 이 레버 아암은 포올의 이 레버 아암보다 2.5배 이상 길지 않다.
전달률의 맥락에서 기준이 레버 아암의 길이에 대하여 이루어질 때, 이는 이 장치에서 레버로서의 물리적인 역할을 하는 아암의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암의 실제 길이는 물리적으로 작동하는 레버 아암보다 길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작은 공간 내에 전달 레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달 레버의 긴 레버 아암과 ?은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레버는 3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전달 레버의 도움으로 포올을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2개의 레버 아암, 즉 긴 레버 아암 그리고 비교적 짧은 레버 아암은 전달을 제공한다. 제 3 레버 아암은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 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또는 적어도 이러한 이동을 돕기 위하여 제공된다. 록이 매우 빠르게 닫힐 때, 예를 들어 차량의 각 도어 또는 패널이 쾅하고 닫히는 반면에 다른 도어 또는 패널이 아직 열려 있을 때, 포올이 메인 캐치에 맞물리기 전에 로터리 래치는 다시 열리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튀어오름(bouncing)으로 언급되며, 도어 재차 열림을 야기한다. 제 3 레버 아암이 적어도 포올의 그 멈춤 위치로의 이동을 돕는다면, 이러한 튀어 오름은 제 3 레버 아암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콤팩트한 전달 레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외부 레버 아암(이 레버 아암 사이에 3개의 레버 아암 중 하나가 위치한다)는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한다. 그 결과, 모든 레버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레버 아암이 그의 맞물림 위치에 있다면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이 록킹된다면,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레버 아암은 포올에 부딪힌다. 바람직하게는, 콤팩트한 공간 내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레버 아암은 회전축에 위치한 레버의 종단에 인접한 포올에 부딪힌다. 이 경우,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레버 아암의 자유 종단과 로터리 래치를 맞물리게 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포올의 레버 아암의 자유 종단 사이의 거리는 포올의 선회점과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레버 아암의 자유 종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특히,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의 길이는 튀어오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이 작용하는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의 길이보다 길다. 다시, 물리적으로 유효한 레버 길이는 중요하다. 덜 유리한 레버 힘으로 인하여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을지라도, 단지 튀어오름이 방지되어야 함에 따라 크지 않은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당한 힘보다는 콤팩트한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튀어오름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을 이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이 포올의 방향으로 제공된다.
단지 어느 정도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 실시예에서 록킹 메커니즘의 트리거 레버와 포올이 공통 축 상에 선회적으로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로터리 래치가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만 열림 위치로 선회될 수 있도록 그리고 도어의 밀봉 압력 없이도 포올로 열림 토크를 도입하기 위하여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에 의하여 열림 위치의 방향으로 프리텐션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트리거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의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를 위하여 비교적 작은 힘이 요구된다. 그후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 상에 가해진 열림 토크 때문에 포올이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한다면, 유리하게는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아주 적은 힘이 요구된다.
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스프링에 의하여 블록킹 레버는 간단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포올이 동시에 그의 멈춤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블록킹 레버와 포올이 설계된다. 이는 요구되는 부품의 개수뿐만 아니라 무게 및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한 실시예에서 트리거 레버는 3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특히, 제 1 레버 아암은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시켜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는 역할을 한다. 트리거 레버의 제 2 레버 아암은 전달 레버를 선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3 레버 아암은 예를 들어, 로드 메커니즘 또는 보덴 케이블의 도움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제 3 레버 아암과 연결된 핸들 및/또는 전기 구동부의 도움으로 트리거 레버를 선회시킨다. 만일, 핸들이 작동되거나 전기 구동부가 가동을 시작하면,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제 3 레버 아암이 선회된다.
원하는 종료 위치보다 트리거 레버가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멈춤부가 또한 제공되어 특히 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일 뿐만 아니라 제 2 레버 아암을 위한 무게도 줄인다.
한 실시예에서, 트리거 레버의 하나의 레버 아암, 특히 제 1 레버 아암은 중간 캐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로터리 래치는 중간 캐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하는 돌출된 핀 또는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포올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레버 아암, 바람직하게는 180°보다 작은 각도 및/또는 90°보다 큰 각도를 형성하는 2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로터리 래치는 레버 아암에 의하여 록킹된다. 메커니즘, 예를 들어 프리텐션된 스프링의 도움으로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로 이동시킬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프리텐션된 스프링과 같은 메커니즘은 다른 레버 아암에 작용한다. 포올의 이 다른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트리거 레버의 팔로워에 맞물려져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고, 따라서 이동하고 특히 그 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유리하게는, 포올이 완전한 멈춤 위치보다 더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예는 또한 다른 레버 아암을 위한 멈춤부를 포함한다.
맞물림 위치에서 포올을 차단하기 위한 블록킹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블록킹 레버의 제 1 레버 아암은 특히 포올을 그의 록킹 위치에서 차단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포올을 그의 록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1 레버 아암은 특히 유리하게는 트리거 레버에 맞물려질 수 있으며,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제공된 종료 위치보다 블록킹 레버가 더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킹 레버의 제 2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멈춤부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 2 레버 아암의 제공은 또한 유리하게는 블록킹 레버의 무게 중심이 축(블록킹 레버는 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여한다. 무게 중심의 이동은 블록킹 레버의 선회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의 양 레버 아암은 결과적으로 90°보다 큰 각도 및/또는 18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팔로워는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열림 토크의 결과로서 포올이 저절로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포올이 이동되게 한다. 이 실시예는 간극을 포함하며, 팔로워가 포올과 맞물릴 수 있고 포올을 이동시킬 수 있기 전에 팔로워는 이 간극을 통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가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할 때,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 가해진 열림 토크에 의하여 포올은 일반적으로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한다. 만일 팔로워가 간극을 통과한 후에 팔로워가 포올과 맞물리지 못한다면, 메커니즘은 팔로워를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킨다.
한 실시예에서, 트리거 레버는 또한 중간 캐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할 수 있는 중간 캐치 포올이다. 이 경우에 록킹 메커니즘은 도어 또는 패널을 록킹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캐치 위치에서 록킹 메커니즘은 계획대로 아직 록킹되지 않는다. 로터리 래치가 록킹 위치의 방향으로 더 선회한다면, 메인 캐치 위치는 중간 캐치 위치로부터 도달된다.
본 발명의 록킹 메커니즘은 특히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된 록 플레이트 상에 또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된 록 케이스 상에 장착된다. 보통, 이러한 록은 또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록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록 하우징은 외부의 록의 부품을 보호한다. 또한,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록 리드 및/또는 중앙 록킹을 위한,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리드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은 건물의 도어 또는 패널의 부품 또는 차량의 도어 또는 패널의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로터리 래치의 메인 캐치 위치를 위한 포올(또한, "메인 캐치 포올"로 언급됨), 로터리 래치의 중간 캐치 위치를 위한 포올(또한, "중간 캐치 포올"로 언급됨)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메인 캐치 포올을 위한 블록킹 레버를 갖는 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록은 DE 10 2008 061 524 A1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록은 또한 블록킹 레버에 더하여, 로터리 래치를 "중간 캐치 위치"에 그리고 "메인 캐치 위치"에 록킹시키기 위한 포올을 포함한다.
로터리 래치는 차량 도어 또는 차량 패널이 닫힐 때 도어 또는 패널의 록킹 핀이 들어오는 포크-형 유입 슬롯을 갖는다. 이 경우, 록킹 핀은 로터리 래치를 열림 위치에서 멈춤 위치로 선회 시킨다. 멈춤 위치에서, 록킹 핀은 로터리 래치의 유입 슬롯을 더 이상 떠날 수 없다. 포올은 멈춤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여 로터리 래치는 더 이상 열림 위치로 뒤로 이동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록은 선회될 수 있고 그리고 선회되어야 하는 포올, 블록킹 레버 또는 로터리 래치와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록은 적어도 하나의 프리텐션된 스프링 (pretensioned spring), 특히 레그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의 도움으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이러한 요소의 원하는 선회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프리텐션된 스프링은 포올을 그의 멈춤 위치로 이동,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 또는 로터리 래치를 그의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터리 래치, 포올, 그리고 블록킹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록 플레이트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록 케이스 바로 옆의 가장 낮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 레버는 가장 낮은 평면과 트리거 레버가 배치된 평면 사이에 위치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배치 또한 가능하다.
도 1은 메인 캐치 위치에서의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열림 동안의 도 1의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로터리 래치(1), 포올(2), 블록킹 레버(3) 그리고 트리거 레버(4)를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로터리 래치(1)는 자신의 축(5)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포올(2)과 트리거 레버(4)는 그들의 공통 축(6)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블록킹 레버(3)는 축(7)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로터리 래치(1), 포올(2) 그리고 블록킹 레버(3)는 공통적인 평면 상에 위치한다. 트리거 레버(4)는 다른, 제 2 평면 상에 위치한다.
록킹 메커니즘은 또한 3개의 레버 아암(9, 10 및 11)을 갖는 전달 레버(8)를 포함한다. 전달 레버(8)는 그 축(12)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전달 레버(8)는 다른 제 3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3개의 레버 아암(9, 10 및 11)은 그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한다. 이는 또한 외부 레버 아암(10 및 11)에 적용된다. 레버 아암은 축(12)의 회전점에서 시작하고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요소에 부딪힐 수 있는 종료 영역에서 종료한다.
도 1은 메인 캐치 위치에서의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포올(2)의 레버 아암(13)은 로터리 래치(1)의 맞물림 아암 또는 메인 멈춤 아암(14)에 부딪히며, 따라서 로터리 래치(1)가 열림 위치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열림 토크가 포올(2) 내로 도입되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1)의 맞물림 아암(14)는 레버 아암(13)에 부딪힌다. 블록킹 레버(3)의 레버 아암(15)은 포올(2)의 레버 아암(13)을 차단하여 열림 토크의 결과로서 포올(13)이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차단 위치에서, 블록킹 레버(3)의 레버 아암(16)은 멈춤부(17)에 부딪히며, 따라서 블록킹 레버(3)가 그의 차단 위치를 지나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프리텐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은 블록킹 레버(3)를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레버 아암(15)은 레버 아암이 포올(2)의 레버 아암(13)의 측부에 부딪힐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블록킹 레버(3)가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될 때 레버 아암(15)이 포올(2)의 레버 아암(13)을 그의 멈춤 위치로 선회시킨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포올(2)을 그의 멈춤 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프리텐션된 스프링이 제공된다.
핀(18)은 제 2 평면의 방향으로 블록킹 레버(3)로부터 돌출된다. 블록킹 레버(3)가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레버 아암이 핀(18)을 잡는 방식으로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19)은 시계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레버 아암(19)은 또한 메인 캐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1)를 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터리 래치(1)는 제 2 평면의 방향으로 돌출된 핀(20)을 포함하며, 이 핀은 중간 캐치 위치에서 레버 아암(19)에 부딪힌다. 따라서 트리거 레버(4)는 또한 중간 캐치 포올이다.
예를 들어, 로드 메커니즘 또는 보덴 케이블은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21)에 연결되어 트리거 레버(4)는 선회되어 록킹 메커니즘을 시계 방향으로 열 수 있다. 핸들을 작동시킴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은 열린다.
전달 레버(6)의 레버 아암(11)의 종단은 제 1 평면 내로 연장되며 메인 캐치 위치에서의 간극으로서 포올(2)의 레버 아암(22)에 대한 작은 갭(gap)을 포함한다. 포올이 열림 토크에 의하여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레버 아암(11)의 이 종단은 팔로워(follower)의 역할을 수행하여 포올(2)을 그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킨다. 레버 아암(11)은 레버 아암(10)보다 약 1.8배 길다. 록킹 메커니즘이 열린다면,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23)은 레버 아암(10)의 종단을 잡으며 그 결과 전달 레버(8)를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프리텐션된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선회시킨다. 레버 아암(11)이 레버 아암(10)보다 길음에 따라, 전달이 이루어져 필요한 경우 팔로워(11)의 도움으로 단지 13.5°의 트리거 레버(4)의 작은 선회 운동이 포올(2)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완전히 이동시키기에 이미 충분하다.
메인 캐치 위치에서, 제 1 평면으로 연장된 레버(9)의 종단은 포올(2)의 레버 아암(22)에 부딪히며 따라서 멈춤 위치로의 포올(2)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또는 패널의 닫힘 동안의 포올(2)의 튀어오름(bouncing)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캐치 위치에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팔로워(11)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23)과 레버(10)의 종단 사이에 갭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멈춤부(24)를 도시하며, 트리거 레버(4) 그리고 포올(2)에 의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과도한 선회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버 아암(22 및 23)은 이 멈춤부에 맞서 이동될 수 있다.
유리한 전달율을 이루기 위하여, 전달 레버(8)의 레버 아암(10)과 비교하여, 전달 레버(8)의 레버 아암(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23)은 길다. 전달 레버(8)의 레버 아암(10)보다 약 2배 긴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23)이 도 1에 도시된다.
포올(2)의 레버 아암(22)의 관련된 물리적 유효 길이와 비교하여, 포올(2)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전달 레버(8)의 레버 아암(11)은 바람직하게는 길다. 도 1에서, 전달 레버의 이 레버 아암(11)은 전달에 물리적으로 유효한 포올(2)의 레버 아암(22)의 부분보다 약 1.5배 길다.
도 2는 팔로워(11)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도시한다. 도 1과 비교하여, 아암(23)에 의하여 전달 레버(8)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며 레버 아암(10)의 종단에 부딪힌다. 블록킹 레버(3)는 트리거 레버(4)에 의하여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되며 그 레버 아암(15)으로 포올(2)의 레버 아암(13)의 측부에 부딪힌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팔로워(11)는 포올(2)의 레버 아암(22)에 부딪히며, 또한 포올(2)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시킨다. 로터리 래치(1)는 이미 열림 위치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다소 이동되고 자유롭게 선회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은 언록킹된다. 트리거 레버(4)는 레버 아암(10)의 도움으로 전달 레버(8)를 선회시킨다. 레버 아암(10) 그리고 선회된 레버 아암(11)으로 포올(2)이 로터리 래치(1)의 맞물림 위치 밖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전달이 선택된다. 이 경우, 트리거 레버(4)는 또한 블록킹 레버(3)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다. 블록킹 레버(3)는 포올(2)에 의하여 방향이 더 바뀐다. 도면은 블록킹 레버(3)의 핀(18)과 트리거 레버(4)의 레버 아암(19) 사이의 갭을 도시한다.
1: 로터리 래치
2: 메인 캐치 포올
3: 블록킹 레버
4: 트리거 레버
5: 로터리 래치 축
6: 포올과 트리거 레버의 공통 축
7: 블록킹 레버
8: 전달 레버
9: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
10: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
11: 전달 레버의 레버 아암
12: 전달 레버의 선회 축
13: 포올의 멈춤 아암(detent arm)
14: 로터리 래치의 맞물림 아암(engaging arm)
15: 블록킹 레버의 블록킹 아암
16: 블록킹 레버의 레버 아암
17: 블록킹 레버용 멈춤부
18: 블록킹 레버의 핀
19: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
20: 로터리 래치의 핀
21: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
22: 포올의 레버 아암
23: 트리거 레버의 레버 아암

Claims (10)

  1. 로터리 래치(1) 및 로터리 래치(1)를 록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올(2)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또는 건물을 위한 도어 또는 패널용 록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가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트리거 레버(4)로 열림 토크를 포올(2)에 도입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1)와 포올(2)은 바람직하게는 설계되며, 전달 장치는 트리거 레버(4)의 선회 운동을 증가시키고, 전달 장치는 특히 팔로워(11)의 도움으로 포올(2)을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달 레버(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2. 제1항에 있어서, 2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16°까지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4°까지의 트리거 레버(4)의 선회 운동이 팔로워(11)의 도움으로 포올(2)을 그 멈춤 위치에서 완전하게 제거하기에 충분한 방식 및/또는 적어도 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의 트리거 레버(4)의 선회 운동이 팔로워(11)의 도움으로 포올(2)을 그 멈춤 위치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방식으로 전달 장치는 트리거 레버(4)의 회전 운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4)는 짧은 레버 아암(11) 그리고 팔로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비교적 긴 레버 아암(11)을 포함하되, 이 레버 아암들은 공통 축(2)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포올(2)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전달 레버(8)의 레버 아암(11)은 전달 레버(8)에 의하여 이동되는 포올의 레버 아암(22)과 비교하여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달 레버(8)는 3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되, 하나의 레버 아암(9)은 록킹 메커니즘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레버 아암(9)은 특히 록킹 메커니즘의 닫힘 상태에서 포올(2)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달 레버의 적어도 2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레버 아암(9, 10, 11)은 함께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7. 제1 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달 레버(8)의 레버 아암(9)을 포올(2)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1)에 의하여 멈춤 위치에서 포올(2)로 도입된 열림 토크에 의하여 포올(2)이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될 때 팔로워가 단지 포올(2)을 그의 멈춤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팔로워(1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포올(1)과 트리거 레버(4)는 공통 축(6) 상에 선회적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블록킹 레버(3)는 포올(2)을 그 멈춤 위치에서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KR1020147026952A 2012-03-09 2013-02-16 패널 또는 도어용 록 KR101984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3734A DE102012203734A1 (de) 2012-03-09 2012-03-09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DE102012203734.9 2012-03-09
PCT/DE2013/000085 WO2013131502A1 (de) 2012-03-09 2013-02-16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514A true KR20140139514A (ko) 2014-12-05
KR101984344B1 KR101984344B1 (ko) 2019-05-30

Family

ID=4822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952A KR101984344B1 (ko) 2012-03-09 2013-02-16 패널 또는 도어용 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77517B2 (ko)
EP (1) EP2823120B1 (ko)
JP (1) JP6307738B2 (ko)
KR (1) KR101984344B1 (ko)
CN (1) CN104169509B (ko)
CA (1) CA2864774A1 (ko)
DE (1) DE102012203734A1 (ko)
IN (1) IN2014DN07002A (ko)
MX (1) MX2014010597A (ko)
RU (1) RU2014136069A (ko)
WO (1) WO2013131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7440A1 (de) * 2012-05-04 2013-11-07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DE102012023236A1 (de) * 2012-11-28 2014-05-2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DE102014201808A1 (de) * 2014-01-31 2015-08-06 Kiekert Ag Verfahren für ein Schließen einer Kraftfahrzeughaube
DE102014003106A1 (de) 2014-03-11 2015-09-1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KR101876000B1 (ko) * 2015-11-03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래치 어셈블리
CN109339599B (zh) * 2016-01-29 2021-03-12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锁
CN106285227A (zh) * 2016-11-07 2017-01-04 宁波市振兴锁业有限公司 锁具的执行机构以及自动上锁的锁具
JP7215153B2 (ja) * 2018-12-26 2023-01-31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WO2021205536A1 (ja) 2020-04-07 2021-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3494218B (zh) * 2021-07-26 2022-08-16 上海恩井汽车科技有限公司 锁装置及机动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9599B1 (de) * 2006-11-22 2010-03-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JP2011226155A (ja) * 2010-04-20 2011-11-10 Johnan Seisakusho Co Ltd ドア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9703C1 (en) * 1991-06-14 1992-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De Car door lock with bolted catch - transfers locking motion, on actuation, in stages via bearing face of lever
DE4222868A1 (de) * 1992-07-11 1994-01-13 Bosch Gmbh Robert Sperrvorrichtung für Türen eines Kraftfahrzeugs
DE4327782C2 (de) * 1992-08-25 1996-05-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Tür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Ein-Bewegungs-Türöffnungsmechanismus
DE19725416C1 (de) * 1997-06-17 1999-01-21 Huf Huelsbeck & Fuerst Gmbh Drehfallen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FR2835867B1 (fr) * 2002-02-12 2004-08-2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GB0208434D0 (en) * 2002-04-12 2002-05-22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arrangement
CN2828252Y (zh) * 2005-09-15 2006-10-18 法国阿文美驰轻型车系统有限公司 用于机动车的锁
DE102008034638A1 (de) * 2008-07-25 2010-01-28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blockierter Sperrklinke
DE102008048712A1 (de) * 2008-09-24 2010-03-25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klinken-Gesperre
DE102008061524A1 (de) 2008-12-10 2010-06-17 Kiekert Ag Mehrklinken-Gesperre mit Rasthaken
DE202009000416U1 (de) * 2009-01-29 2009-03-26 D. la Porte Söhne GmbH Fahrzeugtürschlossanordnung
US8505987B2 (en) 2009-03-17 2013-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ly-activated hood latch and release mechanism
DE102010003483B4 (de) 2009-06-12 2019-08-01 Kiekert Ag Schloss mit Zwangsführung für Sperrklinke
DE102010003491A1 (de) * 2009-06-12 2011-01-05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0003500A1 (de) * 2010-03-31 2011-10-06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GB2480860B (en) * 2010-06-04 2014-05-21 Body Systems Usa Llc Latch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9599B1 (de) * 2006-11-22 2010-03-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JP2011226155A (ja) * 2010-04-20 2011-11-10 Johnan Seisakusho Co Ltd ドア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3120A1 (de) 2015-01-14
US9777517B2 (en) 2017-10-03
CN104169509A (zh) 2014-11-26
IN2014DN07002A (ko) 2015-04-10
CA2864774A1 (en) 2013-09-12
JP6307738B2 (ja) 2018-04-11
WO2013131502A1 (de) 2013-09-12
RU2014136069A (ru) 2016-05-10
CN104169509B (zh) 2016-11-23
EP2823120B1 (de) 2016-08-03
DE102012203734A1 (de) 2013-09-12
MX2014010597A (es) 2014-09-18
KR101984344B1 (ko) 2019-05-30
JP2015513625A (ja) 2015-05-14
US20150167363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344B1 (ko) 패널 또는 도어용 록
KR102005604B1 (ko) 플랩 또는 도어 용 록
US1035884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8827329B2 (en) Lock unit having a multi-pawl locking mechanism
KR102165338B1 (ko) 플랩 또는 도어용 록
US9534424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EP2113048B1 (en) Latch assembly
EP3102761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8172283B2 (en) Door latch device in a motor vehicle
EP2994587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11401739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US20100127511A1 (en) Vehicle door latch having a power lock-unlock mechanism
US1074594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985554B1 (ko)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WO2018138996A1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CN101939499B (zh) 用于机动车的门板的锁
KR20180137528A (ko) 차량용 폐쇄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