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23B1 -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23B1
KR102215723B1 KR1020190102829A KR20190102829A KR102215723B1 KR 102215723 B1 KR102215723 B1 KR 102215723B1 KR 1020190102829 A KR1020190102829 A KR 1020190102829A KR 20190102829 A KR20190102829 A KR 20190102829A KR 102215723 B1 KR102215723 B1 KR 10221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ush
door lock
digital door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희
Original Assignee
(주)솔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리티 filed Critical (주)솔리티
Priority to KR102019010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8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with sliding output elements forming part of cylinder locks, e.g. in the form of pins or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핸들을 밀어냄과 당김의 선택 동작이 간단한 구조의 최소 부품만으로 구현되도록 하여서 된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푸쉬풀핸들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본체 내부에 핸들의 밀어냄 또는 당김 동작으로 연동되는 승강체와 캠에 의하여 모터스의 래치볼트가 풀림 상태로 되도록 하되, 상기 승강체의 상단에 형성된 하나의 돌기와, 상승요홈 및 제1스토퍼와, 하강요홈 및 제2스토퍼가 연접하여 설치되어 습동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상승요홈과 하강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서 된 횡상습동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들의 밀어냄과 당김 동작 선정을 위한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협소한 디지털 도어록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이어서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 Push-Pull Type Digital Doorlock }
본 발명은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에 설치되는 핸들을 밀고 당기는 단순 동작으로 모티스의 데드볼트를 출몰시키기 위한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은 개문을 위하여 핸들을 회전 조작하지 않고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직관적 조작으로 편리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점차 그 보급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반면에 이러한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은 실외측 몸체의 손잡이와 실내측 몸체의 손잡이가 서로 대응하게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조이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을 고려하여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를 선택 구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시공 시에 실내, 외측 몸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양방향으로 선택하여 개문이 가능하도록 한 푸쉬풀 디지털 도어록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47925(발명의 명칭: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록;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 개방에 사용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하는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30); 및
상기 승강체(30)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상기 손잡이(20)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한부재(40)는, 좌우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되되, 좌우 양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상승 제한돌기(41)와 하강 제한돌기(42)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30)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오목 형성되되, 상기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제한돌기(41)가 인입되는 하강 안내홈(34)과, 상기 하강 제한돌기(42)가 인입되는 상승 안내홈(35)이 구비되어, 상기 상승 제한돌기(41) 또는 상기 하강 제한돌기(42)가, 상기 하강 안내홈(34) 또는 상기 상승 안내홈(35)에 인입되면서 걸림 접촉하여, 걸림 접촉된 제한돌기의 반대 방향으로만 승강체(30)가 하강 또는 상승하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손잡이(20)의 푸쉬풀 동작을 선택하기 위하여 토션스프링등을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불필요하며, 도2 [A],[B]로 보인 바와 같이, 단순히 좌우 수평 이동 가능한 제한부재(40)를 습동시켜 주는 것만으로 좌,우 양측단에 돌출된 상승 제한 돌기(41)나 하강 제한돌기(42)가 승강체(30)의 양측에 설치된 하강 안내홈(34) 또는 상승 안내홈(35)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한부재(40)의 수평 위치를 기준으로 도2 [A]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체(30)가 하강만이 가능하게 되거나 도2 [B]로 보인 바와 같이 상승만이 가능하게 되어 손잡이(20)를 밀거나 당기는 어느 하나의 선택된 동작으로 개문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은 반드시 제한부재(4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상승 제한돌기(41)와 하강 제한돌기(42)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승강체(30)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오목 형성되되, 상기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제한돌기(41)가 인입되는 하강 안내홈(34)과, 상기 하강제한돌기(42)가 인입되는 상승 안내홈(35)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제한부재(40)의 폭이 충분하여야 하는 것이며 승강체(30)의 양측에 각각 안내홈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결국 도2에 "횡"으로 표기된 폭과 "종"으로 주기(朱記)된 길이를 곱한 면적만큼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인용발명은 협소하기 마련인 디지털 도어록 내부 공간을 상당부분 점유함에 따라 콤팩트한 설계가 어렵게 되고 디지털 도어록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1747925(발명의 명칭: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록)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핸들을 밀어냄과 당김의 선택 동작이 간단한 구조의 최소 부품만으로 구현되도록 하여서 된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푸쉬풀핸들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본체 내부에 핸들의 밀어냄 또는 당김 동작으로 연동되는 승강체와 캠에 의하여 모터스의 래치볼트가 풀림 상태로 되도록 하되,
상기 승강체의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돌기와,
일측에 상기 승강체의 돌기가 결합되는 상승요홈과, 상기 상승요홈에서 하강을 제한하도록 승강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1스토퍼와, 상기 상승요홈에 접한 하강요홈과, 상기 하강요홈에서 상승을 제한하도록 승강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2스토퍼가 설치되고, 타측에 디지털 도어록의 본체 외부에 노출되는 습동레버가 구성되어 상기 습동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상승요홈과 하강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이동되는 횡상습동체가 구비되고,
상기 횡상습동체는 상승요홈과 습동레버 사이에 스프링의 절곡부가 선택적으로 물림되는 제1멈춤홈과 제2멈춤홈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들의 밀어냄과 당김 동작 선정을 위한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협소한 디지털 도어록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이어서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록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의 요부 작동을 보인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대기 및 푸쉬 그리고 풀 동작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 및 배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체와 횡상습동체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7, 도8은 본 발명의 승강체가 대기상태에서 하강하는 작동을 보인 요부 설명도.
도9는 승강체의 하강 대기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0은 승강체의 하강된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도11, 도12는 상기 승강체가 대기상태에서 상승하는 작동을 보인 요부 설명도.
도13은 승강체의 상승 대기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4는 승강체의 상승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를 보이는 배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풀핸들(103)를 구비하여서 된 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며, 도4에서는 상부의 대기 상태에서 하방 좌측에서 보인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푸쉬풀핸들(105)을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내었을 시 푸쉬풀레버(600)가 반시계방향으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승강체(200)가 하강함을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4의 하방 우측에서 보인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푸쉬풀핸들(105)을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내었을 시 푸쉬풀레버(600)가 시계방향으로 승강하고, 이에 따라 승강체(200)가 상승함을 도시하였으며, 이 같은 공지된 구조에 의하여 푸쉬풀레버(600)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푸쉬풀레버(600) 및 승강체(200)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또한, 도5에서 본 발명에서의 푸쉬풀 동작을 성취하는 승강체와 횡상습동체의 요부 구성을 정면도 및 배면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푸쉬풀핸들(103)에 의하여 상하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는 푸쉬풀레버(600)가 고정볼트(602)로 고정된 리턴스프링(601)에 끼워져 있으며, 이러한 푸쉬풀레버(600)가 승강체(200)의 통공(203)에 끼워져 푸쉬풀핸들(103)를 당기거나 밀어주면 푸쉬풀레버(600)가 승강체(2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을 도4와 함께 도5 및 도6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승강체(200)의 일단에 돌기(202)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돌기(20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횡상습동체(500)에 결합된다.
상기 횡상습동체(500)의 구조를 도 7, 8 및 도 11, 12 에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횡상습동체(500)는 상승요홈(501)과 하강요홈(502)이 구비되고 상호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승요홈(501)의 하방에는 제1스토퍼(503)가 돌출되어 있고, 하강요홈(502)의 상방에는 제2스토퍼(504)가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횡상습동체(500)는 일측에 제1멈춤홈(505)과 제2멈춤홈(506)이 구비되어 스프링지지축(401)에 고정된 스프링(400)의 절곡부(402)가 선택적으로 물리게 된다.
이러한 횡상습동체(500)는 습동레버(507)를 도 7, 도 8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줌으로써 푸쉬풀핸들(103)를 밀어 푸쉬풀레버(600)가 하강함으로써 승강체(200)의 돌기(202)가 하향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습동레버(507)를 도 11, 도 1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줌으로써 푸쉬풀핸들(103)를 당겨 푸쉬풀레버(600)가 상승함으로써 승강체(200)의 돌기(202)가 상승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어서 승강체(200) 하방의 결합홈(201)에 결합된 캠(30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티스의 래치가 몰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푸쉬풀핸들(103)을 밀어주는 동작으로 문이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도15의 상방에 보인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01)의 습동공(102)으로 돌출되어 있는 횡상습동체(500)의 습동레버(507)를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도7 및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체(200)의 돌기(202)는 횡상습동체(500)의 하강요홈(502)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래치볼트가 풀림상태로 되어 문을 열고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푸쉬풀핸들(103)을 밀어주면 푸쉬풀레버(600)는 리턴스프링(601)에 의하여 대기 상태인 현재의 도7로 보인 중립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승강체(200)의 통공(203)에 끼워진 푸쉬풀레버(600)가 승강체(200)를 하방으로 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체(200)의 돌기(202) 역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9로 보인 리턴스프링(601)에 의하여 승강체(200) 위치가 유지되고 있던 중립상태에서 도 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하강함에 따라 승강체(200)의 결합홈(201)에 끼워진 캠(30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캠(300)의 연결축공(301)에 결합된 연결축이 회동하여 문에 내장된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풀림상태 또는 후퇴상태가 되어 문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푸쉬풀핸들(103)을 밀어내는 동작만이 가능한 것이며, 푸쉬풀핸들(103)을 당기면 승강체(200)의 통공(203)에 끼워진 푸쉬풀레버(600)가 상승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승강체(200)가 상승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나, 승강체(200)의 돌기(202)가 횡상습동체(500)의 제2스토퍼(504)에 의하여 상승이 차단되므로 결국 푸쉬풀핸들(103)은 밀어내는 방향으로만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횡상습동체(500)의 습동레버(507)를 좌측으로 밀어 주면 스프링지지축(401)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400) 타단의 절곡부(402)가 제2멈춤홈(506)에 걸린 상태로 횡상습동체(500)를 도면상 하방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횡상습동체(500)는 진동 등에 의하여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되어 현재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푸쉬풀핸들(103)을 당겨줌으로써 문이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저 백플레이트(101)의 습동공(102)으로 돌출되어 있는 횡상습동체(500)의 습동레버(507)를 도15의 하방으로 보인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도11 및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체(200)의 돌기(202)는 정지되어 있으나, 횡상습동체(50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승강체(200)의 돌기(202)가 상승요홈(501)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래치볼트가 풀림상태로 되어 문을 열고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푸쉬풀핸들(103)을 당겨주면 푸쉬풀레버(600)는 리턴스프링(601)에 의하여 위치가 유지되고 있는 현재의 도11로 보인 중립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승강체(200)의 통공(203)에 끼워진 푸쉬풀레버(600)가 승강체(200)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체(200)의 돌기(202)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13으로 보인 리턴스프링(601)에 의하여 승강체(200) 위치가 유지되고 있던 중립상태에서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체(200) 위치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체(200)의 결합홈(201)에 끼워진 캠(3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캠(300)의 연결축공(301)에 결합된 연결축이 회동하게 됨에 따라 문에 내장된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풀림상태 또는 후퇴상태가 되어 문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푸쉬풀핸들(103)을 당기는 동작만이 가능한 것이며, 푸쉬풀핸들(103)을 밀어주면 승강체(200)의 통공(203)에 끼워진 푸쉬풀레버(600)가 하강하려 하고 승강체(200) 역시 하강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나, 승강체(200)의 돌기(202)가 횡상습동체(500)의 제1스토퍼(503)에 의하여 하강이 차단되므로 결국 푸쉬풀핸들(103)은 당기는 방향으로만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횡상습동체(500)의 습동레버(507)를 우측으로 밀어 주면 스프링지지축(401)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400) 타단의 절곡부(402)가 제2멈춤홈(506)에서 제1멈춤홈(505)으로 이동하여 횡상습동체(500)를 도면상 하방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횡상습동체(500)는 진동 등에 의하여 위치가 변화되지 않게 되어 현재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도15로 보인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01)로 노출된 횡상습동체(500)의 습동레버(507)를 이동시켜 주는 것만으로 선택된 푸쉬(밀어냄) 또는 풀(당김)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래치볼트의 풀림이 구현되는 것이어서 조작이 단순화되어 사용의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이려니와 특히 횡상습동체(500)에 상승요홈(501)과 제1스토퍼(503) 및 하강요홈(502)과 제2스토퍼(504)를 크랭크 형태로 집중 설치하고, 승강체(200)의 돌기(202) 하나에 의하여 푸쉬/풀의 전환동작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선택적인 전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푸쉬풀핸들 작동 선택 설정 구조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본체 101 : 백플레이트 102 : 지지봉
103 : 횡장공 104 : 습동공 105 : 푸쉬풀핸들
106 : 내부중심축 200 : 승강체 201 : 결합홈
202 : 돌기 203 : 통공 300 : 캠
301 : 연결축공 400 : 스프링 401 : 스프링지지축
500 : 횡상습동체 501 : 상승요홈 502 : 하강요홈
503 : 제1스토퍼 504 : 제2스토퍼 505 : 제1멈춤홈
506 : 제2멈춤홈 507 : 습동레버 600 : 푸쉬풀레버
601 : 리턴스프링 602 : 고정볼트

Claims (6)

  1. 푸쉬풀핸들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본체 내부에 핸들의 밀어냄, 당김 동작으로 연동되는 승강체와 캠에 의하여 모터스의 래치볼트가 풀림 상태로 되도록 하되,
    상기 승강체의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돌기와,
    일측에 상기 승강체의 돌기가 결합되는 상승요홈과, 상기 상승요홈에서 하강을 제한하도록 승강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1스토퍼와, 상기 상승요홈에 접한 하강요홈과, 상기 하강요홈에서 상승을 제한하도록 승강체 방향으로 돌출된 제2스토퍼가 설치되고, 타측에 디지털 도어록의 본체 외부에 노출되는 습동레버가 구성되어 상기 습동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상승요홈과 하강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이동되는 횡상습동체가 구비되고,
    상기 횡상습동체는 상승요홈과 습동레버 사이에 스프링의 절곡부가 선택적으로 물림되는 제1멈춤홈과 제2멈춤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돌기는 상기 상승요홈 및 제1스토퍼 또는 하강요홈 및 제2스토퍼에 의한 공간에서 제한 승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상습동체에 형성된 상승요홈과 하강요홈이 크랭크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2829A 2019-08-22 2019-08-22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KR10221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29A KR102215723B1 (ko) 2019-08-22 2019-08-22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29A KR102215723B1 (ko) 2019-08-22 2019-08-22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723B1 true KR102215723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29A KR102215723B1 (ko) 2019-08-22 2019-08-22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410A (ko) * 2022-04-20 2023-10-27 (주) 솔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25B1 (ko) 2016-10-21 2017-06-16 밀레시스텍(주)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1843047B1 (ko) * 2017-08-02 2018-03-28 전병화 슬라이딩 잠금장치를 갖는 푸쉬풀 도어락
KR200489832Y1 (ko) * 2018-09-19 2019-08-19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25B1 (ko) 2016-10-21 2017-06-16 밀레시스텍(주)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1843047B1 (ko) * 2017-08-02 2018-03-28 전병화 슬라이딩 잠금장치를 갖는 푸쉬풀 도어락
KR200489832Y1 (ko) * 2018-09-19 2019-08-19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410A (ko) * 2022-04-20 2023-10-27 (주) 솔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KR102628838B1 (ko) 2022-04-20 2024-01-24 (주)솔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4909C (e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US10648195B2 (en)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I592560B (zh) Lock device and sliding door with the lock device
KR102215723B1 (ko)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KR20180007076A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2540440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7013688B2 (en) Top-and-bottom latch lock
KR200488399Y1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US20200270897A1 (en)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DE102004009366A1 (d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Schloss
KR102064296B1 (ko)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KR200364429Y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1075216B1 (ko) 비상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CN105358782A (zh) 包括可翻转和可滑移的翼扇的窗户、门或类似件的配件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2455098B1 (ko) 턴/틸트 겸용 창문
TWI611967B (zh) 車輛用鎖具
KR101786958B1 (ko)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KR102628838B1 (ko)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KR102460697B1 (ko)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200496291Y1 (ko) 도어락 잠금장치
KR102628831B1 (ko) 푸쉬풀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구동 샤프트 회동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