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838B1 -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838B1
KR102628838B1 KR1020220048582A KR20220048582A KR102628838B1 KR 102628838 B1 KR102628838 B1 KR 102628838B1 KR 1020220048582 A KR1020220048582 A KR 1020220048582A KR 20220048582 A KR20220048582 A KR 20220048582A KR 102628838 B1 KR102628838 B1 KR 10262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ush
auxiliary slider
slid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9410A (ko
Inventor
김도현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주)솔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리티 filed Critical (주)솔리티
Priority to KR102022004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8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4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96Springs actuated by c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핸들을 1회 밀거나 당겨주는 극히 단순한 조작만으로 푸시 세팅 또는 풀 세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핸들을 1회 밀어주거나 당겨주면 핸들 내측에 구비된 상측돌출부 또는 하측돌출부가 보조슬라이더를 습동시키면서 확보되는 공간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푸시 또는 풀 세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내,외측기의 커버를 분리하고 스토퍼, 핸들스프링을 재조립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출하 제품의 설치 시 별도의 공구 없이 핸들을 1회 밀거나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푸쉬풀 세팅이 완료되는 것이어서 세팅 작업의 단순화로 시공 작업 능률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Push-Pull Changeover Lever Assembly for 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록의 내측기와 외측기에 적용할 수 있는 푸시풀 세팅 조작이 극히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푸시풀전환을 위한 도어록(공개특허 10-2018-0060394)은 도 1 내지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키입력부가 일측에 마련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와 함께 내부 부품을 감싸 보호하고,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 일측에 슬라이더가압부재(4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푸시 또는 풀 작동에 의해 회전 하는 핸들베이스(400); 상기 핸들베이스에 형성된 슬라이더가압부재(440)가 관통되는 가압부재관통공(51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압부재(440)와 걸림으로써 상기 핸들베이스(4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500); 상기 슬라이더가압부재(44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슬라이더(600); 및 상기 슬라이더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 내부로 몰입시키는 로터(7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도어록(공개특허 10-2018-0060394)은 핸들의 푸시 또는 풀 전환을 위하여 반드시 내,외측기의 커버를 분리하고 슬라이더가압부재(440)가 끼워진 스토퍼(500)를 분리하여 원하는 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재조립하여야 하며, 핸들을 풀동작으로 개문시키려면 하측 스프링결합부에 핸들스프링(460)을 결합하고 푸시 동작으로 개문시키려면 상측 스프링결합부(420)에 핸들스프링(460)을 결합한 후 내,외측기의 커버를 재조립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어 시공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60394 (발명의 명칭 : 푸시풀전환을 위한 도어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핸들을 1회 밀거나 당겨주는 극히 단순한 조작만으로 푸시 세팅 또는 풀 세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하된 제품을 푸시 세팅 또는 풀 세팅을 위하여 핸들을 1회 밀어주면 핸들 내측에 구비된 상측돌출부가 보조슬라이더를 하방으로 습동시키면서 확보되는 수용공간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후에는 핸들 내측에 구비된 하측돌출부가 보조슬라이더를 밀어 올릴 수 없는 막힌 상태가 되어 푸시 세팅이 완료되는 것이고,
핸들을 1회 당겨주면 핸들 내측에 구비된 하측돌출부가 보조슬라이더를 상방으로 습동시키면서 확보되는 수용공간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후에는 핸들 내측에 구비된 상측돌출부가 보조슬라이더를 밀어 내릴 수 없는 막힌 상태가 되어 풀 세팅이 완료되는 것이어서 출하 제품의 설치 시 핸들을 1회 밀거나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푸쉬풀 세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들 내,외측기의 커버를 분리하고 스토퍼, 핸들스프링을 재조립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출하 제품의 설치 시 핸들을 1회 밀거나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푸쉬풀 세팅이 완료되는 것이어서 세팅 작업의 단순화로 시공작업능률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핸들 푸시풀 세팅을 위하여 일체의 조립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공구가 필요 없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2는 종래의 푸시풀전환을 위한 도어록 요부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풀 세팅 상태인 종래의 도어록 작동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푸시 세팅 상태인 종래의 도어록 작동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푸시풀 디지털 도어록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푸시풀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푸시 동작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핸들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풀 동작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핸들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문에 장착되는 본체와 핸들의 조립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문의 모티스에 장착되는 본체의 후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10으로 보인 본체 요부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핸들이 결합되는 본체의 전면을 보인 분리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13은 핸들이 결합되는 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핸들이 결합되는 본체의 전면 요부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5는 핸들이 결합되는 본체의 전면 요부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16은 보조슬라이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보조슬라이더의 중립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대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핸들의 푸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0은 보조슬라이더가 푸시 세팅으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푸시 세팅되어 풀 동작이 차단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핸들의 풀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3은 보조슬라이더가 풀 세팅으로 상승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풀 세팅되어 푸시 동작이 차단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의 현관문(800)에 장착되는 내측기 또는 외측기가 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와 결합된 핸들(200)을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 6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의 현관문(800)에 본체(100)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본체(100)와 결합된 핸들(200)을 측면도로 보였다.
또한, 도 7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을 푸시 상태로 세팅하여 핸들(200)을 푸시한 상태를 측면도로 보였으며, 도 8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을 풀 상태로 세팅하여 핸들(200)을 풀한 상태를 측면도로 보였다.
이상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은 본체(100)가 현관문(800)에 고정되고, 핸들(200)의 상부를 밀어주는 푸시 또는 당겨주는 풀 동작으로 현관문(800)에 매설되는 미도시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몰입시킴으로써 문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과정에서 핸들(200)의 푸시 동작 또는 풀 동작으로 개문되도록 선택적으로 세팅함에 있어서, 일체의 분해, 조립 공정이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푸시 또는 풀 동작만으로 푸시 또는 풀 동작 세팅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를 도 9 이하에 보였다.
도 9에서는 본체(100)와 핸들(200)이 결합되는 구조를 사시도로 도시하였으며, 도 10에서는 본체(1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하였고, 도 11에서는 본체(100)의 구조를 분리사시도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12에서는 도 11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를 보였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3으로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를 사시도로 보였고, 도 14에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를 정면도로 보였으며, 도 15에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 분리사시도 및 부분확대도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샤프트(204)의 샤프트체결공(205)에 본체(100)의 핸들체결볼트(104)가 고정되어 핸들(200)이 핸들샤프트(20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핸들(200)이 고정된 본체(100)에 대하여 푸시 또는 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핸들(200)로부터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핸들레버(203)가 슬라이더(600)의 핸들레버결합공(601)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200)의 회동 시 핸들(200)과 함께 회동하는 핸들레버(203)에 의해 슬라이더(600)가 본체(100) 내에서 이동되며,
상부스프링(101)과 하부스프링(102)에 의하여 습동 및 복원이 실시되는 슬라이더(600)의 사각공(603)에 결합된 로터(700)의 돌기(701)가 회동되면서 로터(700)가 회전되어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몰입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더(600)의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에 결합되는 레버(303)가 구비된 보조슬라이더(300)를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에 설치하고, 상기 보조슬라이더(300)는 상부턱(501) 및 하부턱(502) 사이의 공간에서 제한 습동되도록 상부가이드(505)와 하부가이드(506)가 안내홈(305)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슬라이더(300)의 레버(303)의 습동시 보조슬라이더(300)가 상부턱(501) 또는 하부턱(502)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공간(504) 또는 상측공간(503)이 선택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핸들(200)의 상측돌출부(201) 또는 하측돌출부(202)가 선택적으로 상측공간(503) 또는 하측공간(504)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특히, 도 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에 설치된 보조슬라이더(300)의 측부에 상측요입부(301)와 하측요입부(302) 그리고 상기 상측요입부(301)와 하측요입부(302) 사이에 구비된 평탄면(30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측요입부(301)와 평탄면(304) 그리고 하측요입부(302)에 토션스프링중심축(402)에 일단이 고정된 토션스프링(400)의 토션스프링절곡부(401)가 밀착되어있는 것이어서 보조슬라이더(3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 후에는 토션스프링(400)의 토션스프링절곡부(401)가 상측요입부(301)와 하측요입부(302)에 체결되어 있어서 보조슬라이더(300)의 레버(303)를 밀기 전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유동됨이 방지되어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본체(100)의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으로 노출되어 있는 레버(303)가 중간의 위치에 있도록 하여 토션스프링절곡부(401)가 평탄면(304)에 위치한 상태로 완제품이 공급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16으로 보였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보조슬라이더(300)가 도 17로 보인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505)와 하부가이드(506)에 닿지 않은 상태로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8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00)에 대하여 핸들(200)이 평행상태로 기립하여 있는 것이며, 그 확대도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슬라이더(300)의 레버(303)가 본체(100)의 통공(103)을 경유하여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의 중간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예로 푸시 상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200)을 도 19로 보인 바와 같이 상측이 도면상 좌측으로 습동되도록 밀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600)의 핸들레버결합공(601)에 삽입되어 있는 핸들레버(203)가 핸들샤프트(204)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러한 핸들레버(203)의 회동은 슬라이더(6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핸들(200)의 상측돌출부(201)가 회동하면서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의 상측공간(503)으로 밀고 들어가 보조슬라이더(300)가 하강하도록 밀어낸다.
이러한 상태를 도 19의 확대도로 보였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슬라이더(300)의 상측요입부(301)에 토션스프링(400)의 토션스프링절곡부(401)가 물려져 도 20으로 보인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에서 상측공간(503)이 노출된 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린 공간이 된 상측공간(503)으로 핸들(200)의 상측돌출부(201)가 삽입될 수 있어서 핸들(200)의 푸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반면에 하측공간(504)은 보조슬라이더(300)가 하부턱(502)에 밀착되어 닫힌 상태가 되므로 핸들(200)의 하측돌출부(202)가 닫힌 하측공간(504)으로는 들어갈 수 없게 됨에 따라 핸들(200)의 풀 작동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200)을 밀어주는 지극히 단순한 조작만으로 푸시 상태의 작동이 세팅 완료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은 아무런 분해, 조립 공정이나 공구 없이 푸시 상태의 세팅이 가능하여 설치 공정이 대단히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00)을 당기는 풀 동작을 하더라도 도 21의 확대도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핸들(200)을 당기는 경우 핸들(200)의 하측돌출부(202)가 핸들샤프트(204)를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보조슬라이더(300)가 이미 하측공간(504)을 막고 있으므로 밀고들어갈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풀 동작에는 개문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으로 노출되어 있는 레버(303)가 중간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당기는 동작으로 개문되도록 하는 풀 세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도 17로 보인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505)와 하부가이드(506)에 닿지 않은 상태로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8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00)에 대하여 핸들(200)이 평행상태로 기립하여 있으며,
상기 보조슬라이더(300)의 레버(303)가 본체(100)의 통공(103)을 경유하여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의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풀 세팅을 위하여 핸들(200)을 도 22로 보인 바와 같이 상측이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 주게 된다. 이에 따라 핸들레버(203)가 핸들샤프트(204)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러한 핸들레버(203)의 회동은 슬라이더(6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핸들(200)의 하측돌출부(202)가 회동하면서 본체(100)의 전면구조부(500)의 하측공간(504)으로 밀고들어가 보조슬라이더(300)가 상승하도록 밀어낸다.
이러한 상태를 도 22의 확대도로 보였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400)의 토션스프링절곡부(401)가 보조슬라이더(300)의 하측요입부(302)에 물려 도 23으로 보인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에서 하측공간(504)이 노출된 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린 공간이 된 하측공간(504)으로 핸들(200)의 하측돌출부(202)가 삽입될 수 있어서 핸들(200)의 풀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반면에 상측공간(503)은 보조슬라이더(300)가 상부턱(501)에 밀착되어 닫힌 상태가 되므로 핸들(200)의 상측돌출부(201)가 닫힌 상측공간(503)으로는 들어갈 수 없게 됨에 따라 핸들(200)의 푸시 작동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풀 상태로 작동이 세팅 완료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은 아무런 분해, 조립 공정이나 공구 없이 풀 상태의 세팅이 가능하여 대단히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00)을 밀어내는 푸시 동작을 하더라도 도 24의 확대도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핸들(200)을 밀어내는 경우 핸들(200)의 상측돌출부(201)가 핸들샤프트(204)를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보조슬라이더(300)가 이미 상측공간(503)을 막고 있으므로 상측돌출부(201)가 밀고 들어갈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푸시 동작에는 개문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보조슬라이더(300)의 상향 습동과 하향 습동 시 위치 안정을 위하여 토션스프링(400)을 사용한 예를 보였으나 보조슬라이더(300)의 상측요입부(301)와 하측요입부(302) 그리고 평탄면(304)에 접촉 가능한 탄편을 측부에 설치하여 구현하여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조슬라이더(300)의 측부에 요홈이 없는 평탄면(304)을 구비하여 중립 위치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평탄면(304)에도 요홈을 형성하여 중립 위치가 명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600)의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의 상하 길이가 보조슬라이더(300)의 상측요입부(301) 및 하측요입부(302)의 간격과 동일한 규격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보조슬라이더(300)의 레버(303)가 상하로 습동됨에 있어서 정밀한 길이만큼 습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100)를 분해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상부공간(503) 또는 하부공간(504)이 닫혀있는지 열려있는지를 보조슬라이더(300)의 레버(303)가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602)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보조슬라이더(300)의 상측요입부(301)와 하측요입부(302)는 "ㅅ"형상 단면으로 되고 상기상측요입부(301)와 하측요입부(302)에 탄력 누름 동작으로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400)의 토션스프링절곡부(401) 역시 "ㅅ"형상으로 절곡된 강선재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곡면 또는 각형으로 절곡 상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보조슬라이더(300)는 상부턱(501)과 하부턱(502)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보조슬라이더(300)의 양단에 상측공간(503)과 하측공간(504)이 형성되며, 보조슬라이더(300)의 습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안내홈(305)의 상하에 각각 상부가이드(505)와 하부가이드(506)를 고정하여 보조슬라이더(300)가 안정된 습동 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보조슬라이더가이드(507)가 일측이 개방된 보조슬라이더(300)의 안내홈(305)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조슬라이더(300)를 충분한 강도를 갖을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구성할 수 있으면서도 보조슬라이더(300)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하고 더욱 안정된 습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본체 101: 상부스프링
102: 하부스프링 103: 통공
104: 핸들체결볼트 200: 핸들
201: 상측돌출부 202: 하측돌출부
203: 핸들레버 204: 핸들샤프트
205: 샤프트 체결공 300: 보조슬라이더
301: 보조슬라이더의 상측요입부 302: 보조슬라이더의 하측요입부
303: 보조슬라이더의 레버 304: 평탄면
305: 안내홈 400: 토션스프링
401: 토션스프링절곡부 402: 토션스프링중심축
500: 본체의 전면구조부 501: 상부턱
502: 하부턱 503: 상측공간
504: 하측공간 505: 상부가이드
506: 하부가이드 507: 보조슬라이더가이드
600: 슬라이더 601: 핸들레버결합공
602: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 603: 사각공
700: 로터 701: 돌기
800: 현관문

Claims (6)

  1. 핸들샤프트의 샤프트체결공에 본체의 핸들체결볼트가 고정되어 핸들이 핸들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핸들이 고정된 본체에 대하여 푸시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핸들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핸들레버가 슬라이더의 핸들레버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동 시 핸들과 함께 회동하는 핸들레버에 의해 슬라이더가 본체 내에서 이동되며,
    상부스프링과 하부스프링에 의하여 습동 및 복원이 실시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사각공에 결합된 로터의 돌기가 회동되면서 로터가 회전되어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몰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에 결합되는 레버가 구비된 보조슬라이더가 본체의 전면구조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슬라이더는 상부턱 및 하부턱 사이의 공간에서 제한 습동되도록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습동에 의해 보조슬라이더가 상부턱 또는 하부턱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공간 또는 상측공간이 선택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핸들의 상측돌출부 또는 하측돌출부가 선택적으로 상측공간 또는 하측공간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슬라이더의 현상태 유지를 위한 평탄면과 상측요입부와 하측요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탄면 및 상,하측 요입부에 맞물려 탄력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절곡부를 갖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슬라이더의 레버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보조슬라이더와 토션스프링의 절곡부가 접촉되는 보조슬라이더의 접촉면에는 요홈이 없는 평탄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슬라이더의 레버는 슬라이더에 구비된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으로 노출되며, 상기 보조슬라이더레버통공의 길이 범위 이내에서 보조슬라이더가 습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슬라이더의 상측요입부와 하측요입부는 "ㅅ"형상 단면으로 되고 상기 상측요입부와 하측요입부에 탄력 누름 동작으로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의 토션스프링절곡부는 "ㅅ"형상으로 절곡된 강선재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슬라이더는 일측이 개방된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의 상하에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를 고정하여 습동 시 지지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KR1020220048582A 2022-04-20 2022-04-20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KR10262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82A KR102628838B1 (ko) 2022-04-20 2022-04-20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82A KR102628838B1 (ko) 2022-04-20 2022-04-20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10A KR20230149410A (ko) 2023-10-27
KR102628838B1 true KR102628838B1 (ko) 2024-01-24

Family

ID=8851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582A KR102628838B1 (ko) 2022-04-20 2022-04-20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23B1 (ko) 2019-08-22 2021-02-16 (주)솔리티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94A (ko) 2016-11-29 2018-06-07 정화수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23B1 (ko) 2019-08-22 2021-02-16 (주)솔리티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10A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US7856857B2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KR101979508B1 (ko) 래치세트를 위한 슬라이딩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KR101168835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N106481157B (zh) 锁装置和具有该锁装置的推拉门
KR102628838B1 (ko) 디지털 도어록용 푸시풀 전환 레버 조립체
KR200488399Y1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0478968Y1 (ko)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US10006231B2 (en) Double lever latch device
KR102076141B1 (ko) 잠금과 풀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200269615Y1 (ko)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215723B1 (ko)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CN112009600B (zh) 感应锁上锁机构
KR102628831B1 (ko) 푸쉬풀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구동 샤프트 회동 조립체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CN112832607A (zh) 齐平式玻璃操作设备
KR102284735B1 (ko) 도어용 그립감을 갖는 기능성 데드락
KR102375402B1 (ko)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