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958B1 -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958B1
KR101786958B1 KR1020170065380A KR20170065380A KR101786958B1 KR 101786958 B1 KR101786958 B1 KR 101786958B1 KR 1020170065380 A KR1020170065380 A KR 1020170065380A KR 20170065380 A KR20170065380 A KR 20170065380A KR 101786958 B1 KR101786958 B1 KR 10178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eccentric
handle
eccentric ca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춘
Original Assignee
박영춘
주식회사 봉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춘, 주식회사 봉영 filed Critical 박영춘
Priority to KR102017006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앤풀 도어록 장치가 개시되는 것으로, 핸들의 푸시앤풀동작에 의해 인출된 래치가 인입되어 록킹된 도어가 해제되는 푸시앤풀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핸들(10)에는 핸들(10)이 푸시앤풀동작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걸쇠(11)가 구비된 핸들몸체(1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걸쇠(11)가 걸어져 이동걸쇠(11)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되는 편심캠이 구비되는 편심구동체(30)와; 상기 편심구동체(30)의 일방향 편심회전에 의해 인출된 래치를 인입시키는 래치체(40)와; 상기 이동체(20)와 편심구동체(30) 및 래치체(40)를 수용하고 상기 래치체(40)의 래치가 인출입되는 하우징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Push and Pull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들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지 않고 핸들을 밀거나 당기면 래치(Latch)가 하우징체에 용이하게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 동작이 원터치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푸시풀 타입으로서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하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외부와 분리되는 내부의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거나 폐쇄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록 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식 손잡이와 회전식 손잡이에 의해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회전식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져 인입되는 것으로, 회전식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도어개폐 동작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단순히 핸들을 밀거나 당겨서 도어개방이 이루어지는 푸시앤풀타입(Push&Pull Type) 도어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1404510호인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이 안출된 바 있으며,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와 결합 되어 레버의 푸시 또는 풀에 의하여 레버샤프트를 정,역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래치하우징으로 진입시켜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을 벗어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레버샤프트와 내측이 결합 되고 마감플레아트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중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결합 되는 기어브라켓과,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의 끝단에 고정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측부에서 레버샤프트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레버와 연결되는 원동축과, 상기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면서 구동베벨기어와 맞물려 구동베벨기어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에 고정되는 원동베벨기어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래치부를 래치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입시키는 수단인 구동부가 베벨기어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서로에 대해 치합된 구동베벨기어와 원동베벨기어가 마모되거나 또는 치합이 빠지게 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시 부품 간 심한 마찰저항으로 동력 전달힘이 떨어져 유연한 작동이 되지 않아 핸들 작동 시 상당한 저항감을 느껴야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4510호(2014.05.30.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64777호(2016.10.04. 등록)
본 발명은 핸들을 밀거나 당기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구동체에 의해 래치체를 구비하는 래치부의 래치가 래치하우징에 쉽게 인출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동작에 따른 편의성 및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앞서 동일인이 출원한(출원 10-2017-0002541) 내용은 핸들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구조였으나 핸들을 좌우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또 다른 구조를 안출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도어록 장치는, 핸들의 푸시풀동작에 의해 인출된 래치가 인입되어 록킹된 도어가 해제되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핸들에는 푸시-풀 동작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걸쇠가 구비된 핸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걸쇠가 걸려져 회전걸쇠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하는 편심캠이 구비되는 편심구동체와; 상기 편심구동체의 일방향 편심회전에 의해 인출된 래치를 인입시키는 래치체와; 상기 이동체와 편심구동체 및 래치체를 수용하고 상기 래치체의 래치가 인출입되는 하우징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이동체는, 상기 편심구동체와 연결되는 원주봉가이드편이 아래위에 상단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돌부도 아래위에 하단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걸쇠가 걸려지는 걸림부를 갖는 이동가이드구와; 상기 핸들의 푸시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걸쇠가 회전되어 상기 회전걸쇠와 걸려진 상기 걸림부를 갖는 이동가이드구가 이동되며 상기 편심구동체를 편심회전시키고 상기 핸들의 푸시동작을 해제할 때 편심회전된 상기 편심구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이동가이드구의 지지돌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부가 구비되는 이동지지구와; 상기 이동가이드구가 이동되어 편심구동체를 편심회전시킬 때 수축되었다가 상기 편심구동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수축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된 이동가이드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편심구동체는, 상기 하우징체에 축설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되 호형으로 연장되고 양끝단에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를 갖는 편심캠과; 상기 이동체에 의해 상기 편심캠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하도록 상기 편심캠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는 편심연결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래치체는, 상기 편심구동체의 편심캠이 걸려지는 걸이홈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의 편심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래치가이드와; 상기 래치가이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체로부터 인출되었다가 상기 편심캠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가이드가 하우징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하우징체측으로 인입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이드에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돌부와; 상기 스프링지지돌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체에 고정되는 탄성체지지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탄성체는, 상기 스프링지지돌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 지지구에 타측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핸들을 밀거나 당겨주면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편심구동체가 편심회전되고 편심구동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래치체의 래치가 하우징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려지기 때문에 원터치로 쉽고 용이하게 도어를 열을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의 래치가 하우징체측으로 인입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의 래치가 하우징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록 장치는, 핸들의 푸시앤풀 동작에 의해 인출된 래치가 인입되어 록킹된 도어가 해제되는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들(10)에는 핸들(10)의 푸시앤풀동작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걸쇠(11)가 구비된 핸들몸체(1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걸쇠(11)와 걸려져 회전걸쇠(11)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하는 편심캠이 구비되는 편심구동체(30)와, 상기 편심구동체(30)의 일방향 편심회전에 의해 인출된 래치를 인입시키는 래치체(40)와, 상기 이동체(20)와 편심구동체(30) 및 래치체(40)를 수용하고 상기 래치체(40)의 래치가 인출입되는 하우징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10)의 회전걸쇠(11)는, 상기 핸들(10)을 하우징체(50)측으로 밀어줄 때 회전되면서 회전걸쇠(11)와 걸려진 이동체(20)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체(20)는 상기 회전걸쇠(1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체(20)와 연결된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34)을 편심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34)이 양방향 어느쪽이든 편심회전될 때는 상기 래치체(40)의 래치(43)가 상기 하우징체(50)측으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자 할 때 상기 핸들(10)을 밀거나 당겨주면 상기 핸들(10)의 회전걸쇠(11)에 의해 이동체(20)가 이동되고 이동체(20)의 이동 동작에 의해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34)이 편심회전되면서 래치체(40)를 하우징체(50)측으로 당겨주어 래치체(40)의 래치(43)가 하우징체(50)측으로 인입되면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물론, 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하우징체(50)측으로 인입된 래치(43)가 다시 하우징체(50)로부터 인출되어 도어의 문틀(미도시)에 구비된 래치걸이구에 걸려져 도어가 록킹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간단히 핸들(10)을 밀거나 당겨주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 수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는 물론 완력이 적은 노약자들도 쉽게 도어를 열을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이동체(20)와 편심구동체(30), 래치체(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체(20)는, 이동가이드구(24)와 이동지지구(26) 및 복귀스프링(2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가이드구(24)는, 상기 편심구동체(30)와 연결되는 원주봉가이드편(21)이 상단측으로 아래위에 연장되고 지지돌부(22)는 하단측으로 아래위에 연장되며 상기 회전걸쇠(11)가 걸려지는 걸림부(2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핸들(10)의 회전걸쇠(11)와 끼워져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부(23)의 양측에 상기 회전걸쇠(11)가 인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20)는 U홈(21-1)이 상하로 구비된 원주봉 가이드편(21)과 지지돌부(22)가 상하로 형성되고 걸림부(23)는 상기 이동가이드구(24)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회전걸쇠(11)가 상기 걸림부(23)를 밀어주는 동작을 할 때 이동가이드구(24)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원주봉 가이드편(21)과 지지돌부(22) 및 걸림부(23)가 상기 이동가이드구(24)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구동체 돌출편(35)의 일측에 구비된 원주봉(36)과 조립되어 있는 원주봉 가이드편(21)의 U홈(25-1)이 원주봉(36)을 밀어주게 되면 편심캠(34)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된다.
상기 이동지지구(26)는, 상기 이동가이드구(24)의 지지돌부(22)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부(25)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10)을 푸시앤풀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걸쇠(11)가 회전되며 상기 회전걸쇠(11)가 걸려진 상기 걸림부(23)를 갖는 이동가이드구(24)가 이동하며 상기 편심구동체(30)를 편심회전시키고 상기 핸들(10)의 푸시앤풀동작을 해제할 때는 편심회전된 상기 편심구동체(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복귀스프링(27)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복귀스프링(27)은 상기 이동가이드구(24)가 이동되어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을 편심회전시킬 때 수축되었다가 상기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수축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된 이동가이드구(2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편심구동체(30)는, 상기 하우징체(50)에 축설되는 중심축(31)과, 상기 중심축(31)으로부터 연장되되 호형으로 연장되고 양끝단에 제1걸림부(32) 및 제2걸림부(33)를 갖는 편심캠(34)과, 상기 이동체(20)에 의해 상기 편심캠(34)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하도록 상기 편심캠(34)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체(20)와 연결되는 편심 구동체의 돌출편(35)의 일측에 원주봉(36)이 압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래치체(40)는, 상기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34)이 걸려지는 걸이홈(41)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34)의 편심회전에 의해 하우징체(50)후방으로 이동되는 래치가이드(42)와, 상기 래치가이드(4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체(50)로부터 인출되었다가 상기 편심캠(34)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가이드(42)가 하우징체(50)후방으로 이동될 때 하우징체(50) 내측으로 인입되는 래치(43)와, 상기 래치가이드(42)에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돌부(44)와, 상기 스프링지지돌부(44)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체(45)와, 상기 탄성체(45)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체(50)에 고정되는 탄성체 지지구(4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34) 양끝단부위에 구비되는 래치체(40)의 제1걸림부(32)와 제2걸림부(33)는 상기 래치체(40)의 래치(34)가 상기 하우징체(50)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상기 래치체(40)의 래치가이드(42)에 구비된 걸이홈(41)에 걸려져 있다가, 상기 편심캠(34)이 편심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1걸림부(32)와 제2걸림부(33)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가 상기 걸이홈(41)으로부터 분리되고 걸이홈(4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걸림부는 그대로 걸이홈(41)에 걸린 상태에서 편심캠(34)이 회전되면서 상기 래치가이드(42)를 하우징체(50) 내측방향으로 당겨주어 래치(43)를 하우징체(50) 내측으로 인입시키게 되어 도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45)는, 사용자가 핸들(10)을 밀어주는 동작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체(50) 내부로 이동된 래치가이드(42)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래치가이드(42)에 탄성이 전달되어 래치가이드(4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돌부(44)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 지지구(46)에 타측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핸들 11 : 회전걸쇠
12 : 핸들몸체 20 : 이동체
21 : 원주봉 가이드편 21-1 : U 홈
22 : 지지돌부 23 : 걸림부
24 : 이동 가이드구 25 : 지지홈부
26 : 이동 지지구 27 : 복귀스프링
30 : 편심 구동체 31 : 중심축
32 : 제1걸림부 33 : 제2걸림부
34 : 편심캠 35 : 편심구동체 돌출편
36 : 원주봉
40 : 래치체 41 : 걸이홈
42 : 래치가이드 43 : 래치
44 : 스프링 지지돌부 45 : 탄성체
46 : 탄성체 지지구 50 : 하우징체

Claims (5)

  1. 핸들의 푸시앤풀동작에 의해 인출된 래치가 인입되어 록킹된 도어가 해제되며, 핸들(10)을 구비한 핸들몸체(12)내에는 푸시앤풀동작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걸쇠(1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걸쇠(11)와 걸려져 회전걸쇠(11)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20)를 구비한 푸시앤풀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하는 편심캠이 구비되는 편심구동체(30)와;
    상기 편심구동체(30)의 일방향 편심회전에 의해 인출된 래치를 인입시키는 래치체(40)와;
    상기 이동체(20)와 편심구동체(30) 및 래치체(40)를 수용하고 상기 래치체(40)의 래치가 인출입되는 하우징체(50)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20)는,
    상기 편심구동체(30)와 연결되는 원주봉 가이드편(21)이 상단측으로 아래위에 연장되고 연장된 원주봉 가이드편(21)의 중심부에는 U홈(21-1)을 아래위로 형성하여 차후 편심 구동체 돌출편(35) 부위에 압입된 원주봉(36)과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고 또한 지지돌부(22)를 하단측으로 아래위로 연장하며 상기 회전걸쇠(11)가 걸려지는 걸림부(23)를 갖는 이동가이드구(24)와;
    상기 핸들(10)을 푸시앤풀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걸쇠(11)가 회전되어 상기 회전걸쇠(11)와 걸려지는 상기 걸림부(23)를 갖는 이동가이드구(24)가 이동되어 상기 편심구동체(30)를 편심회전시키고 상기 핸들(10)의 푸시앤풀동작을 해제할 때 편심회전된 상기 편심구동체(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이동 가이드구(24)의 지지돌부(22)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부(25)가 구비되는 이동 지지구(26)와;
    상기 이동가이드구(24)가 이동되어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을 편심회전시킬 때 수축되었다가 상기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수축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된 이동가이드구(2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앤풀 도어록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구동체(30)는,
    상기 하우징체(50)에 축설되는 중심축(31)과;
    상기 중심축(31)으로부터 연장되되 호형으로 연장되고 양끝단에 제1걸림부 (32) 및 제2걸림부(33)를 갖는 편심캠(34)과;
    상기 이동체(20)에 의해 상기 편심캠(34)이 일방향으로 편심회전되도록 상기 편심캠(34)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체(20)의 원주봉 가이드편(21)에 형성된 U홈(21-1)과 연결되도록 편심구동체의 돌출편(35)에 원주봉(36)을 압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앤풀 도어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체(40)는,
    상기 편심구동체(30)의 편심캠(34)이 걸려지는 걸이홈(41)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34)의 편심회전에 의해 하우징체(50)후방으로 이동되는 래치가이드(42)와;
    상기 래치가이드(4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체(50)로부터 인출되었다가 상기 편심캠(34)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가이드(42)가 하우징체(50)후방으로 이동될 때 하우징체(50)내측으로 인입되는 래치(43)와;
    상기 래치가이드(42)에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돌부(44)와;
    상기 스프링 지지돌부(44)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체(45)와;
    상기 탄성체(45)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체(50)에 고정되는 탄성체지지구(4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앤풀 도어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5)는, 상기 스프링 지지돌부(44)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 지지구(46)에 타측이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앤풀 도어록 장치.
KR1020170065380A 2017-05-26 2017-05-26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KR10178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380A KR101786958B1 (ko) 2017-05-26 2017-05-26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380A KR101786958B1 (ko) 2017-05-26 2017-05-26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958B1 true KR101786958B1 (ko) 2017-10-17

Family

ID=6029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380A KR101786958B1 (ko) 2017-05-26 2017-05-26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77B1 (ko) 2020-09-11 2021-12-01 주식회사 봉영 푸시앤풀타입 도어 록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796A (ja) * 2000-10-26 2002-05-09 Kawajun Co Ltd 錠付き扉構造及び扉用ラッチ錠
JP2007297788A (ja) * 2006-04-28 2007-11-15 Union Corp プッシュプル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796A (ja) * 2000-10-26 2002-05-09 Kawajun Co Ltd 錠付き扉構造及び扉用ラッチ錠
JP2007297788A (ja) * 2006-04-28 2007-11-15 Union Corp プッシュプル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77B1 (ko) 2020-09-11 2021-12-01 주식회사 봉영 푸시앤풀타입 도어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929B1 (en) Multipoint mortise lock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US7506904B2 (en) Door handle lock assembly with automatic lock and retract
US8347668B2 (en) Differential linkage attachment of door handles
KR101786958B1 (ko)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CN109667474A (zh) 一种推拉型门锁
KR890001456Y1 (ko) 문짝용 핸들장치
JP4951797B2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EP3619380A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JP2007217933A (ja) 錠前の解錠機構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1637930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2146710B1 (ko) 푸쉬풀 도어락용 도어 로킹장치
KR20180046747A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52392B1 (ko)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CN212054152U (zh) 一种电控斜舌驱动装置
KR101079124B1 (ko) 레버록용 바디어셈블리의 잠금장치
US20060053846A1 (en) Control mechanism for lock assembly
KR200381043Y1 (ko)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440582B1 (ko) 도어락 장치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US11731683B2 (en) Cart handle and baby cart
KR102405668B1 (ko)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