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392B1 -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 Google Patents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392B1
KR101652392B1 KR1020140142680A KR20140142680A KR101652392B1 KR 101652392 B1 KR101652392 B1 KR 101652392B1 KR 1020140142680 A KR1020140142680 A KR 1020140142680A KR 20140142680 A KR20140142680 A KR 20140142680A KR 101652392 B1 KR101652392 B1 KR 10165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uide
groove
coupl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576A (ko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키락원(주)
아이디 락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락원(주), 아이디 락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키락원(주)
Priority to KR102014014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92B1/ko
Priority to CN201510689450.0A priority patent/CN105525795A/zh
Publication of KR2016004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구조의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출몰공이 형성된 전면판과, 래칫볼트용 제1가이드부 및 제1축설부와, 데드볼트용 제2가이드부 및 제2축설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바디와 커버로 둘러싸인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제1출몰공을 드나드는 래칫볼트, 상기 제2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의 후방에 구비된 제2안내홈과, 일 측에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데드볼트, 제1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바디의 수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안내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축설부에 결합되는 제2스윙축,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단부 및 상기 제2스윙축에 형성된 제2축공을 포함하는 제2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드볼트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MORTISE LOCK EQUIPPED WITH HALF IDLE GEAR FOR DEADBOLT}
본 발명은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하기 위해 데드볼트와 이를 자동으로 인출입시키는 구동모터를 직결구조로 구비하고, 하프 아이들 기어를 구비하여 아울러 수동조작 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해소하여 모터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2개의 포터커플러를 도입하여 데드볼트의 현재 위치를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통해 데드볼트의 인출입 특성이 강화된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모티스 락(Mortise Lock)은 일반 집 현관, 사무실, 창고 등에 다양한 도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잠금장치로 실내외 측 핸들에 의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볼트와, 별도의 키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티스 락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93963호 (2012년10월17일) [모티스 및 이를 갖춘 도어록](종래기술1)이 있는데,
부품수를 줄이고 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모티스 미 이를 갖춘 도어록이 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01247호 (2013년08월22일)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종래기술2)가 있는데,
좌수 또는 오수 도어에 모두 적용될 수 있고, 작동수단을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일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되는 작동구조를 갖는 모티스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31979호 (2013년11월15일)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종래기술3)에는 모티스의 구성을 간단히 하는 한편, 당김식 도어 손잡이와 회전식 도어 손잡이 등과 같은 다양한 도어 손잡이에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등록특허 제10-1436602호 (2014년08월26일)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종래기술4)에는 손잡이에 의하여 하우징에 인입된 록킹볼트가 도어를 닫을 때 트리거에 의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순간 록킹볼트가 즉시 인출되어 이를 통한 도어의 잠금 기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는 각각의 기술적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그와 관련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나,
구성요소의 단순화 측면에서 봤을 때, 데드볼트(록킹볼트)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많은 구성들을 거쳐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작동의 불량발생 확률이 높고,
모터의 회전력이 직접적으로 데드볼트의 인출입에 관여하는 구조가 아니라, 에너지효율이 떨어져 많은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는 수동으로 데드볼트(록킹볼트)를 작동하는 경우, 역회전에 따른 부하가 모터에 작용하면서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고, 나아가 모터의 고장에 따른 잦은 수리 및 교체작업의 번거로움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디의 전면판을 드나드는 데드볼트와, 데드볼트를 인출입시키는 제2레버와, 제2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1 내지 제4기어와 모터 등의 결합을 직결되도록 하여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수동조작 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해소하기 위해, '제2기어와 제3기어의 결합체(하프 아이들 기어)'에 제2기어의 반원홈과 제3기어의 제한돌기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회동버튼을 돌려서 데드볼트를 인출입시키는 경우 모터에서 헛도는 아이들(Idle) 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2개의 포터커플러를 도입하여 데드볼트의 현재 위치를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이에 맞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일단이 제1레버의 결합단부에, 타단이 가이드핀에 결합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적용하여 데드볼트의 인출입 특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제1 및 제2출몰공이 형성된 전면판과, 래칫볼트용 제1가이드부 및 제1축설부와, 데드볼트용 제2가이드부 및 제2축설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바디와 커버로 둘러싸인 수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제1출몰공을 드나드는 래칫볼트,
상기 제2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의 후방에 구비된 제2안내홈과, 일 측에 형성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데드볼트,
제1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바디의 수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안내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축설부에 결합되는 제2스윙축,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단부 및 상기 제2스윙축에 형성된 제2축공을 포함하는 제2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드볼트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기어는 저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홈과, 상기 결합홈의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홈을 갖고,
상기 원형홈에 내삽되는 원형돌기와, 상기 원형돌기 외주연에 구비된 제한돌기를 가져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2레버와 맞물린 제3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데드볼트 구동부는 포토커플러를 갖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데드볼트의 출몰상태를 피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일단이 상기 제2레버의 결합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핀에 결합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입 동작 특성을 강화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바디의 전면판을 드나드는 데드볼트와, 데드볼트를 인출입시키는 제2레버와, 제2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1 내지 제4기어와 모터 등의 결합을 직결되도록 하여 '구조의 단순화'를 제공하고,
또한 수동조작 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해소하기 위해, '제2기어와 제3기어의 결합체(하프 아이들 기어)'에 제2기어의 반원홈과 제3기어의 제한돌기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회동버튼을 돌려서 데드볼트를 인출입시키는 경우 모터에서 헛도는 아이들(Idle) 이 발생하게 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나아가 2개의 포터커플러를 도입하여 데드볼트의 현재 위치를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이에 맞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단이 제1레버의 결합단부에, 타단이 가이드핀에 결합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적용하여 데드볼트의 인출입 특성을 강화하여, 데드볼트의 완전 인입 또는 완전 출입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동작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데드볼트 관련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전면판(11)이 구비된 좌측 방향을 전방, 반대인 우측을 후방으로 설정하고,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특허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모티스 락(M)(Mortise lock)은 실내외 측 핸들(4)에 의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칫볼트(2)와, 별도의 키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5)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드볼트(5)에는 데드볼트(5)를 회동에 의해 도어에서 출몰시키는 구동 유닛이 구비되며, 잠금과 잠금 해제를 원할 경우에는 키를 삽입하여 회동한다거나 또는 버튼 등을 누른다거나 하는 등의 특정한 동작을 취하면, 전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구동 유닛이 자동으로 회동하여 상기 데드볼트(5)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실행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데드볼트(5)와는 별도로 동작하는 래칫볼트(2)에는 래칫볼트(2)를 회동에 의해 도어에서 출몰시키는 회전 유닛이 마련되고, 회전 유닛은 실내측 핸들(4)과 실 외측 핸들(4)이 결합되며, 도어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4)과 실 외측 핸들(4) 중에 어느 하나가 회동되면 회전 유닛에 의하여 상기 래칫볼트(2)가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실내측 또는 실 외측 손잡이들을 돌리게 되면 손잡이만이 공회전하여 회전 유닛이 작동되지 않게 되어 래칫볼트(2)가 인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데드볼트(5)와 함께 래칫볼트(2)까지도 도어의 브래킷 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보안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M)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M)은 바디(13)와, 이 바디(13)에 결합되는 커버(15)와, 바디(13)와 커버(15)로 둘러싸인 수납부(17)를 구비한 하우징(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는 제1 및 제2출몰공(111)(112)이 형성된 전면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면판(11)은 도어의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Strike)와 밀착하는 플레이트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볼트(2)가 드나드는 제1출몰공(111), 데드볼트(5)가 드나드는 제2출몰공(112), 트리거의 양면 경사블록이 드나드는 제3출몰공(도면부호 미 병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는 래칫볼트(2)용 제1가이드부(131a) 및 제1축설부(1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1가이드부(131a)는 바디(13)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홈으로, 래칫볼트(2)의 제1가이더(25)가 삽입된 채 안되어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안정적인 래칫볼트(2)의 인출입을 돕는다.
또한 제1축설부(131b)는 원형의 통공으로 구성되고, 이에 제1레버(3)의 제1스윙축(33)이 결합되어 핸들(4)과의 연결을 지지함과 더불어 핸들(4)의 회동을 지지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는 데드볼트(5)용 제2가이드부(132a) 및 제2축설부(1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제2가이드부(132a)는 바다의 내측에 돌설되어 있고(도 2 참조), 데드볼트(5)에 형성된 제1안내홈(51)에 삽입되어 데드볼트(5)의 안정적인 인출입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축설부(132b) 역시 제1축설부(131b)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통공으로 구성되고, 이에 제2레버(64)의 제2스윙축(641)이 결합되어 회동버튼(미도시)(미도시)과의 연결을 지지함과 더불어 회동버튼(미도시)의 회동을 지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축설부(131b)(132b)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은 핸들(4) 및 회동버튼(미도시)이 회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데드볼트(5)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데드볼트(5)는 제2가이드부(132a)가 삽입되는 제1안내홈(51)과, 제1안내홈(51)의 후방에 구비된 제2안내홈(52)과, 제2축설부(132b)에 장착되는 제2스윙축(641)이 결합되는 결합홈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홈(51)은 데드볼트(5)의 헤드(스트라이크 플레이트를 드나드는 부분) 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안내홈(52)은 제1안내홈(51)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한 바와 같이 제1안내홈(51)에는 제2가이드부(132a)가 삽입되고, 데드볼트(5)의 인출입 시에 제1안내홈(51)은 제2가이드부(132a)에 귀속되어 전후진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평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안내홈(52)은 하기할 제2 및 제3기어(62)(63)와 결합된 가이드핀(621)이 삽입되어 상기 제1안내홈(51)과 더불어 데드볼트(5)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53)는 도면상에서 제2안내홈(52) 주변에 구비된 리세스(Recess)로 제2레버(64)의 결합단부(643)와 결합된다.
아울러 결합홈부(53) 및 결합단부(643)의 결합으로 인해, 사용자가 회동버튼(미도시)을 손으로 돌리면 제2레버(64)가 회동하게 되고, 이 때 결합단부(643)가 데드볼트(5)의 결합홈부(53)에 걸린 채로 데드볼트(5)를 전후진 시키는 방식으로 데드볼트(5)의 인출입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M)은 데드볼트(5)의 구동을 제어 및 지지하는 데드볼트 구동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데드볼트 구동부(6)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 구동부(6)는 제1기어(61)를 갖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기어(61)는 구동모터(60)에 직접 연결된 기어로 모터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 구동부(6)는 제1기어(61)에 맞물리고 바디(13)의 수납부(17)에 설치된 제2기어(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기어(62)는 데드볼트(5)의 제2안내홈(52)에 삽입되는 가이드핀(621)을 회전축(중심축)으로 하는 것을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621)의 구성은 데드볼트(5)의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과 더불어, 데드볼트(5)의 자동 인출입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의 역할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본 모티스 락(M)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본 발명의 핵심 과제인 '데드볼트(5)와 구동모터(60) 간의 직결구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 구동부(6)는 제2레버(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레버(64)는 전기한 제2축설부(132b)에 결합되는 제2스윙축(6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함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단부(643) 및 제2스윙축(641)에 형성된 제2축공(6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축공(645)은 전기한 회동버튼(미도시) 결합되는 통공 또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상기 제2스윙축(641)에 대해 설명하면, 원형 통공인 제2축설부(132b)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레버(64)의 외주면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데드볼트(5) 수동조작 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해소하기 위한 '무부하 공회전'과 관련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부하 공회전'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M)의 특징을 살펴보면,
제2기어(62)는 저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홈(623)과, 상기 원형홈(623)의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홈(625)을 갖고,
상기 원형홈(623)에 내삽되는 원형돌기(633)와, 상기 원형돌기(633) 외주연에 구비된 제한돌기(635)를 가져, 상기 제2기어(62)와 결합되고, 상기 제2레버(64)와 맞물린 제3기어(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및 도 3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홈(623)은 제2기어(6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홈(623)의 외주연에는 반원홈(625)이 형성되어 있다.
당연하게 반원홈(625)은 원형홈(623)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기어(63)의 원형돌기(633)는 제2기어(62)의 원형홈(623)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져 이에 결합되고,
제3기어(63)의 제한돌기(635)는 원형돌기(633)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제2기어(62)의 반원홈(625)과 결합하여, 반원홈(625)에 귀속된 채로 가이드 되어 반원홈(625)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무부하 공회전'특성에 따른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드볼트(5)의 인출입 운동을 전후진운동의 개념으로 풀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3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62)와 제3기어(63)의 결합체(하프 아이들 기어)(Half Idle Gear)'가 하우징(1) 바디(13)의 수납부(17)에 장착되고, 제2기어(62)는 모터와 직결된 제1기어(61)와 맞물려 있고, 제3기어(63)는 데드볼트(5)의 인출입을 조절하는 제2레버(64)의 측면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4기어(647)와 맞물려 있다.
먼저 구동모터(60)에 의한 데드볼트(5)의 전진 시, 모터에 의해 제1기어(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맞물린 제2기어(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기어(63)의 제한돌기(635)는 제2기어(62)의 반원홈(625)을 따라 이동하다가 반원홈(625)의 우측 끝에 걸리게 되고 이후 제3기어(63)도 제2기어(62)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와 맞물린 제4기어(647)를 갖는 제2레버(6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레버(64)의 결합단부(643)는 데드볼트(5)의 결합홈부(53)에 걸려 데드볼트(5)를 전진 방향으로 밀어낸다.
반면 구동모터(60)에 의한 데드볼트(5)의 후진 시, 모터에 의해 제1기어(6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맞물린 제2기어(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기어(63)의 제한돌기(635)는 제2기어(62)의 반원홈(625)을 따라 이동하다가 반원홈(625)의 좌측 끝에 걸리게 되고 이후 제3기어(63)도 제2기어(62)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와 맞물린 제4기어(647)를 갖는 제2레버(6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레버(64)의 결합단부(643)는 데드볼트(5)의 결합홈부(53)에 걸려 데드볼트(5)를 후진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동버튼(미도시)을 돌려 수동으로 데드볼트(5)를 전후진 운동시킬 경우에는 제2레버(64)의 회전반경에 따라 제3기어(63)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반경은 제2기어(62)의 반원홈(625)의 길이(호의 길이 또는 제한돌기(635)의 이동 경로의 거리)에 종속되고, 이에 따라 제한돌기(635)가 반원홈(625) 내부를 이동할 뿐 제2기어(62)는 움직이지 않아, 결과적으로 제3기어(63)는 헛돌게 되고, 따라서 제1기어(61) 역시 움직이지 않아 모터에는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상기 '무부하 공회전'특성으로 인해, 데드볼트(5)의 수동 인출입 조작 시, 데드볼트(5)의 인출입에 따라 모터에 가해지는 외력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해소), 구조의 단순화를 위한 데드볼트(5)의 직결구조로 인해 모터의 수명이 단축 및 모터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 구동부(6)는 포토커플러(651)를 갖는 제어부(65)를 더 포함하여, 데드볼트(5)의 출몰상태를 피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드볼트(5)의 하부에 구비된 제어부(65)는 구동모터(60)를 움직이는 동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데드볼트(5)와 연결된 차단부재(653) 및 제어부(65)에 구비된 2개의 포토커플러(651)를 더 구비하여, 데드볼트(5)의 전진 시에는 차단부재(653)가 전방 포토커플러(651)가 감지하는 빛을 차단하고, 후진 시에는 후방 포토커플러(651)가 감지하는 빛을 차단하는 형태로 데드볼트(5)의 인입 또는 출입을 감지하여 피드백 한다.(도면 참조부호의 구별은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M)의 구성인 제1가이드부(131a)에 의해 안내되고 제1출몰공(111)을 드나드는 래칫볼트(2)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래칫볼트(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20)과 연결되고 바디(13)의 수납부(17)에 배열된 제1가이드바(21),
이 제1가이드바(21)가 끼워지는 제1삽입공(221)을 갖고 바디(13)의 제1설치부에 결합된 걸림편(22),
제1가이드바(21)에 외삽되고 래칫(20)과 걸림편(22) 사이에 배열되어 래칫(20)의 상시 출몰 상태를 돕는 제1코일스프링(23),
바디(13)의 제1가이드부(131a)를 따라 안내되고 제1가이드바(21)가 끼워지는 제2삽입공(251)을 갖고 걸림편(22)의 후방에 배열된 제1가이더(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가이드바(21)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에 맞게끔 원형 단면을 갖는 봉의 형태를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삽입공(221)의 직경과 제2삽입공(251)의 직경은 상기 제1가이드바(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래칫볼트(2)의 방향 전환을 위해 전 후진 될 때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1코일스프링(23)과 제2코일스프링(24)은 상기 걸림편(22), 제1가이더(25)를 양 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스프링(24)은 제1코일스프링(23)의 탄성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같은 탄성의 스프링의 사용하되 그 길이를 짧게 구성하거나, 같은 길이로 구성하되 탄성력이 보다 강한 재질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의 차이에 의해 상기 래칫볼트(2)의 방향 전환을 위해 강제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가이드바(21)를 전진시키는 경우 외에는 임의적으로 전 후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M)은 래칫볼트(2)의 제1가이드바(21)와 연결되는 체결단부(31)와, 상기 하우징(1)의 바디(13)의 제1축설부(131b)에 결합되는 제1스윙축(33)과, 상기 제1스윙축(33)에 형성된 제1축공(35)을 갖는 제1레버(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핸들(4) 구조를 갖는 기존의 모티스 락(M)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체결단부(31)는 전기한 '데드볼트(5) 직결구조'와 더불어 본 발명의 모티스 락(M)의 '구조의 단순화'라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또 다른 핵심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락(M)은 제1레버(3)의 제1축공(35)에 결합되는 축봉(41)과, 이 축봉(41)에 결합되는 그립(43)을 포함하는 핸들(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2 참조)
한편, 본 발명은 데드볼트(5)의 인출입 동작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비틀림 코일스프링(138)을 적용할 수 있는데,
비틀림 코일스프링(138)은 중앙부가 말려서 원의 형상을 갖는 탄성부(138a)를 갖고 탄성부(138a)에 이어진 양 단은 핀의 형태로 구성된 지지부(138b)로 이루어져 있고, 지지부(138b)의 양단이 일부 감긴 고리부(138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실시는 일 측 고리부(138c)를 제2레버(64)의 결합단부(643)에 형성된 돌출부(도면 참조부호 미 병기)에 걸고,
타 측 고리부(138c)를 제2기어(62)의 중심축인 가이드핀(621)에 걸어주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어부(65)의 구체적 구성, 배터리 장착, 트리거의 구성 등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티스 락(M)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모티스락 1: 하우징
11: 전면판 111, 112: 제1 및 제2출몰공
13: 바디 131a, 131b: 제1 및 제2가이드부
132a, 132b: 제1 및 제2축설부
138: 비틀림 코일스프링 15: 커버
17: 수납부 2: 래칫볼트
20: 래칫 21: 제1가이드바
22: 걸림편 23, 24: 제1 및 제2코일스프링
25: 제1가이더
3: 제1레버 31: 체결단부
33: 제1스윙축 35: 제1축공
4: 핸들 41: 축봉
43: 그립 411, 412: 제1 및 제2스토퍼
411a: 스토퍼핀 411b: 탄성체
5: 데드볼트 51, 52: 제2안내홈
53: 결합홈부
6: 데드볼트 구동부 60: 구동모터
61: 제1기어 62: 제2기어
621: 가이드핀 623: 원형홈
625: 반원홈 63: 제3기어
633: 원형돌기 635; 제한돌기
64: 제2레버 641: 제2스윙축
643: 결합단부 645: 제2축공
647: 제4기어

Claims (4)

  1. 제1 및 제2출몰공(111)(112)이 형성된 전면판(11)과 래칫볼트용 장공형 제1가이드부(131a) 및 제1축설부(131b)와 데드볼트용 제2가이드부(132a) 및 제2축설부(132b)를 포함하는 바디(13), 상기 바디(13)에 결합되는 커버(15) 및, 상기 바디(13)와 커버(15)로 둘러싸인 수납부(17)를 구비한 하우징(1);
    상기 제1가이드부(131a)에 삽입되는 제1가이더(25)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131a)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제1출몰공(111)을 드나드는 래칫볼트(2); 및
    상기 제2가이드부(132a)가 삽입되는 제1안내홈(51)과, 상기 제1안내홈(51)의 후방에 구비된 제2안내홈(52)과, 일 측에 형성된 결합홈부(53)를 포함하는 데드볼트(5);
    제1기어(61)를 갖는 구동모터(60), 상기 제1기어(61)에 맞물리고 상기 바디(13)의 수납부(17)에 설치되며 상기 제2안내홈(52)에 삽입되는 가이드핀(621)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2기어(62), 상기 제2축설부(132b)에 결합되는 제2스윙축(641), 상기 결합홈부(53)에 결합되는 결합단부(643) 및, 상기 제2스윙축(641)에 형성된 제2축공(645)을 포함하는 제2레버(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드볼트 구동부(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기어(62)는 저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홈(623)과, 상기 원형홈(623)의 외주연에 형성된 반원홈(625)을 갖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부(6)는 상기 원형홈(623)에 내삽되는 원형돌기(633)와 상기 원형돌기(633) 외주연에 구비된 제한돌기(635)를 가져, 상기 제2기어(62)와 결합되고 상기 제2레버(64)의 측면부 하부에 형성된 제4기어(647)와 맞물린 제3기어(6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레버(64) 회동에 의한 데드볼트(5)의 수동 전후진 시, 상기 제3기어(63)의 제한돌기(635)가 상기 제2기어(62)의 반원홈(625) 내부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기어(62)는 움직이지 않고, 제3기어(63)만 헛돌게 되어, 상기 제1기어(61)가 움직이지 않아 모터에는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데드볼트 구동부(6)는 포토커플러(651)를 갖는 제어부(65)를 더 포함하여, 상기 데드볼트(5)의 출몰상태를 피드백 받고,
    일단이 상기 제2레버(64)의 결합단부(643)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핀(621)에 결합되어, 상기 데드볼트(5)의 인출입 동작 특성을 강화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138)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138)은 중앙부가 말려서 원의 형상을 갖는 탄성부(138a), 이 탄성부(138a)에 이어지고 양 단이 핀의 형태로 구성된 지지부(138b) 및, 이 지지부(138b)의 양단에 구비된 고리부(138c)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138c)는 상기 제2레버(64)의 결합단부(643)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제2기어(62)의 가이드핀(6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42680A 2014-10-21 2014-10-21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KR10165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80A KR101652392B1 (ko) 2014-10-21 2014-10-21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CN201510689450.0A CN105525795A (zh) 2014-10-21 2015-10-21 具备不完全惰轮的主舌直接连接型齿轮结构插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80A KR101652392B1 (ko) 2014-10-21 2014-10-21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76A KR20160046576A (ko) 2016-04-29
KR101652392B1 true KR101652392B1 (ko) 2016-09-09

Family

ID=5576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680A KR101652392B1 (ko) 2014-10-21 2014-10-21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2392B1 (ko)
CN (1) CN1055257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633B1 (ko) * 2018-08-14 2019-09-06 김석진 조립성 및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 모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623Y1 (ko) * 2006-11-15 2008-02-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1708A (en) * 2004-03-06 2005-09-0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An actuator assembly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latch assembly
CN2716435Y (zh) * 2004-08-23 2005-08-10 李逢斌 一种齿轮式电子插芯锁具
CN200985678Y (zh) * 2006-10-19 2007-12-05 高斌 电控锁
KR100894319B1 (ko) * 2007-07-23 2009-04-24 (주)에버넷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록
AU2013215310B2 (en) * 2012-01-30 2016-09-08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623Y1 (ko) * 2006-11-15 2008-02-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25795A (zh) 2016-04-27
KR20160046576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499B2 (en) Electric lock
US20090025438A1 (en) Lockset having an electrically operated clutch to control transmission of rotation from an outside handle to an outside spindle
US20050253400A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US20160153213A1 (en) Lock Device with a Electric Locking Function
US20050258652A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CN111255293B (zh) 锁组件
KR101404510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KR101652392B1 (ko) 하프 아이들 기어를 갖는 데드볼트 직결 기어구조의 모티스 락
KR102018633B1 (ko) 조립성 및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 모티스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59941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턴-노브 개폐장치
KR101410865B1 (ko)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KR101786958B1 (ko) 푸시앤풀 타입 도어록 장치
CN202755738U (zh) 一种用于木门的小锁体
WO2020151245A1 (zh) 一种具备机械锁功能和电子锁功能的双重功能锁体
AU2015101583A4 (en) Locking device implementing multiple locked states for a door
CN104612492A (zh) 一种具有机电通用开锁方式的自动上锁门锁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CN219451784U (zh) 一种电子锁体及其开关锁结构
CN201747128U (zh) 抗强扭矩执手三杆锁
KR101737035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N115492468B (zh) 一种锁盒安装结构以及门窗锁具
CN210622483U (zh) 具有可在一侧锁紧的把手的门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