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035B1 -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 Google Patents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035B1
KR101737035B1 KR1020160040162A KR20160040162A KR101737035B1 KR 101737035 B1 KR101737035 B1 KR 101737035B1 KR 1020160040162 A KR1020160040162 A KR 1020160040162A KR 20160040162 A KR20160040162 A KR 20160040162A KR 101737035 B1 KR101737035 B1 KR 10173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main plate
lever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개선하여 생산성과 내구성 및 작동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도어 외면에 메인플레이트(100)와;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0)와; 상기 종동베벨기어(200)와 치합하는 원동베벨기어(300)와; 원동베벨기어(300)의 회전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0)과;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는 레버(5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외부에 결합하는 마감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소화되어 조립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소함으로써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직접 동력 전달 방식의 간소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통해서 제품의 내구성과 작동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ush and pull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개선하여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내구성과 작동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lock)은 건축물의 외부 출입구 또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에 형성하여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결합하는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도어에 설치하는 것이다.
도어록은 여러 가지 형태와 구조로 되어 있으나, 레버타입 도어록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레버타입 도어록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어프레임 방향으로 래치볼트를 출입시키는 래치어셈블리와, 상기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도어의 양면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프레임 방향으로 출입시키는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레버타입의 도어록은, 이용자가 레버를 잡고 래치볼트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정, 역회전시켜 래치볼트가 래치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래치하우징을 출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에 결합 및 이탈되어 도어가 개폐된다.
이러한 레버타입의 도어록은 이용자가 항상 손으로 레버를 잡고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양손에 다른 물건 등을 쥐고 있는 경우에는, 손으로 레버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부상이나 장애와 같은 신체적 이상에 의하여 레버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래치볼트를 출입시키는 레버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겨서(Push & Pull) 래치볼트를 출입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도어록이 개발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04510호에는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와 결합하여 레버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하여 레버샤프트를 정, 역회전시켜 래치볼트를 래치하우징으로 진입시켜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을 벗어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5)는, 레버샤프트와 내측이 결합 되고 래치하우징을 유지하면서 도어 양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감플레이트(113)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112)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중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결합 되는 기어브라켓(116)과;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의 끝단에 고정하는 구동베벨기어(120)와;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측부에서 레버샤프트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레버와 연결되는 원동축(121)과; 상기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정, 역회전하면서 구동베벨기어(120)와 맞물려 구동베벨기어를 정, 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에 고정되는 원동베벨기어(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이 게재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04510호(2014. 06. 10.) 등록특허공보 제10-1115258호(2012. 02. 1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874호(2015. 01. 09.)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이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레버를 잡고 밀고 당기는 형태 또는 손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밀어서 잠김 상태의 도어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축의 회전력을 베벨기어의 조합을 가진 구동부를 이용하여 레버샤프트의 회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레버샤프트가 래치어셈블리의 레치볼트를 동작시켜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원동베벨기어, 구동베벨기어, 원동축, 기어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구동부는 도어의 표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기어브라켓을 마감플레이트 외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구동부의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레버를 밀고 당기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보편적인 사용 과정에서 레버를 밀고 당기는 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이 구동부의 기어브라켓에 반복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체결나사에 의해 마감플레이트의 외면에 고정된 기어브라켓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기어브라켓과 마감플레이트 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도어록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고, 내구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동부의 구조를 간소하고 견고하게 개선함으로써 내구성과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중심부에 중심공(101)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결합돌부(1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102)의 일측면에는 걸림턱(102a)을 형성하고, 결합돌부(102)의 단부에는 상기 중심공(101)과 직각을 이루는 제1결합공(102b)을 형성하여 도어 외면에 메인플레이트(100)와;
내측면에는 다각결합공(201)을 형성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의 외측 단부를 상기 다각결합공(201)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과 직각 방향으로 제2결합공(30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102)에서 회전 가능케 상기 제1결합공(102b)에 축핀(302)으로 결합하여, 상기 종동베벨기어(200)와 치합하는 원동베벨기어(300)와;
상기 축핀(302에 끼워지도록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303) 내부에 삽입되어 양단부(401)가 상기 결합돌부(102)에 형성된 걸림턱(102a)에 지지되어 원동베벨기어(300)의 회전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0)과;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501)의 내측면에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와 결합되는 기어결합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기어결합부(50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501)를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는 레버(5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결합돌부(102)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하우징부(6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601)의 중앙에는 상기 레버(500)의 기어결합부(502)가 투입되는 통공부(602)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외부에 결합하는 마감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개선하여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내구성과 작동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구조가 간소화되어 조립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소함으로써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직접 동력 전달 방식의 간소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통해서 제품의 내구성과 작동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를 위한 주요 구성부가 마감커버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레버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도어록의 디자인의 핵심부라 할 수 있는 레버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품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상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원동베벨기어에 토션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 측면 단면도.
도 8은 종래기술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도어 외면에 메인플레이트(100)와;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0)와; 상기 종동베벨기어(200)와 치합하는 원동베벨기어(300)와; 원동베벨기어(300)의 회전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0)과;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는 레버(5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외부에 결합하는 마감커버(6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중심부에는 중심공(101)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결합돌부(1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102)의 일측면에는 걸림턱(102a)을 형성하고, 결합돌부(102)의 단부에는 상기 중심공(101)과 직각을 이루는 제1결합공(102b)을 형성하여 도어의 외면에 설치하는데, 통상의 도어에 도어록을 설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내외면에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를 대칭으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02)는 상기 중심공(101)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하며, 메인플레이트(10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마감커버(600)와의 억지끼움 방식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방사형으로 결합홈부(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도어에 장착 가능하도록 체결나사가 투입되는 나사투입공(104)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할 수 있는데, 나사투입공(104)을 이용한 메인플레이트(100)의 결합 방식은 주지된바 그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종동베벨기어(200)는 내측면에는 다각결합공(201)을 형성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의 외측 단부를 상기 다각결합공(201)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중심공(101)에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상기 중심공(101)의 중심부에는 부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조원가 절감을 위해서 종동베벨기어(200)의 기어 이(gear tooth) 형성 각도는 360°보다 작은 180°내외로도 형성 가능하다.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과 직각 방향으로 제2결합공(30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102)에서 회전 가능케 상기 제1결합공(102b)에 축핀(302)으로 결합하여, 상기 종동베벨기어(200)와 치합함으로써 축핀(302)을 중심축으로 하여 원동베벨기어(300)가 회전하면, 상기 종동베벨기어(200)가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종동베벨기어(200)와 원동베벨기어(300)는 동력 전달 과정에서의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동력 전달을 가능케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지된 베벨기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지된 스파이럴기어나, 헬리컬기어 등 두 개의 축이 만나 일정한 각도로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축핀(302)에 끼워지도록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303) 내부에 삽입되어 양단부(401)가 상기 결합돌부(102)에 형성된 걸림턱(102a)에 지지가 됨으로써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원동베벨기어(300)가 물리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축되었다가,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는 물리력이 해소되면,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400)이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면서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에 회전복원력을 부여한다.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설치 및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홈(303)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결합돌부(102)에 형성되는 걸림턱(102a)과 대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500)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501)의 내측면에 기어결합부(502)를 형성하여, 기어결합부(502) 내부에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외측 단부를 삽입하여 무두볼트(502b)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손잡이(501)를 누르거나 당기면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를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결합돌부(102)에 결합하는 상기 축핀(302)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원동베벨기어(300)가 소정 각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된다.
상기 기어결합부(502)는 상기 레버(500)의 내면 하부에서 사면 벽체가 돌출되어 내부에 원동베벨기어(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502a)를 형성하며, 상기 사면 벽체 중 일측 벽체는 무두볼트(502b)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502c)을 형성하되,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나사공(502c)과 일치하면서 상기 무두볼트(502b)가 투입 결합되는 통공(30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500)와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는 하나의 무두볼트(502b)를 이용하면서도 돌출된 사면 벽체 형태로 된 기어결합부(502)에 의해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무드볼트(502b) 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레버(500)의 교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 가능하다.
상기 마감커버(6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결합돌부(102)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하우징부(6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601)의 중앙에는 상기 레버(500)의 기어결합부(502)가 투입되는 통공부(602)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외부에 결합한다.
상기 마감커버(600)의 내면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의 견고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메인플레이트(100)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컵부(6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마감커버(60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의 억지끼움 방식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메인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홈부(103)에 대응하는 결합돌기(6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래치어셈블리(900)는 도어(D)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래치하우징(902)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래치볼트(901)가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레치플레이트에 형성된 래치볼트홀에 결합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도어(D)에 매립 설치된 래치어셈블리(900)에 결합된 레버샤프트(903)의 양단부에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종동베벨기어(200)가 결합하도록 도어(D)의 양면에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을 대칭 구조로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D)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자는 손이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레버(500)를 당기거나 밀어주면 레버(500)에 의해 원동베벨기어(3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원동베벨기어(300)와 치합된 종동베벨기어(200)가 회전하면서 종동베벨기어(200)에 결합된 상기 레버샤프트(903)가 회전함으로써 레버샤프트(903)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래치어셈블리(900)의 래치볼트(901)가 래치볼트홀을 벗어나게 가동시켜 도어의 개방이 가능케 된다.
즉,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레버(500)를 밀거나(Push) 당기면(Pull), 레버(500)의 기어결합부(502)에 결합 고정된 원동베벨기어(300)가 축핀(302)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에는 종동베벨기어(200)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원동베벨기어(300)에 의해 종동베벨기어(200)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종동베벨기어(200)에 결합된 레버샤프트(903)가 종동베벨기어(200)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샤프트(903)의 회전에 의하여 래치하우징(902)에 수용되어 래치하우징(902)의 선단으로 노출된 래치볼트(901)가 래치하우징(902)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래치플레이트의 래치볼트홀을 벗어나게 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 개방을 위하여 레버(50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해소되면, 레버(500)에 의한 원동베벨기어(300)의 회전 과정에서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400)이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면서 원동베벨기어(300)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원동베벨기어(300)와 치합된 종동베벨기어(200)가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회전함으로써 레버(500)는 원래 위치로 돌아가고, 래치하우징(902) 내부로 인입되었던 래치볼트(901)가 다시 래치하우징(902)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돌출된 래치볼트(901)가 래치볼트홀에 투입되면서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구성요소가 대폭 간소화됨으로써 조립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소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직접 동력 전달 방식의 간소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통해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래치어셈블리(900)와 호환됨으로써 종래의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에서 기존 도어록을 분리 제거 후 쉽게 설치 가능하여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레버(500)의 경우 손잡이(501) 부분에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도어록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우수한 상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메인플레이트 101: 중심공
102: 결합돌부 102a: 걸림턱
102b: 제1결합공 103: 결합홈부
200: 종동베벨기어 201: 다각결합공
300: 원동베벨기어 301: 제2결합공
302: 축핀 303: 설치홈
400: 토션스프링 500: 레버
501: 손잡이 502: 기어결합부
600: 마감커버 601: 하우징부
602: 통공부 D: 도어
900: 래치어셈블리 901: 래치볼트
902: 래치하우징 903: 레버샤프트

Claims (1)

  1. 중심부에는 중심공(101)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결합돌부(1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102)의 일측면에는 걸림턱(102a)을 형성하고, 결합돌부(102)의 단부에는 상기 중심공(101)과 직각을 이루는 제1결합공(102b)을 형성하여 도어 외면에 메인플레이트(100)와;
    내측면에는 다각결합공(201)을 형성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의 외측 단부를 상기 다각결합공(201)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에 회전 가능케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공(101)과 직각 방향으로 제2결합공(30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102)에서 회전 가능케 상기 제1결합공(102b)에 축핀(302)으로 결합하여, 상기 종동베벨기어(200)와 치합하는 원동베벨기어(300)와;
    상기 축핀(302에 끼워지도록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홈(303) 내부에 삽입되어 양단부(401)가 상기 결합돌부(102)에 형성된 걸림턱(102a)에 지지되어 원동베벨기어(300)의 회전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0)과;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501)의 내측면에 상기 원동베벨기어(300)와 결합되는 기어결합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기어결합부(50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501)를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원동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는 레버(5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결합돌부(102)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하우징부(6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601)의 중앙에는 상기 레버(500)의 기어결합부(502)가 투입되는 통공부(602)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외부에 결합하는 마감커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0160040162A 2016-04-01 2016-04-01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173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62A KR101737035B1 (ko) 2016-04-01 2016-04-01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62A KR101737035B1 (ko) 2016-04-01 2016-04-01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035B1 true KR101737035B1 (ko) 2017-05-17

Family

ID=5904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62A KR101737035B1 (ko) 2016-04-01 2016-04-01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9022A (zh) * 2018-09-19 2019-01-15 中山市诺维索玛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推拉式门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KR101271518B1 (ko) 2012-07-20 2013-06-05 (주)대양디앤티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404510B1 (ko)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KR101271518B1 (ko) 2012-07-20 2013-06-05 (주)대양디앤티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404510B1 (ko)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9022A (zh) * 2018-09-19 2019-01-15 中山市诺维索玛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推拉式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0583B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EP1600586B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20040103701A1 (en) Key operated latch with combined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latching action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101404510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US5342101A (en) Lock latch
EP1925764B1 (en) Handle for vehicle doors, handle and tool as well as proce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is handle
KR101737035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EP3619380B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KR102037201B1 (ko)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101610932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JP4368565B2 (ja) 錠前の反転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KR101850294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WO2012100292A1 (en) A lock or latch body and a lock or latch assembly
KR101889930B1 (ko) 푸시풀 도어락
CN111201360A (zh) 具有门锁的折叠门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2405668B1 (ko)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EP4372188A1 (en) Lock for a door or a window
CN210316906U (zh) 推拉式锁具
CN218234670U (zh) 一种波珠球止动锁止推拉门用锁芯
JP3453889B2 (ja) ドア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