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294B1 -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294B1
KR101850294B1 KR1020160056239A KR20160056239A KR101850294B1 KR 101850294 B1 KR101850294 B1 KR 101850294B1 KR 1020160056239 A KR1020160056239 A KR 1020160056239A KR 20160056239 A KR20160056239 A KR 20160056239A KR 101850294 B1 KR101850294 B1 KR 10185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ir
opening
rotor
clos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531A (ko
Inventor
한상욱
Original Assignee
한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욱 filed Critical 한상욱
Priority to KR102016005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2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서 내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수평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와;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내.외측 손잡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선단부에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의 조작과 내부의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내부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는 로킹돌부를 갖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부의 로킹돌부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내.외측 손잡이부의 회전력을 개폐작동부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Pull and pull all type door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에서 내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도어용 손잡이장치는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출입 방향으로 열고 닫히는 도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측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 손잡이에 무리하게 힘이 작용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없거나 회전 조작이 어려워 사용은 물론 도어 출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인은 등록특허 제1523691호(2015.06.11.공고.)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를 제안한 바 있는 것으로서, 상기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의 내.외측에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부(110)(110a)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부(110)(110a)는 수직의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전.후 수평방향으로 당겨 조작되는 손잡이(113)를 각각 포함하며, 내.외측 손잡이부부(110)(110a)의 사이에 개폐작동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작동부(120)는 선단의 로킹돌부(121)가 실린더(122) 내부의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항상 돌출되어 도어에 대한 로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부(110)(110a) 각각의 손잡이(113) 조작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에 대한 로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내측 손잡이부부(110)는 로킹버튼(140a)의 누름 조작에 의해 외측 손잡이부부(110a)의 손잡이(113)가 작동되지 않게 로킹시키는 손잡이 로킹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26은 개폐작동부(120)를 도어의 측면에 고정하기 위해 도어의 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고정편이고, 상기 고정편(126)는 개폐작동부(120)의 로킹돌부(121)가 관통하는 관통홀(126a)의 상하로 나사 체결공(126b)이 형성된다.
상기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는 내.외측 손잡이부부(110)(110a) 각각의 손잡이(113)를 힌지축(11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당겨 조작했을 때, 그 당김력이 개폐작동부(120)의 로킹돌부(121)까지 전달되어 상기 로킹돌부(121)가 실린더(122)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실린더(122)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구동방식이다.
외측 손잡이부부(110a)의 손잡이(113)와 개폐작동부(120)의 사이는 베벨기어(131)로 연결된다. 베벨기어(131)는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113)의 힌지편(112)에 부채꼴 형상의 기어몸체A(13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몸체A(131a)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개폐작동부(120)에 축설되는 원뿔 모양의 기어몸체B(131b)가 치합된 것이다. 외측 손잡이부부(110a)의 손잡이(113)를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수평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113)의 힌지편(114)에 일체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기어몸체A(131a)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몸체A(131a)에 치합된 개폐작동부(120)의 기어몸체B(131b) 역시 기어몸체A(131a)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기어몸체B(131b)의 회전에 의해 개폐작동부(120)의 로킹돌부(121)가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에 대한 로킹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작동부(120)는 실린더(122)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121)의 후방측 로드(121a)와 기어몸체B(131b)의 구동축(131c) 사이에, 상기 구동축(131c)의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122) 내부의 스프링(125)을 압축하면서 로킹돌부(121)를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지지플레이트(123) 및, 한 쌍의 회동편(124)(124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3)는 선단의 탄지부(123a)를 중심으로 상하부 양측을 후방측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한 쌍 의 작동부(123b)를 상하로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123b)는 후방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관통홀(123c) 및, 상기 관통홀(123c)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견인턱(123d)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회동편(124)(124a)은 실린더(122)의 폭보다 다소 큰 부채꼴 형상으로 작동부(123b)의 관통홀(123c)을 단부가 통과되어 견인턱(123d)이 인접하게 수직 방향으로 전후방 동일 구동축(131c)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구동축(131c)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131c)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축(131c)과 다각면 짝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124)(124a)의 타측에 전술한 손잡이 로킹부(140)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 로킹부(140)와 지지플레이트(123)의 탄지부(123a) 사이에 스프링(125)이 탄력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 로킹부(140)는 전술한 로킹버튼(140a)의 누름 조작에 의해 기어몸체B(131b)의 구동축(131c) 상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편(124)(124a)이 기어몸체B(131b) 및 구동축(131c)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회동편(124)(124a) 중간에 간섭홈(142)이 각각 형성되고, 로킹버튼(140a)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간섭홈(142)에 삽입되어 간섭하거나 로킹버튼(140a)의 당김력에 의해 간섭을 해제하는 다단 형태의 간섭돌부(143a)를 갖는 스토퍼(131)가 지지봉(140b)에 의해 로킹버튼(140a)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는 손잡이를 당겨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 조작의 인지력이 부족한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물론 손에 물건을 들고 있어 손잡이를 당길 수 없는 경우에는 도어를 열 수 없어 도어 출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523691호(2015.06.11.공고.)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의 내측에서 내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의 한 형태는, 수평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와;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내.외측 손잡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선단부에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의 조작과 내부의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는 로킹돌부를 갖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부의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내.외측 손잡이부의 회전력을 개폐작동부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와 개폐작동부의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의 대향면 중간에 수평의 직사각 형태로 로터회전돌부가 형성되며, 반대쪽 개폐작동부의 대향면 중간에 다각 형태로 로터키삽입홈이 형성되고, 복귀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한 쌍의 로터와; 상기 한 쌍의 로터의 로터회전돌부에 대향되게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의 상부측 힌지축 상에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상측 작동훅 및 하측 작동훅을 갖는 한 쌍의 작동편과; 상기 한 쌍의 로터의 로터키삽입홈에 다각형태를 이루는 일측이 압축스프링과 함께 삽입되고, 타측은 개폐작동부의 회전캠에 형성된 다각 형태의 로터키결합홈에 삽입 및 결합되는 한 쌍의 로터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내.측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저지하는 손잡이 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서 내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 조작의 인지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노약자는 물론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는 경우에도 도어를 쉽게 열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 출입의 간편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베벨기어에 의해 손잡이와 개폐작동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베벨기어와 연동하는 개폐작동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5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의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도어의 내.외측에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사이에 개폐작동부(1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작동부(110)는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내.외측 손잡이부(100b)의 사이에 구비되고, 선단부에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조작과 내부의 복귀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는 로킹돌부(11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와 개폐작동부(110)의 사이에 동력전달부(12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부(110)의 로킹돌부(111)가 실린더(미도시됨)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회전력을 개폐작동부(110)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며, 한 쌍의 로터(121a)(121b)와 한 쌍의 작동편(125a)(125b) 및 한 쌍의 로터키(128a)(128b)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로터(121a)(121b)는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와 개폐작동부(110)의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b)의 대향면 중간에 수평의 직사각 형태로 로터회전돌부(122)가 형성되며, 반대쪽 개폐작동부(110)의 대향면 중간에 다각 형태로 로터키삽입홈(123)이 형성되고, 복귀스프링(124)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작동편(125a)(125b)은 한 쌍의 로터(121a)(121b)의 로터회전돌부(122)에 대향되게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상부측 힌지축(h) 상에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상측 작동훅(126) 및 하측 작동훅(127)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로터키(128a)(128b)는 상기 한 쌍의 로터(121a)(121b)의 로터키삽입홈(123)에 다각형태를 이루는 일측이 압축스프링(128c)과 함께 삽입되고, 타측은 개폐작동부(110)의 회전캠(114)에 형성된 다각 형태의 로터키결합홈(114a)에 삽입 및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작동부(110)는 상기 내.측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로킹돌부(111)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저지하는 손잡이 로킹부(13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내측 손잡이부(100a)를 밀면, 동력전달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 손잡이부(100a)의 하측 작동훅(127)이 로터(121a)의 로터회전돌부(122)를 복귀스프링(124)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로터(121a)의 로터회전돌부(122)의 회전에 의해 로터(121a)의 로터키삽입홈(123)에 일측이 삽입된 로터키(128a)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로터키(128a)의 회전에 의해 개폐작동부(110)를 구성하는 회전캠(114)의 로터키결합홈(114a)에 타측부가 삽입 및 결합된 로터키(128a)의 타측부가 상기 회전캠(114)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캠(114)은 개폐작동부(110)의 탄지스프링(11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지지플레이트(112)를 강제로 후퇴시키게 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2)는 로킹돌부(111)를 개폐작동부(110)의 후방측으로 끌어 당기게 됨으로써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밀었던 내측 손잡이부(100a)로부터 손을 놓으면, 로터(121a)의 회전에 의해 강제로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124)이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상기 로터(121a) 및 로터회전돌부(122)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내측 손잡이부(100a)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내측 손잡이부(100a)를 당기면, 동력전달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 손잡이부(100a)의 상측 작동훅(126)이 로터(121a)의 로터회전돌부(122)를 복귀스프링(124)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로터(121a)의 로터회전돌부(122)의 회전에 의해 로터(121a)의 로터키삽입홈(123)에 일측이 삽입된 로터키(128a)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로터키(128a)의 회전에 의해 개폐작동부(110)를 구성하는 회전캠(114)의 로터키결합홈(114a)에 타측부가 삽입 및 결합된 로터키(128a)가 상기 회전캠(114)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캠(114)은 개폐작동부(110)의 탄지스프링(11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지지플레이트(112)를 강제로 후퇴시키게 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2)는 로킹돌부(111)를 개폐작동부(110)의 후방측으로 끌어 당기게 됨으로써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당겼던 내측 손잡이부(100a)로부터 손을 놓으면, 로터(121a)의 회전에 의해 강제로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124)이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상기 로터(121a) 및 로터회전돌부(122)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내측 손잡이부(100a)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도어 개폐과정은 외측 손잡이부(100b)를 밀거나 당길 때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손잡이 로킹부(130)는 종래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서 내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모든 동작에 의해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 조작의 인지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노약자는 물론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는 경우에도 도어를 쉽게 열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 출입의 간편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a,100b: 내.외측 손잡이부 110: 개폐작동부
111: 로킹돌부 111a: 로드
112: 지지플레이트 112a: 관통홀
113: 탄지스프링 114: 회전캠
114a: 로터키 결합홈 115: 견인턱
120: 동력전달부 121a,121b: 로터
122: 로티회전돌부 123: 로터키삽입홈
124: 복귀스프링 125a,125b: 작동편
126: 상측 작동훅 127: 하측 작동훅
128a,128b: 로터키 128c: 스프링
130: 손잡이 로킹부 131: 로킹부 몸체
132: 잠금버튼 h: 힌지

Claims (3)

  1. 삭제
  2. 수평의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와,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내.외측 손잡이부(100b)의 사이에 구비되고, 선단부에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조작과 내부의 복귀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서 내부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는 로킹돌부(111)를 갖는 개폐작동부(110)와, 상기 한 쌍의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부(110)의 로킹돌부(111)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회전력을 개폐작동부(110)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0)로 구성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와 개폐작동부(110)의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b)의 대향면 중간에 수평의 직사각 형태로 로터회전돌부(122)가 형성되며, 반대쪽 개폐작동부(110)의 대향면 중간에 다각 형태로 로터키삽입홈(123)이 형성되고, 복귀스프링(124)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한 쌍의 로터(121a)(121b)와;
    상기 한 쌍의 로터(121a)(121b)의 로터회전돌부(122)에 대향되게 상기 내.외측 손잡이부(100a)(100b)의 상부측 힌지축(h) 상에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상측 작동훅(126) 및 하측 작동훅(127)을 갖는 한 쌍의 작동편(125a)(125b)과;
    상기 한 쌍의 로터(121a)의 로터키삽입홈(123)에 다각형태를 이루는 일측이 압축스프링(128c)과 함께 삽입되고, 타측은 개폐작동부(110)의 회전캠(114)에 형성된 다각 형태의 로터키결합홈(114a)에 삽입 및 결합되는 한 쌍의 로터키(128a)(128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3. 삭제
KR1020160056239A 2016-05-09 2016-05-09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KR10185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39A KR101850294B1 (ko) 2016-05-09 2016-05-09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39A KR101850294B1 (ko) 2016-05-09 2016-05-09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531A KR20170126531A (ko) 2017-11-20
KR101850294B1 true KR101850294B1 (ko) 2018-04-20

Family

ID=6080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39A KR101850294B1 (ko) 2016-05-09 2016-05-09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75B1 (ko) 2017-09-28 2020-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CN109838140B (zh) * 2019-03-29 2023-11-1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助力把手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756A (ja) * 2012-08-24 2014-03-06 Giken Kanamono Kk プッシュプル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756A (ja) * 2012-08-24 2014-03-06 Giken Kanamono Kk プッシュプル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531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607B2 (en) Two piece swivel assembly for handcuff
US5784909A (en) Control mechanism for tubular locks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20210323177A1 (en) Blade-replaceable cutting tool
KR101850294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MX2007002965A (es) Mecanismo de cerradura de pulsador para un juego de manija.
KR200421611Y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KR101758097B1 (ko)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부 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KR101737035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261424B1 (ko) 안전도어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CN109881978A (zh) 可伸缩和转动的锁舌
CN211258065U (zh) 把手结构及门锁
KR102123861B1 (ko) 도어 락용 세이프티 핸들 어셈블리
KR200368958Y1 (ko) 여닫이문용 보조 잠금쇠
KR200358448Y1 (ko) 키실린더 겸용 다이얼 잠금장치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100607715B1 (ko) 출입문용 개폐장치
KR200325014Y1 (ko) 창호 잠금장치
KR200352130Y1 (ko) 출입문용 안전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