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293A -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 Google Patents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293A
KR20070107293A KR1020060039600A KR20060039600A KR20070107293A KR 20070107293 A KR20070107293 A KR 20070107293A KR 1020060039600 A KR1020060039600 A KR 1020060039600A KR 20060039600 A KR20060039600 A KR 20060039600A KR 20070107293 A KR20070107293 A KR 2007010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uble
button
shaft memb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중
Original Assignee
(주)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 filed Critical (주)대경
Priority to KR102006003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7293A/ko
Publication of KR2007010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며 도어의 측방으로는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가 출몰되도록 구성된 백세트(10)와, 전후방으로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의 외곽에는 스톱핑보스(23)가 형성되어 도어의 실내측면에 장착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단부가 상기 백세트(10)의 래치볼트(14)에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안착홈(34) 또는 안착돌기(48)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핸들(36)이 결합된 작동허브(30)와, 중앙의 축부재(42)가 상기 작동허브(3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백세트(10)의 데드볼트(12)에 축결합되고 상기 축부재(42)의 둘레부에는 걸림턱(44)과 스톱핑돌편(46)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허브(30)의 전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안착돌기(48) 또는 안착홈(34)이 형성된 이중잠금버튼(40)과,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을 누를 때 상기 축부재(42)의 걸림턱(44)이 걸려지도록 된 걸림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측에서 핸들을 한번만 스윙 조작하여 이중잠금 상태를 해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시버튼 방식으로 한번 누르면 이중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조작용 핸들과 이중잠금기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데드볼트, 래치볼트, 작동허브, 원터치, 이중잠금버튼

Description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One touch door lock with one body type dual lock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잠금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주요부인 작동허브와 이중잠금버튼 및 걸림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1차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주요부인 작동허브와 이중잠금버튼 및 걸림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2차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주요부인 작동허브와 이중잠금버튼 및 걸림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백세트 20. 케이스
30. 작동허브 40. 이중잠금버튼
50. 걸림부재
본 발명은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핸들 조작으로 이중잠금 상태를 해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시버튼 방식으로 한번 누르면 이중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며, 조작용 핸들과 이중잠금기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된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도어의 내부에 장착된 백세트의 내부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백세트의 측면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록킹장치로서, 도어가 장착되는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실내에 있는 사람이 옷을 갈아입는 경우와 같이 다른 사람에게 보이기 싫은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실내에서 도어를 이중으로 잠글 수 있도록 된 이중 록킹구조의 도어록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중 록킹구조의 도어록은 이중잠금장치가 작동되어 있을 때에는 이중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열림버튼을 눌러서 도어를 열거나 이중잠금장치 작동시 록킹 또는 언록킹을 좌우로 움직여서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한 단 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핸들기구와 이중잠금장치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측에서 핸들을 한번만 스윙 조작하여 이중잠금 상태를 해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푸시버튼 방식으로 한번 누르면 이중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조작용 핸들과 이중잠금기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며 도어의 측방으로는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가 출몰되도록 구성된 백세트(10)와, 전후방으로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의 외곽에는 스톱핑보스(23)가 형성되어 도어의 실내측면에 장착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단부가 상기 백세트(10)의 래치볼트(14)에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안착홈(34) 또는 안착돌기(48)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핸들(36)이 결합된 작동허브(30)와, 중앙의 축부재(42)가 상기 작동허브(3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백세트(10)의 데드볼트(12)에 축결합되고 상기 축부재(42)의 둘 레부에는 걸림턱(44)과 스톱핑돌편(46)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허브(30)의 전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안착돌기(48) 또는 안착홈(34)이 형성된 이중잠금버튼(40)과,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을 누를 때 상기 축부재(42)의 걸림턱(44)이 걸려지도록 된 걸림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5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만곡부(52)의 일측 개구부 양단에서 서로 나란하게 직선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걸림부(54)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54)가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 둘레부에 형성된 스톱핑보스(23)의 안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50)의 한 쌍의 걸림부(54) 사이에는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의 축부재(42)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42)의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은 상기 축부재(42)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부재(42) 둘레부의 걸림턱(44)은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단면형태의 테이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허브(30) 또는 상기 이중잠금버튼(40)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34)은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의 회전 원주 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경사부(34a)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잠금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주요부인 작동허브와 이중잠금버튼 및 걸림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1차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주요부인 작동허브와 이중잠금버튼 및 걸림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2차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주요부인 작동허브와 이중잠금버튼 및 걸림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백세트(10), 케이스(20), 걸림부재(50), 작동허브(30) 및 이중잠금버튼(40)을 갖는 구조이다.
상기 백세트(10)는 도어에 내장되는 사각의 하우징(11)에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가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 사이에는 터치부재(16)가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데드볼트(12)에는 도어의 실외측에서 열쇠구멍이 있는 시건장치(미도시)가 축결합되거나 작동노브(미도시)가 축결합된다.
이러한 백세트(10)의 전후방에는 도어의 실내외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실외측 케이스(8)와 실내측 케이스(20)가 구비된다. 상기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는 도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도어프레임(미도시)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홀(미도시)과 래치볼트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된다. 또한, 데드볼트(12)에는 도시 안된 데드볼트 작동축(미도시)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이중잠금버튼(40)의 축부재(42)에 축결합된다. 또한, 상기 터치부재(16)는 개방되었던 도어가 다시 닫힐 때 도어프레임에 접촉되었다가 다시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터치부재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면서 데드볼트(12)를 다시 도어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킨다.
상기한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 및 터치부재(16)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백세트(10)의 내부 구조는 공지의 구조(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415053 참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내측 케이스(20)는 백세트(10)의 데드볼트 작동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2)이 형성된다. 이 통공(22)의 외곽 둘레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하측 스톱핑보스(23)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허브(30)는 전후방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부에는 원주 방향의 가이드돌부(32)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부(32) 상에는 상하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안착홈(34)이 형성된다. 이 작동허브(30)는 안착홈(34)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실내측 케이스(20)의 통공(22)에 장착되고, 작동허브(30)의 둘레부에는 실내측의 핸들(36)이 결합된다.
상기 작동허브(30)는 도시 안된 토션스프링과 실내측 케이스(20) 내부의 걸림턱(미도시)에 의해 좌우로 제한적으로 탄성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실내측 핸들(36)을 일방향으로 스윙시킨 다음에 핸들(36)을 놓게 되면 자동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작동허브(30)와 이에 결합된 핸들(36)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작동허브(30)의 후단부에는 래치볼트 작동축(미도시)이 장착되며, 이 래치볼트 작동축은 백세트(10)의 래치볼트(14)에 연결되어, 핸들(36)에 의해 작동허브(30)를 회전시킴에 따라 래치볼트 작동축이 원주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스윙되면서 래치볼트(14)를 백세트(10)의 측방으로 출몰시킨다. 상기한 래치볼트(14)와 래 치볼트 작동축 및 작동허브(30)의 작동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도면은 도시하지 않는다.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은 중앙에 축부재(42)가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축부재(42)가 작동허브(30)의 내부에 전후진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축부재(42)의 둘레부에는 스톱핑돌편(46)가 형성된다. 이 스톱핑돌편(46)는 축부재(42)의 서로 대향되는 둘레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 것으로, 축부재(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축부재(42)는 스톱핑돌편(46)의 전단부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걸림턱(44)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44)은 축부재(42)의 둘레부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축부재(42)의 걸림턱(44)은 이중잠금버튼(40)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단면형태의 테이퍼부(44a)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은 작동허브(30)의 전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안착돌기(48)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안착돌기(48)는 이중잠금버튼(40)을 누를 때 작동허브(30) 전단의 안착홈(34)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작동허브(30)의 안착홈(34)은 이중잠금버튼(40)의 회전 원주 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경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34)과 안착돌기(48)는 각각 작동허브(30)의 전단부에 이중잠금버튼(40)에 형성되었지만, 반대로, 안착홈(34)이 이중잠금버튼(40)에 형성되고, 안착돌기(48)는 작동허브(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재(5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만곡부(52)의 일측 개구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내향으로 직선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걸림부(5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 된다. 이 걸림부재(50)의 서로 나라한 걸림부(54)가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 안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록킹해제상태
먼저, 사용자가 실외측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본 발명의 원터치 도어록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어서, 실외측에서 데드볼트(12)에 연결된 시건장치의 열쇠구멍에 열쇠를 끼워서 데드볼트(12)를 백세트(10)의 안으로 후퇴시키거나 실외측에서 데드볼트(12)에 연결된 작동노브를 회전시켜 데드볼트(12)를 백세트(10)의 안으로 후퇴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에서 핸들(미도시)을 스윙작동시켜 래치볼트(14)를 도어의 내부로 후퇴시킨 다음,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갈 수 있다.(도 2와 도 3 참조)
(2) 1차록킹상태
이어서, 개방되었던 도어가 다시 닫힐 때, 백세트(10)의 터치부재(16)가 도어프레임에 접촉되어 래치볼트(14)와 함께 백세트(10)의 내부로 후퇴되었다가 다시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터치부재 삽입홀과 래치볼트 삽입홀에 각각 터치부재와 래치볼트(14)가 삽입되면, 후퇴되었던 데드볼트(12)가 다시 전진하여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데드볼트 삽입홀에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가 1차적으로 록킹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이처럼 데드볼트(12)가 다시 도어프레임의 데드볼트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가 된 경우, 이중잠금버튼(40)이 다시 반대 방향으로 원위치 회전하여 이중잠금버튼(40)의 버튼부에 형성된 안착돌기(48)가 작동허브(30) 전방의 안착홈(34)과 만나게 된다.(도 5 참조)
(3) 2차록킹상태(이중잠금상태)
상기한 1차록킹 상태에서 실내에 진입한 사람이 이중잠금버튼(40)을 원터치식으로 눌러주면, 이중잠금버튼(40)의 안착돌기(48)가 작동허브(30)의 안착홈(34)에 삽입됨과 동시에 이중잠금버튼(40)의 축부재(42) 둘레부에 형성된 스톱핑돌편(46)이 실내측 케이스(20)의 통공(22) 둘레부에 형성된 스톱핑보스(23)에 걸려지며, 이로 인해, 실외측에서 시건장치의 열쇠구멍에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려 하거나 작동노브를 돌리려 하더라도 데드볼트(12)가 회전하지 않는 2차록킹(즉, 이중잠금)상태가 된다. (도 6과 도 7 참조)
따라서, 이러한 이중잠금상태에서 실내에 있는 사람이 도어를 열어주지 않는 이상, 실외에서는 도어를 마음대로 열 수 없게 된다. 물론, 도 7과 같이, 이중잠금버튼(40)은 축부재(42) 둘레부의 걸림턱(44)이 걸림부재(50)의 각 걸림부(54)에 걸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실외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뒤로 후퇴하지 않고 이중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에서 이중잠금버튼(40)을 푸시버튼 방식으로 누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이중잠금 상태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이중잠금장치가 작동되어 있어도 실내에서 한번의 핸들(36) 스윙 동작으로 도어를 열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용 핸들(36)과 이중잠금기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화되며, 나아가, 부품수 등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의 축부재(42)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은 축부재(42)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이중잠금버튼(40)의 회전 및 전진시에 걸림턱(44)이 걸림부재(50)의 걸림부(54)에 제대로 걸려지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동상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의 축부재(42)의 걸림턱(44)은 이중잠금버튼(40)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단면형태의 테이퍼부(44a)가 구비된다.따라서, 이중잠금버튼(40)이 걸림턱(44) 선단의 테이퍼부(44a)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전진하여 걸림부재(50)의 각 걸림부(54)에 보다 원활하게 걸려지기 때문에, 이중잠금버튼(40)의 누름동작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허브(30) 전방의 안착홈(34)은 이중잠금버튼(40)의 회전 원주 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경사부(34a)가 구비되어 구성되므로, 이중잠금버튼(40)에 형성된 안착돌기(48)가 보다 쉽게 안착홈(34) 양측의 경사부(34a)에 의해 안착홈(34)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이중잠금버튼(40)의 조작이 보다 원활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핸들을 한번만 스윙 조작하면 이중잠금 상태를 해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중잠금버튼을 푸시버튼 방식으로 한번만 누르면 이중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고, 조작용 핸들과 이중잠금기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이 제공된다.

Claims (5)

  1.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며 도어의 측방으로는 데드볼트(12)와 래치볼트(14)가 출몰되도록 구성된 백세트(10)와, 전후방으로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의 외곽에는 스톱핑보스(23)가 형성되어 도어의 실내측면에 장착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후단부가 상기 백세트(10)의 래치볼트(14)에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안착홈(34) 또는 안착돌기(48)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핸들(36)이 결합된 작동허브(30)와, 중앙의 축부재(42)가 상기 작동허브(30)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백세트(10)의 데드볼트(12)에 축결합되고 상기 축부재(42)의 둘레부에는 걸림턱(44)과 스톱핑돌편(46)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허브(30)의 전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안착돌기(48) 또는 안착홈(34)이 형성된 이중잠금버튼(40)과,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을 누를 때 상기 축부재(42)의 걸림턱(44)이 걸려지도록 된 걸림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만곡부(52)의 일측 개구부 양단에서 서로 나란하게 직선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걸림부(54)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54)가 상기 케이스(20)의 통공(22) 둘 레부에 형성된 스톱핑보스(23)의 안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0)의 한 쌍의 걸림부(54) 사이에는 이중잠금버튼(40)의 축부재(42)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42)의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은 상기 축부재(42)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42) 둘레부의 걸림턱(44)은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단면형태의 테이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허브(30) 또는 상기 이중잠금버튼(40)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34)은 상기 이중잠금버튼(40)의 회전 원주 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경사부(34a)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1020060039600A 2006-05-02 2006-05-02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20070107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00A KR20070107293A (ko) 2006-05-02 2006-05-02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00A KR20070107293A (ko) 2006-05-02 2006-05-02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93A true KR20070107293A (ko) 2007-11-07

Family

ID=3906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00A KR20070107293A (ko) 2006-05-02 2006-05-02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72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06Y1 (ko) * 2009-09-15 2013-08-30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식 도어 개폐 버튼의 보강 구조체
CN108825010A (zh) * 2018-05-29 2018-11-16 江苏派欧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把手
WO2021189737A1 (zh) * 2020-03-26 2021-09-30 肇庆市志盛门控五金有限公司 门锁及门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06Y1 (ko) * 2009-09-15 2013-08-30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식 도어 개폐 버튼의 보강 구조체
CN108825010A (zh) * 2018-05-29 2018-11-16 江苏派欧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把手
WO2021189737A1 (zh) * 2020-03-26 2021-09-30 肇庆市志盛门控五金有限公司 门锁及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976B1 (en) Door lock assembly
US7100407B2 (en) Handled lock set for a door
US7131299B1 (en) Combination lock and padlock combination with opening warning device
US6357270B1 (en) Free-wheeling door lock mechanism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8266934B2 (en) Keyed cylinder assembly for door lock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4624828B2 (ja) スイッチ付き錠装置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20040061068A (ko)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KR100623160B1 (ko) 디지털 도어록
JPH11210277A (ja) 平面ハンドル
JP4165790B2 (ja) 扉用のラッチ錠
KR102123861B1 (ko) 도어 락용 세이프티 핸들 어셈블리
TWI767794B (zh) 可按壓鎖扣的管狀鎖
KR100360849B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JP5280146B2 (ja) シリンダ錠
KR200152300Y1 (ko) 튜블라형 도어록에 있어서 내부측 레바작동에 의한 잠금 해제장치
KR100450580B1 (ko) 출입문용 키박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