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068A -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068A
KR20040061068A KR1020020086845A KR20020086845A KR20040061068A KR 20040061068 A KR20040061068 A KR 20040061068A KR 1020020086845 A KR1020020086845 A KR 1020020086845A KR 20020086845 A KR20020086845 A KR 20020086845A KR 20040061068 A KR20040061068 A KR 2004006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atch
door
lock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캡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캡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캡스테크
Priority to KR102002008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068A/ko
Publication of KR2004006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100)에 설치되는 핸들(20)을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의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시에 핸들(20)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한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현관 출입문(100) 설치시에 현관 출입문(100)의 열림방향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핸들(20)을 부착하고자 한 것으로, 외측몸체(10) 내부에 형성된 걸림편(61)의 조작에 의해 핸들(20)의 방향을 전환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핸들(20)의 설치 후에 출입문(100)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핸들(20)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도 잠금걸림쇠(71)와 반달걸림쇠(72)의 걸림이 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출입문(100)이 개폐되며, 잠금걸림쇠(71)와 반달걸림쇠(72)가 돌출된 상태로도 출입문(100)이 안전하게 닫히도록 하여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틀(101)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APPRATUS FOR HANDLE-LATCH AND HANDLE-SWITCH IN DOOR-LOCK}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핸들을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의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시에 핸들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게 한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현관 출입문에 설치시에 현관 출입문의 열림방향에 따라 핸들을 부착하고자 한 것으로, 외측몸체 내부에 형성된 걸림편의 조작에 의해 핸들의 방향을 전환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핸들의 설치 후에 출입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핸들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도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의 걸림이 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출입문이 개폐되며,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돌출된 상태로도 출입문이 안전하게 닫히도록 하여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출입문에는 출입문의 개폐를 위하여 핸들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문에 설치되어지는 종래의 통상적인 핸들은 출입문의 열고 닫는 방향에 따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작동되는 핸들이 제작되어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출입문의 열림방향에 따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작동되는 핸들을 제작하여야 하며, 설치시에도 출입문의 열림방향에 맞는 핸들을 선택하여 설치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출입문의 열림방향에 따라 설치되는 핸들을 제작을 함에 있어 각각 다르게 제작을 해야 함으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설치시에도 출입문에 맞는 핸들을 골라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에 출입문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핸들은 반달걸림쇠만을 작동시키게 되며, 별도로 잠금걸림쇠를 구성하는 이중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근래에는 한 번의 핸들 회전 동작에도 반달걸림쇠와 이중잠금장치에 구성된 잠금걸림쇠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나의 잠금장치구조에 의하여 출입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동시에 작동되는 반달걸림쇠와 잠금걸림쇠를 갖는 잠금장치의 해정시에는 핸들을 완전하게 회전시켜 작동을 시켜야만 잠금장치의 잠금걸림쇠가 안전하게 동작을 하여 해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문틀과 출입문에는 틈새(일반적인 규격 약 4mm)가 생기는데, 이와 같은 틈새는 상기의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동시에 작동되는 잠금장치의 해정을 위해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 작동시켜 완전하게 끝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절반정도(핸들의 회전작동에 의해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의 끝단이 문틀에 형성된 받이홈에서 완전히 이탈되기 시작한 시점)만 회전 작동시켜도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문틀에 형성된 받이홈에서 이탈된 상태로 틈새에 위치하게 되어 출입문이 해정되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사용자가 급한 마음에 핸들을 회전시키면서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때, 핸들을 반정도만 회전시켜도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는 잠금장치에 형성된 걸림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로 걸림되지 않는 상태로 문틀에 형성된 받이홈에서 이탈되어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로 걸림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기 출입문이 열린 후 핸들을 놓음으로써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잠금장치에서 다시 돌출된 상태로 복귀하여 출입문을 닫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돌출된 상태로 출입문이 닫힐 경우 반달걸림쇠는 문틀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림되어 잠금장치 내부로 인입되나, 상기 잠금걸림쇠는 인입되지 않고 문틀에 부딪혀 문틀을 훼손시키며, 상기 문틀에 부딪힌 충격에 의하여 잠금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출입문에 설치되는 핸들을 외측몸체 내부에 형성된 걸림편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의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핸들의 설치 후에 출입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핸들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도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의 걸림이 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출입문이 개폐되며,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돌출된 상태로도 출입문이 안전하게 닫히도록 하여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문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가 외측몸체에 중립위치 상태로 결합된 배면사시도.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도2의 래치의 반대측을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핸들이 중립위치에 놓인 상태의 일부절개 확대배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핸들이 일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확대배면도.
도6은 도5의 일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 핸들이 작동되어 걸림된 상태의 일부절개 확대배면도.
도6a는 본 발명의 핸들이 걸림된 상태에 따라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받이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핸들이 타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확대배면도.
도8은 도7의 타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 핸들이 작동되어 걸림된상태의 일부절개 확대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측몸체 11 관통홀 12 스프링끼움구
13 고정턱 14a 일측지지턱 14b 타측지지턱
15 슬라이딩홈 16 래치스토퍼끼움구 17 지지편
20 핸들 21 핸들축 22 작동봉끼움홈
23 와셔 24 링클립
30 래치 31 지지돌기 32 축관통홀
33a 일측걸림기어 33b 타측걸림기어 34a 일측걸림턱
34b 타측걸림턱
40 회전스프링 41a 일측단 41b 타측단
50 래치스토퍼 51 걸림돌기 52 지지핀
55 스프링
60 고정편 60a 탄발스프링지지부 61 걸림편
61a 당김편 62 탄발스프링
70 잠금장치상자 71 잠금걸림쇠 72 반달걸림쇠
75 받이홈
80 비상키실린더 81 키패드
90 결합부재
100 출입문 101 문틀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지가 외측몸체에 중립위치 상태로 결합된 배면사시도,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도2의 래치의 반대측을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출입문(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측몸체(10)에 결합 구성되는 핸들(20)에 있어서,
적정 위치에 스프링끼움구(12)가 구비된 관통홀(1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구(12)의 상부로는 고정턱(13)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으로는 일측 및 타측지지턱(14a)(14b)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중앙으로 슬라이딩홈(15)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구(12)의 일측 하부로는 래치스토퍼끼움구(16)가 형성된 외측몸체(10)와,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핸들축(21)이 끼워지는 핸들(20)과,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스프링끼움구(12)의 둘레부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돌출 형성된 핸들축(21)으로 결합 구성되는 일측 상부로 지지돌기(31)가 형성되고, 중앙으로 축관통홀(32)이 형성되며 둘레부로 일측 및 타측걸림기어(33a)(33b)와 일측 및 타측걸림턱(34a)(34b)이 형성된 래치(30)와,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일측단(41a)과 타측단(41b)이 지지되어 핸들(20)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래치(30)를 복귀시키는 회전스프링(40)과,
상기 래치스토퍼끼움구(16)에 끼워져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일측 및 타측걸림기어(33a)(33b)에 걸림되어 고정시킴과 동시에 해제시키는 스프링(55) 및 래치스토퍼(50)와,
상기 슬라이딩홈(15)에 인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일측 및 타측걸림턱(34a)(34b)이 걸림 되도록 하는 걸림편(61) 및 상기 걸림편(61)을 지지하는 탄발스프링(62)을 고정하는 고정편(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걸림장치는 핸들축(21)에 와셔(23)가 끼워진 핸들(20)이 외측몸체(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끼워져 외측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핸들축(21)이 돌출된 외측몸체(10)의 내측에서 회전스프링(40)의 일측단(41a)과 타측단(41b)이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스프링(40)은 관통홀(11)의 둘레부를 형성하는 스프링끼움구(12)에 끼워짐과 동시에 래치(30)는 축관통홀(11)에 핸들축(21)이 끼워져 상기 핸들축(21)의 끝단에 링클립(24)으로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전스프링(40)의 일측단(41a)과 타측단(41b)은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걸림됨과 동시에 외측몸체(10)에 형성된 고정턱(13)의 양측으로 회전스프링(40)의 일측단(41a)과 타측단(41b)이 걸림 고정되도록 결합 구성되어, 상기의 핸들(20)의 좌,우회전에 의하여 래치(30)가 좌,우회전을 할 때, 회전스프링(40)의 일측단(41a)이나 타측단(41b)이 고정턱(13)에 지지 고정되며, 타측단(41b)이나 일측단(41a)이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지지되면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늘어난 후에 핸들(20)을 놓으면 래치(30)를 원래의 위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 상기의 래치스토퍼끼움부(16)에 별도의 결합부재(90)로서 끼움 결합된 스프링(55)과 래치스토퍼(50)는 상기 핸들(20)에 회전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래치(30)의 일측 또는 타측걸림기어(33a)(33b)가 걸림되어 핸들(20)이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스프링(55)은 중심이 래치스토퍼끼움구(16)에 끼워지고, 양측단은 외측몸체(10)에 형성된 지지편(17)에 지지되어 래치스토퍼(50)가 회전함에 따라 래치스토퍼(50)에 형성된 지지핀(52)에 의하여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래치스토퍼(50) 부하가 없을 때 지지편(17)과 지지핀(52)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슬라이딩홈(15)에 삽입되어 고정편(60)으로 결합 구성된 걸림편(61)은 상기의 래치(30) 양측으로 형성된 일측 및 타측걸림턱(34a)(34b)을 걸림지지하여 핸들(20)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상기의 걸림편(61)은 당김편(61a)과 탄발스프링(62)에 의하여 래치(30)의 일측 및 타측걸림턱(34a)(34b)을 걸림 또는 해제를 한다.
한편, 상기의 외측몸체(10) 중앙부로는 비상키실린더(80)가 내설되며, 상부로는 암호를 입력 해제하는 버튼들이 구비된 키패드(81)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출입문(100)에 설치시 출입문(100)의 열림 방향에 관계 없이 핸들(20)을 전환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상태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핸들이 중립위치에 놓인 상태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핸들전환장치를 출입문(100)에 설치하기 전에는 핸들(20)이 외측몸체(10)에 수직으로 세워져 좌,타측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놓여진다.
상기와 같이 핸들(20)이 중립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출입문(100)의 열림 방향에 따라 외측몸체(10)에 결합된 핸들(20)을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30)에 형성된 일측 또는 타측걸림턱(34a)(34b)이 걸림편(61)에 걸림되어 핸들(20)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의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입문에 설치가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 상태로서 외측몸체(10)의 배면을 보인 배면도로서,
상기의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핸들(20)을 일측방향의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핸들(20)을 구성하는 핸들축(21)에 결합된 래치(3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일측걸림턱(34a)이 걸림편(61)에 걸림되어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 수평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의 걸림편(61)은 고정편(60)에 형성된 탄발스프링지지부(60a)에 지지된 탄발스프링(62)이 탄발을 하게 되어 걸림편(61)을 래치(30)측으로 밀어 올려 일측걸림턱(34a)이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스프링(40)의 일측단(41a)은 고정턱(13)에 지지되고, 타측단(41b)은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지지되면서 일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고, 핸들(20)이 일측 수평방향으로 놓인 상태로 출입문에 별도의 고정부재(도시생략)로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핸들전환장치는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만 작동하면서 출입문을 개폐하게 되는 것으로, 도6은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어 걸림된 상태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핸들축(21)의 끝단에 형성된 작동봉끼움홈(22)에 끼움 결합된 작동봉(도시생략)이 출입문(100)의 내측에 내설되어 출입문(100)을 시정 및 해정을 하는 반달걸림쇠(72)와 상기 반달걸림쇠(72)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잠금걸림쇠(71)를 문틀(101)에 형성된 각각의 받이홈(75)으로부터 이탈시켜 출입문(100)의 잠금장치를 해정하게 된다.
이때, 핸들(20)을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 작동시켜야만이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가 잠금장치상자(70)의 내부에 구성된 잠금장치들에 의해 완전하게 잠금 걸림됨과 동시에 해정되어 안전하게 출입문(10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의 최대 회전각도란 상기 핸들(20)의 회전에 의해 래치(30)가 회전되어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가 일측지지턱(14a)에 걸림되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출입문(100)을 급하게 열기 위하여 핸들(20)을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를 문틀(101)에 형성된 받이홈(75)에서 이탈시켜 출입문(100)을 열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스토퍼(50)에 형성된 걸림돌기(51)에 래치(30)의 일측걸림기어(33a)가 걸림되어 핸들(20)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핸들(20)을 잡고 당기면 출입문(100)을 열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핸들(20)의 작동에 의해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0)의 회전에 의해 걸림 상태가 됨에 따라서 출입문(100)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상자(70)의 내부에 구성된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가 연동 작동되어 문틀(101)에 형성된 각각의 받이홈(75)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출입문(100)을 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어진 출입문(100)을 닫을 때에도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가 래치(30)와 래치스토퍼(50)에 의하여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가 문틀(101)에 걸릴 염려가 없는 것으로, 급하게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핸들(20)을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시키지 않고도 안전하게 출입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래치(30)와 래치스토퍼(50)의 반잠기 상태는 도6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0)의 회전에 의해 래치(30)가 회전(도6에서 보면 시계방향)하면서 일측걸림기어(33a)가 래치스토퍼(50)의 걸림돌기(51)를 밀고 지나 가면서 걸림돌기(51)와 일측걸림기어(33a)의 홈에 맞닿는 순간이 있는데, 이때, 핸들(20)의 회전작동을 멈추면 상기 래치(30)는 회전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걸림기어(33a)에 맞물려 있는 래치스토퍼(50)의 걸림돌기(51)도 스프링(55)에 의해 복귀하려고 함으로서, 서로 맞물려 정지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지된 걸림 상태를 해지하려면 핸들(20)을 하방으로 즉, 도면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측걸림기어(33a)와 걸림돌기(51)를 해제시켜줌으로써, 걸림돌기(51)가 형성된 래치스토퍼(50)는 스프링(55)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를 하며, 핸들(20)을 놓으면 래치(30)는 회전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도7은 본 발명의 핸들(2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의 외측몸체(10)의 배면을 보인 배면도로서,
상기의 핸들(20)이 타측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핸들(20)을 타측방향(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의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핸들(20)을 구성하는 핸들축(21)에 결합된 래치(30)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타측걸림턱(34b)이 걸림편(61)에 걸림되어 핸들(20)이 일측방향으로 수평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의 걸림편(61)은 고정편(60)에 형성된 탄발스프링지지부(60a)에 지지된 탄발스프링(62)이 탄발을 하게 되어 걸림편(61)을 래치(30)측으로 밀어 올려 타측걸림턱(34b)이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스프링(40)의 타측단(41b)은 고정턱(13)에 지지되고, 일측단(41a)은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지지되면서 타측방향으로 벌어진상태가 되고, 핸들(20)이 타측 수평방향으로 놓인 상태로 출입문에 별도의 고정부재(도시생략)로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핸들전환장치는 핸들(20)이 타측방향으로만 작동하면서 출입문을 개폐하게 되는 것으로, 도8은 핸들(2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 작동되어 걸림된 상태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와 같이 핸들(2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도5내지 도6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축(21)의 끝단에 형성된 작동봉끼움홈(22)에 끼움 결합된 작동봉(도시생략)이 출입문(100)의 내측에 내설되어 출입문(100)을 시정 및 해정을 하는 반달걸림쇠(72)와 상기 반달걸림쇠(72)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잠금걸림쇠(71)를 문틀(101)에 형성된 각각의 받이홈(75)으로부터 이탈시켜 출입문(100)의 잠금장치를 해정하게 된다.
한편, 출입문(100)을 급하게 열기 위하여 핸들(20)을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시키지 않고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를 문틀(101)에 형성된 받이홈(75)에서 이탈시켜 출입문(100)을 열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스토퍼(50)에 형성된 걸림돌기(51)에 래치(30)의 타측걸림기어(33b)가 걸림되어 핸들(20)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핸들(20)을 잡고 당기면 출입문(100)을 열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핸들(20)이 걸림 상태가 됨으로 출입문(100)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상자(70)에 형성된 잠금걸림쇠(71)와 반달걸림쇠(72)가 연동 작동되어 문틀(101)에 형성된 각각의 받이홈(75)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출입문(100)을 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어진 출입문(100)을 닫을 때에도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가 래치(30)와 래치스토퍼(50)에 의하여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반달걸림쇠(72)와 잠금걸림쇠(71)가 문틀(101)에 걸릴 염려가 없는 것으로, 급하게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핸들(20)을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시키지 않고도 안전하게 출입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래치(30)와 래치스토퍼(50)의 반잠기 상태는 도8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0)의 회전에 의해 래치(30)가 회전(도8에서 보면 반시계방향)하면서 타측걸림기어(33b)가 래치스토퍼(50)의 걸림돌기(51)를 밀고 지나 가면서 걸림돌기(51)와 타측걸림기어(33b)의 홈에 맞닿는 순간이 있는데, 이때, 핸들(20)의 회전작동을 멈추면 상기 래치(30)는 회전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 함과 동시에 상기 타측걸림기어(33b)에 맞물려 있는 래치스토퍼(50)의 걸림돌기(51)도 탄발스프링(62)에 의해 복귀하려고 함으로서, 서로 맞물려 정지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지된 걸림 상태를 해지하려면 핸들(20)을 하방으로 즉, 도8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측걸림기어(33b)와 걸림돌기(51)를 해제시켜줌으로써, 걸림돌기(51)가 형성된 래치스토퍼(50)는 스프링(55)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를 하며, 핸들(20)을 놓으면 래치(30)는 회전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는핸들을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의 출입문의 열림방향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시에 핸들의 걸림이 가능하여 핸들의 설치 후에 출입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핸들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서도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의 걸림이 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출입문이 개폐되며, 잠금걸림쇠와 반달걸림쇠가 돌출된 상태로 출입문이 닫히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닫히도록 하여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출입문(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측몸체(10)에 결합 구성되는 핸들(20)에 있어서,
    적정 위치에 스프링끼움구(12)가 구비된 관통홀(1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구(12)의 상부로는 고정턱(13)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으로는 일측 및 타측지지턱(14a)(14b)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중앙으로 슬라이딩홈(15)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구(12)의 일측 하부로는 래치스토퍼끼움구(16)가 형성된 외측몸체(10)와,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핸들축(21)이 끼워지는 핸들(20)과,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스프링끼움구(12)의 둘레부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돌출 형성된 핸들축(21)으로 결합 구성되는 일측 상부로 지지돌기(31)가 형성되고, 중앙으로 축관통홀(32)이 형성되며 둘레부로 일측 및 타측걸림기어(33a)(33b)와 일측 및 타측걸림턱(34a)(34b)이 형성된 래치(30)와,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지지돌기(31)에 일측단(41a)과 타측단(41b)이 지지되어 핸들(20)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래치(30)를 복귀시키는 회전스프링(40)과,
    상기 래치스토퍼끼움구(16)에 끼워져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일측 및 타측걸림기어(33a)(33b)에 걸림되어 고정시킴과 동시에 해제시키는 스프링(55) 및 래치스토퍼(50)와,
    상기 슬라이딩홈(15)에 인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래치(30)에 형성된 일측 및 타측걸림턱(34a)(34b)이 걸림 되도록 하는 걸림편(61) 및 상기 걸림편(61)을 지지하는 탄발스프링(62)을 고정하는 고정편(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KR1020020086845A 2002-12-30 2002-12-30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KR20040061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845A KR20040061068A (ko) 2002-12-30 2002-12-30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845A KR20040061068A (ko) 2002-12-30 2002-12-30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068A true KR20040061068A (ko) 2004-07-07

Family

ID=3735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845A KR20040061068A (ko) 2002-12-30 2002-12-30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06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3B1 (ko) * 2006-11-29 2008-05-02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도어록장치
KR100887995B1 (ko) * 2007-06-25 2009-03-10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
KR101012489B1 (ko) * 2008-06-18 2011-02-08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CN102330510A (zh) * 2010-08-04 2012-01-25 深圳市同创新佳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门锁的内把手防钩机构
KR200477156Y1 (ko) * 2013-09-09 2015-05-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좌수 및 우수 겸용 핸들을 구비하는 도어록
KR20160003100U (ko) * 2015-03-04 2016-09-19 (주)유니코 하이테크 도어록의 손잡이 조절장치
CN110005257A (zh) * 2019-05-27 2019-07-12 方先抄 一种通用门锁定位模块及其平开门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3B1 (ko) * 2006-11-29 2008-05-02 주식회사 웅진해피올 도어록장치
KR100887995B1 (ko) * 2007-06-25 2009-03-10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
KR101012489B1 (ko) * 2008-06-18 2011-02-08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CN102330510A (zh) * 2010-08-04 2012-01-25 深圳市同创新佳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门锁的内把手防钩机构
CN102330510B (zh) * 2010-08-04 2013-08-21 深圳市同创新佳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门锁的内把手防钩机构
KR200477156Y1 (ko) * 2013-09-09 2015-05-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좌수 및 우수 겸용 핸들을 구비하는 도어록
KR20160003100U (ko) * 2015-03-04 2016-09-19 (주)유니코 하이테크 도어록의 손잡이 조절장치
CN110005257A (zh) * 2019-05-27 2019-07-12 方先抄 一种通用门锁定位模块及其平开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9657A1 (en) Latch assembly
CA2585651A1 (en) Lock box
EP1192325B1 (en) Door locking device
WO2010095831A2 (ko) 도어락
JP2010174622A (ja) ロック
KR101822760B1 (ko) 푸시풀 도어락
KR102292903B1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KR20040061068A (ko)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EP3619380B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US6139072A (en) Push-pull door lock
KR200225310Y1 (ko) 출입문용 이중자물쇠
KR20030091856A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0118598Y1 (ko) 차량용 글루브박스 개폐장치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KR200185329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146377Y1 (ko) 도아용 평핸들장치
JPH03217568A (ja) プッシュプル錠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200404717Y1 (ko) 슬라이드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