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849B1 -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 Google Patents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849B1
KR100360849B1 KR1020010009073A KR20010009073A KR100360849B1 KR 100360849 B1 KR100360849 B1 KR 100360849B1 KR 1020010009073 A KR1020010009073 A KR 1020010009073A KR 20010009073 A KR20010009073 A KR 20010009073A KR 100360849 B1 KR100360849 B1 KR 10036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door
coupling hol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509A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테크
Priority to KR102001000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8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 사무실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여닫이형 도어에 장착되어 내부에서는 항상 도어록의 개폐가 가능하며, 외부에서는 개방시에만 도어록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안전성을 극대화시킨 신규한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여닫이형 도어(D)에 설치되며, 도어(D)의 아웃ㆍ인 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어(D)에 취부되는 아웃ㆍ인로즈(2,24) 및 상기 아웃ㆍ인로즈(2,24)를 도어(D)에 고정하기 위한 아웃로즈(2)상에 아웃로즈볼트(14)에 나사연결되는 클램핑샤프트(15)와, 이의 대응부인 인로즈(24)상에 결합공(36)상으로 클램핑볼트(37)를 나사결합하여 아웃ㆍ인로즈(2,24)를 도어(D)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아웃로즈(2)에는 아웃센터바(34)가 결합되어 대응부인 인로즈(24) 상의 센터바부싱(33) 상에 대응 결합되고, 상기 아웃ㆍ인레버(1,23)는 아웃ㆍ인로즈 (2,24)의 결합공(2a,24a)상에 각각 레버와셔(19)를 개재시켜 아웃ㆍ인레버부싱 (3,25)에 레버셋팅볼트(20)로 좌우방향을 선택하여 고정토록 한 통상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에 있어서, 상기 아웃ㆍ인부싱(3,25)에는 각각 아웃ㆍ인레버(1,23)의 각운동 작동시 복원작동을 위한 레버스프링(18)이 아웃ㆍ인스프링서포터(12,31)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상기 아웃레버(1)와 고정된 아웃레버부싱(3)의 결합공(3a)상에는 키이(4)에 의해 해정될 수 있는 통상의 실린더세트(5)가 내장되고, 상기 실린더세트(5)의 선측에는 이와 연결되는 실린더테일로드(6)를 록킹캠(7)과 실린더테일로드스프링(22)에 의해 탄력설치하며, 상기 록킹캠(7)에는 샤프트(17)의 헤더(17a)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공(7a)과 이의 선측으로 실린더테일로드(6)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요부(7b)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캠(7)의 후단부에는 록킹볼(8)이 끼움식으로 안치될 수 있는 록킹요부(7c)가 2개 이상 형성되어 록킹볼(8)이 각각 언록킹플레이트(9)와 록킹플레이트(10), 록킹베이스플레이트(11)에 의해 2단형의 록킹볼스프링(21)으로 전방 탄력설치되고, 상기 언록킹플레이트(9)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진 스퀘어파이프 (16)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공(9a)이 형성되고, 상기 스퀘어파이프(16)의 타단부는 인레버(23)측 인스프링서포터(31)상의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언록킹플레이트 (9)에는 록킹베이스플레이트스프링핀(35)이 결합되어 록킹캠(7)에 형성된 가이드홈 (7d)상에 연접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레버(23)는 인레버부싱(25)상에 고정되고, 인레버부싱(25)의 결합공(25a)상으로 캡스프링핀(27)으로 피스톤(28)과 연결된 캡(26)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결합공(25a)의 상부에는 회전방지용개구(25b)가 형성되어 피스톤(28)상에 상하 소폭 유동할 수 있는 록커(28a)가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28)에는 안내돌편(28d)형성되어 인레버부싱(25) 내연부의 안내요부(25c)에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28)의 결합공(28b)에는 스프링(32)을 개재시켜 로울러(29)를 탄력결합시키되, 상기 피스톤(28)상에 좌우로 형성되는 개략 S자형의 안내홈(28c)상에 안내되는 안내핀(29a)을 로울러(29)의 대응면에 결합하며, 상기 로울러(29)에는 샤프트(17)가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샤프트결합공(29b)이 형성되고, 상기로울러(29)의 후측으로는 내연부에 록킹돌편(30a)이 형성된 록킹플레이트(30)가 인레버부싱(25)의 회전방지용개구(25b)와 인로즈(24)에 연접되게 억지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에 있어서, 도어(D)의 내부측인 인레버(23)측에서도 캡(26)의 푸시작동에 의하여 도어록(A)이 록킹상태로 전환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웃ㆍ인레버(1,23)의 설치방향과 도어(D)에 따라 간단히 방향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의 내구성도 일층 개선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 door lock having the tubular type of lever}
본 발명은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 사무실 등의 출입구용 도어에 설치되는 여닫이형 도어에 장착되어 내부에서는 항상 도어록의 록킹 및 언록킹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록의 개폐가 가능하며, 외부에서는 도어록이 언록킹시에는 자유롭게 도어록이 개방되고 록킹상태에서는 별도의 키이를 사용하여 도어록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여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이 갖는 사용상의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형 도어에는 손잡이로서의 기능, 장식적 기능과 동시에 출입을 임의로 통제하기 위하여 도어록을 설치하고 있는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여닫이형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은 주로 손잡이가 개략 구형(球形)으로 이루어진 도어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장기간 사용되어 수요자들에게 식상한 감을 주고 있어, 근자에 들어서는 개폐작동이 보다 용이한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이 시장을 점점 장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의 경우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도어의 내부에서 록킹노브를 회전시켜 록킹시키고, 록킹된 상태에서는 도어 내부에서도 반드시 록킹노브를 록킹 해제쪽으로 회전시켜야만 도어록이 작동되고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되어 있으나, 록킹된 상태에서 만약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해정방법을 모르고 레버작동만 하다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록킹시 외부에서도 레버를 억지로 작동시키면 고장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록킹된 상태에서도 내부에서는 언제나 레버를 작동시켜 도어가 열리게 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외부에서는 록킹시 레버가 공회전하여 외측 레버의 고장을 줄이는 것으로 보완된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의 개발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내부에서는 항상 도어록의 록킹 및 언록킹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록의 개폐가 가능하며, 외부에서는 도어록이 언록킹시에는 자유롭게 도어록이 개방되고 록킹상태에서는 별도의 키이를 사용하여 도어록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며, 또한 록킹상태에서는 레버가 공회전 되게 하여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이 갖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의
전체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out lever)측
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in lever)측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측을 발췌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측을 발췌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측을 발췌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측을 발췌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측의 언록킹
상태를 발췌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측의 록킹
상태를 발췌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측 록킹캠
과 록킹볼의 언록킹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아웃레버측 록킹캠
과 록킹볼의 록킹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측의 언록킹
상태를 발췌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측의 록킹 상
태를 발췌한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측 록킹플레
이트와 피스톤 록커의 언록킹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에 있어서 인레버측 록킹플레
이트와 피스톤 록커의 록킹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A: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D:도어(door)
1:아웃레버(out lever) 2:아웃로즈(out rose)
2a:결합공 3:아웃레버부싱(out lever bushing)
3a:결합공 4:키이(key)
5:실린더세트(cylinder set)
6:실린더테일로드(cylinder tail rod)
7:록킹캠(locking cam) 7a:결합공
7b:걸림요부 7c:록킹요부
7d:가이드홈 8:록킹볼(locking ball)
9:언록킹플레이트(unlocking plate) 9a:결합공
10:록킹플레이트(locking plate)
11:록킹베이스플레이트(locking base plate)
12:아웃스프링서포터(out spring support)
13:스냅링(snap ring)
14:아웃로즈볼트(out rose bolt) 15:클램핑샤프트(clampihg shaft)
16:스퀘어파이프(square pipe) 17:샤프트(shaft)
17a:헤더(header) 18:레버스프링(lever spring)
19:레버와셔(lever washer) 20:레버셋팅볼트(lever setting bolt)
21:록킹볼스프링(locking ball spring)
22:실린더테일로드스프링(cylinder tail rod spring)
23:인레버(in lever) 24:인로즈(in rose)
24a:결합공 25:인레버부싱(in lever bushing)
25a:결합공 25b:회전방지용개구
26:캡(cap) 27:캡스프링핀(cap spring pin)
28:피스톤(piston) 28a:록커(locker)
28b:결합공 28c:안내홈
29:로울러(roller) 29a:안내핀
29b:샤프트결합공 30:록킹플레이트(locking plate)
30a:록킹돌편
31:인스프링서포터(out spring support)32:스프링(spring)
33:센터바부싱(center bar bushing) 34:아웃센터바(out center bar)
35:록킹베이스플레이트스프링핀(locking base plate spring pin)
36:결합공 37:클램핑볼트(clamping bolt)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의 전체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에 있어서 아웃(out), 인(in) 측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이하에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은 아웃ㆍ인레버(1,23)와 상기 아웃ㆍ인레버(1,23)가 각각 도어(D)의 아웃ㆍ인 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어(D)에 취부되는 아웃ㆍ인로즈(2,24) 및 상기 아웃ㆍ인로즈(2,24)를 도어(D)에 고정하기 위한 아웃로즈(2)상에 아웃로즈볼트(14)에 나사연결되는 클램핑샤프트(15)와, 이의 대응부인 인로즈(24)상에 결합공(36)상으로 클램핑볼트(37)를 나사결합하여 아웃ㆍ인로즈(2,24)를 도어(D)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센터설정을 위하여 아웃로즈(2)에는 아웃센터바(34)가 결합되어 대응부인 인로즈(24) 상의 센터바부싱(33) 상에 대응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ㆍ인레버(1,23)는 아웃ㆍ인로즈(2,24)의 결합공(2a,24a)상에 각각 레버와셔(19)를 개재시켜 아웃ㆍ인레버부싱(3,25)에 레버셋팅볼트(20)로 좌우방향을 선택하여 고정한다.
상기 아웃ㆍ인부싱(3,25)에는 각각 아웃ㆍ인레버(1,23)의 각운동 작동시 복원작동을 위한 레버스프링(18)이 아웃ㆍ인스프링서포터(12,31)에 의해 탄력설치된다.
그리고 도어(D)의 내측에서 도어(D)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수단 및 이를 외측에서 해제하기 위한 해정수단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우선 아웃레버(1)의 구성부터 살펴 보기로 한다.
아웃레버(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웃레버(1)와 고정된 아웃레버부싱(3)의 결합공(3a)상에는 키이(4)에 의해 해정될 수 있는 통상의 실린더세트(5)가 내장되고, 상기 실린더세트(5)의 선측에는 이와 연결되는 실린더테일로드 (6)가 결합되는데, 상기 실린더테일로드(6)는 록킹캠(7)과 실린더테일로드스프링 (22)에 의해 탄력설치된다.
상기 록킹캠(7)에는 샤프트(17)의 헤더(17a)가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7a)과 이의 선측으로 실린더테일로드(6)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요부(7b)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록킹볼(8)이 끼움식으로 안치될 수 있는 록킹요부(7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요부(7c)에는 록킹볼(8)이 각각 언록킹플레이트(9)와 록킹플레이트(10), 록킹베이스플레이트(11)에 의해 2단형의 록킹볼스프링(21)으로 전방 탄력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언록킹플레이트(9)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스퀘어파이프(16)가 걸림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사각형의 결합공(9a)이 형성되어 키이(4) 또는 인레버(23)를 회동시켜 샤프트(17)가 회전을 하면 언록킹플레이트(9)가 샤프트(17)가 결합된 스퀘어파이프(16)에 의해 회전하면서 록킹볼(8)을 록킹요부(7c)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도어록(A)을 언록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언록킹플레이트(9)에는 이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록킹베이스플레이트스프링핀(35)이 결합되어 록킹캠(7)에 형성된 가이드홈(7d)상에 연접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인레버(2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레버부싱(25)상에 캡스프링핀(27)으로 피스톤(28)과 연결된 캡(26)을 고정시켜 인레버부싱(25)의 결합공(25a)상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공(25a)의 상부에는 회전방지용개구(25b)가 형성되어 피스톤(28)상에 상하 소폭 유동할 수 있는 록커(28a)가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8)의 결합공(28b)에는 스프링(32)을 개재시켜 로울러(29)를 탄력결합시키되, 상기 피스톤(28)상에 좌우로 형성되는 개략 S자형의 안내홈(28c)상에 안내되는 안내핀(29a)을 로울러(29)의 대응면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로울러(29)에는 샤프트(17)가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샤프트결합공(29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29)의 후측으로는 개략 링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연부에록킹돌편(30a)이 형성된 록킹플레이트(30)가 전후로 각각 인레버부싱(25)의 회전방지용개구(25b)와 인로즈(24)에 연접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다.
도면중 부호 28d는 피스톤에 형성되는 안내돌편, 25c는 상기 안내돌편(28d)을 안내하는 인레버부싱(25) 내연부에 형성되는 안내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도어록(A)의 언록킹 및 록킹 상태 등으로 전환되는 작용 등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아웃레버(1)는 아웃레버부싱(3) 및 인레버(23)는 인레버부싱(25)에 설치되어 있는 8각과 같은 다각부에 의하여 회전방지되며, 레버셋팅볼트(20)에 의하여 아웃ㆍ인레버(1,23)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져 있으며, 아웃ㆍ인레버 (1,23)의 방향이 도어(D) 개폐방향 등에 부합되지 않으면 레버셋팅볼트(20)를 나사분리 한 후 아웃ㆍ인레버(1,23)의 방향을 좌우로 선택하여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인레버부싱(25) 내연부에 형성된 안내요부(25c)에 피스톤(28)의 안내돌편 (28d)이 안내되어 피스톤(28)이 아웃레버(1)쪽으로 밀려 들어가고, 또한 키이(4)로 해정시 피스톤(28)의 안내돌편(28d)이 인레버부싱(25)의 안내요부(25c) 중 넓은 부위에 위치하고 있어 피스톤(28)이 약 3mm 정도 회전되며, 록킹플레이트(30)의 록킹돌편(30a)에 걸려있는 피스톤(28)의 록커(28a)가 풀려나며 로울러(29)가 언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인레버(23)를 록킹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록킹플레이트(30)는 인로즈(24)의 홀안에 억지끼움되어 있어 회전되지 못하므로 피스톤(28) 록커(28a)가 벗어나 언록킹 상태가 된다.
로울러(29)와 피스톤(28) 사이에 있는 스프링(32)에 의하여 피스톤(28)이 언록킹 상태시 이와 연결된 인레버(23)의 바깥쪽으로 캡(26)이 돌출되어 있게된다.
그때 로울러(29)는 피스톤(28)의 S자형 안내홈(28c)에 로울러(29)의 안내핀(29a)이 끼워져 있으므로 피스톤(28)의 슬라이드시 로울러(29)의 회전작동을 결정해주고, 이와 동시에 로울러(29) 내부에 있는 샤프트결합공(29b)에 끼워져 있는 샤프트(17)의 각도를 유지시킨다. 그러므로 샤프트(17)의 헤더(17a)쪽이 결합되어 있는 록킹캠(7)의 방향도 결정해 주게된다.
도어(D)를 내부에서 록킹하기 위하여 인레버(23)측 캡(26)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캡(26)이 직선운동하여 아웃레버(1)쪽으로 약 8mm 정도 이동한다. 그러면 캡(26)과 캡스프링핀(27)으로 연결된 피스톤(28)의 록커(28a)가 록킹플레이트(30)의 록킹돌편(30a)을 경유하여 탄력걸림되어 상기 록킹돌편(30a)에 록킹이 이루어지고, 피스톤(28)이 아웃레버(1) 쪽으로 이동시 로울러(29)의 안내핀(29a)이 피스톤(28)의 S자형 안내홈(28c)을 따라 약 35°정도 회전하면서, 그와 동시에 로울러(29)의 샤프트결합공(29b)에 끼움결합되어 있던 샤프트(17)가 동시에 회전하여 아웃레버(1)쪽에 있는 록킹캠(7)을 약 35°정도 회전시켜 록킹볼(8)이 록킹캠(7)의 록킹요부(7c)와 록킹플레이트(10) 쪽으로 밀려가고 도어록(A)은 록킹이 이루어진다.
록킹볼(8)이 록킹플레이트(10)와 언록킹플레이트(9) 사이에 위치하여 록킹플레이트(10)의 결합공(9a)에 결합되어 있는 스퀘어파이프(16)가 인레버(23)쪽의 인스프링서포터(31)의 사각구멍에 끼워져 있어 아웃ㆍ인레버(1,23)를 작동회전시키면 도어록의 래치를 작동시킨다.
그러나 인레버(23)쪽의 피스톤(28)의 캡(26)을 누르면 로울러(29)가 회전하고 동시에 로울러(29)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17)도 회전하며 동시에 아웃레버(1) 쪽의 록킹캠(7)도 회전한다.
그러면 록킹볼(8)이 록킹플레이트(10), 언록킹플레이트(9) 상에 끼워져 있다가 록킹볼스프링(21)의 팽창되는 힘으로 록킹볼(8)이 록킹캠(7)과 록킹플레이트 (10) 사이로 이동된다.
록킹볼(8)이 록킹캠(7)과 록킹플레이트(10) 사이에 위치할 경우는 아웃레버 (1)는 작동을 시켜도 스퀘어파이프(16)는 회전시키지 못하여 도어록(A)이 록킹상태로 되며, 당연히 아웃레버(1)는 공회전된다.
록킹캠(7)과 실린더세트(5)는 실린더테일로드(6)가 실린더테일로드스프링 (22)이 항상 실린더세트(5) 쪽으로 밀고 있어 록킹캠(7)이 회전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도어(D)를 외부에서 개방하기 위하여 키이(4)를 실린더세트(5)의 키이홀에 끼워 넣으면 키이(4)가 실린더테일로드(6)를 2mm 가량 인레버(23)쪽으로 밀어 넣어 록킹캠(7)의 걸림요부(7b)에 걸리며 실린더세트(5)도 그 위치에서 회전되고 록킹을 해정시킨다.
그러면 록킹볼(8)은 록킹캠(7)과 록킹플레이트(10) 사이에서 록킹플레이트(10)와 언록킹플레이트(9) 쪽으로 록킹볼스프링(21)의 탄력에 의하여 밀려난다. 동시에 인레버(23) 쪽의 로울러(29)도 언록킹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피스톤(28)도 약 3mm 정도 회전하여 록킹플레이트(30)의 록킹돌편(30a)에 록킹되어 있던 피스톤 (28)의 록커(28a)가 록킹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로울러(29)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언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에 있어서, 도어(D)의 내부측인 인레버(23)측에서도 캡(26)의 푸시작동에 의하여 도어록(A)이 록킹상태로 전환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웃ㆍ인레버(1,23)의 설치방향과 도어(D)에 따라 간단히 방향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의 내구성도 일층 개선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1)

  1. 여닫이형 도어(D)에 설치되며, 도어(D)의 아웃ㆍ인 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어(D)에 취부되는 아웃ㆍ인로즈(2,24) 및 상기 아웃ㆍ인로즈(2,24)를 도어(D)에 고정하기 위한 아웃로즈(2)상에 아웃로즈볼트(14)에 나사연결되는 클램핑샤프트 (15)와, 이의 대응부인 인로즈(24)상에 결합공(36)상으로 클램핑볼트(37)를 나사결합하여 아웃ㆍ인로즈(2,24)를 도어(D)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아웃로즈(2)에는 아웃센터바(34)가 결합되어 대응부인 인로즈(24) 상의 센터바부싱(33) 상에 대응 결합되고, 상기 아웃ㆍ인레버(1,23)는 아웃ㆍ인로즈(2,24)의 결합공(2a,24a)상에 각각 레버와셔(19)를 개재시켜 아웃ㆍ인레버부싱(3,25)에 레버셋팅볼트(20)로 좌우방향을 선택하여 고정토록 한 통상의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A)에 있어서;
    상기 아웃ㆍ인부싱(3,25)에는 각각 아웃ㆍ인레버(1,23)의 각운동 작동시 복원작동을 위한 레버스프링(18)이 아웃ㆍ인스프링서포터(12,31)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상기 아웃레버(1)와 고정된 아웃레버부싱(3)의 결합공(3a)상에는 키이(4)에 의해 해정될 수 있는 통상의 실린더세트(5)가 내장되고, 상기 실린더세트(5)의 선측에는 이와 연결되는 실린더테일로드(6)를 록킹캠(7)과 실린더테일로드스프링(22)에 의해 탄력설치하며,
    상기 록킹캠(7)에는 샤프트(17)의 헤더(17a)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공(7a)과 이의 선측으로 실린더테일로드(6)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요부(7b)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캠(7)의 후단부에는 록킹볼(8)이 끼움식으로 안치될 수 있는 록킹요부(7c)가 2개 이상 형성되어 록킹볼(8)이 각각 언록킹플레이트(9)와 록킹플레이트 (10), 록킹베이스플레이트(11)에 의해 2단형의 록킹볼스프링(21)으로 전방 탄력설치되고,
    상기 언록킹플레이트(9)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진 스퀘어파이프(16)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공(9a)이 형성되고, 상기 스퀘어파이프(16)의 타단부는 인레버(23)측 인스프링서포터(31)상의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언록킹플레이트(9)에는 록킹베이스플레이트스프링핀(35)이 결합되어 록킹캠(7)에 형성된 가이드홈(7d)상에 연접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레버(23)는 인레버부싱(25)상에 고정되고, 인레버부싱(25)의 결합공(25a)상으로 캡스프링핀(27)으로 피스톤(28)과 연결된 캡(26)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결합공(25a)의 상부에는 회전방지용개구(25b)가 형성되어 피스톤(28)상에 상하 소폭 유동할 수 있는 록커(28a)가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28)에는 안내돌편(28d)형성되어 인레버부싱(25) 내연부의 안내요부(25c)에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28)의 결합공(28b)에는 스프링(32)을 개재시켜 로울러(29)를 탄력결합시키되, 상기 피스톤(28)상에 좌우로 형성되는 개략 S자형의 안내홈(28c)상에 안내되는 안내핀(29a)을 로울러(29)의 대응면에 결합하며,
    상기 로울러(29)에는 샤프트(17)가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샤프트결합공(29b)이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29)의 후측으로는 내연부에 록킹돌편(30a)이 형성된 록킹플레이트(30)가 인레버부싱(25)의 회전방지용개구(25b)와 인로즈(24)에 연접되게 억지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1020010009073A 2001-02-22 2001-02-22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10036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073A KR100360849B1 (ko) 2001-02-22 2001-02-22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073A KR100360849B1 (ko) 2001-02-22 2001-02-22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682U Division KR200233486Y1 (ko) 2001-02-22 2001-02-22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509A KR20010035509A (ko) 2001-05-07
KR100360849B1 true KR100360849B1 (ko) 2002-11-13

Family

ID=1970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073A KR100360849B1 (ko) 2001-02-22 2001-02-22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71B1 (ko) 2010-03-12 2012-01-18 (주)동광 방폭 도어용 로커 핀의 가이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33B1 (ko) * 2018-04-26 2019-04-03 주식회사 라맥스 박스형 도어락 장치
KR101965532B1 (ko) * 2018-04-26 2019-04-03 주식회사 라맥스 튜블러 래치형 도어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71B1 (ko) 2010-03-12 2012-01-18 (주)동광 방폭 도어용 로커 핀의 가이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509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1270B2 (en) Fitting for a window or door
US5784909A (en) Control mechanism for tubular locks
CA2959255C (en) Cylindrical latch bolt assembly having beleved blocking surface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060102638A (ko) 모티스 록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KR100360849B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200233486Y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JP4624828B2 (ja) スイッチ付き錠装置
KR0137746Y1 (ko) 도어록과 데드볼트를 동시에 해정하는 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WO2002059443A1 (en) Rotating spring-latch lock and corresponding selvage
KR101088939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US20190078354A1 (en) Cylindrical latch exit device
GB2263304A (en) Locking handle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200293454Y1 (ko)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33971Y1 (ko) 원위치 복원기능을 갖는 급수밸브 카트리지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100283439B1 (ko) 출입문 안전 잠금장치
KR200210277Y1 (ko) 출입문용 록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