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277Y1 - 출입문용 록커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록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277Y1
KR200210277Y1 KR2020000022079U KR20000022079U KR200210277Y1 KR 200210277 Y1 KR200210277 Y1 KR 200210277Y1 KR 2020000022079 U KR2020000022079 U KR 2020000022079U KR 20000022079 U KR20000022079 U KR 20000022079U KR 200210277 Y1 KR200210277 Y1 KR 200210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oor
handle
pie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판대
Original Assignee
이판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판대 filed Critical 이판대
Priority to KR2020000022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277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용 록커(lock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 베란다측 출입문에 있어서 이웃하는 출입문과 폐쇄상태에서 록킹기능을 행할 수 있으며 출입문 개폐용 손잡이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갖는 출입문용 록커의 손잡이 및 록커의 파손 및 작동불량 요인 등을 미연에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용 록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출입문(2)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출입문(2)과 폐쇄작동시에 록커로서의 기능과 출입문(2)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출입문용 록커(1)에 있어서, 록커(1)를 구성하는 록커브라켓(4) 상에는 암나사공(6)이 형성된 결합편(5)을 상하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결합편(5)에 끼움되는 결합요부(7)를 갖는 손잡이(3)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요부(7)에는 결합공(8)을 형성하여 체결피스(9)로 손잡이(3)를 록커브라켓(4)상에 조립토록 하여 출입문(2) 공사를 할 시에 손잡이(3)가 손상되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으며, 록커(1)를 구성하는 록커케이싱(17)상에 축핀(14,16)으로 축설치되어 연결레버(13) 및 록커손잡이(11)와 작동편(10)으로 연결되는 록킹편(15)은 록커케이싱(17)상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22)으로 탄력설치되며, 상기 록킹편(15)을 축설치하는 축핀 (14,16)은 호형으로 이루어진 축공(19,20)에 각각 축설치하여 출입문(2)을 폐쇄시 록킹편(15)이 록킹상태에 있더라도 대응하는 출입문(2)의 폐쇄압력에 의하여 록커케이싱(17)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록킹편(15)의 파손 등을 미연에 예방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용 록커{A locker for the entrance door}
본 고안은 출입문용 록커(lock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 베란다측 출입문에 있어서 이웃하는 출입문과 폐쇄상태에서 록킹기능을 행할 수 있으며 출입문 개폐용 손잡이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갖는 출입문용 록커의 손잡이 및 록커의 파손 및 작동불량 요인 등을 미연에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용 록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출입문용 록커는 손잡이와 록커가 일체로 조립구성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종래의 출입문용 록커는 출입문 설치공사 등을 할 시에 록커 부분은 출입문의 프레임 내부로 내장되고 손잡이에 의해 내부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기 손잡이는 출입문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기 때문에 출입문 공사 중에 손잡이의 외관부가 작업 부주의 등으로 손상되는 경우 가 많았던 것이다.
그리고 록커는 손잡이 일측에 설치되어 각운동 가능한 록커손잡이에 의하여 록킹 및 언록킹 작동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존 록커의 경우 사용자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록커를 록킹상태로 두었다가 대응 출입문을 폐쇄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록커의 록킹편이 대응 출입문의 폐쇄작동시 충격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록커의 수명단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작동불량 등으로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출입문용 록커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출입문에 록커를 설치 후 손잡이를 별도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의 손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록커의 록킹편이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록킹상태로 대기하다가 대응 출입문을 폐쇄할 경우 대응 출입문의 폐쇄압력에 의하여 록킹편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수단도 동시에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출입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손잡이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록커가 록킹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록커가 언록킹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로서 대응하는 출입문에 의해 록킹 상태에서 밀려 들어간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출입문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출입문용)록커
2:출입문 3:손잡이
4:록커브라켓 5:결합편
6:암나사공 7:결합요부
8:결합공 9:체결피스
10:작동편 11:록커손잡이
12:결합공 13:연결레버
14:축핀 15:록킹편
16:축핀 17:록커케이싱
18:개구 19,20:축공
21:스프링 22:비틀림스프링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출입문용 록커(1)가 출입문(2)에 장착된 경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손잡이(3)를 분해한 경우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우선 출입문용 록커(1)에 있어서 손잡이(3)를 출입문(2)의 외측에서 고정되는 록커브라켓(4)과 조립될 수 있도록 록커브라켓(4) 상에는 결합편(5)을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편(5) 상에 암나사공(6)을 탭가공으로 형성토록 하고, 상기 손잡이(3)에는 결합편(5)이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결합요부(7)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요부(7)와 직각방향에 결합공(8)을 형성하여 체결피스(9)로 손잡이(3)를 록커브라켓(4)상에 조립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커브라켓(4)에는 각형의 작동편(10)을 갖는 록커손잡이(11)가 소정폭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커손잡이(11)의 작동편(10)이 끼움결합되는 각형의 결합공(12)을 가진 연결레버(13)는 출입문(2)의 내부에 설치되는 록커케이싱(17)상에서 각운동 가능하게 축핀(14)으로 설치된 록킹편(15)과 역시 축핀(16)으로 연결되어 록커케이싱(17)에 형성된 개구(18)를 통하여 각운동하면서 출몰작동하도록 설치되는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축핀(14,16)이 각각 결합되는 록킹편(15)과 록커케이싱(17)상에 축핀(14,16)이 일정폭 슬라이드 유동할 수 있는 개략 호형의 축공(19,20)을 형성하여 축핀(14,16)으로 축결합토록 하며, 연결레버 (13)는 일단이 록커케이싱(17)에 고정되는 스프링(21)과 탄력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편(15)은 록킹상태에서 임의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커케이싱(17)상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22)에 탄력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출입문용 록커(1)는 주로 베란다측에 설치되는 미닫이형 출입문(2)에 설치되어 미닫이 출입문(2)의 개폐작동 시 개폐손잡이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필요 시에는 록커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손잡이(3)가 우선 록커브라켓(4) 상에 끼움조립되어 체결피스(9)로 나사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문(2) 공사 시에는 손잡이(3)를 분리한 상태에서 공사를 행하고, 공사가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손잡이 (3)를 록커브라켓(4)상의 결합편(5)에 끼움되게 결합공(8)을 위치시킨 후 체결피스 (9)를 사용하여 암나사공(6)에 나사결합하면 손잡이(3)가 간단히 조립고정되고, 출입문(2) 공사 중에 손잡이(3)가 손상되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출입문용 록커(1)는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출입문(2)을 폐쇄시 록킹편(15)이 록킹상태로 대기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미닫이 출입문(2)을 닫을 경우 록킹편(15)이 록커케이싱(17)의 개구(18)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서 록킹편 (15)이 파손되거나 작동불량 요인이 되는 폐단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것으로서, 즉 본 고안의 록킹편(15)은 원칙적으로는 대응하는 출입문(2)을 완전폐쇄하여 록킹을 수행코자 할 경우에 언록킹 상태(즉,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어야 하지만,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도 3과 같이 출입문(2)이 개방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록킹편 (15)이 록킹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 대응하는 출입문(2)을 폐쇄작동하게 되면 대응 출입문(2)의 폐쇄압력에 의하여 록킹편(15)이 비틀림스프링(22)의 탄성을 극복하고 개구(18)의 내측으로 각운동하면서 밀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록킹편(15)을 축지지하고 있는 상하 2개의 축핀(16,14)은 호형 장공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공(19,20)을 따라 안내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각운동하게 되는 것이고, 출입문 (2)을 완전폐쇄 후 사용자가 록커손잡이(11)를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각운동시키게 되면 작동편(10)에 의해 연결레버(13)가 개구(18) 측으로 각운동하면서 록킹편(15)을 개구(18) 상으로 각운동 인출시켜 대응하는 출입문(2)에 형성된 록킹공(도시치 아니함)에 록킹편(15)이 록킹되어 출입문(2)은 록킹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출입문용 록커(1)는 손잡이(3)를 록커브라켓(4)에 끼움 후 체결피스(9)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출입문(2) 공사 중에 손잡이(3)에 손상이 가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며, 출입문(2)을 폐쇄코자 할 시에 록커(1)를 구성하는 록킹편(15)이 록킹 상태로 전환되어 있더라도 대응 출입문(2)의 폐쇄시 압력에 의하여 록킹편(15)이 록커케이싱(17)으로 각운동하며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록킹편(15)의 파손 등도 미연에 방지하여 록커(1) 전체의 내구성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출입문(2)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출입문(2)과 폐쇄작동시에 록커로서의 기능과 출입문(2)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출입문용 록커 (1)에 있어서;
    상기 록커(1)를 구성하는 록커브라켓(4) 상에는 암나사공(6)이 형성된 결합편(5)을 상하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결합편(5)에 끼움되는 결합요부(7)를 갖는 손잡이(3)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요부(7)에는 결합공(8)을 형성하여 체결피스(9)로 손잡이(3)를 록커브라켓(4)상에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록커(1)를 구성하는 록커케이싱(17)상에 축핀(14,16)으로 축설치되어 연결레버(13) 및 록커손잡이(11)와 작동편(10)으로 연결되는 록킹편(15)은 록커케이싱(17)상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22)으로 탄력설치되며, 상기 록킹편(15)을 축설치하는 축핀(14,16)은 호형으로 이루어진 축공(19,20)에 각각 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록커.
KR2020000022079U 2000-08-02 2000-08-02 출입문용 록커 KR200210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079U KR200210277Y1 (ko) 2000-08-02 2000-08-02 출입문용 록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079U KR200210277Y1 (ko) 2000-08-02 2000-08-02 출입문용 록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277Y1 true KR200210277Y1 (ko) 2001-01-15

Family

ID=7308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079U KR200210277Y1 (ko) 2000-08-02 2000-08-02 출입문용 록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2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5720C1 (ru)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7695031B2 (en) Slam latch with pop-up knob
IL284171A (en) Other door or closed panel with lock link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210277Y1 (ko) 출입문용 록커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KR101034015B1 (ko) 도어랫치 어셈블리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CN112888830B (zh) 具有第一锁定机构和第二锁定机构的摆动手柄布置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KR101003230B1 (ko)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464751Y1 (ko) 슬라이드창문용 노출형 잠금장치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100360849B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10130268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KR200480546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KR200238414Y1 (ko) 도어록 몸체 고정장치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100610815B1 (ko) 도어쇄정장치
KR200381908Y1 (ko) 도어쇄정장치
KR102239967B1 (ko) 도어용 잠금 핸들
KR200233486Y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KR200273588Y1 (ko) 문의 로크장치
KR200189801Y1 (ko) 경주마 발주기의 뒷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