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08Y1 - 도어쇄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08Y1
KR200381908Y1 KR20-2005-0000385U KR20050000385U KR200381908Y1 KR 200381908 Y1 KR200381908 Y1 KR 200381908Y1 KR 20050000385 U KR20050000385 U KR 20050000385U KR 200381908 Y1 KR200381908 Y1 KR 200381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ece
lock
casing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식 filed Critical 김재식
Priority to KR20-2005-0000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쌍의 미닫이용 도어를 간편하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쌍의 미닫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쇄정장치에 있어서, 고정편 및 회동편으로 이루어진 자물쇠뭉치가 내장되도록 일측이 개방됨과 동시에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자물쇠뭉치의 회동편에 체결되어 열쇠조작에 의해 정, 역 회동이 가능하며 원주면 일측에 걸림봉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의 원주면 상에 장착되어 걸림봉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개방부 선단에 유지됨과 동시에 도어에 체결되는 날개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어쇄정장치{Door lo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도어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쌍의 미닫이용 도어를 간편하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인접하는 레일을 따라 양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미닫이용 도어, 예컨대 실내 창문이나 도어를 쇄정시키기 위해서는, 흔히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조작편에 의해 상대방 도어를 걸어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각종 점포용 도어에 있어서는 별도의 고리부재 및 자물쇠를 이용하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 창문을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기술로서는,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71-1310호 및 제73-13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자물쇠가 장착되어 있는 브래킷 상단에 상대방 도어측으로 이동하여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고정구를 설치하고, 열쇠조작에 의해 자물쇠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작동봉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구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85-4996호 공보에는 열쇠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편의 후방부에 걸림봉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회동편을 감싸고 있는 고정편이 탄력있게 출몰하면서 승강핀에 의해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상대방 도어를 쇄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 있어서는 양측 도어의 두께에 대해 어느 정도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전반적으로 작은 여러 부품들에 의해 구조 자체가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작단가가 높아짐은 물론 쉽게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쇠조작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작동부재 및 이 작동부재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하여 출몰되도록 구성된 이동부재로서 미닫이 도어를 쇄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짐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도어쇄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쌍의 미닫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쇄정장치에 있어서, 고정편 및 회동편으로 이루어진 자물쇠뭉치가 내장되도록 일측이 개방됨과 동시에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자물쇠뭉치의 회동편에 체결되어 열쇠조작에 의해 정, 역 회동이 가능하며 원주면 일측에 걸림봉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의 원주면 상에 장착되어 걸림봉이 끼워져 조립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개방부 선단에 유지됨과 동시에 도어에 체결되는 날개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도어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플랜지를 가지는 커버의 몸체 내에 조립되어 있으며, 이 몸체의 끝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고정브래킷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편이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응하여 다른쪽 도어 내에 삽입홈 내에 매립되며 내부 중앙에 돌출부를 가지는 하우징 및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날개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보조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쇄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는 커버(10)와, 자물쇠뭉치(20)가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30)과, 열쇠조작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부재(40)와, 이 작동부재(40)의 회동에 따라 전진 및 후퇴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이동부재(50)와, 상기 케이싱(30)의 선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한쪽 도어(A)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6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고정브래킷(60)에 대응하여 다른쪽 도어(B)에 매립되는 보조브래킷(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는 원통형상체로서 한쪽 도어(A)에 형성된 유통공(a)을 통해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플랜지(11)를 가짐과 동시에 그 몸체(12)의 끝단부에는 삽입홈(13a)이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커버(10) 내에 케이싱(30)이 끼워져 조립된다.
이 케이싱(30) 내에는 고정편(21) 및 회동편(22)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자물쇠뭉치(20)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싱(30)의 한쪽은 개방된 상태에서 그 끝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삽입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유통공(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40)는 자물쇠뭉치(20)의 회동편(22)에 작은 나사(41)로 체결되어 정, 역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며, 그 원주면 일측에는 걸림봉(42)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작동부재(40)의 원주면 상에 이동부재(50)가 장착되어 전진 및 후퇴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50)는 대각선 방향으로 슬릿(51)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40)의 걸림봉(42)이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작동부재(40)가 정,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그 원주면 상에서 전진하거나 또는 후퇴하는 쪽으로 이동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60)은 커버(10) 및 케이싱(30)의 개방부 선단에 유지되어 있는 동시에 그 안쪽에는 돌출편(61a)이 형성되어 커버(10) 및 케이싱(30)의 끝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각 삽입홈(13a,31a)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며, 스크류(62)에 의해 고정브래킷(60)에 형성된 날개편(61b)을 도어(A)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A)에 대응하는 상대방 도어(B)에는 삽입홈(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홈(b)에는 내부 중앙에 돌출부(71)를 가지는 보조브래킷(70)이 안착됨과 동시에 스크류(73)에 의해 하우징(72a)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편(72b)이 도어(B)에 체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은, 우선 자물쇠뭉치(20)의 회동편(22)에 작동부재(40)를 작은 나사(41)로 체결시킨 상태에서 이 작동부재(40)의 원주면 상으로 이동부재(50)를 끼우면서 작동부재(40)의 걸림봉(42)이 이동부재(50)의 슬릿(51) 내에 위치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상기 자물쇠뭉치(20)의 고정편(21)을 케이싱(30) 내로 끼워넣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b)을 통해 회동편(22)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 상기 케이싱(30)을 한쪽 도어(A)의 유통공(a) 내로 삽입되는 커버(10) 내측으로 끼워넣어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0) 및 케이싱(30)에 형성된 삽입홈(13a,31a)으로 고정브래킷(6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61a)을 끼워맞추고, 이 고정브래킷(60)의 날개편(61b)을 스크류(62)로 체결시킴에 따라 구성부품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상대방 도어(B)의 경우 보조브래킷(70)의 날개편(72b)을 스크류(73)에 의해 체결시킴에 따라 고정브래킷(60)과 보조브래킷(70)은 서로 대향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A,B)를 잠그기 위해서는, 도어(A)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케이싱(30) 일측의 관통공(31b)을 통해 열쇠(도시생략)를 끼워넣어 자물쇠뭉치(20)의 회동편(22)으로 삽입시킨 후 열쇠의 회동조작을 행함에 따라 상기 자물쇠뭉치(20)의 회동편(22)에 체결되어 있던 작동부재(40)가 어느 한쪽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작동부재(40)의 걸림봉(42)이 이동부재(50)의 슬릿(51)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동부재(40)가 회동되는 것이므로, 그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봉(42)의 회동량 만큼 이동부재(50)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 도어(B)의 보조브래킷(70)에 형성된 하우징(72a) 내로 이동부재(50)의 끝단부가 삽입되면서 양 도어(A,B)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한 바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 양 도어(A,B)를 해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쇄정장치에 의하면, 자물쇠뭉치의 회동편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부재 및 이 작동부재의 회동조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구성된 이동부재에 의해 미닫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없음은 물론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쇄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부품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부품을 미닫이 도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서의 주요 구성품인 작동부재 및 이동부재의 상호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작동부재의 평면 및 단면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이동부재의 평면 및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버 11: 플랜지
12: 몸체 13a: 삽입홈
20: 자물쇠뭉치 21: 고정편
22: 회동편 30: 케이싱
31a: 삽입홈 31b: 관통공
40: 작동부재 41: 나사
42: 걸림봉 50: 이동부재
51: 슬릿 60: 고정브래킷
61a: 돌출편 61b: 날개편
62: 스크류 70: 보조브래킷
71: 돌출부 72a: 하우징
72b: 날개편 73: 스크류

Claims (3)

  1.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쌍의 미닫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쇄정장치에 있어서,
    고정편(21) 및 회동편(22)으로 이루어진 자물쇠뭉치(20)가 내장되도록 일측이 개방됨과 동시에 타측에 관통공(31b)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싱(30)과,
    상기 자물쇠뭉치(20)의 회동편(22)에 체결되어 열쇠조작에 의해 정, 역 회동이 가능하며, 그 원주면 일측에 걸림봉(4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재(40)와,
    이 작동부재(40)의 걸림봉(42)이 끼워져 조립되는 대각선 방향의 슬릿(51)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40)의 회동 조작시에 그 원주면 상에서 전진 또는 후퇴 이동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이동부재(50)와,
    상기 케이싱(30)의 개방부 선단에 유지됨과 동시에 도어(A)에 스크류(62)로서 체결되는 날개편(61b)이 마련되어 있는 고정브래킷(6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쇄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은 도어(A)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플랜지(11)를 가지는 커버(10)의 몸체(12) 내에 조립되어 있으며, 이 몸체(12)의 끝단부에는 삽입홈(13a)이 형성되어 고정브래킷(60)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편(61a)이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쇄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60)에 대응하여 다른쪽 도어(B) 내에 삽입홈 내에 매립되며 내부 중앙에 돌출부(71)를 가지는 하우징(72a) 및 스크류(73)에 의해 고정되는 날개편(7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보조브래킷(70)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쇄정장치.
KR20-2005-0000385U 2005-01-06 2005-01-06 도어쇄정장치 KR200381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85U KR200381908Y1 (ko) 2005-01-06 2005-01-06 도어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85U KR200381908Y1 (ko) 2005-01-06 2005-01-06 도어쇄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077A Division KR100610815B1 (ko) 2005-01-06 2005-01-06 도어쇄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08Y1 true KR200381908Y1 (ko) 2005-04-20

Family

ID=4368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385U KR200381908Y1 (ko) 2005-01-06 2005-01-06 도어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995B1 (ko) 도어락
RU2728397C2 (ru) Ручка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ой сборки
KR200452607Y1 (ko)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7607704B2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034015B1 (ko) 도어랫치 어셈블리
US20030110701A1 (en) Window operators
EP1717389A1 (en) Door handle
KR200381908Y1 (ko) 도어쇄정장치
KR100610815B1 (ko) 도어쇄정장치
KR100456582B1 (ko) 컴퓨터
KR20170027554A (ko) 도어록 장치
KR101941662B1 (ko)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KR10130268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KR101663269B1 (ko) 래치기구
CN215889606U (zh) 用于诸如窗、门等结构元件的操纵手柄
JP2007016424A (ja) 両開きドア
KR200337224Y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JP3080026B2 (ja) パネルロック機構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N219387535U (zh) 一种可双向上锁的门锁机构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