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238Y1 -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238Y1
KR200410238Y1 KR2020050035924U KR20050035924U KR200410238Y1 KR 200410238 Y1 KR200410238 Y1 KR 200410238Y1 KR 2020050035924 U KR2020050035924 U KR 2020050035924U KR 20050035924 U KR20050035924 U KR 20050035924U KR 200410238 Y1 KR200410238 Y1 KR 20041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key cylinder
holding membe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식 filed Critical 김재식
Priority to KR2020050035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2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통상의 도어를 간편하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에 의한 인위적인 해정이 불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통상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싱 내에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고 이 키실린더의 회동조작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하는 한쌍의 쇄정후크를 구비하고 있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싱의 전면에 착탈공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쇄정후크를 걸림 및 해제시키는 홀딩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쇄정후크의 몸체 사이에는 키실린더의 선단에 장착된 회동캠 및 탄성스프링이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각 몸체의 외측면에 지지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를 구성하는 착탈공 내측에 돌출편이 형성되어 도어의 잠금 동작시에 쇄정후크 사이로 끼워져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 키실린더, 작동부재, 홀딩부재, 쇄정후크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A locking apparatus for slide door}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단면 구성도,
도 3은 키실린더의 회동캠에 의해 쇄정후크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작동부재 11a,11b: 체결나사
12: 케이싱 13: 키실린더
14: 회동캠 15A,15B: 쇄정후크
16: 관통공 17: 탄성스프링
18a,18b: 지지핀 19a,19b: 삽입공
20: 홀딩부재 21: 고정 프레임
22a,22b: 체결나사 23: 케이싱
24a,24b: 걸림편 25: 착탈공
26a: 경사면 27: 돌출편
본 고안은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통상의 도어를 간편하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에 의한 인위적인 해정이 불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설주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한쪽 또는 양쪽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점포용 도어나 혹은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셔터(shutter)의 경우에는 선단에 별도의 고리부재를 장착하여 자물쇠로 채우는 방식이 거의 대부분이며, 또 실내 베란다 등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나 창문을 쇄정시키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한쪽에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조작편을 설치하여 상대방 도어의 걸림편에 걸어 고정시키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자물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난방지에 대처해야 하며, 후자의 경우와 같이 조작편을 걸어 쇄정시키는 경우에는 어린 아이도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1984-0001965호 공보에는 문설주에 형성된 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걸림편의 내측에 각각의 돌기를 가지는 한쌍의 보조걸쇄를 장착하여 보다 견고한 쇄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로크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 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여러 연계 부품들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아짐은 물론 쉽게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 실외측에서의 열쇠조작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회동캠 및 이 회동캠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하는 한쌍의 쇄정후크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제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에 의한 인위적인 해정이 불가능한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통상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싱 내에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고 이 키실린더의 회동조작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하는 한쌍의 쇄정후크를 구비하고 있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그 전면에 착탈공이 형성되어 상기 쇄정후크를 걸림 및 해제시키는 홀딩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쇄정후크의 몸체 사이에는 키실린더의 선단에 장착된 회동캠 및 탄성스프링이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각 몸체의 외측에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홀딩부재를 구성하는 착탈공 내측에 돌출편이 형성되어 도어의 잠금 동작시에 쇄정후크 사이로 끼워져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도어(D)에 장착되는 작동부재(10) 및 이 작동부재(10)에 대응하는 상대방 도어나 혹은 고정 프레임(D')에 설치되는 홀딩부재(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동부재(10)는 도어(D) 선단의 측면 내부로 매립되어 상, 하측 체결나사(11a,11b)로서 고정되는 케이싱(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케이싱(12) 내에는 실내, 실외측에서 키조작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는 키실린더(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키실린더(13)의 선단에는 정,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회동캠(14)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캠(14)을 사이에 두고 그 상, 하측에는 한쌍의 쇄정후크(15A ,15B)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선단이 관통공(16)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며, 이 쇄정후크(15A,15B)의 몸체 사이로 탄성스프링(17)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각 쇄정후크(15A,15B)의 몸체 외측에는 지지핀(18a,18b)이 형성되어 있 고 각 몸체의 중앙부근에는 삽입공(19a,19b)이 형성되어 케이싱(12)의 측면부를 폐색하는 커버(도시생략)를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재(20)는 도어(D)에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 프레임(21) 내에 매립되어 체결나사(22a,22b)로서 고정 설치되는 케이싱(23)을 구비하며, 그 전면에 걸림편(24a,24b)을 가지는 착탈공(25)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싱(23) 내부에는 경사면(26a)으로 이루어진 돌출편(27)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우선 실내 및 실외측에서 키조작에 의한 쇄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싱(12) 내부에 키실린더(13)를 설치하고, 이 키실린더(13)의 선단에 장착된 회동캠(14)을 사이에 두고 쇄정후크(15A,15B)의 선단이 케이싱(12)의 관통공(16)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이 때, 상기 쇄정후크(15A,15B)의 몸체 내측에는 탄성스프링(17)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몸체의 중앙부근에 형성된 삽입공(19a,19b)을 통해 케이싱(12)의 측면부를 폐색하는 커버(도시생략)를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단품화 된 작동부재(10)를 구성하게 된다.
이 작동부재(10)는 통상의 슬라이드 도어(D)의 측면부에 매립되어 체결나사(11a,11b)로서 고정 설치되고, 이 작동부재(10)에 인접하는 고정 프레임(21)의 대응위치에는 홀딩부재(20)가 체결나사(22a,22b)로서 고정 설치된다.
그 후,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도어(D)를 고정 프레임(2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쇄정후크(15A,15B)의 선단부가 홀딩부재(20)의 착탈공 (25) 내로 진입되면서 탄력있게 작동함에 따라 걸림편(24a,24b)에 의한 도어(D)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때 홀딩부재(20)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27)의 경사면(26a)이 쇄정후크(15A,15B) 사이로 진입되므로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에 의한 인위적인 해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측이나 실외측에서 키실린더(13) 내로 열쇠를 끼워넣어 조작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회동캠(14)에 의해 쇄정후크(15A,15B)의 몸체를 밀어냄과 동시에 그 선단부를 수축시키게 되므로 도어(D)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통상의 슬라이드 도어에 적용한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록킹장치를 창문에 사용하거나 혹은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셔터에 위치만 변경시켜 장착시키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키실린더의 회동캠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하는 쇄정후크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없음은 물론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한 통상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도어(D)에 설치되는 케이싱(12) 내에 키실린더(13)가 장착되어 있고 이 키실린더(13)의 회동조작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하는 한쌍의 쇄정후크(15A,15B)를 구비하고 있는 작동부재(10)와,
    이 작동부재(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싱(23)의 전면에 착탈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10)의 쇄정후크(15A,15B)를 걸림 및 해제시키는 홀딩부재(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후크(15A,15B)의 몸체 사이에는 키실린더(13)의 선단에 장착된 회동캠(14) 및 탄성스프링(17)이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각 몸체의 외측에 지지핀(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20)를 구성하는 착탈공(25) 내측에 돌출편(27)이 형성되어 도어(D)의 잠금 동작시에 쇄정후크(15A,15B) 사이로 끼워져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2020050035924U 2005-12-21 2005-12-21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20041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924U KR200410238Y1 (ko) 2005-12-21 2005-12-21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924U KR200410238Y1 (ko) 2005-12-21 2005-12-21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238Y1 true KR200410238Y1 (ko) 2006-03-07

Family

ID=4176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924U KR200410238Y1 (ko) 2005-12-21 2005-12-21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23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59B1 (ko) 2006-04-17 2007-05-10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0455526Y1 (ko) 2009-12-29 2011-09-14 주식회사 아이레보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180067057A (ko) * 2016-12-12 2018-06-20 배귀석 마그네틱을 이용한 미닫이문 잠금장치
KR101942084B1 (ko) * 2017-11-10 2019-01-24 이의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KR200490338Y1 (ko) * 2019-07-01 2019-11-26 김종택 축사용 문틀 잠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59B1 (ko) 2006-04-17 2007-05-10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미닫이문 잠금장치
KR200455526Y1 (ko) 2009-12-29 2011-09-14 주식회사 아이레보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180067057A (ko) * 2016-12-12 2018-06-20 배귀석 마그네틱을 이용한 미닫이문 잠금장치
KR101871990B1 (ko) * 2016-12-12 2018-07-31 배귀석 마그네틱을 이용한 미닫이문 잠금장치
KR101942084B1 (ko) * 2017-11-10 2019-01-24 이의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KR200490338Y1 (ko) * 2019-07-01 2019-11-26 김종택 축사용 문틀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CN100564779C (zh) 门用手柄的锁定装置
KR100897489B1 (ko) 도어정의 괘정장치
KR101853837B1 (ko) 도어록 장치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626120B1 (ko) 모티스
KR100886036B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200435383Y1 (ko) 창문 양방향 잠금장치
KR200442766Y1 (ko) 락카용 문 쇄정장치
KR100753196B1 (ko) 강화도어용 잠금장치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147800B1 (ko) 잠금 장치
KR200251204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바형 핸들
KR200451041Y1 (ko) 충격에 의한 걸쇠의 강제이동을 방지하는 문 잠금장치
KR200288731Y1 (ko) 현관용 도어록의 상자앗세이
KR100610815B1 (ko) 도어쇄정장치
JP2007063962A (ja) 引き戸用施錠鍵
KR200415837Y1 (ko) 창문용 크리센트
JP2006299679A (ja) アウトセット引戸錠
KR200420808Y1 (ko) 외력 회피 기능을 갖는 수동식 번호조합형 도어록
KR200311036Y1 (ko)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