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084B1 -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 Google Patents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084B1
KR101942084B1 KR1020170149764A KR20170149764A KR101942084B1 KR 101942084 B1 KR101942084 B1 KR 101942084B1 KR 1020170149764 A KR1020170149764 A KR 1020170149764A KR 20170149764 A KR20170149764 A KR 20170149764A KR 101942084 B1 KR101942084 B1 KR 101942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ing
coupled
fram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환
Original Assignee
이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환 filed Critical 이의환
Priority to KR102017014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은, 좌우 대칭되는 프레임(60)의 중간 높이에 전측 및 후측 연결축(81)(82)을 매개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83)이 결합되면서 그 암컷형 결합블럭(83)의 상부에 삽입공(83a)과 내측면 좌우 및 전후에 대칭되는 복수의 잠금홈(85)이 형성되고, 시트부(70)의 저면에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84)이 결합되면서 그 수컷형 결합블럭(84)의 하부에 삽입돌기(84a)와 외측면 좌우 및 전후에 대칭되는 복수의 잠금돌기(86)가 탄발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삽입공(83a)과 삽입돌기(84a)의 끼워맞춤에 의해 1차 결합된 후, 잠금홈(85)과 잠금돌기(86)의 걸림작용에 의해 2차 결합되기 때문에 시트(72)의 전후측으로 아기의 체중이 쏠리더라도 과도한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시트부(7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부분이 파손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임.

Description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removable structure for seat of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으로부터 시트가 용이하게 착탈 및 방향 전환되도록 유도하면서 하중을 분산하여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아기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아기의 안전이 가장 먼저 보장되어야 하고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유모차를 구입할 때 유모차의 구조, 실용성, 미관성 이외에도 유모차의 사용시 유모차의 안전이 가장 중요한 구매요소가 된다.
상기 유모차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바퀴들을 구비한 전각프레임 및 후각프레임과, 상기 전각프레임에 장착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전각프레임에 장착되는 시트로 이루어져 절첩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유모차는 상기 시트에 아기를 앉힌 상태로 태워서 손잡이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모차는 사용하지 않거나 차량에 적재할 경우에는 시트를 유모차에서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모차로부터 시트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착탈방법은 소비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끌어내기 위해 시트의 착탈구조와 방법들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제안된 종래의 공개특허 10-2010-0025835(2010.03.10)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다수의 바퀴(W)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손잡이(H)가 구비되며, 좌우 대칭을 이루는 프레임(21)과; 대략 높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21)의 좌우 양 내측에 각각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장치(22)와; 서로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장치(22)에 양 측면이 1:1 대응하여 각각 고정결합되는 시트(23)와; 상기 시트(23) 아래의 프레임(21) 하부에 결합되어 상향 개방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체(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1)을 구성하는 상하부프레임(21A)(21B)의 경계부가 되는 프레임연결체(21C)의 내측에는 충격흡수장치(2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장치(22)는, 프레임연결체(21C)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는 고정체(22A)와; 상기 고정체(22A)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체(22B)와; 탄성체(22B)의 타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23)에 결합되는 유동체(22C); 등으로 구성되어 왔었다.
이때, 상기 프레임연결체(21C)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h)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22A)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공(h)으로 반복하여 삽입결합 가능한 삽입체(E)를 구비하는 방법으로 프레임연결체(21C)에 고정체(22A)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왔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프레임연결체(21C)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h)이 형성되고, 충격흡수장치(22)의측 고정체(22A)에 상기 결합공(h)으로 삽입결합 가능한 삽입체(E)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구조 방식은 결합공(h)와 삽입체(E)가 프레임(21)과 시트(23)의 좌우 중심에 맞추어 좁은 면적에 형성된 중앙 좌우 1곳에만 의존하여 서로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트(23)의 전후측으로 아기의 체중이 쏠릴 경우 중심에 위치한 상기 결합공(h)와 삽입체(E)의 착탈부분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공(h)와 삽입체(E)의 착탈부분이 헐거워져 시트(23)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25835(2010.03.10)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시트의 전후측으로 아기의 체중이 쏠리더라도 과도한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시트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부분이 파손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은, 좌우 대칭되는 프레임의 중앙 높이와 시트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중앙 높이 좌우 내측을 연결하는 전측 및 후측 연결축을 매개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과, 상기 시트부의 저면 좌우에 상기 삽입공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잠금홈과 서로 대응되게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복수의 잠금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는 연결봉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홈으로부터 복수의 잠금돌기가 잠금 해제되도록 당김력에 의해 후진되었다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삽입돌기와 고정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포개어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연결봉의 중앙에 고정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과 고정판의 일측을 연결하여 이동판이 전후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는 상기 삽입돌기의 내부에서 전후진되는 슬라이드판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일체로 돌출됨과 동시에 전후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좌우면과 전후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장홀의 안내를 받아 일정 거리 만큼 전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은, 좌우 대칭되는 프레임의 중간 높이에 전측 및 후측 연결축을 매개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이 결합되면서 그 암컷형 결합블럭의 상부에 삽입공과 내측면 좌우 및 전후에 대칭되는 복수의 잠금홈이 형성되고, 시트부의 저면에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이 결합되면서 그 수컷형 결합블럭의 하부에 삽입돌기와 외측면 좌우 및 전후에 대칭되는 복수의 잠금돌기가 탄발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삽입공과 삽입돌기의 끼워맞춤에 의해 1차 결합된 후, 잠금홈과 잠금돌기의 걸림작용에 의해 2차 결합되기 때문에 시트의 전후측으로 아기의 체중이 쏠리더라도 과도한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시트부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부분이 파손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시트 분리형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시트 분리형 유모차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수단에 의해 유모차의 프레임과 시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수단이 결합된 시트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측 착탈수단의 조작레버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수단의 암컷형 결합블럭과 수컷형 결합블럭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시트부의 위치가 방향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모차는, 좌우 대칭되어 하단부에 다수의 바퀴(62) 및 상단부에 손잡이(64)가 구비되는 접이식 프레임(60)과, 아기가 앉을 수 있는 시트(72)에 등받이(74) 및 차양막(76)이 구비되는 접이식 시트부(70)와, 상기 프레임(60)의 중앙 높이와 상기 시트부(70)의 시트(72)를 분리하도록 결합하는 착탈수단(8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착탈수단(80)은, 상기 프레임(60)의 중앙 높이 좌우 내측을 연결하는 전측 및 후측 연결축(81)(82)을 매개로 결합되어 프레임(60)의 절첩시 동시 상하로 스윙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83a)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83)과, 상기 시트(72)의 저면 좌우에 상기 삽입공(83a)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삽입돌기(84a)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84)과, 상기 삽입공(83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홈(85)과, 상기 삽입돌기(84a)의 외측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잠금홈(85)과 서로 대응되게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잠금돌기(86)와, 상기 시트(72)의 저면 중앙에 결합되면서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86)와 연결봉(87)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홈(85)으로부터 복수의 잠금돌기(86)가 잠금 해제되도록 당김력에 의해 후진되는 조작레버(88)와, 상기 조작레버(88)와 연결봉(87)의 사이에 내장되어 조작레버(88)의 후진후 전진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8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86)는 상기 삽입돌기(84a)의 내부에서 전후진되는 슬라이드판(86a)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일체로 돌출됨과 동시에 전후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86)는 상기 삽입돌기(84a)의 좌우면과 전후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홀(84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장홀(84b)의 안내를 받아 일정 거리 만큼 전후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봉(87)의 좌우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84a)의 측면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각각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판(86a)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88)는 상기 시트(72)의 저면 후방 중앙에 가로질러 상기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84)과 고정되는 고정봉(88a)과, 상기 고정봉(88a)의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판(88b)과, 상기 이동판(88c)이 고정판(88b)에 포개어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연결봉(87)의 중앙에 고정되는 이동판(88c)과, 상기 이동판(88c)과 고정판(88b)의 일측을 연결하여 이동판(88c)이 전후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핀(88d)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유모차의 프레임(60)로부터 시트부(70)를 도 9와 같이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트부(70)의 저면 후방에 설치된 착탈수단(80)의 조작레버(88)측 고정판(88b)으로부터 이동판(88c)을 후방으로 잡아 당기면, 도 6과 같이 이동판(88c)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이동판(88c)의 끝단에 결합된 연결봉(87)이 견인되면서 그 연결봉(87)의 좌우 끝단과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판(86a)을 후방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판(86a)은 수컷형 결합블럭(84)의 삽입돌기(84a)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진되면서 그 슬라이드판(86a)의 전후측과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각각 돌출된 복수의 잠금돌기(86)가 잠금돌기(86)에 형성된 장홀(84b)의 안내를 받아 동시 후진되면서 프레임(60)의 중간 높이에 전측 및 후측 연결축(81)(82)을 매개로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83)의 삽입공(83a)측 복수의 잠금홈(85)과 수직으로 일치하게 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부(70)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시트부(70)의 수컷형 결합블럭(84)측 복수의 잠금돌기(86)가 프레임(60)의 암컷형 결합블럭(83)측 복수의 잠금홈(85)로부터 간섭없이 수직으로 분리되면서 도 9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잡고 있던 조작레버(88)를 놓게 되면, 이동판(88c)이 스프링(89)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되면서 이동판(88c)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연결봉(87)과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판(86a)이 전방으로 이동한 후 정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과 같이 유모차의 프레임(60)로부터 시트부(70)를 돌려서 역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7과 같이 시트부(70)의 수컷형 결합블럭(84)측 복수의 잠금돌기(86)가 프레임(60)의 암컷형 결합블럭(83)측 복수의 잠금홈(85)과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한 후, 수컷형 결합블럭(84)측 삽입돌기(84a)를 암컷형 결합블럭(83)의 삽입공(83a)에 삽입시키면, 이들 삽입돌기(84a)와 삽입공(83a)이 수직 끼워맞춤에 의해 1차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72)의 좌우측으로 동시 누르면, 삽입돌기(84a)의 외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잠금돌기(86)가 삽입공(83a)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잠금홈(85)의 경사면을 타고 하강됨과 동시에 후진 이동되면서 잠금홈(85)의 좁은 수직 통로를 지나 넓은 통로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잠금홈(85)의 좁은 수직 통로 하부는 수평으로 꺽이면서 넓게 확장된 통로이기 때문에 잠금돌기(86)는 스프링(89)의 탄발력에 의해 도 7과 같이 잠금홈(85)의 넓은 확장 통로를 따라 다시 전진 이동되어 걸림으로써 걸림작용에 의해 2차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삽입돌기(84a)는 삽입공(83a)로부터 수직으로 분리될 수 없는 잠금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 대칭되는 프레임(60)의 중간 높이에 전측 및 후측 연결축(81)(82)을 매개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83)이 결합되면서 그 암컷형 결합블럭(83)의 상부에 삽입공(83a)과 내측면 좌우 및 전후에 대칭되는 복수의 잠금홈(85)이 형성되고, 시트부(70)의 저면에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84)이 결합되면서 그 수컷형 결합블럭(84)의 하부에 삽입돌기(84a)와 외측면 좌우 및 전후에 대칭되는 복수의 잠금돌기(86)가 탄발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삽입공(83a)과 삽입돌기(84a)의 끼워맞춤에 의해 1차 결합된 후, 잠금홈(85)과 잠금돌기(86)의 걸림작용에 의해 2차 결합되는 착탈구조이기 때문에 시트(72)의 전후측으로 아기의 체중이 쏠리더라도 과도한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시트부(7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부분이 파손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60 : 프레임 62 : 바퀴
64 : 손잡이 70 : 시트부
72 : 시트 74 : 등받이
76 : 차양막 80 : 착탈수단
81 : 전측 연결축 82 : 후측 연결축
83 : 암컷형 결합블럭 83a : 삽입공
84 : 수컷형 결합블럭 84a : 삽입돌기
84b : 장홀 85 : 잠금홈
86 : 잠금돌기 87 : 연결봉
88 : 조작레버 88a : 고정봉
88b : 고장판 88c : 이동판
88d : 안내핀 89 : 스프링

Claims (7)

  1. 좌우 대칭되는 프레임(60)의 중앙 높이와 시트부(7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80)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80)은,
    상기 프레임(60)의 중앙 높이 좌우 내측을 연결하는 전측 및 후측 연결축(81)(82)을 매개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83a)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암컷형 결합블럭(83)과,
    상기 시트부(70)의 저면 좌우에 상기 삽입공(83a)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삽입돌기(84a)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수컷형 결합블럭(84)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83a)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잠금홈(85)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84a)의 외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잠금홈(85)과 서로 대응되게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복수의 잠금돌기(86)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86)는 연결봉(87)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잠금홈(85)으로부터 복수의 잠금돌기(86)가 잠금 해제되도록 당김력에 의해 후진되었다가 스프링(8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는 조작레버(88)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88)는,
    상기 삽입돌기(84a)와 고정되는 고정봉(88a)과,
    상기 고정봉(88a)의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판(88b)과,
    상기 고정판(88b)에 포개어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연결봉(87)의 중앙에 고정되는 이동판(88c)과,
    상기 이동판(88c)과 고정판(88b)의 일측을 연결하여 이동판(88c)이 전후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핀(88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86)는 상기 삽입돌기(84a)의 내부에서 전후진되는 슬라이드판(86a)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일체로 돌출됨과 동시에 전후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84a)의 좌우면과 전후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장홀(84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장홀(84b)의 안내를 받아 일정 거리 만큼 전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6. 삭제
  7. 삭제
KR1020170149764A 2017-11-10 2017-11-10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KR10194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64A KR101942084B1 (ko) 2017-11-10 2017-11-10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64A KR101942084B1 (ko) 2017-11-10 2017-11-10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084B1 true KR101942084B1 (ko) 2019-01-24

Family

ID=6527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764A KR101942084B1 (ko) 2017-11-10 2017-11-10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0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543A (ja) * 2000-05-18 2001-11-27 Combi Corp ベビーカー
KR200298579Y1 (ko) * 2002-09-25 2002-12-18 (주)햇님토이 유모차 절첩용 손잡이
KR200410238Y1 (ko) * 2005-12-21 2006-03-07 김재식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10-03-10 유영숙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101680817B1 (ko) * 2015-07-06 2016-11-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시트의 완충 및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543A (ja) * 2000-05-18 2001-11-27 Combi Corp ベビーカー
KR200298579Y1 (ko) * 2002-09-25 2002-12-18 (주)햇님토이 유모차 절첩용 손잡이
KR200410238Y1 (ko) * 2005-12-21 2006-03-07 김재식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10-03-10 유영숙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101680817B1 (ko) * 2015-07-06 2016-11-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시트의 완충 및 착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453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KR100789890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CN102582479B (zh) 支撑装置
TWI402194B (zh) Carts
US9216670B2 (en) Child restraint system
CN106256598B (zh) 斜躺式儿童安全座椅
KR10167164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US8544873B2 (en) Child carrier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5538764A (ja) 乳幼児用多目的カーシート
KR101942084B1 (ko)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CN117678873A (zh) 儿童载具
US20130309938A1 (en) Toy vehicle having variable heights
US20230278615A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JP7483974B2 (ja) ハンドル切り替え機構とチャイルドベビーカー
CN111619645A (zh) 一种儿童推车
CN107031695B (zh) 婴儿车
CN112441103B (zh) 推车车架
CN211107639U (zh) 一种儿童推车
JP6030391B2 (ja) 椅子
CN210502818U (zh) 儿童推车
KR20100001345A (ko)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KR20100001994A (ko)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CN217347566U (zh) 儿童汽车安全座椅
KR20080050857A (ko)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