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994A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Google Patents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1994A KR20100001994A KR1020080062125A KR20080062125A KR20100001994A KR 20100001994 A KR20100001994 A KR 20100001994A KR 1020080062125 A KR1020080062125 A KR 1020080062125A KR 20080062125 A KR20080062125 A KR 20080062125A KR 20100001994 A KR20100001994 A KR 20100001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seat
- coupled
- stroller
- locking
-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매우 간편하게 유모차 또는 카시트로 변형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카시트로 사용시에 카시트의 배면에 위치하는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아가 신체가 안착되도록 대략 바닥부재와 등받이부재 및 측면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주행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덮개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그 형상을 변형시켜 유모차 및 카시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 및 등받이부재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측면부재는 그 상단부 및 후단부 상측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연결부재 및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걸림부재가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재는 후단부의 하측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차량의 안전벨트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벨트삽입홀이 각각 천공되고,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전륜부재가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부재의 하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연결부재 및 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봉형상의 걸림부재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요홈 에 상기 걸 림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카시트로 사용시에 상호 연동하는 전륜부재와 후륜부재로 이루어진 주행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재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하단부 측에는 홀이 천공된 후 상기 홀에는 탄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홀 내에서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걸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부재가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부재 내측면 중앙부분에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유모차로 사용시에 상기 주행부재가 지면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유아의 신체를 태워 이동하는 유모차로 이용하고, 유모차를 소정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에는 차량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차량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유아용 카시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차내에 안전하게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설치한 후, 상기 유아 카시트의 안착면 상에 유아를 착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아 카시트에는 카시트로 사용하는 이외에 별도의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아를 차량에서 하차시킨 후 소정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유모차를 구비해야만 하므로 유모차를 트렁크 등에 항상 싣고 이동해야만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유모차 및 유아 카시트로 선택적으로 변형시키면서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는 대략 유아의 신체가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 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 부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륜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 후방부에 설치되는 후륜부재로 이루어진 주행부 및, 햇볕이나 바람 등을 차단시키기 위한 덮개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는 유모차를 카시트로 변형시키거나 변형된 카시트를 다시 유모차로 변형시키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거나 번거로워 여성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함과 더불어, 상기와 같은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는 카시트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로 이루어진 주행부가 대략 카시트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카시트를 차량에 설치시킬 시에는 상기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에 묻어 있는 오물이 차량의 좌석에 접촉되어 차량의 좌석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매우 간편하게 유모차 또는 카시트로 변형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카시트로 사용시에 카시트의 배면에 위치하는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벨트부를 구성하여 카시트에 안착한 유아의 신체가 차량의 급정거와 같은 돌발상황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아가 신체가 안착되도록 대략 바닥부재와 등받이부재 및 측면 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주행 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덮개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그 형상을 변형시켜 유모차 및 카시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 및 등받이부재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측면부재는 그 상단부 및 후단부 상측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연결부재 및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걸림부재가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재는 후단부의 하측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차량의 안전벨트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벨트삽입홀이 각각 천공되고,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전륜부재가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부재의 하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연결부재 및 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봉형상의 걸림부재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요홈에 상기 걸림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카시트로 사용시에 상호 연동하는 전륜부재와 후륜부재로 이루어진 주행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재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하단부 측에는 홀이 천공된 후 상기 홀에는 탄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홀 내에서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걸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부재가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부재 내측면 중앙부분에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유모차로 사용시에 상기 주행부재가 지면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그 양단부의 길이가 상 기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카시트로 사용시에 수평상태로 위치된 상기 손잡이부가 차량 좌석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주행부재가 차량의 좌석과 접촉하여 차량의 좌석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의 후단부 상측에는 각각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소정 위치에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멈춤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에 삽입 고정시키거나 상기 등받이부재가 상기 멈춤부재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재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등받이부재에는 한 쌍의 벨트삽입홀이 천공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전단부 중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거된 요입홈이 형성된 후 상기 요입홈의 양측 저부에는 가이드부재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는 회동축을 통하여 그 하면에 멈춤돌기가 형성된 제 1가압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1 가압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그 전단부가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의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벨트고정부재가 형성 된 후 상기 벨트고정부재의 중앙에는 고정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는 회동축을 통하여 탄성부재 및 제 2가압부재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가압부재는 하측을 향해 회동 및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져, 대략 'Y' 형상으로 이루어진 벨트부의 상단부는 상기 벨트삽입홀을 통과한 후 고정구를 포함하여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 1가압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는 한편, 상기 벨트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 2가압부재에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부재에 형성된 요홈과 회동부재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선택적으로 각각의 걸림부재를 결합시키면서 매우 간편하게 그 형상을 유모차나 카시트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
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는 대략 유아가 신체가 안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주행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덮개부(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유아의 신체 중 둔부가 안착되도록 대략 평면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재(10)가 구성된 후, 상기 바닥부재(10)의 후단부 상측으로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등받이 부재(40)가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재(10) 및 등받이부재(40)의 양측면을 따라서는 각각 측면부재(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면 및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전면에는 소정의 쿠션력을 갖는 천부재로 이루어진 안착부재(도시안됨)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아를 그 상면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70)의 후단부 하측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돌출된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유아 카시트를 카시트로 사용시에 차량에 설치된 안전벨트를 관통시켜 차량의 좌석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전벨트삽입홀(72)이 천공됨과 더불어,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와 상기 측면부재(70)의 상단 및 상단 인접한위치의 후단부에는 각각 요홈(74,76,78)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횡방향으로 멈춤부재(80) 양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멈춤부재(80)의 하측으로는 그 단부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받침부재(82)의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시트를 바닥면에 안착시킬 시에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70)의 하단부 측에는 각각 타원형상을 갖는 홀(84)이 천공된 후, 상기 홀(84)을 통해서는 그 단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분이 상기 측 면부재(7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홀(84) 내부에서 탄성부재(86)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구성된 봉형상의 걸림부재(88)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등받이부재(4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 부재(70)의 후단부 상측 소정 위치에 각각 걸림홈(90)을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홈(9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돌기(42)를 각각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배면 하측 가장자리부분에는 대략 장공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보조부재(9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측면부재(70)의 돌출된 부분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횡부재(94)가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재(40)를 일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킬 시에는 상기 보조부재(92) 내에 설치된 횡부재(94)의 유동범위 내에서 상기 등받이부재(4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걸림돌기(42)가 상기걸림홈(9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멈춤부재(80)에 등받이부재(40)의 배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등받이부재(40)를 일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눕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10)의 상측 전면에는 횡방향으로 보호부재(110)가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보호부재(110)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의 단부 및 하단부 소정 위치에는 각각 결합홈(112,114)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측면부재(70)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16)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상기 보호부재(110)의 전단부 및 상기 바닥부재(10)의 전단부 측에는 각각 걸림벨트(118a,118b)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벨트(118a,118b)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결함시킴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에 안착된 유아의 신체가 전방으로 미끄
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바닥부재(10)의 양측 전단부 와 상기 측면부재(70)의 사이를 통해서는 상기 바닥부재(10)의 전방 하측에 횡방향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발판부재(1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발판회동 부재(13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재(13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안착된 유아에게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안착된 유아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벨트부(60)를 구성하는데 있어
서는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소정 위치에 한 쌍의 벨트삽입홀(50)을 천공하고 상기 밸트삽입홀(50)이 천공된 상기 등 받이부재(40)의 배면에는 상기 밸트삽입홀(50)에 관통되는 벨트부(60)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52)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단부 중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제거하여 요입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 홈(12)의 양측 저부에는 그 단면의 형상이 각각 '┓','┏'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전단부 측에 관통홀(15)이 천공된 한쌍의 가이드부재(14)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4)의 사이에는 회동축(16)을 통하여 탄성부재(18) 및 관통홀(21)이 천공된 제 1가압부재(20)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 1가압부재(20)는 상기 회동축(16)을 통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전단부가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한 후 상 기 제 1가압부재(20)의 하면 후측에 결합된 멈춤돌기(22)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측면부재(70)의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벨트고정부재(30)가 형성되고, 상 기 벨트고정부재(30)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소정 간격을 갖으며 그 양측면에는 관통홀(35)이 천공된 고정프레임(32)이 형성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32)을 관통하는 회동축(34)을 통해서는 탄성부재(38) 및 관통홀(37)이 천공된 제 2가압부재(36)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 2가압부재(36)는 상기 회동축(3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38)를 통하여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대략 'Y' 형상으로 이루어진 벨트부(60)를 구성하여 그 상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벨트삽입홀(50)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벨트삽입홀(50)을 관통한 상단부에는 고정구(62)를 결합하여 겹쳐지도록 한 후 상기 제 1가압부재(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그 하단부는 상기 제 2가압부재(36)의 관통홀(37)을 관통하는 회동축(34)을 경유하여 가압되면서 고정되도록 결합시키므로서, 상기 제 2가압부재(36)의 가압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면서 상기 벨트부(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등받이부재(40)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손잡이부(200)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면부재(70)의 상측 소정 위치에 그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손잡이부(200)의 각 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대략 타원형상을 갖는 연결부재(210)의 일단부가 각각 결 합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210)의 타단부는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대략 봉형상의 걸림부재(230)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후, 상기 걸림부재(23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손잡이부(200)의 각 단부는 대략 링형상을 이루 는 탄성부재(22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재(230)가 소정 탄성력을 갖으며 탄성반발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상단부 및 후단부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요홈(76,78)에 상기와 같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걸림부재(23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므로서, 상기 손잡이부(200)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00) 측면의 길이는 상기 주행부(300)를 구성하는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주행부(300)의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가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배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00)를 수평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킴으로서,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가 자동차의 좌석에 밀착되어 좌석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측면부재(70)의 중앙부분에는 일반적인 유모차에 구비되는 덮개부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4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40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몸체부(100)에 안착된 유아가 햇볕이나 바람 등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행부재(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륜부재(310)는, 상기 측면부재(70)의 소정 위치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회동부재(320)가 결합된 후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320)의 단부를 연결하는 횡부재(330)의 양단부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전륜부재(310)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유모차로 이용할 시에 그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재(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후륜부재(340)는,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부재(70) 소정 위치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회동부재(350)가 결합된 후 상기 회동부재(35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각각의 후륜부재(340)에는 유모차로 사용시에 상기 유모차가 임의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도시안됨)가 각각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된 한 쌍의 회동부재(320) 및 상기 후륜부재(340)가 결합된 한 쌍의 회동부재(350)는 각각 연동부재(36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면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20)의 하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그 하단부 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연결부재(322) 및 상기 연결부재(322)의 상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탄성부재(324)를 통하여 상측을 향해 회동하면서 탄성반발 하는 걸림부재(326)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카시트로 사용할 시에 상기 회동부재(320,350)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재(326)를 상기 측면부재(70)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74)에 고 정시킴으로서, 상호 연동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를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배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20)의 대략 중앙부분의 상측 소정 위치의 내측면에는 각각 걸림고리(328)가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유모차로 사용할 시에 상기 회동부재(320,350)를 회동 시켜 상기 걸림고리(328)를 상기 측면부재(70)의 하단부 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걸림부재(88)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로 이루어진 주행부(300)가 지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시트로 변형시켜 카시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부재(70)에 그 단부가 고정된 걸림부재(88)를 가압한 후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재(88)가 상기 전륜부재(310)의 회동부재(320)에 형성된 걸림고리(328)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그 단부에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가 각각 형성된 상기 회동부재(320,35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의 단부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재(326)가 상기 측면부재(70)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74)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상단부에 수직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걸림부재(230)를 가압한 후 회동시켜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상단 부에 각각 형성된 요홈(76)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손잡이부(200)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걸림부재(230)가 상기 등받이부재(40)의 후단부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요홈(78)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82)를 상기 측면부재(70)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시트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의 형상이 카시트로 변형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50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측면부재(70)에 천공된 안전벨트삽입홀(72)에 차량의 안전벨트(510)를 결합시켜 카시트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유아의 신체를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면상에 안착시킨 후 벨부(60)의 길이를 조절하여 유아의 신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전한 상태로 카시트를 사용한다.
이때, 수평상태로 위치된 상기 손잡이부(200)가 차량의 좌석(500) 상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는 차량의 좌석(50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차량의 좌석(500)이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다시 유모차로 사용할 시에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손잡이부(200) 및 주행부재(300)를 회동시켜 원위치 시킴으로서, 간편하게 유모차로 변형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보관 또는 운반할 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110) 및 발판회동부재(13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보호부재(110) 및 발판부재(130)가 상기 등받이부재(70) 측으로 밀착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82)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그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하므로서, 매우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부재에 형성된 요홈과 회동부재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선택적으로 각각의 걸림부재를 결합시키면서 매우 간편하게 그 형상을 유모차나 카시트로 변형시킬 수가 있으므로, 여성이나 노약자 등 누구나 손쉽게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그 제조과정을 간소화 하여 생산비를 절감함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카시트는 그 벨트부의 길이를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과 더불어, 카시트로 사용시에는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
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는 대략 유아가 신체가 안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 전방 및 후방 에 각각 설치되는 주행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덮개부(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유아의 신체 중 둔부가 안착되도록 대략 평면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재(10)가 구성된 후, 상기 바닥부재(10)의 후단부 상측으로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등받이 부재(40)가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재(10) 및 등받이부재(40)의 양측면을 따라서는 각각 측면부재(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면 및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전면에는 소정의 쿠션력을 갖는 천부재로 이루어진 안착부재(도시안됨)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아를 그 상면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70)의 후단부 하측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돌출된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유아 카시트를 카시트로 사용시에 차량에 설치된 안전벨트를 관통시켜 차량의 좌석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전벨트삽입홀(72)이 천공됨과 더불어,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와 상기 측면부재(70)의 상단 및 상단 인접한위치의 후단부에는 각각 요홈(74,76,78)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횡방향으로 멈춤부재(80) 양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멈춤부재(80)의 하측으로는 그 단부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받침부재(82)의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시트를 바닥면에 안착시킬 시에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70)의 하단부 측에는 각각 타원형상을 갖는 홀(84)이 천공된 후, 상기 홀(84)을 통해서는 그 단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분이 상기 측 면부재(7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홀(84) 내부에서 탄성부재(86)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구성된 봉형상의 걸림부재(88)가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등받이부재(4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부재(70)의 후단부 상측 소정 위치에 각각 걸림홈(90)을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홈(9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돌기(42)를 각각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배면 하측 가장자리부분에는 대략 장공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보조부재(9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측면부재(70)의 돌출된 부분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횡부재(94)가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재(40)를 일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킬 시에는 상기 보조부재(92) 내에 설치된 횡부재(94)의 유동범위 내에서 상기 등받이부재(4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걸림돌기(42)가 상기걸림홈(9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멈춤부재(80)에 등받이부재(40)의 배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등받이부재(40)를 일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눕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10)의 상측 전면에는 횡방향으로 보호부재(110)가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보호부재(110)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의 단부 및 하단부 소정 위치에는 각각 결합홈(112,114)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측면부재(70)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16)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상기 보호부재(110)의 전단부 및 상기 바닥부재(10)의 전단부 측에는 각각 걸림벨트(118a,118b)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벨트(118a,118b)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결함시킴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에 안착된 유아의 신체가 전방으로 미끄
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바닥부재(10)의 양측 전단부와 상기 측면부재(70)의 사이를 통해서는 상기 바닥부재(10)의 전방 하측에 횡방향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발판부재(1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발판회동 부재(13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재(13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안착된 유아에게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안착된 유아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벨트부(60)를 구성하는데 있어
서는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소정 위치에 한 쌍의 벨트삽입홀(50)을 천공하고 상기 밸트삽입홀(50)이 천공된 상기 등 받이부재(40)의 배면에는 상기 밸트삽입홀(50)에 관통되는 벨트부(60)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52)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단부 중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제거하여 요입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 홈(12)의 양측 저부에는 그 단면의 형상이 각각 '┓','┏'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전단부 측에 관통홀(15)이 천공된 한쌍의 가이드부재(14)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4)의 사이에는 회동축(16)을 통하여 탄성부재(18) 및 관통홀(21)이 천공된 제 1가압부재(20)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 1가압부재(20)는 상기 회동축(16)을 통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전단부가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한 후 상 기 제 1가압부재(20)의 하면 후측에 결합된 멈춤돌기(22)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측면부재(70)의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벨트고정부재(30)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고정부재(30)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소정 간격을 갖으며 그 양측면에는 관통홀(35)이 천공된 고정프레임(32)이 형성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32)을 관통하는 회동축(34)을 통해서는 탄성부재(38) 및 관통홀(37)이 천공된 제 2가압부재(36)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 2가압부재(36)는 상기 회동축(3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38)를 통하여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대략 'Y' 형상으로 이루어진 벨트부(60)를 구성하여 그 상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벨트삽입홀(50)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벨트삽입홀(50)을 관통한 상단부에는 고정구(62)를 결합하여 겹쳐지도록 한 후 상기 제 1가압부재(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그 하단부는 상기 제 2가압부재(36)의 관통홀(37)을 관통하는 회동축(34)을 경유하여 가압되면서 고정되도록 결합시키므로서, 상기 제 2가압부재(36)의 가압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면서 상기 벨트부(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등받이부재(40)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손잡이부(200)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면부재(70)의 상측 소정 위치에 그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손잡이부(200)의 각 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대략 타원형상을 갖는 연결부재(210)의 일단부가 각각 결 합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210)의 타단부는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대략 봉형상의 걸림부재(230)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후, 상기 걸림부재(23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손잡이부(200)의 각 단부는 대략 링형상을 이루는 탄성부재(22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재(230)가 소정 탄성력을 갖으며 탄성반발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상단부 및 후단부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요홈(76,78)에 상기와 같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걸림부재(23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므로서, 상기 손잡이부(200)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00) 측면의 길이는 상기 주행부(300)를 구성하는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주행부(300)의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가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배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00)를 수평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킴으로서,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가 자동차의 좌석에 밀착되어 좌석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측면부재(70)의 중앙부분에는 일반적인 유모차에 구비되는 덮개부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4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40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몸체부(100)에 안착된 유아가 햇볕이나 바람 등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행부재(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륜부재(310)는, 상기 측면부재(70)의 소정 위치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회동부재(320)가 결합된 후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320)의 단부를 연결하는 횡부재(330)의 양단부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전륜부재(310)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유모차로 이용할 시에 그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재(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후륜부재(340)는,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부재(70) 소정 위치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회동부재(350)가 결합된 후 상기 회동부재(35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각각의 후륜부재(340)에는 유모차로 사용시에 상기 유모차가 임의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도시안됨)가 각각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된 한 쌍의 회동부재(320) 및 상기 후륜부재(340)가 결합된 한 쌍의 회동부재(350)는 각각 연동부재(36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면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20)의 하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그 하단부 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연결부재(322) 및 상기 연결부재(322)의 상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탄성부재(324)를 통하여 상측을 향해 회동하면서 탄성반발 하는 걸림부재(326)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카시트로 사용할 시에 상기 회동부재(320,350)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재(326)를 상기 측면부재(70)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74)에 고 정시킴으로서, 상호 연동하도록 이루어진 상 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를 상기 등받이부재(40)의 배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20)의 대략 중앙부분의 상측 소정 위치의 내측면에는 각각 걸림고리(328)가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유모차로 사용할 시에 상기 회동부재(320,350)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고리(328)를 상기 측면부재(70)의 하단부 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걸림부재(88)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로 이루어진 주행부(300)가 지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시트로 변형시켜 카시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부재(70)에 그 단부가 고정된 걸림부재(88)를 가압한 후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재(88)가 상기 전륜부재(310)의 회동부재(320)에 형성된 걸림고리(328)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그 단부에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가 각각 형성된 상기 회동부재(320,35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전륜부재(310)가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의 단부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재(326)가 상기 측면부재(70)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74)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상단부에 수직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걸림부재(230)를 가압한 후 회동시켜 상기 등받이부재(40)의 상단 부에 각각 형성된 요홈(76)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손잡이부(200)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걸림부재(230)가 상기 등받이부재(40)의 후단부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요홈(78)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82)를 상기 측면부재(70)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카시트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의 형상이 카시트로 변형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50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측면부재(70)에 천공된 안전벨트삽입홀(72)에 차량의 안전벨트(510)를 결합시켜 카시트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유아의 신체를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면상에 안착시킨 후 벨부(60)의 길이를 조절하여 유아의 신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전한 상태로 카시트를 사용한다.
이때, 수평상태로 위치된 상기 손잡이부(200)가 차량의 좌석(500) 상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는 차량의 좌석(50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차량의 좌석(500)이 상기 전륜부재(310) 및 후륜부재(340)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다시 유모차로 사용할 시에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손잡이부(200) 및 주행부재(300)를 회동시켜 원위치 시킴으로서, 간편하게 유모차로 변형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보관 또는 운반할 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110) 및 발판회동부재(13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보호부재(110) 및 발판부재(130)가 상기 등받이부재(70) 측으로 밀착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받침부재(82)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그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하므로서, 매우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의 등받이부재의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카시트로 사용할 시에 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카시트를 카시트로 사용할 시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유아카시트의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부재, 12: 요입홈,
14: 가이드부재, 15,21,35,37: 관통홀,
16,34: 회동축, 18,38,86,220,324: 탄성부재,
20: 제 1가압부재, 22: 멈춤돌기,
30: 벨트고정부재, 32: 고정프레임,
36: 제 2가압부재, 40: 등받이부재,
42,116: 걸림돌기, 50: 벨트삽입홀,
52: 보강부재, 60: 벨트부,
62: 고정구, 70: 측면부재,
72: 안전벨트삽입홀, 74, 76, 78: 요홈,
80: 멈춤부재, 82: 받침부재,
84: 홀, 88, 230, 326: 걸림부재,
90: 걸림홈, 92: 보조부재,
94,330: 횡부재, 100: 몸체부,
110: 보호부재, 112, 114: 결합홈,
118a,118b: 걸림벨트, 130: 발판부재,
132: 발판회동부재, 200: 손잡이부,
210,322: 연결부재, 300: 주행부,
310: 전륜부재, 320,350: 회동부재,
328: 걸림고리, 340: 후륜부재,
360: 연동부재, 400: 덮개부,
500: 좌석, 510: 안전벨트.
Claims (4)
- 유아가 신체가 안착되도록 대략 바닥부재와 등받이부재 및 측면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주행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덮개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그 형상을 변형시켜 유모차 및 카시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 및 등받이부재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측면부재는 그 상단부 및 후단부 상측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연결부재 및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걸림 부재가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상기 측면부재는 후단부의 하측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차량의 안전벨트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벨트삽입홀이 각각 천공되고,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전륜부재가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부재의 하단부 인접한 위치에는 연결부재 및 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진 봉형상의 걸림부재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요홈에 상기 걸림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카시트로 사용시에 상호 연동하는 전륜부재와 후륜부재로 이루어진 주행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재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하단부 측에는 홀이 천공된 후 상기 홀에는 탄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홀 내에서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걸림부재가 설치되고 상 기 전륜부재가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부재 내측면 중앙부분에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유모차로 사용시에 상기 주행부재가 지면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그 양단부의 길이가 상기 전륜부재 및 후륜부재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카시트로 사용시에 수평상태로 위치된 상기 손잡이부가 차량 좌석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주행부재가 차량의 좌석과 접촉하여 차량의 좌석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후단부 상측에는 각각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측면부재의 돌출된 부분의 소정 위치에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멈춤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에 삽입 고정시키거나 상기 등받이부재가 상기 멈춤부재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재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에는 한 쌍의 벨트삽입홀이 천공되고, 상기 받침 부재의 전단부 중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거된 요입홈이 형성된 후 상기 요입홈의 양측 저부에는 가이드부재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는 회동축을 통하여 그 하면에 멈춤돌기가 형성된 제 1가압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1 가압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그 전단부가 하측을 향해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의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벨트고정부재가 형성된 후 상기 벨트고정부재의 중앙에는 고정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는 회동축을 통하여 탄성부재 및 제 2가압부재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가압부재는 하측을 향해 회동 및 탄성반발 하도록 이루어져,대략 'Y' 형상으로 이루어진 벨트부의 상단부는 상기 벨트삽입홀을 통과한 후 고정구를 포함하여 겹쳐진 상태로 상기제 1가압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는 한편, 상기 벨트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 2가압부재에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2125A KR20100001994A (ko) | 2008-06-28 | 2008-06-28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2125A KR20100001994A (ko) | 2008-06-28 | 2008-06-28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994A true KR20100001994A (ko) | 2010-01-06 |
Family
ID=4181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2125A KR20100001994A (ko) | 2008-06-28 | 2008-06-28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199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38112A3 (ko) * | 2011-04-04 | 2013-0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03419828A (zh) * | 2012-05-22 | 2013-12-04 | 康贝株式会社 | 座垫及婴儿车 |
-
2008
- 2008-06-28 KR KR1020080062125A patent/KR201000019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38112A3 (ko) * | 2011-04-04 | 2013-0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03419828A (zh) * | 2012-05-22 | 2013-12-04 | 康贝株式会社 | 座垫及婴儿车 |
CN103419828B (zh) * | 2012-05-22 | 2017-04-12 | 康贝株式会社 | 座垫及婴儿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4894B1 (ko) | 자동차 시트와 연결 가능한 유모차 | |
EP3064396B1 (en) | Footrest for car seat | |
US8240700B2 (en) |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 |
US5385387A (en) | Child carrier with detachable base | |
KR101268358B1 (ko) |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 |
US8313115B2 (en) | Stroller | |
US20120326474A1 (en) | Child Safety Seat | |
US6843498B2 (en) | Stroller | |
EP2433846B1 (en) |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backrest | |
US20110068549A1 (en) | Child Carrier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 |
US8033554B2 (en) | Stroller system | |
US9139215B2 (en) | Infant stroller apparatus | |
TWI551482B (zh) | 車用安全座椅 | |
KR20100001994A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KR20120096168A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KR20100001345A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KR20080050857A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KR20100001967A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KR100440639B1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KR20100002339A (ko) |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 |
EP1332956A2 (en) | Auxiliary child seat for bicycle | |
CN112441103B (zh) | 推车车架 | |
KR20150075920A (ko) | 뒤보기와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어린이용 자전거 | |
CN109984519B (zh) | 肩带高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 |
KR200299154Y1 (ko) | 다목적 유아용 카시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