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835A - 시트 분리형 유모차 - Google Patents

시트 분리형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835A
KR20100025835A KR1020080084553A KR20080084553A KR20100025835A KR 20100025835 A KR20100025835 A KR 20100025835A KR 1020080084553 A KR1020080084553 A KR 1020080084553A KR 20080084553 A KR20080084553 A KR 20080084553A KR 20100025835 A KR20100025835 A KR 2010002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coupled
strolle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숙
Original Assignee
유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숙 filed Critical 유영숙
Priority to KR102008008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835A/ko
Publication of KR2010002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8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 B62B9/185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by springs between seat and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의 프레임에 시트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에 시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시트의 좌·우 양 측에 각각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되고, 이 층격흡수장치가 프레임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구조에 그 특징이 있으며, 시트에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됨으로써 바퀴와 프레임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부충격이나, 어린이의 시트에 앉은 어린이에 의한 시트의 움직임이 더욱 효율적으로 완충되는 장점이 있다.
유모차, 시트, 카시트

Description

시트 분리형 유모차{Stroller with a separable seat}
본 발명은, 시트를 분리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에 시트를 반복하여 탈착가능하고, 시트 자체에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되어 효율적인 충격흡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트가 분리된 프레임을 물건 운반용 캐리어로도 사용할 수 있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영아, 유아를 포함한 취학 전의 어린이와 함께 산책, 외출 등을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는 유모차를 들 수 있는데, 유모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바퀴(11A)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손잡이(11B)가 구비된 프레임(11)의 중앙부에 시트(12)가 결합되는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며, 시트(12)의 아래에 위치하는 프레임(11) 하부에는 어린이용품 등과 같은 경량의 소형물건을 간단히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13)가 구비되기도 한다.
유모차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프레임이 고정된 것,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것 등으로 구분되고, 유모차에 탄 어린이의 편의와 안전을 위하여 직사광선을 가리기 위한 캐노피(canopy), 브레이크, 충격흡수장치 등이 프레임에 결 합되기도 하며, 근래에는 유모차 전체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손잡이만을 전·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유모차도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모차는 시트가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형태로서, 단지 유모차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 바, 그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활용성이 떨어지는 유모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모차가 개발되었는 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38219호에 "카시트와 운반용 수레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의 유모차는, 카시트로도 사용될 수 있는 시트를, 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된 구조로서, 자동차 여행 시에는 시트를 분리하여 카시트로 사용하고, 외출 시에는 시트를 결합하여 유모차로 사용하며, 시트를 분리한 경우에는 소형 물건을 간단히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 충격흡수장치가 없기 때문에 유모차가 진행 시 바퀴와 프레임을 통해하여 시트로 전달되는 외부충격이나, 유모차가 정지한 상태에서 어린이의 움직임에 의한 시트의 유동을 전혀 흡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43504호에는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장구로 사용 가능한 통합 유모차"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 공개특허 역시 상기의 2000년 공개특허와 유사하게 시트가 탈착 가능하며, 분리된 시트는 카시트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2002년 공개특허에 구비된 시트는, 2000년 공개특허와 달리 바퀴가 결합된 프레임 하단에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프레임을 캐리어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 외에도 다수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가 있는데,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많고,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경우에도 시트와 거리가 먼 바퀴측과 프레임의 결합부에 구비된 구조로서, 특히 어린이의 움직임에 따른 시트의 유동이 신속히 효율적으로 흡수되지 않아 어린이가 쉽게 피곤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종래에는 충격흡수장치가 바퀴와 프레임의 결합부에 개재되는데, 통상의 유모차는 전방 양 단에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바퀴 자체의 진행방향이 자유롭게 변화되는 캐스타(caster)가 각각 결합되고, 후방 양 단에는 진행방향이 바뀌지 않는 고정바퀴가 각각 장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유모차의 방향전환 시 한쌍의 캐스타는 각각 자체의 진행방향이 함께 바뀌게 되나, 한쌍의 고정바퀴는 회전이 느린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이 빠른 타측이 회전하는 방식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바, 바퀴 자체가 회동하는 캐스타에는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되지 않고 고정바퀴측에 중격흡수장치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종래 유모차의 경우 고정바퀴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은 흡수될 수 있으나, 캐스타를 통하여 프레임 및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 대로 흡수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회동이 가능한 캐스타에 충격흡수장치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가 필요 이상으로 복잡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충격흡수장치의 수가 많아짐으로써 제조생산성이 떨어지면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그 외에, 어린이가 탄 상태의 유모차를 잠시 세워 두는 경우, 보호자가 유모차를 잡지 않아도 유모차가 저절로 굴러가지 못하도록 유모차의 바퀴에는 브레이크와 같은 정지수단이 고정바퀴인 뒷바퀴에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정지수단은 한쌍의 뒷바퀴 각각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유모차를 세운 상태에서 유모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바퀴 한쌍에 각각 구비된 정지수단을 각각 총 2회에 걸쳐 조작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시트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 및 바퀴와 프레임 사이에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된 종래의 유모차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시트를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시트가 분리된 프레임을 소형 물건 운반용 캐리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유모차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충격은 물론 어린이의 움직임에 따른 시트의 유동력을 신속히 직접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시트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유모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모차를 세운 상태에서 저절로 구르지 않도록 정지시키고자 할 때 한번의 조작으로 한쌍의 뒷바퀴 모두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바퀴가 아닌 시트에 결합되는 한쌍의 충격흡수장치와, 한쌍의 뒷바퀴 를 한번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ㄷ"자의 형상을 하는 정지레버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시트에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되기 때문에, 바퀴와 프레임의 연결부에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유모차에 비하여, 충격흡수장치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조생산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 자체에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어린의 움직임에 따른 시트의 유동력을 신속히 흡수할 수 있으며, 시트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외부충격의 흡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ㄷ"자형 정지레버의 1회 회동에 의해 한쌍의 뒷바퀴 모두를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본 발명은, 시트를 분리하여 어린이 보호용 카시트 등의 용도로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시트가 분리된 프레임은 소형 물건의 운반을 위한 캐리어로도 사용이 가능한, 시트 분리형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시트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물론, 분리된 상태에서도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시트 자체에 충격흡수장치가 결합된 구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유모차의 좌·우 양 측에 충격흡수장치가 각각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는 프레임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며, 타측이 시트에 결합되는 유동체;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체와 유동체의 구조는 여러 형태가 가능한데, 고정체와 유동체의 각 일측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체와 유동체의 두 타측단부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됨으로써, 유동체가 고정체와의 결합부인 일측단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타측단부가 고정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예로 들 수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고정체와 유동체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하지 않고, 둘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개재시킴으로써, 일측에 대하여 타측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 가능한 이자동차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같이, 고정체에 대하여 유동체 전체가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 가능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격흡수장치의 고정체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면, 시트의 유동력이나 외부의 충격은 탄성체를 통하여 흡수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충격 등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탄성체로는, 실린더 타입의 에어댐퍼, 로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스 실린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발명 일실시예 시트 분리형 유모차의 사시도를, 도 3에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하단부에 다수의 바퀴(W)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손잡이(H)가 구비되며, 좌·우 대칭을 이루는 프레임(21)과;
대략 높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21)의 좌·우 양 내측에 각각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한쌍의 충격흡수장치(22)와;
서로 대향하는 상기 한쌍의 충격흡수장치(22)에 양 측면이 1:1 대응하여 각각 고정결합되는 시트(23)와;
상기 시트(23) 아래의 프레임(21) 하부에 결합되어 상향 개방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체(24); 등으로 구성되는 바,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ㄷ"자 형상의 상부프레임(21A)과; 하단부에 다수의 바퀴(W)가 결합된 하부프레임(21B)과; 상기 상부프레임(21A)의 양 측 하단부 및 하부프레임(21B)의 양 측 상단부가 각각 1:1 대응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프레임연결체(21C); 등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프레임연결체(21C)는 프레임(21)의 대략 높이방향 중앙부 양 측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21A)은, 양 측의 상기 프레임연결체(21C)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바형 하단상부프레임(21A1)과; 각 하단상부프레임(21A1)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결합되는 상부프레임연결체(21A2)와; 두 상부프레임연결체(21A2)의 각 타측에 양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 상단상부프레임(21A3);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단상부프레임(21A3)의 하단부와 상부프레임연결체(21A2)의 타측은 회동삽입식으로 결합되는데, 상단상부프레임(21A3)의 하단부 외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연결체(21A2)의 내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압입 가능한 걸림돌기(도면 미도시)와 이 걸림돌기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적으로 당겨 상단상부프레임(21A3) 내부로 압입할 수 있는 돌기작동구(D)가 상단상부프레임(21A3)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하단상부프레임(21A3)(21A1)을 펴진 상태로 고정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하부프레임(21B)은, 앞바퀴(W1)가 결합되는 전방하부프레임(21B1)과 뒷바퀴(W2)가 결합되는 후방하부프레임(21B2)으로 구분되고, 후방하부프레임(21B2)은 프레임연결체(21C)에 고정결합되나, 하단상부프레임(21A1)과 전방하부프레임(21B1)은 프레임연결체(21C)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하단상부프레임(21A1)과 전방하부프레임(21B1)은 함께 후방하부프레임(21B2)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전방하부프레임(21B1)에 결합된 앞바퀴(W1)는 프레임(21)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 또는 한쌍의 캐스타로 구성되는데, 앞바퀴(W1)에는 필요 시 자체적인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레버(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후방하부프레임(21B2)에 결합되는 뒷바퀴(W2)는 고정형 바퀴이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21)은, 상·하단상부프레임(21A1)(21A2)이 접혀지고, 프레임연결체(21C)를 중심으로 하단상부프레임과(21A2)과 전·후방하부프레임(21B1)(21B2)이 서로 인접하도록 접혀짐으로써, 유모차를 손쉽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혀진 프레임(21)이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1)에는 결속수단(21D)이 구비되는데, 이 결속수단(21D)은, 상단상부프레임(21A3)의 측면에 일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걸림홈(G)이 구비된 걸림구(21D1)와; 하기 후방하부프레임(21B2)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구(21D1)의 걸림홈(G)에 걸리게 되는 걸림핀(21D2); 등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유모차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는 상부프레임(21A)을 접은 후, 하단상부프레임과(21A2)과 전방하부프레임(21B1)을 함께 후방하부프레임(21B2)측으로 회동시켜 서로 인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단상부프레임(21A3)에 결합된 걸림구(21D1)를 회동시켜 걸림구(21D1)의 걸림홈(G)에 후방하부프레임(21B2)의 걸림핀(21D2)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유모차를 보관하거나 운반 중 상부프레임(21A)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후방하부프레임(21B2)에 결합된 뒷바퀴(W2)는, 캐스타인 앞바퀴(W1)와 달리, 하나의 회전축(X)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자체적인 회동이 불가능한 한쌍의 고정바퀴로서, 유모차를 세운 경우 바닥의 경사 등에 의해 유모차가 저절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브레이크와 같은 정지수단(S)을 뒷바퀴(W2)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정지수단(S)은 다양한 구조가 가능한데, 하나의 예를 들면, 각 뒷바퀴(W2)의 내면 중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톱니형 리브(S1)와; 프레임(21)의 좌·우 양 측에 양 단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정지레버(S2)와; 정지레버(S2)의 양 단부 인접한 각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리브(S1)와 리브(S1) 사이로 삽입되는 스토퍼(S3); 등으로 상기 정지수단(S)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21)을 구성하는 상·하부프레임(21A)(21B)의 경계부가 되는 프레임연결체(21C)의 내측에는 충격흡수장치(2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장치(22)는, 프레임연결체(21C)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는 고정체(22A)와; 상기 고정체(22A)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체(22B)와; 탄성체(22B)의 타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23)에 결합되는 유동체(22C);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1)의 프레임연결체(21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22A)의 일측단부에는 유동체(22C)의 일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체(22A)와 유동체(22C)의 두 타측단부 사이에는 탄성체(22B)가 개재됨으로써, 고정체(22A)에 대하여 유동체(22C)는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 타측단부가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고정체(22A)와 유동체(22C)의 각 일측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토록 고정결합된 상기의 구조만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고정체(22A)에 대하여 유동체(22C)가 탄력적으로 회동 또는 유동될 수만 있으면 그 구조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2A)와 유동체(22C) 각각을 서로 삽입결합 가능한 관체구조로 만들고, 고정체(22A)와 유동체(22C)의 연결된 내부공간에 탄성체를 내장시킴으로써, 고정체(22A)에 대하여 유동체(22C)가 탄력적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 및 충격흡수장치(22)를 각각 구성하는 프레임연결체(21C)와 고정체(22A)의 결합구조 역시 서로 반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만 있으면 되며 반드시 어느 한 특정 결합구조로만 제한되지는 않다.
하나의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연결체(21C)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h)을 구비하고, 고정체(22A)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공(h)으로 반복하여 삽입결합 가능한 삽입체(E)를 구비하는 방법으로 프레임연결체(21C)에 고정체(22A)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체(E)의 측면에 압입 가능토록 탄성적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도면 미도시)를 구비하고, 걸림돌기를 삽입체(E)의 내부로 당길 수 있는 해제레버(L)를 충격흡수장치(22)의 유동체(22C)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결합공(h)의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도면 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고정체(22A)의 삽입체(E)를 프레임연결체(21C)의 결합공(h)에 밀어 넣으면, 삽입체(E) 측면의 걸림돌기가 결합공(h) 내면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고정체(22A)는 프레임연결체(21C)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1)의 프레임연결체(21C)애 고정체(22A)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체(22C)에 결합된 해제레버(L)를 누르면, 결합공(h) 내면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렸던 걸림돌기가 삽입체(E)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프레임연결체(21C)의 결합공(h)에서 고정체(22A)의 삽입체(E)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장치(22)의 유동체(22C)에 결합되는 시트(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의 둔부에 상면이 밀착되는 좌판(23A)과; 좌판(23A)의 후방단부에 결합되어 어린이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3B)와; 상기 좌판(23A)의 전방단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어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대(23C)와; 상기 좌판(23A)과 등받이(23B)의 동일한 폭방향 각 단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측판(23D);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리지지대(23C)는 좌판(23A)과 최소 90°, 최대 180°를 이룰 수 있도록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23B)와 측판(23D)의 테두리부에는 "ㄷ"자형 상부시트프레임(23E)이 결합되고, 다리지지대(23C)의 테두리부에도 "ㄷ"자형 하부시트프레임(23F)이 구비되며, 상·하부시트프레임(23E)(23F)는 회동 및 정지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부시트프레임(23E)에 대하여 하부시트프레임(23F)의 절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도조절은 상·하부시트프레임(23E)(23F)의 결합부에 구비된 각도조절버튼(b)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충격흡수장치(22)의 고정체(22A)와 유동체(22C)의 각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일 경우, 상기 상부시트프레임(23E)은 고정체(22A)와 유동체(22C)의 결합부에 함께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체(22A)에 대하여 유동체(22C) 전체가 유동하는 구조인 경우 상부시트프레임(23E)은 유동체(22C)에만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23D)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sheet)상 시트(seat)연결체(23G)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연결체(23G)는 충격흡수장치(22)의 유동체(22C) 타측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시트(23)는, 유동체(22C)와 상부시트프레임(23E)의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유동체(22C)에 대하여 시트연결체(23G)의 길이범위(또는 폭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시트(23)의 등받이(23B) 배면에는 유동체(22C)에 대한 시트(23)의 회동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시트조절레버(23H)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트 분리형 유모차는, 충격흡수장치(22)의 유동체(22C)에 구비된 해제레버(L)를 이용하여, 프레임(21C)의 프레임연결체(21C)에 충격흡수장치(22)가 결합된 시트(23)를 결합하거나, 프레임연결체(21C)로부터 시트(23)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트(23)가 프레임(2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도조절버튼(b)과 시트조절레버(23H)를 이용하여 다리지지대(23C)의 회동각도 및 유동체(22C)에 대한 시트(23)의 경사도 등을 각각 조절할 수 있으며, 정지레버(S2)를 이용하여 뒷바퀴가 구르지 않도록 하거나 구르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1), 시트(23) 및 충격흡수장치(22) 중의 어느 하나에는 캐노피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충격흡수장치(22)와 한 몸체로 결합된 시트(23)는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연결체(21C)에 결합될 수도 있고 후방을 향 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충격흡수장치(22)의 고정체(22A)는 프레임연결체(21C)에 1:1 대응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각 고정체(22A)는 양 측의 프레임연결체(21C) 모두에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시트(23)의 결합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유모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 시트 분리형 유모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시트 분리형 유모차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수납체를 제거된 본 발명 일실시예 시트 분리형 유모차의 프레임이 졉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시트 분리형 유모차에 구비된 바퀴 장지수단을 보인 것으로,
(가)는 유모차의 뒷바퀴 부분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정지수단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다)는 정지수단이 작동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시트 분리형 유모차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충격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시트 분리형 유모차를 구성하는 시트와 충격흡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 사시도이고,
(나)는 충격흡수장치에 대하여 시트가 회동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다)는 충격흡수장치에 대하여 시트가 회동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프레임 21A. 상부프레임 21A1. 하단상부프레임
21A2. 상부프레임연결체 21A3. 상단상부프레임 21B. 하부프레임
21B1. 전방하부프레임 21B2. 후방하부프레임 21C. 프레임연결체
21D. 결속수단 21D1. 걸림구 21D2. 걸림핀
22. 충격흡수장치 22A. 고정체 22B. 탄성체
22C. 유동체 23. 시트 23A. 좌판
23B. 등받이 23C. 다리지지대 23D. 측판
23E. 상부시트프레임 23F. 하부시트프레임 23G. 시트연결체
23H. 시트조절레버 24. 수납체 b. 각도조절버튼
D. 돌기작동구 E. 삽입체 H. 손잡이
h. 결합공 L. 해제레버 S. 정지수단
S1. 리브 S2. 정지레버 S3. 스토퍼
W. 바퀴 W1. 앞바퀴 W2. 뒷바퀴
X. 회전축

Claims (13)

  1. 프레임의 상·하단부에 손잡이와 바퀴가 각각 구비되고, 프레임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시트가 결합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시트(23)의 양 측에 충격흡수장치(22)가 각각 고정 결합되고,
    상기 충격흡수장치(22)는 프레임(21)의 좌·우 양 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은,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ㄷ"자형 상부프레임(21A)과;
    하단부에 다수의 바퀴(W)가 결합된 하부프레임(21B)과;
    상기 상부프레임(21A)의 양 측 하단부 및 하부프레임(21B)의 양 측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프레임연결체(21C);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21A)은,
    상기 각 프레임연결체(21C)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바형 하단상부프레임(21A1)과;
    상기 각 하단상부프레임(21A1)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결합되는 한쌍의 상부프레임연결체(21A2)와;
    상기 두 상부프레임연결체(21A2)의 각 타측에 양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 상단상부프레임(21A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1B)은,
    상기 프레임연결체(21C)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앞바퀴(W1)가 구비된 전방하부프레임(21B1)과;
    상기 프레임연결체(21C)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한쌍의 뒷바퀴(W2)가 구비된 후방하부프레임(21B2)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W2)에는,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수단(S)이 구비되고, 정지수단(S)은,
    상기 뒷바퀴(W2) 각각의 내면 중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리브(S1)와;
    상기 후방하부프레임(21B2)의 좌·우 양 측 하단부에 양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 정지레버(S2)와;
    상기 정지레버(S2)의 양 단부 인접한 각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리브(S1)와 리브(S1) 사이로 삽입 가능한 스토퍼(S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22)는,
    상기 프레임연결체(21C)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고정체(22A)와;
    상기 고정체(22A)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체(22B)와;
    상기 탄성체(22B)의 타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23)에 결합되는 유동체(22C);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2A)와 유동체(22C) 각각의 일측단부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22B)는 고정체(22A)와 유동체(22C)의 두 타측단부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연결체(21C)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h)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체(22C)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체(22A)에는, 상기 결합공(h)으로 반복하여 삽입결합 가능한 삽입체(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E)의 측면에는, 탄성적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체(22C)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삽입체(E)의 내부로 당길 수 있는 해제레버(L)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h)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3)는,
    둔부에 밀착되는 좌판(23A)과;
    상기 좌판(23A)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는 등받이(23B)와;
    상기 좌판(23A)의 전방단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다리지지대(23C)와;
    상기 좌판(23A)과 등받이(23B)의 동일한 폭방향 각 단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측판(23D)과;
    상기 등받이(23B)와 측판(23D)의 테두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격흡수장치(2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시트프레임(23E)과;
    상기 다리지지대(23C)의 테두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시트프레임(23E)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시트프레임(23F);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시트프레임(23E)(23F)의 결합부에는, 상·하부시트프레임(23E)(23F)의 절곡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버튼(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23D)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연결체(23E)가 결합되고,
    상기 시트연결체(23E)는 충격흡수장치(22)의 타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3B)의 배면에는, 충격흡수장치(22)에 대한 시트(23)의 회동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시트조절레버(23F)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1020080084553A 2008-08-28 2008-08-28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20100025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53A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08-08-28 시트 분리형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53A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08-08-28 시트 분리형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835A true KR20100025835A (ko) 2010-03-10

Family

ID=4217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553A KR20100025835A (ko) 2008-08-28 2008-08-28 시트 분리형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83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3463A1 (en) * 2017-05-17 2018-11-22 Illa Designs, LLC Car seat carrier
KR101942084B1 (ko) 2017-11-10 2019-01-24 이의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CN112477969A (zh) * 2020-12-14 2021-03-12 高尚仁 一种降阻减震式婴儿车
KR20210117052A (ko) 2020-03-18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2A (ko) 2020-05-2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3A (ko) 2020-05-2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유모차
EP4063248A1 (en) * 2021-03-26 2022-09-28 Koninklijke Gazelle N.V. Car seat adapto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3463A1 (en) * 2017-05-17 2018-11-22 Illa Designs, LLC Car seat carrier
KR101942084B1 (ko) 2017-11-10 2019-01-24 이의환 유모차 시트 착탈구조물
KR20210117052A (ko) 2020-03-18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2A (ko) 2020-05-2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3A (ko) 2020-05-2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유모차
CN112477969A (zh) * 2020-12-14 2021-03-12 高尚仁 一种降阻减震式婴儿车
CN112477969B (zh) * 2020-12-14 2022-08-16 伊春市福林木业有限责任公司 一种降阻减震式婴儿车
EP4063248A1 (en) * 2021-03-26 2022-09-28 Koninklijke Gazelle N.V. Car seat adaptor
NL2027845B1 (en) * 2021-03-26 2022-10-10 Koninklijke Gazelle N V Car seat adap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2194B (zh) Carts
US7571926B2 (en) Foldable toy stroller
US10414422B2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9561816B2 (en) Compact foldable stroller with one-handed fold control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102227172B1 (ko) 유아 푸시 체어 프레임과, 유아 푸시 체어
TWI564197B (zh) Baby carriage
US9849903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double stroller
US20150217793A1 (en) Foldable stroller
EP2014536B1 (en) Foldable toy stroller
US20070069504A1 (en) Foldable stroller
KR20210008465A (ko)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WO2012019311A1 (en) Convertible double stroller
CN111907578A (zh) 多人座婴幼儿推车
KR20120030621A (ko) 유모차
TWI611963B (zh) 車輪保持單元及嬰兒車
CN104395174A (zh) 婴儿车及座椅单元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US11760403B2 (en) Stroller
KR20160044190A (ko) 영유아용 웨건
TWM453624U (zh) 雙人座嬰兒車結構
CN213566087U (zh) 一种折叠儿童推车
TWI752337B (zh) 嬰兒車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TWI409187B (zh) The combination of baby carriages and baby carriages and car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