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465A -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465A
KR20210008465A KR1020207023695A KR20207023695A KR20210008465A KR 20210008465 A KR20210008465 A KR 20210008465A KR 1020207023695 A KR1020207023695 A KR 1020207023695A KR 20207023695 A KR20207023695 A KR 20207023695A KR 20210008465 A KR20210008465 A KR 20210008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upper frame
frame portion
connector par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스 깁슨
Original Assignee
이븐플로 컴퍼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븐플로 컴퍼니, 인크 filed Critical 이븐플로 컴퍼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0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for two or more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원에는 단일 시트를 지지하는 데에 적합한 단일 시트 구성 및 2개의 시트를 동시에 지지하는 데에 적합한 탠덤 시트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 구성 가능성을 제공하는 선택적 위치 결정 가능 부품을 구비하는 유모차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본 개시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단일 시트를 지지하는 데에 적합한 단일 시트 구성 및 2개의 시트를 동시에 지지하는 데에 적합한 탠덤 시트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한 모듈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는 단일 시트 구성으로부터 탠덤 시트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일부 제조자는 단일 시트 구성으로 용이하게 구성 가능하지 않은 탠덤 유모차를 제공하였다. 일부 제조자는 시트를 나란히 위치시키거나 또는 서로 일렬로 고정되게 위치시키는 다른 탠덤 유모차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탠덤 유모차는 통상적으로 부피가 크고, 용이하게 조종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방 또는 부모를 향하도록 시트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기존의 유모차는 단일 시트 및 탠덤 시트 구성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모차는 통상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한 단계를 필요로 한다. 사실상, 이러한 일부 유모차의 경우, 정상적인 사용 시, 시트가 일반적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이를 위해서는 특수 공구 또는 특수 기술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기존의 일부 다른 유모차는 제1 탑승자용 시트와 제2 탑승자용 스탠딩 플랫폼 등을 제공하여 다수의 탑승자를 수용한다. 다른 유모차는 제1 탑승자용 시트와 제1 시트의 하부 및 후방에 매달리는 제2 탑승자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모차는 명백한 안전 우려를 야기하며 종종 불편하다. 이러한 유모차의 또 다른 단점은 제2 시트의 존재로 인해 단일 유모차에 존재하는 시트 하방 보관부가 감소되어 소지품용으로 사용 가능한 바스켓 또는 그물 공간을 제거하거나 상당히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단일 시트 구성 및 탠덤 시트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한 유모차, 즉, 유모차를 밀고 있는 사용자의 편의성의 손실 없이 이를 제공하는 이러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유모차의 선택적 구성이 임의의 특수 공구 또는 임의의 추가 부품의 필요 없이 수행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인데, 이러한 공구 또는 부품을 구입하고 보관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부담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 시트 유모차를 필요에 따라 탠덤 시트 유모차로 또는 그 반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슬라이드 이동, 회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커넥터 부품을 갖는 유모차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매우 다양한 시트를 필요에 따라 다수의 배향으로 수용하도록 커넥터 부품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에는 하나 이상의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및 커넥터 부품을 포함할 수 있는 유모차가 개시된다. 커넥터 부품은 커넥터 부품에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유모차 구조는 후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단일 시트 구성으로부터 탠덤 시트 구성으로 변환 가능할 수 있다: (a) 커넥터 부품을 제1 시트를 수용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커넥터 부품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단계; 및 (b) 하부 연장부 상에 위치된 커넥터 부품을 제2 시트를 수용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프레임에 대하여 하부 연장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프레임에 대한 커넥터 부품 중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이동은 커넥터 부품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하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시트 또는 유모차의 사용자를 향하여 후방을 향하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시트를 구비하는) 무수히 많은 가능한 구성을 위해 제1 및 제2 시트 사이의 허용 가능한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개시된 것은 유모차이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적인 유모차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부; 및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1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특정 구성에서, 상부 프레임부의 제1 측면 스트럿은 하부 프레임부의 제1 측면 스트럿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의 제2 측면 스트럿은 하부 프레임부의 제2 측면 스트럿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상부 프레임부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 중 제1 제1 커넥터 부품은 상부 프레임부의 제1 측면 스트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 중 제2 제1 커넥터 부품은 상부 프레임부의 제2 측면 스트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2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은 하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품은 하부 프레임부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하부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연장부는 제2 커넥터 부품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연장부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는 하부 프레임부의 제1 측면 스트럿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는 하부 프레임부의 제2 측면 스트럿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품 중 제1 제2 커넥터 부품은 제1 지지 부재의 원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품 중 제2 제2 커넥터 부품은 제2 지지 부재의 원위단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연장부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성에서,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은 하부 프레임부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조에서,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은 하부 프레임부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 부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커넥터 부품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커넥터 부품의 후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은 최상 위치와 최하 위치 사이에서 상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최상 위치 및 최하 위치 사이에서의 상부 프레임부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1 커넥터 부품 및 제2 커넥터 부품 사이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은 최하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프레임부의 전방단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프레임부의 전방단 및 후방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식 유모차는 단일 시트 구성 및 탠덤 시트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모듈식 유모차는 상부 프레임부; 하부 프레임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하부 연장부로서, 상기 하부 연장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접힘 위치 및 상기 하부 연장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각이 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는 펼침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식 유모차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상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단일 시트 구성의 최하 위치와 탠덤 시트 구성의 최상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1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상부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의 상방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최하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프레임부의 전방단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프레임부의 전방단 및 후방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적인 유모차 시스템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1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 및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2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한다.
특정 구성에서, 제1 시트가 제1 커넥터 부품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면 상부 프레임부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의 슬라이드 이동이 지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첨부된 도면, 첨부된 청구범위 및 추가적인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후술하는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보다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이 본 개시에 따른 여러 예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의 추가적인 특이성 및 세부적인 사항과 함께 본 개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최하 위치에서 제1 시트를 지지하고 접힘 위치에서 하부 연장부를 지지하는 제1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단일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최상 위치에서 제1 시트를 지지하고 접힘 위치에서 하부 연장부를 지지하는 제1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는 도 1의 유모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 부품 상에 위치된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최상 위치에서 제1 시트를 지지하고 펼침 위치에서 하부 연장부를 지지하는 제1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는 도 1의 유모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최상 위치에서 제1 시트를 지지하는 제1 커넥터 부품 및 제2 시트를 지지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탠덤 시트 구성의 도 1의 유모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단일 시트 구성의 위치로부터 탠덤 시트 구성의 위치로의 제1 시트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 1의 유모차의 상부 프레임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최하 위치에서 제1 시트를 지지하는 제1 커넥터 부품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커넥터 부품으로부터 해제 가능하게 탈착된 제1 시트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시트가 해제 가능하게 탈착된 최상 위치의 일차 연결을 도시한다. 도 8은 최상 위치에서 제1 시트를 지지하는 제1 커넥터 부품을 도시한다.
도 9는 제1 시트가 제거된 도 1의 유모차의 상부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유모차의 제1 커넥터 부품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하부 연장부가 하부 프레임부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하부 연장부가 접힘 위치로 회전된 도 1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부 연장부가 하부 프레임부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하부 연장부가 접힘 위치로 회전된 도 1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하부 연장부가 하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각이지고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하부 연장부가 펼침 위치로 회전된 도 1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하부 연장부가 하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각이지고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하부 연장부가 펼침 위치로 회전된 도 1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로부터 이격된 하부 연장부를 도시하는 도 1의 유모차의 하부 전방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유모차의 하부 연장부 및 제2 커넥터 부품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제2 커넥터 부품이 하방으로 배향되도록 제2 커넥터 부품이 접힘 위치로 회전된 예시적인 제2 하부 프레임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제2 커넥터 부품이 펼침 위치로 회전된 도 17의 예시적인 제2 하부 프레임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제2 커넥터 부품이 펼침 위치로 회전된 도 18의 예시적인 제2 하부 프레임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도면에서는, 문맥상 달리 기술되지 않는다면,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 및 도면은 한정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에 제시된 요지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활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전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양태는 매우 다양하고 상이한 구성으로 정리되고, 대체되고, 결합되고, 설계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명백하게 고려되고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중 일부는 상대적인 용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위치에 있어 서로 상대적인데, 즉, 주어진 배향에서 상부 부품은 하부 부품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되지만, 장치를 뒤집으면 이러한 용어는 변경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간 부품은 배향에 관계없이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 사이에 항상 위치된다. "수평" 및 "수직"이라는 용어는 절대 기준, 즉, 지면 레벨에 대한 방향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서로 절대적으로 평행하거나 절대적으로 수직인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제1 수직 구조 및 제2 수직 구조는 반드시 서로 평행하지 않다. "상부" 및 "저부" 또는 "베이스"라는 용어는 절대 기준, 즉, 지구의 표면에 대하여 상부가 바닥/베이스보다 항상 높은 표면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방" 또는 "상방으로" 및 "하방" 또는 "하방으로"라는 용어는 또한 절대 기준에 대하여 상대적이며, 상방은 항상 지구의 중력에 대항한다. "평행"이라는 용어는 그 사이에 전반적으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2개의 표면의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러한 표면이 무한대로 연장되면 절대로 교차하지 않는다는 엄격한 수학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하도록 작동하는" 및 "하도록 구성되는"이라는 용어 및 유사한 용어는 본원에서 특정 부품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특정의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부품은, 지정된 기능이 구조의 일부로 여겨지는, 표현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유모차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부품은 부품이 특수 공구, 특수 기술 또는 부품 또는 유모차의 적어도 부분적인 파괴의 사용 없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없도록 영구적으로 부착되도록 설계된 부품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유모차 및 유모차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6에 다양한 수준의 특이성으로 도시된다. 매우 일반적으로, 유모차(10)는 한 두명의 유아 또는 어린이를 안전하게 수송하도록 설계된다. 유모차(10)는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부(110) 및 하부 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유모차(10)의 양태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이 유모차(10)의 하부 연장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상부 프레임부(110) 및 하부 프레임부(1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110)는 제1 측면 스트럿(112) 및 제2 측면 스트럿(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12, 11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제1 측면 스트럿(122) 및 제2 측면 스트럿(1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측면 스트럿(112)은 (예를 들면, 제1 연결부(111)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2 측면 스트럿(114)은 (예를 들면, 제2 연결부(113)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2 측면 스트럿(124)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부의 제1 측면 스트럿과 상부 및 하부 프레임부의 제2 측면 스트럿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부는 다양하고 상이한 기구를 사용하는 다양하고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결부(111, 113)는, 예를 들면, 피벗 연결, 슬라이딩 조인트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측면 스트럿(112)은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접힘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에 선회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2 측면 스트럿(114)은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2 측면 스트럿(1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접힘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2 측면 스트럿(124)에 선회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모차는 제1 또는 제2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지 않고 접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시트의 제거가 유모차의 증가된 접힘 가능성(즉, 보다 컴팩트한 접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유모차의 완전한 접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서, 접힘 위치로의 하부 연장부(150)의 회전이 유모차의 증가된 접힘 가능성(즉, 보다 컴팩트한 접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유모차의 완전한 접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유모차를 접기 위해 제1 시트가 제거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유모차는 최하 또는 최상 위치에서 제1 시트와 함께 접힘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시트를 접기 전에 제1 시트를 최상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 유모차의 증가된 접힘 가능성(즉, 보다 컴팩트한 접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모차의 접힘은 유모차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차량의 트렁크 내에) 유모차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유모차(10)는 하나 이상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유모차(10)는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을 포함한다. 본원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부품(130)은 화살표(50, 60)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원에 설명된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130)과 같이 복수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은 다른 제1 커넥터 부품(130) 모두와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제1 커넥터 부품(130)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제1 커넥터 부품(13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1 시트(1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 참조). 즉,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제1 시트(131)를 상부 프레임부(110)에 협조적으로 부착하도록 설계되는 것과 함께, 임의의 특수 공구 또는 시간 소모적인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1 시트(131)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한다. 즉, 제1 시트(131)는 필요에 따라 유모차(10)에 부착되고 탈착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시트(131)는 제1 시트(131)가 전방을 향하도록(즉, 제1 시트의 탑승자가 유모차를 밀고 있는 사용자로부터 외면하도록) 제1 커넥터 부품(1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전방을 향하는 배향(도 1) 또는 유모차를 밀고 있는 사용자가 제1 시트의 탑승자를 향하는 후방을 향하는 배향으로 제1 시트(131)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도록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 최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최하 위치에서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선택적 위치 결정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1 시트(131)를 유모차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최하 위치에서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선택적 위치 결정은 유모차가 단일 시트 구성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을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유모차(10)는 하부 연장부(150)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 연장부(150)는 화살표(30, 40) 방향으로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부 프레임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예를 들면, 도 3 및 도 4 참조).
하부 연장부(150)는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유모차(10)는 한 쌍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제2 커넥터 부품(14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2 시트(14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면, 도 4 참조). 즉,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제2 시트(141)를 프레임에 협조적으로 부착하도록 설계되는 것과 함께, 임의의 특수 공구 또는 시간 소모적인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2 시트(141)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 시트(141)는 필요에 따라 유모차(10)에 부착되고 탈착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2 시트(141)는 제2 시트(141)가 전방을 향하도록(즉, 제1 시트의 탑승자가 유모차를 밀고 있는 사용자로부터 외면하도록) 제2 커넥터 부품(14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전방을 향하는 배향(도 4) 또는 유모차를 밀고 있는 사용자가 제2 시트의 탑승자를 향하는 후방을 향하는 배향으로 제2 시트(141)가 제2 커넥터 부품(140)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도록 제2 커넥터 부품(140)이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에서, 하부 연장부(150)는 접힘 위치로 도시된다. 본원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 연장부(150)는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즉, 화살표(50, 60)의 방향으로) 놓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의 각각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최하 위치에 있고 하부 연장부(150)가 접힘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유모차(10)가 도 1에 도시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원에 단일 시트 구성으로 지칭된다. 단일 시트 구성에서, 유모차는 제1 커넥터 부품(130)에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1 시트(131)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하부 연장부(150)는 유모차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중심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제1 시트(131)와 공간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접힐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부 연장부는 제1 시트(131) 아래에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제1 시트 아래에 위치된 망 또는 바스켓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단일 시트 구성에서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 최상 위치에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유모차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즉, 화살표(5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상 위치에서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선택적 위치 결정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1 시트(131)를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최하 위치에 있을 때보다 유모차의 상단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최상 위치 및 최하 위치 사이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커넥터 부품(130) 및 제2 커넥터 부품(14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 위로 (즉, 화살표(50)의 방향으로)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최하 위치에 있을 때에 비하여, 제1 커넥터 부품(130) 및 제2 커넥터 부품(14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상 위치에서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선택적 위치 결정은 유모차가 탠덤 시트 구성에서 사용될 필요가 있을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펼침 또는 상방 위치의 하부 연장부(150)를 도시한다. 본원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 연장부(150)는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 각이 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연장부(150)가 펼침 위치에 있으면, 제2 커넥터 부품(130)이 하부 프레임부(120)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방으로(즉, 화살표(30)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최상 위치에 있고 하부 연장부(150)가 펼침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유모차(10)가 도 3에 도시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원에 탠덤 시트 구성으로 지칭된다. 탠덤 시트 구성에서, 유모차는 제1 커넥터 부품(130)에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시트(131) 및 하부 연장부(150)의 제2 커넥터 부품(140)에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시트(141) 모두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유모차(10)가 탠덤 시트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다. 탠덤 시트 구성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최상 위치에 있도록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제1 커넥터 부품(13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1 시트(131)를 수용할 수 있다. 하부 연장부(150)는 펼침 위치에 있도록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제2 커넥터 부품(14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2 시트(141)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커넥터 부품(140)의 상방(즉, 화살표(30)의 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커넥터 부품(140)의 후방(즉, 화살표(50)의 방향으로)에 위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유모차(10)는 한 쌍의(즉, 2개의) 제1 커넥터 부품(130) 및 한 쌍의(즉, 2개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을 포함하지만, 필요에 따라 보다 적거나 많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이 구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의 수는 유모차(10)와 함께 사용될 시트 상의 상보적 감합 부품의 수에 대체로 대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은 유모차 프레임에 제1 및 제2 시트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시트는 각각 자체의 감합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합 부품은 유모차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의 각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은 각각 유모차 프레임 또는 하부 연장부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유형이다. 적합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은 잠금 탭(locking tab), 마찰 피팅, 회전 래치, 자성 부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시트는 임의의 요구되는 크기, 형상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넥터 부품은 유아 시트, 토들러(toddler) 시트, 베이비(baby) 시트, 요람(bassinet), 유모차(pram), 카(car) 시트, 베이비(baby) 캐리어, 임의의 다른 유모차 시트 등과의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한 부착을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모차는 바스켓, 망(net), 셰이드(shade), 피커부(peek-a-boo) 윈도우 또는 주차 브레이크와 같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다른 부품 또는 스트럿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는 제1 후방 스트럿(172) 및 제2 후방 스트럿(1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방 스트럿(172)은 (예를 들면, 제1 연결부(111)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프레임부(110, 120)의 제1 측면 스트럿(112, 122)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예를 들면, 선회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후방 스트럿(174)은 (예를 들면, 제2 연결부(113)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프레임부(110, 120)의 제2 측면 스트럿(114, 124)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예를 들면, 선회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크로스 바(176, 178)가 제1 및 제2 후방 스트럿(172, 174)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후륜(170)이 제1 및 제2 후방 스트럿(172, 174) 각각의 최극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하부 스트럿 구조(190)가 또한 유모차의 시트 아래의 운반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한 것 등의 유모차(10)의 양태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하부 스트럿 구조(190)는 제1 하부 스트럿(192) 및 제2 하부 스트럿(19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부 스트럿(192) 및 제2 하부 스트럿(194) 중 하나 이상은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예를 들면, 선회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스트럿 구조(190)는 제1 하부 스트럿(192) 및 제2 하부 스트럿(194)을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 바(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핸들(180)이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단(118)에 근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핸들(180)은, 예를 들면, 신축식 핸들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핸들(180)은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예를 들면, 선회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80)은 (예를 들면, 연결부(182)에 의해)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측면 스트럿(112)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결부(184)에 의해)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2 측면 스트럿(114)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최상 또는 최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유모차(10)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즉, 화살표(50, 60)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다시,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이 도시된다. 제1 커넥터 부품(130) 중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1 제1 커넥터 부품)는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측면 스트럿(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 중 다른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2 제1 커넥터 부품)는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2 측면 스트럿(1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서, 각각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레임부(110)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 중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1 제1 커넥터 부품)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측면 스트럿(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제1 커넥터 부품(130) 중 다른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2 제1 커넥터 부품)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2 측면 스트럿(114)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시트(131)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최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최하 위치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상부 프레임부(110)의 전방단(116)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는 단일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도시한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1 커넥터 부품(130)은 필요에 따라 상부 프레임부(110)의 후방단(118)을 향하여 (즉, 화살표(5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 부품(130)은 필요에 따라 상부 프레임부(110)의 전방단(116)을 향하여(즉, 화살표(6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31)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부착되면,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이 방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제1 시트(131)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부착될 때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은 이에 따라 유모차의 다른 탑승자에 의한 제1 시트(131) 및 제1 시트(131) 내의 임의의 탑승자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이는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시트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에 의해 제1 시트 내에 위치된 탑승자 또는 임의의 물건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이 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만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유모차가 설계되거나, 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더 명확화를 위해, 도 5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으로의 제1 시트(131)의 부착에 의해, 도 5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서, 최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1 커넥터 부품(130)으로부터 제1 시트(131)가 선택적으로 탈착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131)가 선택적으로 탈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이제 최하 위치로부터 최상 위치로 (즉, 화살표(50)의 방향으로)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상부 프레임부(110)를 따라(즉, 화살표(5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었고 이제 최상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최상 위치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은 최하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5 및 도 7과 비교) 상부 프레임부(110)의 전방단(116)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고 상부 프레임부(110)의 후방단(118)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최상 위치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상부 프레임부(110)의 전방단(116) 및 후방단(1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시트(131)는 탈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제 제1 커넥터 부품(130) 상방에 위치되고 부착 준비 상태에 있다.
도 8에서, 최상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1 커넥터 부품(130)에 제1 시트(131)가 선택적으로 재부착되었다. 이에 따라, 도 8은 탠덤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상부 프레임부(11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131)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선택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이 방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더 명확화를 위해, 도 8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으로의 제1 시트(131)의 부착에 의해, 도 8에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구를 도시한다. 명확화를 위해, 상부 프레임부(110)의 제1 측면 스트럿(112)의 작동 및 제1 측면 스트럿(112)에 부착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작동만이 표시되거나 설명된다. 그러나, 상부 프레임부의 각각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12, 114)이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이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부 프레임부(110)의 각각의 측면 스트럿은 최하 및 최상 위치 사이에서 이를 따라 (즉, 화살표(50, 6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랙(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은 각각의 트랙(117)과 협조적으로 계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제1 커넥터 부품(130)은 트랙(11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랙(117)은 하나 이상의 정지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트랙(117)은 적어도 2개의 정지부(119)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정지부는 최하 위치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의 정지부는 최상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정지부(119)는 트랙(117)에서 노치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품(130)이 각각의 트랙(11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제1 커넥터 부품(130)의 계합 탭(139)이 트랙의 정지부(119) 중 하나와 협조적으로 계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 부품(130)의 계합 탭(139)이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최하 및 최상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다. 특히, 최상 및 최하 위치 중 요구되는 위치로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계합 탭(139)에 대한 하방 압축력이 트랙(117)의 정지부(119) 중 요구되는 하나로의 계합 탭(139)의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는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최상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트랙(117)과 계합하는 제1 측면 스트럿(112)에 부착되는 제1 커넥터 부품(130)을 도시한다.
각각의 제1 커넥터 부품(130)은 버튼(13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버튼(138)은 제1 커넥터 부품(130) 상에 위치된 제1 시트(131)와의 부착된 상태로 제1 커넥터 부품(130)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잠금 탭(138a)과 협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8 참조). 예를 들면, 제1 커넥터 부품(130)에 부착된 제1 시트(131)를 선택적으로 탈착시키도록, 버튼(138)에 대한 하방 압축력이 잠금 탭(138a)의 내측 압축 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131)가 부착될 때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은 제1 시트의 탑승자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되지 않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이동이 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만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설계되거나, 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138)은 압축될 때(예를 들면, 시트가 제1 커넥터 부품(130)에 부착될 때) 제1 커넥터 부품(130)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138)의 압축은 계합 탭(139)이 눌리거나, 회전되거나, 계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상부 프레임부(110)에 대한 제1 커넥터 부품(1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필요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하부 연장부(150)가 하부 연장부(150)를 접힘 또는 펼침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즉, 화살표(30, 40)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하부 연장부(150)는 제1 지지 부재(152) 및 제2 지지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52)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54)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2 측면 스트럿(12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152, 154)는 각각 하부 프레임부(120)의 상단 및 하단(126, 128) 사이에서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지지 부재(152, 154)는 각각,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120)의 상단(126)보다 하부 프레임부(120)의 하단(128)에 더 가깝게,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서, 하부 연장부(150)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부(120)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즉, 하부 연장부(150)의 제1 지지 부재(152)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에 회전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하부 연장부(150)의 제2 지지 부재(154)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2 측면 스트럿(124)에 회전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서, 하부 연장부(150)(및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하부 연장부(150)는 제1 측면 스트럿(152) 및 제2 측면 스트럿(154)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1 측면 스트럿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 바(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 연장부(150)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일 수 있다.
다시, 하부 연장부(150)는 한 쌍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품(140) 중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1 제2 커넥터 부품)는 하부 연장부(150)의 제1 지지 부재(152)의 원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품(140) 중 다른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2 제2 커넥터 부품)는 하부 연장부(150)의 제2 지지 부재(154)의 원위단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하부 연장부(150)는 접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접힘 위치에서, 하부 연장부(150)는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즉, 화살표(50, 60)의 방향으로) 놓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의 각각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 및 도 12는 단일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120)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륜(160)이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0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의 각각의 최극단에(예를 들면, 하부 프레임부(100)의 전방단(128)에 근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하부 연장부(150)는 펼침 또는 상방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펼침 위치에서, 하부 연장부(150)는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 각이 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상방으로 배향되도록(즉, 화살표(30)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 및 도 12는 탠덤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120)를 도시한다. 즉,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제2 커넥터 부품(14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2 시트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제2 커넥터 부품(14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2 시트(141)를 도시하는 도 4 참조).
도 15 및 도 16은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한 하부 연장부(150)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구를 도시한다. 명확화를 위해,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의 작동 및 제1 측면 스트럿(122)에 부착된 하부 연장부(150)의 제1 지지 부재(152)의 작동만이 표시되거나 설명된다. 그러나, 하부 프레임부의 각각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이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152, 154)가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이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하부 프레임부(110)의 각각의 측면 스트럿은 이에 부착되는 회전 기구(1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장부(150)는 회전 기구(127)와 협조적으로 계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하부 연장부(150)는 회전 기구(127)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 기구(127)는 슬롯형 홈(12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장부(150)가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 회전됨에 따라, 하부 연장부(150)에 부착된 계합 기구(159)가 회전 기구(127)의 홈(129)과 협조적으로 계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연장부(150)의 계합 기구(159)는 접힘 및 펼침 위치 중 하나에 하부 연장부(150)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고 잠글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힘 위치로부터 펼침 위치로 하부 연장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 연장부(130)의 크로스 바(153)에 대한 하방으로의(즉, 화살표(40)의 방향으로의) 힘이 하부 연장부(150)의 이동에 영향을 미쳐 하부 연장부(150)를 펼침 위치로 상방으로(즉, 화살표(30)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연장부를 접힘 위치로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 연장부(130)의 크로스 바(153)에 대한 상방으로의(즉, 화살표(30)의 방향으로의) 힘이 하부 연장부(150)의 이동에 영향을 미쳐 하부 연장부(150)를 접힘 위치로 하방으로(즉, 화살표(40)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부 연장부(150) 상에 버튼(158)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158)은, 예를 들면,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한 하부 연장부(150)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158)은 계합 탭(159)에 협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158)에 대한 하방 압축력은 하부 연장부(150)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하부 연장부(150')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반적으로 하부 연장부(150')는 독립적인 한 쌍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을 포함한다. 다시, 하부 연장부(150')(즉,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는 하부 연장부(150')를 접힘 또는 펼침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유모차(10)의 하부 프레임부(120)에 대하여(즉, 화살표(30, 40)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하부 연장부(150)의 제2 커넥터 부품(140)과 비교하면,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하부 연장부(150')의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독립적이며(즉,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 중 대응하는 하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특정 구성에서, 하부 연장부(150')(즉, 각각의 개별 제2 커넥터 부품(140'))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부(120)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 부품(140') 중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1 제2 커넥터 부품)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2)에 회전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품(140') 중 다른 하나(예를 들면, 도시된 쌍 중 제2 제2 커넥터 부품)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측면 스트럿(124)에 회전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하부 프레임부(120)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122, 124)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접힘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이 하부 프레임부의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거나 접힘 가능할 수 있는 것도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도 17에서, 하부 연장부(150')(즉, 각각의 개별 제2 커넥터 부품(140'))는 접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접힘 위치에서,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하방으로 배향되도록 회전되거나 접힌다. 이에 따라, 도 17은 단일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120)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에서, 하부 연장부(150')(즉, 각각의 개별 제2 커넥터 부품(140'))는 펼침 또는 상방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펼침 위치에서, 각각의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상방으로(즉, 화살표(30)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8 및 도 19는 탠덤 시트 구성의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부(120)를 도시한다. 즉, 제2 커넥터 부품(140)은 제2 커넥터 부품(140)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2 시트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이 허용하는 범위를 넓게 청구하도록 의도되고 명세서가 마찬가지로 판독되도록 의도된다. 즉,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당업계의 기술 내에서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반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과도한 실험 없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같은 다양한 응용에 대해 쉽게 수정하고/하거나 구성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일반적인 특성을 완전히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및 수정은, 본원에 제시된 교시 및 지침을 기초로, 개시된 실시예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의 문구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어서 본 명세서의 용어 또는 문구가 교시 및 지침의 관점에서 당업자에 의해 해석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부품, 방법 단계 및 재료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균등한 부품, 단계 및 재료의 대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부품의 크기 및 강도는 특정 목적을 위해 필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원의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균등한 부품, 방법 단계 및 규모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부; 및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1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1 측면 스트럿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1 측면 스트럿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2 측면 스트럿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2 측면 스트럿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은 각각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품 중 제1 제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1 측면 스트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품 중 제2 제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2 측면 스트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2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하부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품은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장부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로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1 측면 스트럿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2 측면 스트럿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 바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품은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유모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품은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유모차.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품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품 사이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은 각각 최상 위치 및 최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은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커넥터 부품의 각각의 상방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커넥터 부품의 각각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은 각각 상기 최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전방단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최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기 전방단 및 후방단 사이에 위치되는, 유모차.
  11. 단일 시트 구성 및 탠덤 시트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한 모듈식 유모차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
    하부 프레임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하부 연장부로서, 상기 하부 연장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접힘 위치 및 상기 하부 연장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각이 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이 상방으로 배향되는 펼침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2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장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은 상기 하부 연장부의 원위단에 위치되는, 유모차.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시트 구성의 최하 위치 및 상기 탠덤 시트 구성의 최상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을 더 포함하는 유모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연관된 제1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유모차.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의 상방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부품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모차.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부품은 상기 최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전방단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최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기 전방단 및 후방단 사이에 위치되는, 유모차.
  19. 제1 시트;
    제2 시트; 및
    유모차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면 스트럿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1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커넥터 부품; 및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2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면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제1 커넥터 부품의 슬라이드 이동이 지연되는, 유모차 시스템.
KR1020207023695A 2018-01-17 2019-01-16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KR20210008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73,378 US10449987B2 (en) 2018-01-17 2018-01-17 Tandem stroller with sliding carriage
US15/873,378 2018-01-17
PCT/US2019/013745 WO2019143656A1 (en) 2018-01-17 2019-01-16 Tandem stroller with sliding carri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465A true KR20210008465A (ko) 2021-01-22

Family

ID=6532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695A KR20210008465A (ko) 2018-01-17 2019-01-16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49987B2 (ko)
EP (1) EP3740415A1 (ko)
KR (1) KR20210008465A (ko)
CN (1) CN112135765B (ko)
WO (1) WO2019143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7771B2 (en) 2008-12-04 2023-02-14 Baby Jogger, LLC Removable seat attachment for a stroller
US9944305B2 (en) * 2008-12-04 2018-04-17 Baby Jogger, LLC Removable seat attachment for a stroller
US9889872B2 (en) * 2016-03-28 2018-02-13 Ignio LLC Multi-function mobility device
CN109689473A (zh) 2016-07-27 2019-04-26 考可拉夫特公司 可折叠童车和相关方法
WO2018022889A1 (en) * 2016-07-27 2018-02-01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with remov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EP3490875A4 (en) * 2016-07-27 2020-04-15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 with removable seats and related procedures
US11052934B2 (en) 2017-07-27 2021-07-06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and related methods
CA3025155C (en) * 2017-12-06 2023-01-10 Britax Child Safety, Inc. Universal construction stroller
US10829141B2 (en) * 2018-07-03 2020-11-10 Zhongshan Aifubao Daily Products Co., Ltd. Trailer for stroller
GB2585469B (en) * 2019-05-07 2023-06-07 Wonderland Switzerland Ag Multi child stroller
US11225279B2 (en) * 2019-05-09 2022-01-18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eat and foldable stroller thereof
US11370468B2 (en) * 2019-06-06 2022-06-28 David Young Modular stroller platform
WO2021140046A1 (en) * 2020-01-09 2021-07-15 Wonderland Switzerland Ag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baby carriage
EP4157693A1 (en) * 2020-05-29 2023-04-05 Wonderland Switzerland AG Convertible child stroller system with auxiliary basket
CN113844525A (zh) * 2020-06-28 2021-12-2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其座椅高度调整机构
US11897534B2 (en) 2020-10-14 2024-02-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Wagon stroller, systems, and methods
CN112550420A (zh) * 2020-12-19 2021-03-26 段文林 一种双胞胎婴儿车用车架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284B2 (en) * 2000-09-22 2003-07-01 Lisa A. Sweeney Child stroller with height-adjustable rear seat
NO315230B1 (no) 2001-10-22 2003-08-04 Stokke As Trille
US20060290107A1 (en) * 2004-07-30 2006-12-28 Powers Rebecca L Child-scalable stroller
US7832755B2 (en) 2005-09-16 2010-11-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odular chassis for stroller
US8371606B2 (en) 2007-04-13 2013-02-12 Phil And Teds Most Excellent Buggy Company Limited Collapsible two seat perambulator
IL183033A (en) 2007-05-07 2012-10-31 Babyjogger Llc Adjustable stroller with single seat or multiple seats
US7789402B2 (en) * 2007-06-01 2010-09-0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seat height adjustment
WO2009039537A2 (en) * 2007-09-23 2009-03-26 Alieza Combrink Pushchair
US8231136B2 (en) 2008-08-21 2012-07-31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different types of infant carriers on a support structure
CN103921830B (zh) 2008-12-04 2016-05-25 戴那米克品牌股份有限公司 用于手推童车的座椅附接件
US8033554B2 (en) 2008-12-17 2011-10-11 Monahan Products, LLC Stroller system
ES2522641T3 (es) 2008-12-19 2014-11-17 Britax Childcare Pty Ltd. Mejoras en un cochecito de niños plegable
EP2258601B1 (en) * 2009-06-02 2018-04-25 Nuna International B.V. System and method for detachably mounting an infant carrier device on a support structure
CN101987630B (zh) 2009-07-29 2013-01-0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双人座婴儿车架
US9193372B2 (en) 2010-10-21 2015-11-2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stroller apparatus
US8727370B2 (en) * 2011-05-12 2014-05-20 Baby Trend Inc. Foldable stroller with rotatable leg rest adapted for receiving a car seat
CN102991560B (zh) * 2011-09-08 2016-01-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架及其小腿靠装置
US20130087993A1 (en) * 2011-10-06 2013-04-11 Gwendolyn M. Jacquet Convertible Stroller
GB2502873B (en) * 2012-04-10 2018-11-07 Wonderland Switzerland Ag Tandem stroller with detachable height-adjustable rear seat
US9399477B2 (en) 2012-12-27 2016-07-26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child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CN103072612B (zh) * 2013-01-05 2015-08-0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单双人转换的儿童推车
CN103909960B (zh) * 2013-01-07 2016-05-25 考可拉夫特公司 容易操纵的婴儿车
US8967647B1 (en) 2013-09-12 2015-03-03 Monahan Products, LLC Suspension system for child stroller
US10145159B2 (en) 2013-12-05 2018-12-04 Monahan Products, LLC Collapsible child conveyance device
CN204137084U (zh) 2014-05-29 2015-02-04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用于推车的铰链和可折叠推车
USD747669S1 (en) 2014-07-22 2016-01-19 Dongguan Wenjian Golf Products Co., Ltd. Stroller frame
CN203996380U (zh) * 2014-07-25 2014-12-10 英属维京群岛商贯新企业股份有限公司 一种婴儿手推车的睡篮或座椅调节机构
WO2016025690A1 (en) 2014-08-14 2016-02-18 Baby Jogger, LLC Baby stroller
EP3170718B1 (en) * 2015-11-18 2020-01-15 BOR LI Co., Ltd. Baby stroller with a suspension unit
CN105644604A (zh) * 2015-12-29 2016-06-08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一种座椅高度可调的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49987B2 (en) 2019-10-22
WO2019143656A1 (en) 2019-07-25
US20190217879A1 (en) 2019-07-18
CN112135765A (zh) 2020-12-25
EP3740415A1 (en) 2020-11-25
CN112135765B (zh)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8465A (ko)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US9815487B2 (en) Compact foldable stroller with one-handed fold control
US8505956B2 (en) Stroller
US8596670B2 (en) Stroller
CA2747754C (en)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US7390012B2 (en) Folding baby buggy
CN102083675B (zh) 可折叠的婴儿车
EP2691284B1 (en) Collapsible pushchair
US11001289B2 (en)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US8256792B2 (en) Stroller with fold-down tray for receiving a car seat
JP2020203678A (ja) 折り畳み式三輪車
EP2906457A1 (en) Collapsible pushchair
CN102448792A (zh) 手推童车或手推车
CN104442981B (zh) 能够在展开位置和折叠位置之间移动的平折推车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CN203032736U (zh) 可折叠的儿童推车
CN216102336U (zh) 婴儿手推车
TWI555661B (zh) 嬰兒推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