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190A - 영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190A
KR20160044190A KR1020140138821A KR20140138821A KR20160044190A KR 20160044190 A KR20160044190 A KR 20160044190A KR 1020140138821 A KR1020140138821 A KR 1020140138821A KR 20140138821 A KR20140138821 A KR 20140138821A KR 20160044190 A KR20160044190 A KR 2016004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gon
handle
floor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현
Original Assignee
임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현 filed Critical 임종현
Priority to KR102014013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4190A/ko
Publication of KR2016004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2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영유아를 태워 이동하는 영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이 가변되어 부피를 줄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고, 그 가변 형태가 다양해 벤치와 같은 의자 형상으로도 가변되며, 사용자가 웨건을 이동 시에 보다 수월하게 조향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영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유아용 웨건{BABY WAG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영유아를 태워 이동하는 영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이 가변되어 부피를 줄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고, 그 가변 형태가 다양해 벤치와 같은 의자 형상으로도 가변되며, 사용자가 웨건을 이동 시에 보다 수월하게 조향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영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집에는 가정마다 외출 및 나들이 시 영유아를 태우는 유모차 등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유모차는 한 요람에 한명의 영유아만을 태워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영유아의 움직임을 제한적으로 고정해 영유아가 불편함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레같은 형상의 웨건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 힘들고 또한 조향장치가 없거나, 부실하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은 영유아 및 영아를 동반하여 외출,산책할 때 유모차로 사용하고 자동차를 이용하여 여행을 할 때는 카시트로 사용하며 간단한 물품을 운반할 때는 운반용 수레로 사용이 편리한 카시트와 운반용 수레로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그 부피가 커 차량 또는 가정에서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조향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 2는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영유아를 태우거나, 각종 쇼핑이나 짐을 운반하기 위한 카트(cart)기능을 부여하여 짐을 이송, 운반하기 위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유모차를 사용함에 있어, 계단 등과 같이 단차진 곳을 간편,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휠이 구성되어 유영유아를 태워 끌고 다니는 유모차 기능과, 짐을 실어 이송, 운반하는 기능 등의 다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문헌 2는 다자녀 가구에서 사용하기에는 한명의 자녀만을 태울 수 있어 불편함이 있고, 요람에 영유아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보다 영유아가 불편함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3은 유모차 겸용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조작하여 요람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문헌 1 및 2 와 같이 영유아를 요람에 태워 고정시키기 때문에 영유아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다자녀 가구에서 여러명의 영유아를 동시에 태워 이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 및 부피가 상당하기 때문에 보관에 있어 용이하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38219호 선행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39018호 선행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25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명의 자녀가 만을 태울 수 있던 요람의 공간에 대한 문제점 및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향장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공간을 확보 했을 시 보관이 수월해 가정 및 차량에 손쉽게 수납할 수 잇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단순 유모차와 같이 운반 용도 외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유아 및 짐을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영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으로서, 영유아 및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웨건 프레임, 상기 웨건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웨건 프레임 저면 방향에 형성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웨건 프레임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영유아 및 짐이 이탈하지 않도록 탈부착 가능한 커버를 구비해 상면을 제외한 면이 밀폐되고, 상기 웨건 프레임은 접이식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용 웨건은 전용 시트에 영유아를 고정하지 않고, 넓은 박스 형상의 웨건 프레임을 구비하기 때문에 영유아가 탑승 시 불편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용 웨건은 접이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보관이 수월하다는 특징이 있어 사용자가 가정 또는 차량에 보관하여 이동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용 웨건은 단순 보관용으로만 가변되지 않고, 벤치와 같은 형상으로 가변되어 앉을 수 있는 의자 역할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용 웨건은 이동수단에 조향부가 구비되어 손쉽게 조향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전면 및 후면에 손잡이부가 각각 구비되고 특히 전면 손잡이부는 조향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이 접이식으로 가변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이 접이식으로 가변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이 접이식으로 가변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은 웨건 프레임(100), 손잡이부, 커버(600), 이동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다 정확한 전달을 위해 도면에 기재된 전면, 후면, 좌측 및 우측과 같은 방위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의 웨건 프레임(100)은 영유아 및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웨건 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저면에 구비되는 바닥 프레임(110), 상기 바닥 프레임(110) 전면에 구비되는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 상기 바닥 프레임(110) 후면에 구비되는 "ㄷ"형상의 후면 프레임(130) 및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전면 및 후면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전면 및 후면 방향의 일단 및 타단에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이 힌지 연결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전면 방향 끝단은 “ㄷ”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이 힌지 연결 된다. 이때, 상기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은 “ㄷ”골의 내측면 하단과 힌지 연결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ㄷ”형상으로 구비되고, “ㄷ”형상의 내측 골 하측이 바닥 프레임(110) 전면 방향 끝단과 힌지 연결된다. 이때, 수평한 바닥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힌지 연결된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은 수직으로 구비되고, 바닥 프레임(110)의 상면 방향인 내측으로 힌지 운동한다. 또한, 상기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은 내측으로 힌지 운동 되지만 대항하는 방향인 전면 방향으로는 힌지 운동 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은 바닥 프레임(110) 방향인 웨건 프레임(100) 내측으로 힌지 운동하여 가변하고, 바닥 프레임(1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90°이상 힌지운동 되지않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의 힌지 운동 범위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바닥 프레임(110) 방향인 90°로 힌지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프레임(130)은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과 대칭되는 방향에 바닥 프레임(110)의 후면에 같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전면에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에 구비되는 “ㄷ”형상의 후면 프레임(130)이 구비되고,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의 하측은 바닥 프레임(110)의 일단 및 타단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된 일단 및 타단의 힌지 운동 범위는 수직으로부터 바닥 프레임(110)까지인 90° 각도의 힌지 운동 범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중심을 기준으로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으로 구획되고, 상기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은 서로 바닥 힌지부(113)를 통해 힌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중심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구획되어 전면 방향에 구비되는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방향에 구비되는 후면 바닥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은 서로 바닥 힌지부(113)를 통해 횡방향으로 힌지 연결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바닥 힌지부(113)를 통해 힌지 운동 시 전면 바닥 프레임(111)의 전면 끝단과 후면 바닥 프레임(112)의 후면 끝단이 서로 하측 방향으로 힌지 운동하여 접히게 된다. 즉, 상기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은 힌지 연결된 부분이 상측으로 상승하고 힌지 연결된 부분에 대항하는 양 끝단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접히게 된다.
요컨데, 웨건 프레임(100)은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으로 구획되어 바닥 힌지부(113)를 통해 서로 힌지 연결되는 바닥 프레임(110),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전면 단과 힌지 연결되는 전면 프레임(120) 및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후면 단과 힌지 연결되는 후면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힌지 운동범위를 갖기 때문에 웨건 프레임(100)을 펼쳤을 때에는 바구니 형상으로 구비되어 바닥 프레임(110) 상측에 영유아를 태울 수 있고, 웨건 프레임(100)을 가변하여 접을 시에는 전면 프레임(120)의 “ㄷ”형상의 골 내측에 전면 바닥 프레임(111)이 삽입되며, 후면 프레임(130)의 “ㄷ”형상의 골 내측에 후면 바닥 프레임(112)이 삽입되고, 바닥 프레임(110)은 중심 횡축이 상측 방향으로 힌지 운동하여 “W"형상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힌지 운동하여 부피가 줄었을 때에 “ㄷ”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의 돌출된 끝단과 “ㄷ”형상으로 구비되는 후면 프레임(130)의 끝단이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은 “ㄷ”형상으로 구비되지만, 그 형상이 반드시 “ㄷ”형상 수직 기둥 일 필요는 없고. 상단 및 하단이 “ㄷ”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를 서로 수직하는 프레임으로 연결하는 것이면 족하다. 상세하게는,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130)은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ㄷ"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ㄷ"형상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ㄷ"형상의 프레임 및 살 프레임은 각각 두개 이상 구비된다. 즉, “ㄷ”형상의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은 “ㄷ”형상인 면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ㄷ”형상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으로 각각 구비되어 이를 수직하는 프레임으로 연결하는 형상으로 구비해 프레임 자체 무게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상면을 제외한 면에 커버(60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60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탈부착 수단으로 밸크로, 단추, 끈 등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600)는 웨건 프레임(100) 상면을 제외한 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커버(600)가 구비되어 체결되고, 상기 커버(600)의 내측에는 쿠션과 같은 보강제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보강제는 다양한 재료로 구비될 수 있지만, 푹신푹신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600)는 바닥 프레임(110), 전면 프레임(120), 후면 프레임(130) 및 측면 프레임(150)을 각각 둘러 감싸는 쿠션 형상으로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호면 프레임은 “ㄷ”형상의 양 끝단에 각각 자석부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석부는 전면 프레임(120)의 “ㄷ”형상의 돌출된 양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자석부(700) 및 후면 프레임(130)의 “ㄷ”형상의 돌출된 양 끝단에 구비되는 제 2 자석부(750)를 포함하고, 구비 웨건 프레임(100)이 “W”형상으로 가변 시 전면 프레임(120)에 구비되는 제 1 자석부(700) 및 후면 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제 2 자석부(750)가 서로 접하게 되어 체결된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바닥 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바닥 프레임(110)의 좌측단에 힌지 연결되는 좌측 프레임 및 바닥 프레임(110)의 우측단에 힌지 연결되는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바닥 프레임(110)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힌지 연결되어 바닥 프레임(110)의 상면으로 힌지 운동할 수 있고, 그 힌지 운동 범위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수직을 기준으로 바닥 프레임(110)의 상면 방향으로 90°각도로 힌지 운동한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바닥 프레임(110)이 힌지 운동하여 가변 할 수 있도록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에 각각 구획되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전면 바닥 프레임(111)과 힌지 연결되는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과 힌지 연결되는 제 2 측면 프레임(15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151)은 전면 바닥 프레임(111)의 우측 및 좌측단과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152)은 후면 바닥 프레임(112)의 우측 및 좌측단과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바닥 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으로 힌지 운동할 수 있으며, 바닥 프레임(110)이 가변하여 접힐 수 있도록 전면 바닥 프레임(111)에 구비되는 제 1 측면 프레임(151)과 후면 바닥 프레임(112)에 구비되는 제 2 측면 프레임(152)으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은 바닥 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총 네 개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네 개로 구획되는 측면 프레임(150)은 바닥 프레임(110)의 상면 방향으로 힌지 운동하여 가변된다. 이때, 상기 네 개로 구비되는 측면 프레임(150)은 보다 수월하게 힌지 연결할 수 있고, 그 무게를 줄이일 수 있도록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펼쳐서 사용할 때에는 바구니 형상으로 구비되어 바닥 프레임(110) 상면에 영유아를 태울 수 있고, 측면 프레임(150)이 내측으로 힌지 운동되어 벤치 형상으로 가변되기 때문에 영유아 및 사용자가 의자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W"형상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관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웨건 프레임(100)을 ”W"형상으로 접을 시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부가 서로 인접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가변 및 보관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영유아용 웨건은 측면 프레임(150)이 웨건 프레임(100)의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도 힌지 운동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150)은 웨건 프레임(100)의 내측 및 외측 으로 힌지 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영유아용 웨건은 웨건 프레임(100)의 저면에 이동수단(30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수단(300)은 바퀴로 구비될 수 있고,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의 하측에 각각 한쌍씩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수단(300)은 전면 프레임(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면 바퀴(310) 및 후면 프레임(130)의 하측에 구비되는 후면 바퀴(3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바퀴(310)는 전면 프레임(120) 하측에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고, 후면 바퀴(320)는 서로 이격되어 후면 프레임(130)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전면 프레임(120)의 전면에 수직방향의 원통형 조향 프레임(400)이 구비되고, 상기 조향 프레임(400)의 저면에 전면 바퀴(310)가 구비되어 수직축을 기준으로 전면 바퀴(310)가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정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조향 프레임(400)이 체결되고, 상기 조향 프레임(400)은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힌지 운동한다. 또한, 상기 조향 프레임(400)의 저면에 한 쌍의 전면 바퀴(310)가 구비되고, 조향 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여 조향장치 역할을 하게된다. 즉, 상기 전면 바퀴(310)는 서로 접하게 구비되고, 후면 바퀴(320)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웨건 프레임(100)을 "W"형상으로 가변 하여 접을 시에도 전면 바퀴(310) 및 후면 바퀴(320)가 서로 간섭하지 않게되는 특징이 있고, 조향 프레임(400) 및 조향 프레임(4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면 바퀴(310)로 인하여 보다 수월하게 운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면 바퀴(310) 및 후면 바퀴(320)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 제동할 수 있는 제동부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동부는 사용자가 발로 제동할 수 있도록 하측에 구비되어 바퀴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동부는 공지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은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밀거나 당겨 운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20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손잡이부(200)는 전면 손잡이부(210) 및 후면 손잡이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손잡이부(210)는 조향 프레임(400)에 체결되고, 후면 손잡이부(220)는 후면 프레임(130)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손잡이부(210)는 손잡이몸체부(211) 및 손잡이머리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몸체부(211)는 일단이 조향 프레임(400)과 횡축 방향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 하 운동하며, 타단은 손잡이머리부(212)가 힌지연결된다. 또한, 후면 손잡이부(220)는 “ㄷ”형상으로 구비되어 후면 프레임(130)에 체결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손잡이몸체부(211)는 일단이 조향 프레임(400)과 횡축 방향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어 손잡이머리부(212)를 사용해 조향 프레임(400)을 수직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상측 전면 방향에 홈이 구비된 거치부(410)가 더 구비되어 전면 손잡이부(210)를 힌지운동 시켜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 프레임(120) 상측 전면에 전면 손잡이부(210)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홈이 형성된 거치부(410)가 구비되어 전면 손잡이부(210)의 일단을 힌지 운동시켜 전면 손잡이부(210)를 거치부(410)의 홈에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고, 후면 프레임(130)은 “ㄷ”형상의 후면 손잡이부(220)가 상측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프레임(130)은 수직하는 두 개의 프레임이 체결되고, 상기 수직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후면 손잡이부(220)의 “ㄷ”형상의 양 끝단이 힌지 연결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하는 두 개의 프레임은 일단이 후면 프레임(130)과 연결되고, 타단은 후면 손잡이부(220)와 힌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직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후면 손잡이부(220)는 사용자가 인력을 사용하여 수월하게 웨건 프레임(100)을 밀 수 있도록 그 힌지 운동범위가 과도하게 하측으로 힌지 운동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몸체부(211)는 일단이 조향 프레임(400)과 체결되지 않고, 손잡이 몸체부(211)의 전면 프레임(111)과 힌지 연결되어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힌지운동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은 펼쳤을 때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클립부(800)를 더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이 힌지 연결되어 힌지 운동하기 때문에 측면 프레임(150)이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데, 이때,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을 서로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클립부(80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은 제 1 측면 프레임(151) 및 제 2 측면 프레임(152) 중 서로 접하게 구비되는 기둥 프레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클립부(800)가 구비된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W"형상으로 가변 시 보다 사용자가 수월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과 연결되는 힌지부의 횡축 양 끝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50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그립부(500)는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이 구비되고, 힌지부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사용자가 그립부(500)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 바닥 프레임(110)을 보다 수월하게 바닥 프레임(110)을 가변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웨건은 “ㄷ”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의 내측 골에 바닥 프레임(110)이 가변되어 삽입 되기 때문에 “W"형상으로 가변 시 부피가 최소한으로 적어지게 되고, ”ㄷ“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이 체결되어 내측에 바닥 프레임(110)이 위치하기 때문에 ”W"형상으로 가변하여 보관 시 웨건 프레임(100)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은 서로 자석부로 체결되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고 안전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500)가 구비되어 바닥 프레임(110)을 보다 수월하게 "W"형상으로 가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 웨건 프레임 110 : 바닥 프레임
101 : 전면 바닥 프레임 102 : 후면 바닥 프레임
120 : 전면 프레임 130 : 후면 프레임
150 : 측면 프레임 151 : 제 1 측면 프레임
152 : 제 2 측면 프레임 200 : 손잡이부
210 : 전면 손잡이부 211 : 파지부
220 : 후면 손잡이부 300 : 이동수단
310 : 전면 바퀴 320 : 후면 바퀴
400 : 조향 프레임 410 : 거치부
500 : 그립부 600 : 커버
700: 제 1 자석부 750 : 제 2 자석부
800 : 클립부

Claims (7)

  1. 영유아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영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구된 웨건 프레임(100);
    상기 웨건 프레임(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웨건 프레임(100) 저면 방향에 형성되는 이동수단(300); 및
    상기 웨건 프레임(100)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W"형상으로 가변되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저면에 구비되는 바닥 프레임(110); 및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150)은 바닥 프레임(110)과 힌지 연결되어 웨건 프레임(1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힌지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111)은 전면 바닥 프레임(112)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으로 구획되고,
    상기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은 바닥 힌지부(113)를 통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은 서로 대항하는 양 끝단이 하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힌지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건 프레임(100)은
    바닥 프레임(110)의 전면에 연결되는 전면 프레임(120) 및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후면에 연결되는 후면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30)은 전면 바닥 프레임(111) 및 후면 바닥 프레임(112)과 각각 힌지 연결되어 웨건 프레임(100) 내측으로 힌지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건 프레임(100)이“W"형상으로 가변 시 전면 프레임(120)의 제 1 자석부(700)와 후면 프레임(130)의 제 2 자석부(750)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전면에 수직 방향의 조향 프레임(400)이 구비되고, 상기 조향 프레임(400)의 하측에 전면 바퀴(310)가 체결되어, 전면 바퀴(310)가 조향 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후면에 구비되는 후면 손잡이부(220) 및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손잡이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손잡이부(210)는 손잡이몸체부(211) 및 손잡이머리부(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몸체부(211)는 일단이 조향 프레임(400)과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머리부(212)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전면 손잡이부(21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웨건.
KR1020140138821A 2014-10-15 2014-10-15 영유아용 웨건 KR20160044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21A KR20160044190A (ko) 2014-10-15 2014-10-15 영유아용 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21A KR20160044190A (ko) 2014-10-15 2014-10-15 영유아용 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190A true KR20160044190A (ko) 2016-04-25

Family

ID=5591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21A KR20160044190A (ko) 2014-10-15 2014-10-15 영유아용 웨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41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76Y1 (ko) 2016-11-09 2017-04-12 이형은 유아용 웨건
KR101890285B1 (ko) * 2018-01-15 2018-08-22 (주)나재 베이비 웨건으로 변형 가능한 캐리어
WO2019164136A1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에이케이 접이식 왜건
CN113895493A (zh) * 2020-06-22 2022-01-07 宁波麦得赛维贸易有限公司 宠物承装装置及其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76Y1 (ko) 2016-11-09 2017-04-12 이형은 유아용 웨건
KR101890285B1 (ko) * 2018-01-15 2018-08-22 (주)나재 베이비 웨건으로 변형 가능한 캐리어
WO2019164136A1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에이케이 접이식 왜건
CN113895493A (zh) * 2020-06-22 2022-01-07 宁波麦得赛维贸易有限公司 宠物承装装置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945B2 (ja) 多目的な車輪付き運搬具
US6676140B1 (en) Expandable stroller
US9918561B2 (en) Access optimized child support device
US7497461B2 (en) Multi-use convertible infant carrying device
US3550998A (en) Foldable carriage and infant seat combination
EP2916795B1 (en) Improved rollator
US8322745B2 (en) Tandem stroller frame
US5722594A (en) Convertible child stroller/package carrier
US9756962B2 (en)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US20100072731A1 (en) Modular Stroller
US9010769B1 (en) Shopping cart attachment frame apparatus
KR20160044190A (ko) 영유아용 웨건
RU2707851C1 (ru) Прогулочная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US20100052373A1 (en) Wave infant car seat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US6607200B1 (en) Stroller device
KR101852292B1 (ko) 어린이 승용차 겸용 여행가방
US2544099A (en) Child's cart
KR20190062117A (ko)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GB2541123B (en) A wheeled bag suitable for attaching to a buggy
JP3164669U (ja) 乳母車の車体フレーム
JP4279969B2 (ja) 携帯ベビーカー
CN203739947U (zh) 婴儿推车购物车
KR200206910Y1 (ko) 다목적 유모차
KR20120001229U (ko) 유모차 겸용 여행용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