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17A -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17A
KR20190062117A KR1020180047312A KR20180047312A KR20190062117A KR 20190062117 A KR20190062117 A KR 20190062117A KR 1020180047312 A KR1020180047312 A KR 1020180047312A KR 20180047312 A KR20180047312 A KR 20180047312A KR 20190062117 A KR20190062117 A KR 2019006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seat
infants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현
강보영
Original Assignee
임종현
강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현, 강보영 filed Critical 임종현
Publication of KR2019006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6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push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는 매트릭스와, 판 형상의 제1좌판 내지 제3좌판, 상기 제1좌판의 양 측면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수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제1측판, 상기 제2좌판의 양 측면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3측판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제2측판, 상기 제3좌판의 양 측면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제2측판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고 타단은 제2측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제2측판의 수용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제3측판, 그리고 등받이부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아용품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도 보관이 가능하며, 기존에 각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Multifunctional chair for infants and childre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유식 의자, 침대, 베이비 카트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집은 가정마다 이유식 의자, 영유아용 침대, 베이비 카트, 및 유모차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들 각 유아용품은 각자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모두 구비할 경우 집 공간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영유아는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그 사용기간이 매우 짧을 수밖에 없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모든 용품을 구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중고제품을 렌탈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위생적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고,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캠핑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나, 유아의 경우 이유식 의자, 침대, 베이비 카트, 유모차를 모두 가지고 가기 어렵고, 모두 가지고 간다 하여도 각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팩킹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유아 및 영아를 동반하여 외출, 산책할 때 유모차로 사용하고 자동차를 이용하여 여행을 할 때는 카시트로 사용하며 간단한 물품을 운반할 때는 운반용 수레로 사용이 편리한 카시트와 운반용 수레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기술(특허문헌1)이 있다. 그러나 이는 부피가 커 차량 또는 가정에서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조향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에 관한 기술이 있다(특허문헌2). 이는 영유아를 태우거나, 각종 쇼핑이나 짐을 운반하기 위한 카트(cart)기능을 부여하여 짐을 이송,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유모차를 사용함에 있어, 계단 등과 같이 단 차진 곳을 간편,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휠이 구성되어 영유아를 태워 끌고 다니는 유모차 기능과, 짐을 실어 이송, 운반하는 기능 등의 다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는 유모차에 관한 기술로 영유아가 타는 곳에 단순히 짐을 실을 수 있도록 한 것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다기능성을 갖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유모차 겸용 요람에 관한 기술이 있다(특허문헌3). 이는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조작하여 요람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특허문헌1 및 2와 같이 영유아를 요람에 태워 고정시키기 때문에 영유아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부피가 상당하기 때문에 보관에 있어 용이하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유아용 부스터에 유아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릭스를 마련하여, 필요시 유아들이 침대를 이용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변기를 마련함으로써 유아들의 배변활동을 보다 친숙하게 도와줄 수 있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에 관한 기술(특허문헌4)도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유모차는 유아가 탑승한 채로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영유아가 걸음마를 배우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걸음마 보조기를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3821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3901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825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853호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유식 의자, 침대, 베이비 카트 및 유모차로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를 걸음마 보조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는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구비한 매트릭스(10)와, 상기 매트릭스(10)가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 판 형상의 제1좌판(21), 제2좌판(22) 및 제3좌판(23), 상기 제1좌판(21)의 양 측면에 제1좌판(21)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면 내부에는 제2측판(32)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제1측판(31), 상기 제2좌판(22)의 양 측면에 제2좌판(22)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측판(31)의 개방부를 통해 제1측판(31)의 수용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제1측판(31)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1측판(31)의 수용부 내부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개방면 내부에는 제3측판(3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제2측판(32), 상기 제3좌판(23)의 양 측면에 제3좌판(23)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제2측판(32)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고 타단은 제2측판(32)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제2측판(32)의 수용부 내부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제3측판(33) 및 상기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 일면에 구비된 등받이부(40)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40)에는 상부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는 손잡이부(410)가 추가로 구비하고, 제1측판(31), 제2측판(32) 및 제3측판(33)은 고정수단(34)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1측판(31) 내부로 제2측판(32)이 수용되고, 제3측판(33) 내부로 제1측판(31) 및 제2측판(32)이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수단(34)은 두 개 이상의 관통홀(35) 및 한 개 이상의 고정핀(36)으로 구성한다.
또한, 테이블판을 더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좌판(21), 제2좌판(22) 및 제3좌판(23) 중 어느 한 쌍에는 테이블판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어 테이블판(60)을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판(60)은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결합되어, 영유아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등받이부(40)는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의 일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에 의하면, 유아용품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도 보관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각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경제적이며, 영유아가 성장한 이후에도 베이비 카트 등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자체를 장난감으로 활용하거나, 장난감 보관함 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에 의하면, 테이블판과 손잡이를 이용하여 유아가 안정되게 의자로 사용하여 낙상을 방지하고 걸음마 보조기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100)는 매트릭스(10), 제1좌판(21), 제2좌판(22), 제3좌판(23), 한 쌍의 제1측판(31), 제2측판(32), 제3측판(33), 등받이부(40) 및 이동수단(50)을 포함한다.
매트릭스(10)는 다수 개의 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2개의 접이부를 구비할 수 있으나 접이부는 제품 크기 및 기능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는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트릭스(10)는 영유아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적당한 쿠션감을 가짐과 동시에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강도를 가지고 있다. 매트릭스(10)는 라텍스, 고무, 스펀지, 스티로폼, 메모리폼, EVA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매트릭스(10)는 침대 형태로 확장되면 접이식을 펼쳐 사용함으로써 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매트릭스(10), 좌판(20) 및 등받이부(40)에는 벨크로 등 결합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매트릭스(10)를 고정하거나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10)의 등받이부(40) 또는 착석 부분에 2개의 매트릭스(10)를 겹쳐서 배치할 수도 있으므로 매트릭스(10) 자체에도 밸크로 등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매트릭스(10)의 접힌 두 면이 탈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100)는 이용자가 착석하는 좌판(20)을 구비하며, 좌판(20)은 제1좌판(21), 제2좌판(22) 및 제3좌판(23)으로 총 3개의 좌판(20)으로 구비된다. 좌판(20) 상부에는 매트릭스(10)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의자를 확장하여,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 제1좌판(21) 내지 제3좌판(23) 위에 매트릭스(10)를 펼친 상태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가 앉거나 눕는 공간을 위하여 양 옆으로는 측판이 구비되며, 측판(30)은 제1측판(31), 제2측판(32) 및 제3측판(33)이 각각 2개씩 총 6개로 구비된다.
제1측판(31)은 제1좌판(21)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제1좌판(21)의 양 옆에 각각 한 개씩 총 두 개가 결합된다. 제1측판(31)은 일단면에 개방면을 형성하고, 개방면 내부에는 수용부를 구비하여, 제2측판(32)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수용 또는 인출 할 수 있다.
제2측판(32)은 제2좌판(22)의 양 측면에 제2좌판(22)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제2좌판(22)의 양 옆에 각각 한 개씩 총 두 개가 결합된다. 일단이 상기 제1측판(31)의 개방면을 통해 제1측판(31)의 수용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제1측판(31)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1측판(31)의 수용부 내부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개방면 내부에는 제3측판(3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제2측판(32)의 수용부에 제3측판(33)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수용 또는 인출 할 수 있다.
제3측판(33)은 제3좌판(23)의 양 측면에 제3좌판(23)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제3좌판(23)의 양 옆에 각각 한 개씩 총 두 개가 결합된다. 제3측판(33)은 일단이 제2측판(32)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고 타단은 제2측판(32)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제2측판(32)의 수용부 내부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1측판(31), 제2측판(32) 및 제3측판(33)은 고정수단(34)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1측판(31) 내부로 제2측판(32)이 수용되고, 제2측판(32) 내부로 제3측판(33)이 수용된 상태, 즉 의자의 형태로 축소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4)은 두 개의 관통홀(35) 및 한 개의 고정핀(36)일 수 있으며, 두 개의 관통홀(35)은 제2측판 및 제3측판(33)에 구비되고, 제1측판(31)에는 고정핀(36)을 구비하여 고정핀(36)을 제2측판 및 제3측판(33)에 구비된 관통홀(35)로 삽입하여, 고정 시킬 수 있다(도 9참조).
등받이부(40)는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 일면에 결합된 형태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40)는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의 확장되는 방향 끝단에 결합된다. 즉 제2측판은 제1측판(31) 내로 수용 또는 인출되고, 제3측판(33)은 제2측판 내로 수용 또는 인출되므로 여기서 ‘확장되는 방향 끝단’이란 측판(30)이 인출되는 방향의 끝단을 의미한다.
등받이부(40)에는 상부 방향으로 인출 할 수 있는 손잡이부(4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410)를 인출하여, 유모차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도 13 참조). 등받이부(40)는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의 일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 있으며(도 11 참조), 이에 따라 등받이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수단(50)은 제1측판(31) 및 상기 한 쌍의 제3측판(33)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의자로 접은 상태뿐 아니라 침대로 확장 시킨 상태에서도 무게가 제1측판(31) 및 제3측판(33)의 쪽으로 분산되므로 균형을 잡아 이동수단(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수단(50)은 바퀴, 휠, 또는 롤러일 수 있으나, 유모차, 이동형 의자, 이동형 가구 등에 사용되는 이동수단(50)을 사용될 수 있는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수단(50)의 전부 또는 일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본 발명을 유모차로 이용하는 경우 손잡이부(410)를 이용한 조향에 따라 방향 전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비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41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걸음마 보조기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유아가 무언가를 잡고 걷기 시작할 때쯤 유아의 손높이에 맞추어 손잡이부(410)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유아가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를 뒤에서 잡고 밀면 이동수단(50)의 구름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유아는 걸음마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도 13참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속도 조절부(미도시) 및 속도 조절 조작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속도 조절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속도 조절부가 이동수단(50)에 접촉하여, 이동수단(50)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속도 조절 조작부는 스크루로 구비 될 수 있으며, 스크루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속도 조절부가 이동수단(50)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수단(50)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력을 감소시켜 이동수단(50)의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마찰력을 높임에 따라 이동수단(50)을 멈춤 상태로 고정 시킬 수도 있으며, 이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사고 방지를 위해서 속도 조절 조작부 조절을 통해 이동수단(50)을 멈춤 상태로 고정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100)는 테이블판(6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테이블판(60)은 제1측판(31), 제2측판(32) 및 제3측판(3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결합부에 결합 될 수 있으며, 테이블은 유아가 음식을 섭취할 때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구비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이블판(60)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아 안전을 위하여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판은 결합부에 탈착할 수 있다. 결합부는 측판에 구비된 홈(62) 및 테이블판에 구비된 돌출부(61) 또는 반대로 테이블판에 구비된 홈(62) 및 측판에 구비된 돌출부(61)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61) 또는 홈(62)은 다수개로 형성되어 테이블의 결합 위치를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 될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 테이블판(60)은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도 8) 또는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도 7) 장착할 수 있으며,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장착된 경우 일단을 막음으로써 침대, 카트 또는 유모차로 사용할 때 영유아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블판(60)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탈착할 필요 없이 필요한 경우 회전함에 따라 테이블 또는 낙상 방지를 위한 보호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100)는 상기 테이블판(60)을 수납할 수 있는 테이블판 수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블판 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판(60)을 사용하지 않을 때 테이블판(60)을 간소하게 보관할 수 있어,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100)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테이블판(60)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분실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매트릭스 20: 좌판
21: 제1좌판 22: 제2좌판
23: 제3좌판 210: 측판 손잡이
30: 측판 31: 제1측판
32: 제2측판 33: 제3측판
34: 고정수단 35: 관통홀
36: 고정핀 40: 등받이부
410: 손잡이부
50: 이동수단 60: 테이블판
61: 돌출부 62: 홈
100: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구비한 매트릭스(10);
    상기 매트릭스(10)가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 판 형상의 제1좌판(21), 제2좌판(22) 및 제3좌판(23);
    상기 제1좌판(21)의 양 측면에 제1좌판(21)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면 내부에는 제2측판(32)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제1측판(31);
    상기 제2좌판(22)의 양 측면에 제2좌판(22)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측판(31)의 개방부를 통해 제1측판(31)의 수용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제1측판(31)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1측판(31)의 수용부 내부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개방면 내부에는 제3측판(3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제2측판(32);
    상기 제3좌판(23)의 양 측면에 제3좌판(23)과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제2측판(32)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고 타단은 제2측판(32)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제2측판(32)의 수용부 내부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제3측판(33); 및
    상기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 일면에 구비된 등받이부(40);
    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0)에는 상부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는 손잡이부(41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31), 제2측판(32) 및 제3측판(33)은 고정수단(34)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1측판(31) 내부로 제2측판(32)이 수용되고, 제3측판(33) 내부로 제1측판(31) 및 제2측판(32)이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4)은 두 개 이상의 관통홀(35) 및 한 개 이상의 고정핀(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테이블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좌판(21), 제2좌판(22) 및 제3좌판(23) 중 어느 한 쌍에는 테이블판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어 테이블판(60)을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판(60)은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판(60)은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결합되어, 영유아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0)는
    제1좌판(21) 또는 제3좌판(23)의 일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KR1020180047312A 2017-11-28 2018-04-24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KR20190062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14 2017-11-28
KR20170160214 2017-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17A true KR20190062117A (ko) 2019-06-05

Family

ID=6684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312A KR20190062117A (ko) 2017-11-28 2018-04-24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1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551A (ko) 2021-05-25 2022-1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운동 상태 및 뇌파 분석을 통한 재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31897B1 (ko) * 2022-05-16 2023-05-12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접이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19A (ko) 1998-12-04 2000-07-05 김성희 카시트와 운반용 수레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KR200282586Y1 (ko) 2001-12-27 2002-07-19 김명숙 유모차 겸용 요람
KR20070039018A (ko) 2007-03-23 2007-04-11 주식회사 우리물류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KR101618853B1 (ko) 2013-05-15 2016-05-10 임종현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19A (ko) 1998-12-04 2000-07-05 김성희 카시트와 운반용 수레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KR200282586Y1 (ko) 2001-12-27 2002-07-19 김명숙 유모차 겸용 요람
KR20070039018A (ko) 2007-03-23 2007-04-11 주식회사 우리물류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KR101618853B1 (ko) 2013-05-15 2016-05-10 임종현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551A (ko) 2021-05-25 2022-1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운동 상태 및 뇌파 분석을 통한 재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31897B1 (ko) * 2022-05-16 2023-05-12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171B2 (en) Convertible double stroller
US6676140B1 (en) Expandable stroller
US6851749B2 (en) Multi-function shopping cart insert
JP5718945B2 (ja) 多目的な車輪付き運搬具
US10106187B1 (en) Baby carrier device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US9937946B1 (en) Compact universal infant carrier transporting device
US20100059970A1 (en) Multi-purpose carriage
GB2519297A (en) Child carrier
WO2011034517A1 (en) Infant stroller
CN214677941U (zh) 旅行行李箱和增高座椅的组合件
KR20190062117A (ko)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US20070126207A1 (en) Combination infant carriage and utility cart
US2276792A (en) Combined baby walker and stroller
KR20160044190A (ko) 영유아용 웨건
KR101852292B1 (ko) 어린이 승용차 겸용 여행가방
BRPI1000700A2 (pt) cadeira/ banheira para bebê
JP3202222U (ja) 機内持ち込み可能なベビーカー
KR20120001229U (ko) 유모차 겸용 여행용 가방
US1302343A (en) Baby-buggy.
KR102133962B1 (ko)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JP3164669U (ja) 乳母車の車体フレーム
WO2011051337A1 (en) Baby carriage convertible into a stand-within walker
CN215097790U (zh) 一种新型购物车
US2575953A (en) Portable sea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