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018A -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018A
KR20070039018A KR1020070028579A KR20070028579A KR20070039018A KR 20070039018 A KR20070039018 A KR 20070039018A KR 1020070028579 A KR1020070028579 A KR 1020070028579A KR 20070028579 A KR20070028579 A KR 20070028579A KR 20070039018 A KR20070039018 A KR 2007003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oller
coupled
bar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물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물류
Priority to KR102007002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9018A/ko
Publication of KR2007003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유아(乳幼兒)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함은 물론, 각종 쇼핑이나 짐을 운반하기 위한 카트(cart)기능을 부여하여 짐을 이송, 운반하기 위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모차를 사용함에 있어, 계단 등과 같이 단차진 곳을 간편,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휠이 구성되어 유유아를 태워 끌고 다니는 유모차 기능과, 짐을 실어 이송, 운반하는 기능 등의 다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모차를 이용하여 유유아 및 어린아이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과정에서, 태우고자 하는 아이를 앉거나 누운 자세로 탑승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아이의 놀이를 위한 그네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 전,후방 차륜이 설치되어 구륜되며 이동이 이루어지고 탑승부와 손잡이가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차륜은 각각의 전,후방차륜축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힌지부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수평프레임에는 전,후 및 좌,우측면에 난간체가 결합되되, 각각의 난간체는 접철부재에 의해 접이식으로 연결되며, 후방차륜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후방차륜축에는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대에 의해 보조휠이 수직되게 설치되되, 보조휠은 하단이 지지대와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전면에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프레임에 연결 된 위치고정바에 의해 회동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유모차, 적재부, 탑승체, 난간체, 프레임

Description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a multipurpuse baby carri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모차 10:프레임
11:수평프레임 12:수직프레임
13:힌지부 20:적재부
21:접철부재 22:난간체
30:보조휠 31:지지대
32:고정바 33:위치고정바
34:코일스프링 40:탑승체
41:고정틀 42:의자
43:좌판 44:등받이
45:측판 46:클램프
47:수직봉 48:수평봉
49:걸이편
본 발명은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유아(乳幼兒)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함은 물론, 각종 쇼핑이나 짐을 운반하기 위한 카트(cart)기능을 부여하여 짐을 이송, 운반하기 위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모차를 사용함에 있어, 계단 등과 같이 단차진 곳을 간편,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휠이 구성되어 유유아를 태워 끌고 다니는 유모차 기능과, 짐을 실어 이송, 운반하는 기능 등의 다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를 이용하여 유유아 및 어린아이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과정에서, 태우고자 하는 아이를 앉거나 누운 자세로 탑승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아이의 놀이를 위한 그네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유아(乳幼兒)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아이를 앉히거나 눕혀 태울 수 있는 탑승부가 프레임에 설치되고, 프레임에는 이동을 위한 전,후방 차륜이 구성된다.
그리고, 탑승된 아이의 바람이나 햇빛 등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단캡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는 유유아나 어린아이를 동반하여 외출이나 쇼핑 등을 행함에 있어,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자의 편이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모차는 아이를 태워 사용하는 과정에서, 간단한 유아용품(분유 및 기저귀)등 이나 소지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짐받이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를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끌고 다니면서 쇼핑이나 외출 등을 행하게 되며, 간단한 소지품이나 유아용품 등을 실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모차는 탑승부에 아이를 태워 사용하는 과정에서, 외출이나 쇼핑시 구비하고자 하는 짐이 많은 경우에는 아이를 태운 상태에서 추가로 짐을 실어 운반할 수 있는 공간 즉, 짐받이가 확보되지 못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곤란하며, 특히, 탑승된 아이가 안전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운 등의 많은 폐단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모차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로가 요철(凹凸)상태이거나 또는, 계단 등과 같이 단차진 상태에서는 유모차를 밀어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유모차를 들어 옮겨야하는 등의 많은 불편함과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모차를 유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수단, 놀이수단 등의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이 가능한 구성을 이루도록 하여, 유유아나 어린아이의 탑승은 물론, 쇼핑이나 외출시 요구되는 많은 양의 소비품이나 운반하고자 하는 짐을 실어 운반 및 이송할 수 있는 적재부가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아이의 놀이를 위한 놀이기능 즉, 프레임을 접이식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네를 구성하여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유아나 어린아이를 탑승시켜 사용함에 있어, 아이가 탑승되는 탑승부의 위치 변환이 가능하고, 아이의 탑승상태, 즉,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탑승부의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된 아이의 편안하고 안락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유모차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요철(凹凸)상태이거나 계단 등과 같이 단차진 상태에서도 간편,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전,후방 차륜이 설치되어 구륜되며 이동이 이루어지고 탑승부와 손잡이가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차륜은 각각의 전,후방차륜축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힌지부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수평프레임에는 전,후 및 좌,우측면에 난간체가 결합되되, 각각의 난간체는 접철부재에 의해 접이식으로 연결되며, 후방차륜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후방차륜축에는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대에 의해 보조휠이 수직되게 설치되되, 보조휠은 하단이 지지대와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전면에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프레임에 연결된 위치고정바에 의해 회동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프레임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난간체에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고정틀과 의자로 이루어진 탑승체가 설치되고, 탑승체의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와 측판으로 구성되되, 등받이는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클램프에 의해 설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때, 상기 고정틀은 양쪽 하단부에 고정쇠가 형성되고, 고정쇠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에는 고정핀이 형성되어 난간체에 고정틀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고정쇠와 고정핀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의자의 좌판 전면 중앙에는 수직봉과 수평봉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수직봉의 상단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된 형태의 걸이편이 형성되고, 측판의 양쪽 측면에는 끼움축이 결합되며, 클램프는 일단이 수평봉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결합된 끼움축에 끼워져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전차륜축에는 측방프레임이 힌지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프레임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되, 내관은 하부 일부위가 절곡가능하도록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2몸체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1)는 각각의 전,후방차륜축(2, 3)에 의해 전,후방 차륜(4, 5)이 구륜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은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힌지부(13)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평프레임(11)에는 접철부재(21)에 의해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난간체(22)가 전,후 및 좌,우측면에 결합되어 적재부(20)를 구성하며, 상기 후방차륜(5)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후방차륜축(3)에는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대(31)에 의해 보조휠(30)이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기 보조휠(30)은 하단이 지지대(31)와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전면에는 고정바(32)가 형성되어 프레임(10)에 연결된 위치고정바(33)에 의해 회동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적재부(20)의 난간체(22)에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고정틀(41)과 의자(42)로 이루어진 탑승체(40)가 설치되고, 탑승체(40)의 의자(42)는 좌판(43)과 등받이(44)와 측판(45)으로 구성되되, 등받이(44)는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클램프(46)에 의해 설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틀(41)은 양쪽 하단부에 고정쇠(41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쇠(41a)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10)에는 고정핀(10a)이 형성되어 난간체(22)가 접어진 상태에서 고정틀(41)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고정쇠(41a)와 고정핀(10a)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42)의 좌판(43) 전면 중앙에는 수직봉(47)과 수평봉(48)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수직봉(47)의 상,하단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된 형태의 걸이편(49)이 형성되며, 측판(45)의 양쪽 측면에는 끼움축(45a)이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46)는 일단이 수평봉(48)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걸이홈(46a)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45)에 결합된 끼움축(45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봉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되, 프레임(10)은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구륜을 위한 전,후방차륜축(2, 3)이 구성되어 각각에는 구륜을 위한 전,후방차륜(4, 5)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1)에는 소정 모양으로 절곡된 난간체(22)가 설치되되, 전,후방과 좌,우측면에 해당되는 난간체(22)는 접철부재(21)에 의해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에는 후방을 향하도록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대(31)에 의해 보조휠(30)이 설치되되, 보조휠(30)은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바퀴가 동일중심선상을 이루며 결합되고 전면에 고정바(32)가 형성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고정바(33)에 의해 회전각도가 설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보조휠(30)과 지지대(31)는 반발력을 갖는 코일스프링(34)으로 연결되며, 보조휠(30)이 사용을 위해 회전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34)이 인장되어 이에 해당되는 반발력을 갖게 되며, 인장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사용 후, 위지고정 바(33)를 해제하게 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1)의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난간체(22)에는 망사형태로 이루어진 망체(23)가 설치되어 공간을 차폐하여 짐이나 소지품 등을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1)의 구성에 탑승체(40)를 설치하여 유유아 및 어린아이를 탑승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탑승체(40)는 고정틀(41)과 의자(42)로 구성되되, 의자(42)는 좌판(43), 등받이(44), 측판(45) 및 덮개로 이루어지고, 좌판(43)에는 수직봉(47)과 수평봉(48)이 결합되고, 수직봉(47)과 수평봉(48)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걸이편(49)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탑승체(40)는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클램프(46)가 결합되고, 클램프(46)의 일단은 상기 수평봉(48)에 고정되고, 타단은 측판(45)에 형성된 끼움축(45a)에 끼워져 결합 되는바, 클램프(46)의 타단에는 끼움축(45a)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걸이홈(46a)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46)는 링크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측판(45)에 형성된 끼움축(45a)에 끼워져 결합되는 걸이홈(46a)의 위치에 따라,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고, 클램프(46)의 각도 조절 즉, 끼움축(45a)에 결합되는 걸이홈(46a)의 위치에 따 라, 의자(42)의 등받이(44)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클램프(46)에 의해 의자(42)의 등받이(44) 각도 조절이 설정됨에 따라, 탑승체()에 아이를 탑승시키는 과정에서, 아이의 탑승자세를 앉은 자세로 탑승시키거나 또는, 누운 자세로 탑승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체(40)를 설치함에 있어, 난간체(22)에 의해 형성되는 적재부(20)에 올려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체(40)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의자(42)의 좌판(43)에 설치되는 수직봉(47)과 수평봉(48)에 결합된 걸이편(49)을 수직프레임(12)의 상단부에 걸어 결합하게 되면, 탑승체(40)가 수직프레임(12)에 지지되어 적재부(20)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구륜을 위한 전,후방차륜축(2, 3)이 구성되어 각각에는 구륜을 위한 전,후방차륜(4, 5)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1)에는 소정 모양으로 절곡된 난간체(22)가 설치되되, 전,후방과 좌,우측면에 해당되는 난간체(22)는 접철부재(21)에 의해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방차륜축(2)에는 측방프레임(14)이 힌지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프레임(12)은 내관(15)과 외관(16)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관(15)은 하부 일부위가 절곡가능하도록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2몸체(15a, 15b)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방프레임(14)은 일단은 전방차륜축(2)과 힌지부에 의해 회도가능하도 록 결합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2)의 외관(16)에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수직프레임(12)은 외관(16)과 내관(15)으로 이루어지되, 내관(15)은 힌지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2몸체(15a, 15b)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측방프레임(14)은 힌지부를 기점으로 회전되어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수직프레임(12)의 내관(15)은 외관(16)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후, 제 1몸체(15a)가 힌지점을 기점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루며, 상기 측방프레임(14)과 연결되어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방프레임(14)과 내관(15) 중 제 1몸체(15a)가 수직된 상태를 이루며 연결됨에 따라, 놀이기능을 위한 그네틀이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는 난간체(22)에 의해 구성되는 적재부(20)를 이용하여 짐이나 소지품 등을 적재하여 운반 이송할 수 있으며, 탑승체(40)를 설치하여 유유아 및 어린아이들의 탑승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탑승체(40)를 고정된 위치에 설치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탑승체(40)의 등받이(44) 설치 각도를 클램프(46)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이용함에 따라, 유모차를 유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반수단, 놀이수단 등의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이 가능한 구성을 이루도록 하여, 유유아나 어린아이의 탑승은 물론, 쇼핑이나 외출시 요구되는 많은 양의 소비품이나 운반하고자 하는 짐을 실어 운반 및 이송할 수 있는 적재부가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아이의 놀이를 위한 놀이기능 즉, 프레임을 접이식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네를 구성하여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아이가 탑승되는 탑승부의 위치 변환이 가능하고, 아이의 탑승상태, 즉, 앉거나 누워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부의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탑승된 아이의 편안하고 안락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유모차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요철(凹凸)상태이거나 계단 등과 같이 단차진 상태에서도 간편,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프레임에 전,후방 차륜이 설치되어 구륜되며 이동이 이루어지고 탑승부와 손잡이가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전,후방 차륜은 각각의 전,후방차륜축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힌지부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수평프레임에는 전,후 및 좌,우측면에 난간체가 결합되되, 각각의 난간체는 접철부재에 의해 접이식으로 연결되며, 후방차륜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후방차륜축에는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 지지대에 의해 보조휠이 수직되게 설치되되, 보조휠은 하단이 지지대와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힌지점을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전면에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프레임에 연결된 위치고정바에 의해 회동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체에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고정틀과 의자로 이루어진 탑승체가 설치되고,
    탑승체의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와 측판으로 구성되되, 등받이는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클램프에 의해 설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양쪽 하단부에 고정쇠가 형성되고, 고정쇠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에는 고정핀이 형성되어 난간체에 고정틀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고정쇠와 고정핀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륜축에는 측방프레임이 힌지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프레임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되, 내관은 하부 일부위가 절곡가능하도록 링크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2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좌판 전면 중앙에는 수직봉과 수평봉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수직봉의 상단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된 형태의 걸이편이 형성되고, 측판의 양쪽 측면에는 끼움축이 결합되며, 클램프는 일단이 수평봉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결합된 끼움축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KR1020070028579A 2007-03-23 2007-03-23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KR20070039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79A KR20070039018A (ko) 2007-03-23 2007-03-23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79A KR20070039018A (ko) 2007-03-23 2007-03-23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018A true KR20070039018A (ko) 2007-04-11

Family

ID=3816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79A KR20070039018A (ko) 2007-03-23 2007-03-23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90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7599A2 (en) * 2008-05-08 2009-11-12 Stryker Corporation Folding chair cot for use with emergency vehicles
KR101040402B1 (ko) * 2010-10-14 2011-06-09 손문철 실내용 수면 유모차
CN105999695A (zh) * 2016-07-29 2016-10-12 北京帕班科技有限公司 一种仿真驾驶游戏车辆体感驱动模拟系统
KR20190062117A (ko) 2017-11-28 2019-06-05 임종현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KR102318244B1 (ko) * 2020-05-29 2021-10-27 신성훈 다목적 웨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7599A2 (en) * 2008-05-08 2009-11-12 Stryker Corporation Folding chair cot for use with emergency vehicles
WO2009137599A3 (en) * 2008-05-08 2010-02-18 Stryker Corporation Folding chair cot for use with emergency vehicles
KR101040402B1 (ko) * 2010-10-14 2011-06-09 손문철 실내용 수면 유모차
WO2012050331A2 (ko) * 2010-10-14 2012-04-19 Son Mun Cheol 실내용 수면 유모차
WO2012050331A3 (ko) * 2010-10-14 2012-06-07 Son Mun Cheol 실내용 수면 유모차
CN105999695A (zh) * 2016-07-29 2016-10-12 北京帕班科技有限公司 一种仿真驾驶游戏车辆体感驱动模拟系统
CN105999695B (zh) * 2016-07-29 2023-07-21 北京帕班科技有限公司 一种仿真驾驶游戏车辆体感驱动模拟系统
KR20190062117A (ko) 2017-11-28 2019-06-05 임종현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KR102318244B1 (ko) * 2020-05-29 2021-10-27 신성훈 다목적 웨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945B2 (ja) 多目的な車輪付き運搬具
EP2398687B1 (en) Foldable stroller
US7878515B1 (en) Infant stroller
US6270093B1 (en) Multiple child seat nestable shopping cart
TWI592323B (zh) 多人騎乘三輪車
EP1741614B1 (en) A foldable chassis for baby carriages
US8282119B1 (en) Two-level travel stroller for children
US20030209885A1 (en) Child car seat/stroller
WO2007108676A2 (en) Vehicle for carriage of children
US20130229033A1 (en) Car seat
CN103895683B (zh) 一种多用途儿童车
KR20070039018A (ko)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US20100052373A1 (en) Wave infant car seat
CN100560415C (zh) 手推车
CN102448792A (zh) 手推童车或手推车
KR20230012949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09039537A2 (en) Pushchair
KR200383669Y1 (ko) 다목적 유모차
CN219719967U (zh) 一种可用作儿童推车的多功能行李箱
KR102161195B1 (ko)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CN220076464U (zh) 一种儿童推车
KR102464139B1 (ko)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CN209739095U (zh) 一种带爬楼梯可折叠儿童及行李两用车
WO2011051337A1 (en) Baby carriage convertible into a stand-within walker
CZ18217U1 (cs) Dětský vozí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