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95B1 -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1195B1 KR102161195B1 KR1020180067854A KR20180067854A KR102161195B1 KR 102161195 B1 KR102161195 B1 KR 102161195B1 KR 1020180067854 A KR1020180067854 A KR 1020180067854A KR 20180067854 A KR20180067854 A KR 20180067854A KR 102161195 B1 KR102161195 B1 KR 102161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oller
- vehicle
- support shaft
- presen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로서, 전륜을 포함하며,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며 프레임 축과, 상기 프레임 축 일측에는 제 1걸림홈이 마련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축과 후륜부 및 손잡이부와 돌기로 구성되며, 전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요홈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하는 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1) 종래와 같이 유모차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불편한 과정이 생략되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2) 모든차량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탑재와 탈착 가능하고, 3) 카시트와 유모차를 이중으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로서, 전륜을 포함하며,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며 프레임 축과, 상기 프레임 축 일측에는 제 1걸림홈이 마련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축과 후륜부 및 손잡이부와 돌기로 구성되며, 전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요홈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하는 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1) 종래와 같이 유모차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불편한 과정이 생략되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2) 모든차량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탑재와 탈착 가능하고, 3) 카시트와 유모차를 이중으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고정쇠 레버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밀게 되면, 지지축이 고정쇠에서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탈착됨으로서 유모차를 차량에 용이하게 탑재 및 분리가 가능한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 옥외로 데리고 나갈 경우에 사용되는 유모차는 오늘날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고 실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아와 같이 동반하여 택시 등의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에는 유아를 유모차에서 꺼내어 시트에 앉힌 후에 유모차를 접어서 뒷트렁크에 싣거나 좌석 앞의 비좁은 통로에 기대어 놓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대중교통에서 내릴 때도 역순으로의 불편함을 겪어야 하기에 심지어 어떠한 보호자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유모차를 집에 두고 아이를 안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소형차 역시 상기와 같은 불편하기는 마찬가지인데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고 차량 내에 아기용 카시트를 장착하게 되지만, 뒷좌석과 뒷 트렁크가 일체인 차량이 많아서 접힌 유모차를 넣을 공간이 부족하며, 이러한 상황은 좀 더 큰차를 보유한 가정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카시트가 장착되어진 좌석은 유아가 탑승하지 않은 때에도 카시트가 그대로 장착되어 있어서 다른 사람이 앉을 수도 없고 짐을 놓을 수도 없게 되어 공간의 낭비이며 또한 눈, 비가 올 때나 날씨가 추운 날, 미세먼지가 많은 날, 유아를 카시트에서 유모차로 혹은 역순으로 옮길 때 유아는 바깥날씨에 그대로 노출 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등록특허 제10-1274894호(발명의 명칭 : 자동차 시트와 연결 가능한 유모차)에서는 자동차 시트(9)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유모차(1)로서, 전방 다리 막대(112), 후방 다리 막대(122),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다리 막대(112, 122) 사이로 연장되는 시트막대(5)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대향 측면을 갖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측면의 상기 시트 막대(5) 사이에 배치되고, 두 개의 측면 막대부(21) 및 상기 측면 막대부(21)에 각각 피봇적으로 연결되는 양단을 갖는 중간 막대부(22)를 포함하는 발걸이(2); 및 상기 측면 막대부(21) 중 하나와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측면의 상기 시트 막대(5) 중 대응하는 것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3)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3)는 각도 제한 메커니즘(30) 및 상기 각도 제한 메커니즘(30)과 협력하여 상기 유모차(1)가 상기 자동차 시트(9)와 연결될 수 있는 직립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각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걸이(2)를 조절하도록 동작 가능한 액츄에이터(35)를 포함하는 유모차를 제안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상기 선등록특허는 가위연결구(14), 가로부(21), 중간막대부(22) 및 각도제한 메커니즘(30) 등의 복잡한 구성품들로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제 1각에서는 발걸이를 직립하여 자동차 시트와 연결하고, 제 2각 위치에서는 등받이를 수평위치로 조절하며, 제3각 위치에서는 발걸이가 기울어지고 하향으로 현수되어 아동 탑승자가 착석 위치에서 지지되고 아동 탑승자와 발이 발걸이상에 놓이도록 해야 하는 등 차량 시트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스스로가 각도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고정쇠 레버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밀게 되면, 지지축이 고정쇠에서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탈착됨으로서 유모차를 차량에 용이하게 탑재 및 분리가 가능한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는, 차량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로서, 전륜을 포함하며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는 프레임 축과, 상기 프레임 축 일측에는 제 1걸림홈이 마련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축과 후륜부 및 손잡이부와 돌기로 구성되며, 전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요홈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하는 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쇠의 요홈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쇠의 요홈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에 있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1) 종래와 같이 유모차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불편한 과정이 생략되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2) 모든차량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탑재와 탈착 가능하고, 3) 카시트와 유모차를 이중으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유모차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쇠와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차량에 탑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쇠와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차량에 탑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유모차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쇠와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차량에 탑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면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10)는 전륜(24)과, 프레임 축(21)과 연결되는 시트부(미도시)와 등받이부(미도시) 및 제 1걸림홈(25)이 마련되는 프레임부(20)와, 지지부재(30) 및 고정쇠(40)로 크게 대별된다.
상기 프레임부(20)에 구비되어 아동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는 시트부 및 등받이부는 프레임 축(21)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20) 일측에는 제 1걸림홈(25)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지지부재(30)의 돌기(34)가 회전운동하여 걸림 또는 탈착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전륜(24)은 두 개의 지지대에 각각 바퀴가 포함되어 유모차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유모차를 밀 때에 이동방향을 원할하게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지지축(31)과 후륜부(32) 및 손잡이부(33)와 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축(31)은 전륜(24)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부(20)를 지지한다.
상기 후륜부(32)는 지지축(31)의 양측에 구비되며, 이때 후륜부(32)의 내측 일측에는 돌기(34)가 마련되어 상기 제 1걸림홈(25)에 걸림 또는 탈착된다.
상기 고정쇠(40)는 지지축(31)에 걸림되는 것으로, 지지축(31)을 수용하는 요홈(41)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4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요홈(41)의 형상은 지지축(31)에 안착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할 것이나 본원 발명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표기하였다.
이때, 상기 고정쇠(40)에는 고정쇠(40)와 나사결합 또는 일체 등으로 연결되어지는 손잡이부(33)가 형성된다.
한편, 후륜부(32)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회전이동각도는 약 60°이상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데, 이는 상기 고정쇠(40)에서 지지축(31)이 탈거되면 지지부재(30)가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운동하여 제 1걸림홈(25)에 걸림됨으로써 차량에 싣게 될 때에 차량 시트에 후륜부(32)에 걸리지 않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10)는 유아가 유모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택시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이나 자동차의 뒷좌석에 곧바로 탑재가능한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종래의 유모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의 하나인 시트부분을 분리하고 차내에 별도 설치된 고정장치가 있어야만 카시트 기능이 가능했던 불편함은 물론 시트 분리 후 남은 유모차 골격을 접어서 별도로 차량에 탑재해아 했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시트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10)는 전륜(24)을 포함하고, 프레임 축(21)과 연결되는 시트부(미도시)와 등받이부(미도시) 및 제 1걸림홈(25)이 마련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 내부에 위치하여 프레임부(20)를 지지하는 지지축(31)과, 상기 지지축(31)에 걸림되는 고정쇠(40), 상기 고정쇠(40)와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손잡이부(33) 마련되고, 지지축(31)과 후륜부(32) 및 손잡이부(33)와 돌기(34)를 포함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고정쇠(40)는, 지지축(31)에 걸림되는 것으로, 지지축(31)을 수용하는 요홈(41)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42)가 일체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로서 유모차를 차량에 탑재할 시에는 도 4 및 5에서처럼, 상기 레버(42)를 밀면 레버(42)와 연결된 손잡이부(33)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축(31)이 상기 고정쇠(40)의 요홈(51)에서 탈거되면, 후륜부(32)가 상측으로 회전운동하여 돌기(34)가 제 1걸림돌기(25)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그 후 사용자가 유모차(10)를 들어 차량 내의 시트에 위치시키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완료된다.
즉, 레버(42)를 위로 밀어 지지축(31)이 고정쇠(40) 요홈(41)에서 탈거됨과 아울러 후륜부(32)가 회전운동되어 제 1걸림돌기(25)에 걸림되어 간단하고 편리한 움직임만으로 지상에서 사용하고 위치하던 유모차(10)가 차량에 용이하게 탑재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차량 내에 있는 유모차(10)를 지상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는, 유모차에 착용된 차량 안전벨트를 풀고 고정쇠(40) 레버(42)를 하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후륜부(32)가 회전운동하여 돌기(34)가 제 2걸림홈에 걸림되어 고정되면 차량 밖에서 사용가능하다.
한편,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차량 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모차(10)를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의 시트에 상기 프레임부(20)처럼 형성하고 제 1걸림부재(25)를 마련하여 안착시키면 보호자와 유아가 같이 안전하게 나들이 및 근거리 외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유모차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쇠와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차량에 탑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면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10)는 전륜(24)과, 프레임 축(21)과 연결되는 시트부(미도시)와 등받이부(미도시) 및 제 1걸림홈(25)이 마련되는 프레임부(20)와, 지지부재(30) 및 고정쇠(40)로 크게 대별된다.
상기 프레임부(20)에 구비되어 아동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는 시트부 및 등받이부는 프레임 축(21)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20) 일측에는 제 1걸림홈(25)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지지부재(30)의 돌기(34)가 회전운동하여 걸림 또는 탈착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전륜(24)은 두 개의 지지대에 각각 바퀴가 포함되어 유모차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유모차를 밀 때에 이동방향을 원할하게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지지축(31)과 후륜부(32) 및 손잡이부(33)와 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축(31)은 전륜(24)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부(20)를 지지한다.
상기 후륜부(32)는 지지축(31)의 양측에 구비되며, 이때 후륜부(32)의 내측 일측에는 돌기(34)가 마련되어 상기 제 1걸림홈(25)에 걸림 또는 탈착된다.
상기 고정쇠(40)는 지지축(31)에 걸림되는 것으로, 지지축(31)을 수용하는 요홈(41)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4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요홈(41)의 형상은 지지축(31)에 안착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할 것이나 본원 발명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표기하였다.
이때, 상기 고정쇠(40)에는 고정쇠(40)와 나사결합 또는 일체 등으로 연결되어지는 손잡이부(33)가 형성된다.
한편, 후륜부(32)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회전이동각도는 약 60°이상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데, 이는 상기 고정쇠(40)에서 지지축(31)이 탈거되면 지지부재(30)가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운동하여 제 1걸림홈(25)에 걸림됨으로써 차량에 싣게 될 때에 차량 시트에 후륜부(32)에 걸리지 않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10)는 유아가 유모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택시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이나 자동차의 뒷좌석에 곧바로 탑재가능한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종래의 유모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의 하나인 시트부분을 분리하고 차내에 별도 설치된 고정장치가 있어야만 카시트 기능이 가능했던 불편함은 물론 시트 분리 후 남은 유모차 골격을 접어서 별도로 차량에 탑재해아 했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시트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10)는 전륜(24)을 포함하고, 프레임 축(21)과 연결되는 시트부(미도시)와 등받이부(미도시) 및 제 1걸림홈(25)이 마련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 내부에 위치하여 프레임부(20)를 지지하는 지지축(31)과, 상기 지지축(31)에 걸림되는 고정쇠(40), 상기 고정쇠(40)와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손잡이부(33) 마련되고, 지지축(31)과 후륜부(32) 및 손잡이부(33)와 돌기(34)를 포함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고정쇠(40)는, 지지축(31)에 걸림되는 것으로, 지지축(31)을 수용하는 요홈(41)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42)가 일체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로서 유모차를 차량에 탑재할 시에는 도 4 및 5에서처럼, 상기 레버(42)를 밀면 레버(42)와 연결된 손잡이부(33)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축(31)이 상기 고정쇠(40)의 요홈(51)에서 탈거되면, 후륜부(32)가 상측으로 회전운동하여 돌기(34)가 제 1걸림돌기(25)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그 후 사용자가 유모차(10)를 들어 차량 내의 시트에 위치시키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완료된다.
즉, 레버(42)를 위로 밀어 지지축(31)이 고정쇠(40) 요홈(41)에서 탈거됨과 아울러 후륜부(32)가 회전운동되어 제 1걸림돌기(25)에 걸림되어 간단하고 편리한 움직임만으로 지상에서 사용하고 위치하던 유모차(10)가 차량에 용이하게 탑재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차량 내에 있는 유모차(10)를 지상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는, 유모차에 착용된 차량 안전벨트를 풀고 고정쇠(40) 레버(42)를 하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후륜부(32)가 회전운동하여 돌기(34)가 제 2걸림홈에 걸림되어 고정되면 차량 밖에서 사용가능하다.
한편,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차량 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모차(10)를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의 시트에 상기 프레임부(20)처럼 형성하고 제 1걸림부재(25)를 마련하여 안착시키면 보호자와 유아가 같이 안전하게 나들이 및 근거리 외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유모차 20 프레임부
24 전륜 25 제 1걸림홈
30 지지부재 31 지지축
32 후륜부 33 손잡이부
34 돌기 40 고정쇠
41 요홈 42 레버
24 전륜 25 제 1걸림홈
30 지지부재 31 지지축
32 후륜부 33 손잡이부
34 돌기 40 고정쇠
41 요홈 42 레버
Claims (3)
- 차량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로서,
전륜을 포함하며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는 프레임 축이 마련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축과 후륜부 및 손잡이부와 돌기로 구성되며, 전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축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요홈과, 사용자가 손으로 상하 운동을 결정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고정쇠를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축 일측에는 제 1걸림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지지축이 상기 고정쇠에서 탈거되면, 후륜부가 상측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후륜부에 위치하는 돌기가 제 1걸림홈에 걸림되어 사용자가 차량에 유모차를 탑재가능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유모차를 차량 외부로 위치시킨 후에 레버를 하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지지축이 고정쇠 요홈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 1걸림홈에 돌기가 걸림되어 유모차가 지상에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854A KR102161195B1 (ko) | 2018-06-14 | 2018-06-14 |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854A KR102161195B1 (ko) | 2018-06-14 | 2018-06-14 |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1296A KR20190141296A (ko) | 2019-12-24 |
KR102161195B1 true KR102161195B1 (ko) | 2020-09-29 |
Family
ID=6900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7854A KR102161195B1 (ko) | 2018-06-14 | 2018-06-14 |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119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30002330Y1 (ko) * | 1978-05-08 | 1983-10-25 |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 접을 수 있는 식의 유모차 |
KR890006549Y1 (ko) * | 1987-02-18 | 1989-09-28 | 이오걸 | 유모차의 절첩장치 |
-
2018
- 2018-06-14 KR KR1020180067854A patent/KR10216119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1296A (ko) | 2019-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46180A (en) | Convertible child support apparatus | |
US6729630B2 (en) | Child car seat/stroller | |
US8955855B2 (en) | Infant wagon | |
US3944241A (en) | Convertible car seat and stroller | |
US8282119B1 (en) | Two-level travel stroller for children | |
US20020093178A1 (en) | Juvenile stroller with collapsible basket | |
US8256792B2 (en) | Stroller with fold-down tray for receiving a car seat | |
US10683026B2 (en) | Tricycle tow platform | |
US20100019547A1 (en) | Car Seat with Rolling Wheels and Method to use | |
US20130229033A1 (en) | Car seat | |
US20180334059A1 (en) | Car Seat Carrier | |
HU216602B (hu) | Gyerekkocsi | |
US4647054A (en) | Combined stroller chair and automobile restraint seat | |
US8641077B2 (en) |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 |
US20220144330A1 (en) | Seat assembly and systems | |
WO2021245425A1 (en) | Child car seat system and child transportation system | |
JPH072117A (ja) | 車両用安全シート兼用乳母車 | |
EP2882610A2 (en) | Multi-purpose child seat | |
WO2014037177A1 (en) | Child seat with ball shaped infable resilient seating member | |
US20070108813A1 (en) | Vehicular seat assembly | |
KR20100025835A (ko) | 시트 분리형 유모차 | |
KR102161195B1 (ko) | 차량에 탑재 가능한 유모차 | |
US20150084294A1 (en) | Stroller accessory | |
KR20070039018A (ko) |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 |
EP1418085B1 (en) | Child car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