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139B1 -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139B1
KR102464139B1 KR1020220076226A KR20220076226A KR102464139B1 KR 102464139 B1 KR102464139 B1 KR 102464139B1 KR 1020220076226 A KR1020220076226 A KR 1020220076226A KR 20220076226 A KR20220076226 A KR 20220076226A KR 102464139 B1 KR102464139 B1 KR 10246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stroller
car seat
b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전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전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전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2007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메인프레임에 카시트를 장착할 시에 카시트 하부의 시트베이스가 수평바에 구비된 커버브래킷에 유격없이 안착되어 흔들림이 방지되며 시트베이스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절되므로 시트베이스의 커넥터가 아이소픽스앵커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A Stroller Compatible with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메인프레임에 카시트를 장착할 시에 카시트 하부의 시트베이스가 수평바에 구비된 커버브래킷에 유격없이 안착되어 흔들림이 방지되며 시트베이스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절되므로 시트베이스의 커넥터가 아이소픽스앵커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를 자동차에 탑승시킬 때 카시트를 차량 좌석에 장착한 후 영유아를 카시트에 착석시킨다. 이러한 카시트는 영유아를 든든히 붙잡을 수 있으며, 충돌시에 영유아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영유아의 부상을 최소화하고 신체를 보호한다.
종래에는 카시트를 차량 좌석에 구비된 안전벨트를 이용해 차량의 시트에 고정시켰지만, 근래들어 생산되는 차량에는 카시트 고정을 위한 별도의 브래킷이 구비되어 있어, 카시트를 안전벨트로 고정하지 않고 국제표준인 아이소픽스앵커를 이용하여 차량좌석에 고정한다.
아이소픽스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종래의 카시트는 등록특허공보 제10-1850833호에 게시된 도 1과 같이, 카시트(10)의 후방에 차량 좌석에 설치된 아이소픽스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카시트(10)의 전방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카시트(10)를 지지하는 서포트레그(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카시트의 방향을 전방을 향하여, 또는 후방을 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이를 데리고 외출할 때에 아이를 자동차에 안전하게 태울 수 있는 카시트를 구비함과 동시에, 자동차에서 하차 후 아이를 태우고 다닐 수 있는 유모차를 더 구비하여야 한다. 카시트와 유모차를 동시에 구비할 경우 비용적인 부담이 있고, 유모차를 차에 실을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공간상의 제약이 잇따른다.
따라서, 경제적인 부담을 저감하고 카시트와 유모차를 개별로 구비할 때 소요되는 큰 부피를 줄여주며, 카시트가 유모차의 프레임에 올려져 유모차로 호환되게 하면서, 카시트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KR 10-1850833 (B1) 2018.04.16. KR 2018-0074245 (A) 2018.07.03.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유모차에서 아이가 착석하는 부위를 탈,장착되게 구비하면서 카시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트베이스의 후방에 아이소픽스앵커에 삽입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유모차로 변환할 수 있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베이스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아이소픽스앵커를 유모차에 구비하여 카시트를 유모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가 메인프레임의 후단에서 접철브래킷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회동되며, 접철링크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접철다리가 손잡이부의 회동동작과 연동되어 전방으로 접혀 차량에 유모차를 실을 때에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된 아이소픽스앵커가 고정브래킷에 의하여 수평바의 상면과 이격되어, 시트베이스를 메인프레임에 올려놓을 시에 걸림없이 커넥터를 아이소픽스앵커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바의 상부에 다수 구비되는 커버브래킷이 지지판을 통해 시트베이스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수평바가 경량화를 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더라도 카시트의 하중을 커버브래킷을 통하여 분산할 수 있으므로 수평바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아 메인프레임의 손상이 방지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바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의 아이소픽스앵커의 높이와 커버브래킷의 지지판의 높이가 동일하여 아이소픽스앵커와 지지판까지 수평면으로 배치되어 커버브래킷의 상부에 올려지는 시트베이스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베이스(20)가 구비된 카시트(10)가 장착되는 유모차에 있어서, 쌍으로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수평바(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110)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바(120)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절곡바(12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하부에 전방바퀴(122)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바(11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전방크로스바(121); 상기 수평바(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하부에 후방바퀴(311)가 구비되는 접철다리(310)가 접철되게 연결되는 후방크로스바(300); 상기 수평바(110)의 후단에 배치되며, 중공인 내부로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커넥터(21)가 삽입되는 아이소픽스앵커(400);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를 상기 수평바(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500); 및 상기 수평바(110)의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와 수평바(110) 사이의 높이차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하단부와 수평바(110) 상단의 높이를 두께로 갖는 지지판(610)이 형성된 커버브래킷(6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브래킷(500)은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저면과 수평바(110)의 상면을 동시에 접촉하는 접촉하는 고정판(510); 상기 고정판(510)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수평바(110)의 측면과 접촉되는 고정결합대(520); 및 상기 고정결합대(520)를 관통하되 상기 고정결합대(520)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홈 형상의 고정슬릿(5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500)과 결합되는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는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에서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브래킷(600)은 상기 지지판(610)의 중심에서 편심되며, 상기 지지판(610)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결합대(620); 및 상기 지지결합대(620)를 관통하되 상기 지지결합대(620)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홈 형상의 지지슬릿(62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판(610)의 높이는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가 상기 수평바(110)에서 이격된 높이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판(610)은 상기 수평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판(611); 및 상기 수평바(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판(61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판(611)의 길이는 상기 내측판(61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평바(110)에서 가장 전방에 설치되는 커버브래킷(600)과 상기 전방크로스바(121)사이에는 크로스바가 설치되지 않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는 유모차에서 아이가 착석하는 부위를 탈,장착되게 구비하면서 카시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트베이스의 후방에 아이소픽스앵커에 삽입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유모차로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베이스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아이소픽스앵커를 유모차에 구비하여 카시트를 유모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가 메인프레임의 후단에서 접철브래킷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회동되며, 접철링크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접철다리가 손잡이부의 회동동작과 연동되어 전방으로 접혀 차량에 유모차를 실을 때에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된 아이소픽스앵커가 고정브래킷에 의하여 수평바의 상면과 이격되어, 시트베이스를 메인프레임에 올려놓을 시에 걸림없이 커넥터를 아이소픽스앵커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바의 상부에 다수 구비되는 커버브래킷이 지지판을 통해 시트베이스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수평바가 경량화를 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더라도 카시트의 하중을 커버브래킷을 통하여 분산할 수 있으므로 수평바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아 메인프레임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바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의 아이소픽스앵커의 높이와 커버브래킷의 지지판의 높이가 동일하여 아이소픽스앵커와 지지판까지 수평면으로 배치되어 커버브래킷의 상부에 올려지는 시트베이스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에서 카시트와 시트베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에서 카시트와 시트베이스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가 접철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접철 전 상태의 측면도, (b)는 접철 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에서 수평바에 구비되는 고정브래킷과 커버브래킷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는 카시트(10)를 탈,장착하여 카시트(10) 또는 유모차로 활용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양측에 구비되며,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수평바(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110)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바(120)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절곡바(12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하부에 전방바퀴(122)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바(110)의 높이보다 더 낮게 배치되는 전방크로스바(121);
상기 수평바(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하부에 후방바퀴(311)가 구비되는 접철다리(310)가 접철되게 연결되는 후방크로스바(300);
상기 수평바(110)의 후단에 구비된 접철브래킷(200)에 힌지결합되어 접철되게 회동하는 손잡이부(210);
상기 손잡이부(210)가 회동하면서 상기 접철다리(310)를 전방으로 접철시키도록 연결된 접철링크(220);
상기 수평바(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베이스(20)를 지지하는 커버브래킷(600);
상기 수평바(110)의 후단에 배치되며, 중공인 내부로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커넥터(21)가 삽입되는 아이소픽스앵커(400); 및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를 상기 수평바(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500);을 포함한다.
통상,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는 자동차에 탑승시키기 위한 카시트(10)와, 길에서 밀고 다니는 유모차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점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기능을 가진 카시트(10)와 유모차는 상대적으로 고가로 형성되어, 부모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큰 부피의 유모차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는 영유아 시기의 아이를 탑승시킬 때 차량 시트에 고정하여 아이를 보호하는 카시트(10)가 유모차에 탈,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유모차는 뼈대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00)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바퀴(122) 및 후방바퀴(31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후방에 유모차를 밀어 끌고 다닐 수 있는 손잡이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카시트(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를 차량에 실을 시에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부(2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접철브래킷(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에 후방바퀴(311)가 구비된 접철다리(310)가 접철링크(220)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21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부(210)의 회동시에 전방으로 접철되어 부피가 감소되므로 차량에 싣기 편리해진다.
더불어, 카시트(10)의 시트베이스(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커넥터(21)가 삽입되는 아이소픽스앵커(400)가 고정브래킷(500)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면보다 더 높게 위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시트베이스(20)를 지지하는 커버브래킷(600)의 높이가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시트베이스(20)는 수평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브래킷(600)이 카시트(10)와 시트베이스(20)의 하중을 분산하여 메인프레임(100)으로 전달하므로 시트베이스(20)가 메인프레임(100)에 의해 눌림 자국이 발생하거나, 메인프레임(100)이 변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상부에 올려지는 카시트(10)는 시트베이스(20)에 고정되고, 상기 시트베이스(20)는 차량의 시트에 고정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유모차에 구비된 아이소픽스앵커(400)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베이스(20)는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에 삽입되는 커넥터(21)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21)가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아이소픽스브래킷(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아이소픽스앵커(400)에 삽입되고 핀결합되어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기 시트베이스(20)는 차량의 시트와, 그리고 본 발명의 유모차에 각각 구비되어 카시트(10)만 차량의 시트베이스(20) 또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시트베이스(20)에 탈장착할 수 있으며, 또는 단일로 구비되어 카시트(10)와 시트베이스(20)를 동시에 들어 차량 또는 본 발명의 유모차에 이동시키며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전방에는 접철되게 구비되는 서포트레그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레그는 차량 시트에 고정된 시트베이스(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서포트레그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833호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지되고 통용되는 기술이므로 서포트레그의 구조와 형상의 도시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시트베이스(20)가 차량 시트에 올려졌을 때, 후방의 커넥터(21)가 차량 시트의 아이소픽스브래킷(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전방에는 상기 서포트레그가 차량의 시트의 전단보다 더 튀어나오고 바닥면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접촉된다. 따라서 시트베이스(20)의 후방에서는 커넥터(21)가, 전방에서는 서포트레그가 견고하게 시트베이스(2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레그는 길이연장되게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시트베이스(20)의 저면에 접철되어 배치되다가 사용시에는 회동시켜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게 하여 시트베이스(20)의 하중을 차량의 바닥면에 전달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시트(10)와 시트베이스(20)가 올려지는 본 발명의 유모차는 뼈대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유모차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경량화를 이루어 부모가 부담없이 끌고 다닐 수 있고 차량에 실을 수 있으면서도 하중을 지탱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배치된 수평바(110)와, 상기 수평바(110)의 전단에서 하향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바(12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바(110)는 상부에 시트베이스(20)가 놓여질 수 있도록 받침대 역할을 하고, 상기 절곡바(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단을 이루면서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되어 하부에 전방바퀴(122)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곡바(120)의 전단에는 양측의 절곡바(120)의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전방크로스바(121)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굽힘 및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방크로스바(121)는 유모차의 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한다. 또한, 상기 전방크로스바(121) 양측의 하부에는 전방바퀴(122)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바퀴(122)는 유모차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전방크로스바(121)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바(110)의 후방에는 양측의 수평바(110)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후방크로스바(300)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크로스바(300)는 상기 전방크로스바(121)와 동일하게, 메인프레임(100)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가해져도 메인프레임(100)의 굽힘 및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에는 전방크로스바(121)가, 후방에는 후방크로스바(300)가 좌우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메인프레임(100)의 변형이 방지되고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절곡바(120)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기에, 절곡바(120)의 전단부분은 지면과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수평바(110)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수평바(110)의 상부에 시트베이스(20)를 올려 놓으면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전단은 상기 수평바(110)에서 절곡바(120)로 절곡되는 부분인 수평바(110)의 전단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시트베이스(20)의 하부에는 서포트레그가 전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레그는 회동가능하게 시트베이스(20)가 결합된다. 시트베이스(20)를 차량에 장착하면 서포트레그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접촉한 상태이다. 차량에 장착된 카시트(10)와 시트베이스(20)를 성인 1인이 유모차에 옮기면서, 서포트레그를 접철할 여유가 없어, 유모차로 옮겨져 장착된 시트베이스(20)에서 서포트레그는 여전히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카시트를 옮기는 성인1인이 충분히 힘이 세다면 카시트에 아이가 있는 상태에서 카시트를 옮겨 유모차에 부착할 수 있고, 카시트의 무게와 아이의 무게를 감당하기 어렵다면 아이를 먼저 카시트에서 이동한 후 카시트만을 차량에서 제거한 후에 유모차와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크로스바(121)는 상기 수평바(110)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고 지면과 가까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사이의 내측 공간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모차는 상기 시트베이스(20)가 유모차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서포트레그를 메인프레임(100)의 개방된 내측공간을 통해 접을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평바(110)에서 가장 전방에 설치되는 커버브래킷(600)과 상기 전방크로스바(121) 사이에는 양측의 메인프레임(100)을 가로지르는 별도의 크로스바(미도시)가 설치되지 않으며, 양측 상기 수평바(110) 사이의 전면이 개방된다.
따라서, 부모는 차량에 설치된 시트베이스(20)를 통째로 옮길 때에 먼저 본 발명의 유모차로 옮긴 이후에, 수평바(1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서포트레그를 접을 수 있다. 서포트레그를 접기 위한 동작이 선행되지 않아도 되며, 카시트(10)와 시트베이스(20)를 1인이 통째로 유모차로 옮기더라도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장착할 수 있는 편리함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후방크로스바(300)의 하방에는 접철다리(31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철다리(310)의 하단에 후방바퀴(311)가 구비된다. 상기 접철다리(310)가 하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접철다리(310)의 회동범위는 전방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며 후방으로는 회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유모차를 밀어 전진시에 접철다리(310)가 후방으로 밀려 유모차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수평바(110)의 후단에는 접철브래킷(200)이 결합되며, 상기 접철브래킷(200)에는 손잡이부(210)가 상기 접철브래킷(2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접철브래킷(200)의 전단은 상기 수평바(110)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서 절곡되어 후단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10)는 상기 접철브래킷(200)의 상향 경사진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평행하도록 되어,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아이를 태운 유모차를 부모가 손잡이부(210)를 파지하여 본 발명의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다.
유모차를 차량에 실을 때에 유모차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손잡이부(210)를 회동시켜 접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10)와 접철다리(310)는 접철링크(220)로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210)의 회동동작을 상기 접철다리(310)로 전달할 수 있다. 유모차를 접철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210)를 회동하면 상기 접철링크(220)는 접철다리(310)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상기 접철링크(220)의 푸쉬에 의하여 상기 접철다리(310)는 전방으로 회동한다.
상기 손잡이부(210)와 접철다리(310)가 메인프레임(100)에 접철되어, 부피가 매우 감소하며 차량에 실을 때에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시트베이스(20)가 올려질 시에 상기 시트베이스(20)를 고정결합시키는 아이소픽스앵커(400)가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10)의 후단에 배치된다.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는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방되어, 시트베이스(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커넥터(21)가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시트베이스(20)를 상기 수평바(110)의 상부에 올려놓은 후, 커넥터(21)의 돌출길이를 후방으로 더 연장하여 커넥터(21)를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 내부로 삽입하거나, 또는 시트베이스(20) 전체를 뒤로 살짝 밀어 상기 커넥터(21)가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 내부로 삽입되게 한 후, 상기 커넥터(21)와 아이소픽스앵커(400)가 핀결합되어 상기 시트베이스(20)를 본 발명의 유모차에 고정한다.
상기 시트베이스(20)를 제조하는 회사마다 시트베이스(2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21)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시트베이스(20)의 저면이 본 발명의 수평바(110)의 상부에 올려지고 난뒤 다양한 높이로 형성되는 커넥터(21)의 높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는 고정브래킷(500)의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래킷(500)은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고정브래킷(500)이 상기 수평바(110)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높이가 가변된다. 시트베이스(20)에서 커넥터(21)가 배치되는 구조와 형상에 따라 상기 커넥터(21)의 높이가 다양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커넥터(21)를 아이소픽스앵커(400)가 수용하기 위해, 고정브래킷(500)이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500)은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저면과 결합되는 고정판(510)과, 상기 고정판(510)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결합대(5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510)은 수평면을 이루어 상면에서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저면과 접촉하면서 결합된다. 상기 고정결합대(520)는 상기 고정판(510)의 일측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평바(110)의 내측면과 면접촉된다.
상기 고정결합대(520)에는 상기 고정결합대(520)를 관통하는 긴 홈 형상의 고정슬릿(521)이 형성된다. 결합볼트가 상기 고정슬릿(521)을 관통하여 수평바(110)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래킷(500)을 수평바(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슬릿(521)은 상기 고정결합대(520)의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슬릿(521)을 관통한 결합볼트는 고정결합대(5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500)은 상기 고정판(510)의 두께를 통해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가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에서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브래킷(500)의 전체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는 결합볼트를 풀어 상기 고정브래킷(500)이 상기 수평바(110)에 결합된 강도를 느슨하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임의로 조절한 후 다시 결합볼트를 체결하여 강하게 결합시킨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베이스(20)를 지지하며, 하중을 분산하는 커버브래킷(600)이 상기 수평바(110)에 다수 배치된다. 카시트(10)에 아이가 착석한 경우에, 카시트(10)와 시트베이스(20)의 하중을 좁은 폭의 수평바(110)의 상면에 집중되어 가해지므로 상기 커버브래킷(600)은 아이, 카시트(10) 및 시트베이스(20)의 하중을 분산하여 수평바(110)에 전달함과 동시에, 시트베이스(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커버브래킷(600)은 수평면을 이루는 지지판(610)과, 상기 지지판(610)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결합대(6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610)의 저면은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과 면접촉하고, 상면은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저면과 면접촉된다. 상기 지지판(610)이 상기 수평바(110)의 폭보다 더 큰 면적으로 시트베이스(20)를 지지하고 있기에, 시트베이스(20)와 수평바(110)가 직접적으로 면접촉되는 것보다 상기 지지판(610)을 매개로 하면 시트베이스(20)가 지지되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눌림자국이나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610)의 두께를 통하여서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저면이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500)에 의해 수평바(110)의 상면과 이격된 아이소픽스앵커(400)에 시트베이스(20) 후단의 커넥터(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시트베이스(20)의 저면도 상기 커버브래킷(600)에 의해 높이조절되어 시트베이스(20)의 저면이 평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610)의 두께는 아이소픽스앵커(400)가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과 이격된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610)은 상기 지지결합대(620)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판(611)과,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판(61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결합대(620)는 상기 수평바(110)의 내측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내측판(612)은 수평바(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외측판(611)은 수평바(1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내측판(612)의 길이보다 외측판(611)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수평바(110)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결합대(620)가 배치되기에 외측판(611)이 상기 수평바(110)의 외측방향으로 충분히 돌출되어 시트베이스(20)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결합대(620)에는 지지결합대(620)를 관통하는 긴 홈 형상의 지지슬릿(6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슬릿(621)에 의하여 상기 지지결합대(620)의 하부는 개방된다. 결합볼트가 상기 지지슬릿(621)을 관통하고, 상기 수평바(110)의 내측면에 체결된다. 결합볼트를 풀어 상기 커버브래킷(600)과 수평바(110)와의 결속을 느슨하게 하면 상기 커버브래킷(600)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커버브래킷(6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판(610)의 상면이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와 동일한 높이로 되게끔 배치한 후 다시 결합볼트를 조여 커버브래킷(600)과 수평바(110)를 결합시켜, 시트베이스(20)의 저면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베이스(20)가 평평하지 않고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시트베이스(20) 저면의 전방과 후방의 높이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커버브래킷(600)은 다수로 구비되므로 이러한 시트베이스(20) 저면의 굴곡에 맞추어 각각의 커버브래킷(6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트베이스(20)의 하중이 상기 지지판(610)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를 사용하여 차량에서 유모차로 카시트(10)를 옮기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시트베이스(20)의 커넥터(21)는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아이소픽스브래킷(미도시)에 결합된 상태이고, 서포트레그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이다.
차량에 실은 본 발명의 유모차를 펼쳐서 전개하고, 시트베이스(20)가 본 발명의 유모차에 올려졌을 시에 평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브래킷(6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차량 시트의 아이소픽스브래킷(미도시)과 커넥터(21)의 결합을 해제하고, 차량시트에서부터 시트베이스(20)를 분리하여 들어낸다. 상기 시트베이스(20)를 상기 커버브래킷(600)의 지지판(610)에 안착시킨 후, 커넥터(21)의 길이를 후방으로 연장하여 아이소픽스앵커(400)에 삽입하거나, 또는 시트베이스(20) 전체를 후방으로 밀어 커넥터(21)를 아이소픽스앵커(400)에 삽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는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이기에 커넥터(21)를 쉽고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커버브래킷(600)이 시트베이스(20)를 수평으로 평평하게 유지한다.
또한,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된 메인프레임(100)의 수평바(110)에 커버브래킷(600)을 통하여 시트베이스(20)의 하중을 분산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브래킷(600)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시트베이스(20)의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시트베이스(20)와 수평바(110)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유모차에 탈,장착되는 카시트(10)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10:카시트 20:시트베이스 21:커넥터
100:메인프레임 110:수평바 120:절곡바 121:전방크로스바 122:전방바퀴
200:접철브래킷 210:손잡이부 220:접철링크
300:후방크로스바 310:접철다리 311:후방바퀴
400:아이소픽스앵커
500:고정브래킷 510:고정판 520:고정결합대 521:고정슬릿
600:커버브래킷 610:지지판 611:외측판 612:내측판
620:지지결합대 621:지지슬릿

Claims (6)

  1. 시트베이스(20)가 구비된 카시트(10)가 장착되는 유모차에 있어서,
    쌍으로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수평바(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110)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하향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바(120)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절곡바(12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하부에 전방바퀴(122)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바(11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전방크로스바(121);
    상기 수평바(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하부에 후방바퀴(311)가 구비되는 접철다리(310)가 접철되게 연결되는 후방크로스바(300);
    상기 수평바(110)의 후단에 배치되며, 중공인 내부로 상기 시트베이스(20)의 커넥터(21)가 삽입되는 아이소픽스앵커(400);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를 상기 수평바(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500); 및
    상기 수평바(110)의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와 수평바(110) 사이의 높이차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하단부와 수평바(110) 상단의 높이를 두께로 갖는 지지판(610)이 형성된 커버브래킷(600);을 포함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500)은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의 저면과 수평바(110)의 상면을 동시에 접촉하는 접촉하는 고정판(510);
    상기 고정판(510)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수평바(110)의 측면과 접촉되는 고정결합대(520); 및
    상기 고정결합대(520)를 관통하되 상기 고정결합대(520)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홈 형상의 고정슬릿(5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500)과 결합되는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는 상기 수평바(110)의 상면에서 이격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래킷(600)은
    상기 지지판(610)의 중심에서 편심되며, 상기 지지판(610)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결합대(620); 및
    상기 지지결합대(620)를 관통하되 상기 지지결합대(620)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홈 형상의 지지슬릿(621);을 포함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610)의 높이는 상기 아이소픽스앵커(400)가 상기 수평바(110)에서 이격된 높이와 동일한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610)은 상기 수평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판(611); 및 상기 수평바(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판(61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판(611)의 길이는 상기 내측판(61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10)에서 가장 전방에 설치되는 커버브래킷(600)과 상기 전방크로스바(121) 사이에는 크로스바가 설치되지 않는 개방된 상태가 되는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KR1020220076226A 2022-06-22 2022-06-22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KR10246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226A KR102464139B1 (ko) 2022-06-22 2022-06-22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226A KR102464139B1 (ko) 2022-06-22 2022-06-22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139B1 true KR102464139B1 (ko) 2022-11-09

Family

ID=8404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226A KR102464139B1 (ko) 2022-06-22 2022-06-22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1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881U (ko) * 1985-11-28 1987-06-10
KR200247213Y1 (ko) * 2001-06-08 2001-10-26 박기수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유모차
KR20080001547U (ko) * 2008-05-14 2008-06-03 정지권 카시트를 유모차로 사용하기 위한 카트
US20100044985A1 (en) * 2008-08-21 2010-02-25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mpan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Different Types of Infant Carriers on a Support Structure
KR101850833B1 (ko) 2016-09-13 2018-05-31 주식회사 쁘레베베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KR20180074245A (ko) 2016-12-23 2018-07-03 이성호 카시트 겸용 유모차
JP2019014377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ベビーカ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881U (ko) * 1985-11-28 1987-06-10
KR200247213Y1 (ko) * 2001-06-08 2001-10-26 박기수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유모차
KR20080001547U (ko) * 2008-05-14 2008-06-03 정지권 카시트를 유모차로 사용하기 위한 카트
US20100044985A1 (en) * 2008-08-21 2010-02-25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mpan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Different Types of Infant Carriers on a Support Structure
KR101850833B1 (ko) 2016-09-13 2018-05-31 주식회사 쁘레베베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KR20180074245A (ko) 2016-12-23 2018-07-03 이성호 카시트 겸용 유모차
JP2019014377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ベビーカ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6016B1 (en) Stroller having a foldable chassis
US8282119B1 (en) Two-level travel stroller for children
US3550998A (en) Foldable carriage and infant seat combination
US4786064A (en) Convertible infant seat
CN108146488B (zh) 用于儿童推车且在躺卧状态和至少一个坐立状态之间进行转换的可转换支撑件及相应的推车
US7597332B2 (en) Modular stroller
EP0637290B1 (en) Push-chair
US8602441B2 (en) Tandem stroller
US8070180B2 (en) Stroller and shopping cart
US6585284B2 (en) Child stroller with height-adjustable rear seat
EP2444296B1 (en) Infant stroller
US5421603A (en) Folding pushchair
US20100072732A1 (en) Vehicle frame assembly
KR20120030621A (ko) 유모차
US20060226635A1 (en)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WO2011034517A1 (en) Infant stroller
WO2021203107A1 (en)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with pop-up privacy panels
CN103608239A (zh) 带有适于接收车座的可旋转支架座的可叠合推车
CN110733551A (zh) 儿童推车
CN102448792B (zh) 手推童车或手推车
KR102464139B1 (ko)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TWI752337B (zh) 嬰兒車
KR20070039018A (ko)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EP1418085B1 (en) Child car seat
JP2010510112A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