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962B1 -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962B1
KR102133962B1 KR1020190047478A KR20190047478A KR102133962B1 KR 102133962 B1 KR102133962 B1 KR 102133962B1 KR 1020190047478 A KR1020190047478 A KR 1020190047478A KR 20190047478 A KR20190047478 A KR 20190047478A KR 102133962 B1 KR102133962 B1 KR 10213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unit
bar
personal mobi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이씨
Priority to KR102019004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10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axle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은,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및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컨트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Wireless controlled personal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왜건(wagon)은 짐이나 사람을 싣고 다니는 운반체이다. 주로 도 1처럼 유아용 왜건(1)이 널이 사용된다.
도 1의 왜건(10)은 통상의 유모차에 비해 수납공간이 넉넉히 구비되는 한편, 보호자 혼자서도 8~3명의 유아를 태우고 외출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때문에, 최근에는 도 1과 같은 왜건(10)이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의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보편화 되어 유아용 이동수단으로서의 비중과 수용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유아용 왜건(1)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왜건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왜건은 도 1의 유아용 왜건(1)과 달리 식당에서 음식을 운반하거나 작업장에서 도구나 장비를 운반할 때도 사용된다.
식당에서 음식을 운반하거나 작업장에서 도구나 장비 등의 짐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왜건의 형태가 도 1과는 다르지만, 도 1의 유아용 왜건(1)처럼 물건을 싣고 운반한다는 점에서 그 역할과 기능은 동일하다.
한편, 도 1을 비롯한 기존의 왜건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짐이나 사람을 싣고 단순히 사용자가 직접 끌거나 밀어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됐다.
다시 말해, 기존의 왜건은 사람이나 짐(이하, 운반 대상체라 함)을 실을 수 있는 접철식 장치 본체와, 접철식 장치 본체의 하부에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직접 끌거나 밀어 이동한다.
그런데, 도 1을 비롯한 통상의 왜건은 사람이 직접 끌거나 밀어 사용하는 것이라서 사용상 다소 불편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왜건은 예컨대, 도 1의 유아용 왜건(1)처럼 한 기능이 정해져 출시되는 제품이라서 사용자의 사용환경과 목적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547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70177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0558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186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및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컨트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조향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향 휠;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구동 휠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전동 모듈; 상기 접철식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며,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핸들봉; 및 상기 조향 휠에 연결되되 상기 조향 휠을 조향 구동하는 휠 조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에 소정의 탈 것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전동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전동 모듈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슬라이딩 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 또는 상기 핸들봉에 마련되며, 상기 핸들봉과 상기 휠 조향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기어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전동 모듈은 다수의 기능이 탑재되는 기능성 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봉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가 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왜건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의 평면도로서 슬라이딩 전동 모듈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휠 조향 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2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동작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의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의 평면도로서 슬라이딩 전동 모듈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휠 조향 유닛의 구조도, 도 7은 도 2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은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은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와,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컨트롤러(80)를 구비하는 컨트롤 디바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의 구조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는 특히, 조향기능이 강화된 장치이다.
이러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는 프레임 본체(20), 조향 휠(30), 구동 휠(41)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전동 모듈(40), 핸들봉(60), 휠 조향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0)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의 외관 구조물이다. 슬라이딩 전동 모듈(40)을 비롯한 핸들봉(60), 휠 조향 유닛(50) 등이 프레임 본체(20)에 위치별로 탑재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0)는 강하면서도 가볍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프레임일 수 있으나 다른 재질로 변경이 가능하다.
프레임 본체(20)가 폴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 본체(20)가 폴딩 구조를 이룰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의 부피를 축소해서 보관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본체(20)에 소정의 탈 것(2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탈 것(21)은 유모차를 비롯하여 캐리어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탈 것(21)이 프레임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의 목적이 유모차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는 유모차, 휠체어, 카트, 웨건 등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다.
조향 휠(30)은 프레임 본체(20)의 일측, 즉 전방에 조향 가능하게 결합한다. 조향 휠(30)은 무동력 휠로서 조향 기능만 담당한다.
슬라이딩 전동 모듈(40)은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구동 휠(41)을 구비하며, 프레임 본체(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구동부(22)가 적용된다.
구동 휠(41)에 BLDC 허브 모터(Hub Motor)가 삽입되기 때문에 이의 작용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가 전동 구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구동부(22)는 프레임 본체(20)에 마련되고 슬라이딩 전동 모듈(40)과 연결되며, 슬라이딩 전동 모듈(40)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구동부(22)로 인해 슬라이딩 전동 모듈(40)이 프레임 본체(20) 밑으로 들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슬라이딩 전동 모듈(40)에는 다수의 기능이 탑재되는 기능성 발판(42)이 마련된다. 사람이 기능성 발판(42)에 올라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전동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기능성 발판(42)에 메인 제어기. 배터리(용량에 따라 발판을 개폐 후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 LED 등(후진등, 방향등, 브레이크등), 풋 브레이크(밟았을 때 구동 휠을 물리적으로 제동할 수 있도록 함)가 일부 혹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핸들봉(60)은 접철식 프레임 본체(20)에 연결된다. 핸들봉(60)에 손잡이(61)가 형성된다.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61)의 일측에 액셀러레이터 레버(63)가, 타측에 전자브레이크(64)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위치는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전자브레이크(64)의 경우는 기능성 발판(42)에 있는 메인제어기(미도시)의 역전류를 이용하여 전자적 제어를 통해 제동할 수 있게끔 한다. 물론, 디스크브레이크 장착시에 직접적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이용하여 제동을 잡아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전동식으로 사용할 때, 혹은 수동식으로 사용할 때 손잡이(61)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핸들봉(60)은 그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 조향 유닛(50)은 조향 휠(30)에 연결되되 조향 휠(30)을 조향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통상적인 유모차의 경우, 조향기능이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조향기능이 있어서 뛰어난 방향전환을 이룰 수 있다.
휠 조향 유닛(50)은 센터에 핸들봉(60)이 결합하며, 핸들봉(60)의 작용으로 위치 이동되는 메인 조향바(51)와, 메인 조향바(5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볼 조인트(52)와, 메인 조향바(5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서브 조향바(53)와, 메인 조향바(51)와 서브 조향바(53)를 연결하는 복수의 조향 링크바(54)와, 서브 조향바(53)의 양단부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메인 조향바(51), 조향 링크바(54) 및 서브 조향바(53)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교차형 링크바(55)와, 교차형 링크바(55)와 조향 휠(30)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휠 연결대(56)를 포함한다.
이에, 핸들봉(60)의 손잡이(61)를 잡고 핸들봉(60)을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의 동작이 메인 조향바(51), 조향 링크바(54) 및 서브 조향바(53)로 전달되어 종국적으로 교차형 링크바(55)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의 작용으로 조향 휠(30)이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조향 휠(30)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가 수동 혹은 전동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휠 조향 유닛(50)의 구조는 도시된 형상과 구조를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슬라이딩 구동부(22) 또는 핸들봉(60)에는 기어박스(65)가 적용된다. 기어박스(65)는 슬라이딩 구동부(22) 또는 핸들봉(60)에 마련되며, 핸들봉(60)과 휠 조향 유닛(50)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2처럼 컨트롤 디바이스(70)를 이용해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원격 무선으로 컨트롤하는 경우, 방향전환을 위해 조향 휠(30)이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핸들봉(60)이 함께 회전되면 곤란하다. 이러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기어박스(65)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어박스(65)는 DC 모터를 사용하여 랙이나 피니언, 혹은 베벨 기어 등의 기어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소정의 컨트롤 디바이스(70)에 탑재될 수 있다. 컨트롤 디바이스(7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무선 리모콘,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장치일 수 있다.
이때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은 SUB 제어기, 무선 송수신(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모듈 등)으로 Sub 제어기와 연동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기능 설정(속도제어, 배터리 잔량, 현재의 상태, 수동, 전동, 원격제어 기능 선택 등), 전후진 변환 스위치 등의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하지만, 컨트롤 디바이스(70)는 사람마다 들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에 전용 앱을 설치하고, 이의 컨트롤을 통해 전술한 기능, 예컨대, 조향, 구동, 각종 기능설정, 상태정보 등의 무선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현 상황이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컨트롤 디바이스(70)에 적용되는 컨트롤러(80)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80)는 중앙처리장치(81, CPU), 메모리(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81)는 본 실시예에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81)와 연결된다. 메모리(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써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81)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80)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에 대한 도면들, 도 11은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의 정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8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은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도 8처럼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도 1의 왜건(10)처럼 사람이 직접 끌거나 밀어 사용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장치를 통해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의 전진, 후진, 방향전환 등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은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와,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60)를 구비하는 컨트롤 디바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는 컨트롤 디바이스(170)의 컨트롤러(160)를 통해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되는 탈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환경과 목적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는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운송수단이다.
따라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 1대를 보유할 경우,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는 접철식 장치 본체(110)와, 접철식 장치 본체(110)의 하단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복수의 휠(120)과, 접철식 장치 본체(110)에 연결되는 핸들봉(130)을 포함한다.
접철식 장치 본체(110)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의 외관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접철식 장치 본체(110)는 접히거나 펼침이 가능한 접철식으로 적용된다. 이를 위해, 접철식 장치 본체(110)에 접철부(115)가 적용된다. 접철부(115)를 통해 접철식 장치 본체(110)가 접철될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철식 장치 본체(110)에는 적재부(111)가 마련된다. 적재부(111)에 사람이나 짐을 포함하는 운반 대상체가 적재(또는 탑승)될 수 있다.
적재부(111)에 사람이 타는 경우를 고려해볼 때, 안전하고 안락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적재부(111)에 탈부착 시트(1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탈부착 시트(112)에는 탈부착 시트(112)를 완충시키는 완충부(113)가 마련된다. 완충부(113)는 스프링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탈부착 시트(112)에는 완충부(113)가 개재됨으로써 탈부착 시트(112)에 앉았을 때,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완충부(113)의 하부에 착탈 결합부(114)가 마련된다. 착탈 결합부(114)를 통해 탈부착 시트(112)를 적재부(111)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착탈 결합부(114)는 끼움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휠(120)은 구동 휠(121)과 조향 휠(122)로 구분될 수 있다. 구동 휠(121)에는 구동 휠(121)의 조향을 위한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이 연결될 수 있다. 조향은 구동 휠(121)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일련의 동작이다.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은 전자식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수동 전환이 가능한 장치이다.
이러한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은 핸들봉(130)과 연결될 수 있다.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이 핸들봉(130)과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 휠(121)을 편리하게 좌우로 조작할 수 있다.
원격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의 작용으로 구동 휠(121)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될 수 있다. 물론, 수동으로도 구동 휠(121)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다.
그리고, 조향 휠(122)의 전동을 위해 조향 휠(122)에는 수동 전환식 구동 유닛(124)이 마련될 수 있다. 원격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으로 인해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는 사람이 직접 끌거나 밀지 않아도 전후진될 수 있다.
수동 전환식 구동 유닛(124) 역시,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과 마찬가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는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는 사람의 힘으로 조향 휠(122)이 전후진 동작할 수 있다.
이처럼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과 수동 전환식 구동 유닛(124)은 전력이 공급될 때, 원격에서 무선으로 컨트롤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치 무선 RC카처럼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를 전진, 후진,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하지만, 수동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수동 전환식 조향 유닛(123)과 수동 전환식 구동 유닛(124)을 수동모드로 절환시켜 이들에 인가되는 전력을 해제함으로써 수동 조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역시,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핸들봉(130)에는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140)이 연결된다. 핸들봉(130)과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140) 사이에는 각도 조절부(131)가 마련된다. 각도 조절부(131)로 인해 핸들봉(130)에 대하여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140)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140)은 각도 조절부(131)가 일측에 연결되는 유닛 바디(141), 유닛 바디(141)에 마련되되 각종 컨트롤을 수행하는 터치스크린(142)과, 유닛 바디(141)에 마련되고 컨트롤러(16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43)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43)로서 블루투스, wifi, NFC 등의 기술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컨트롤러(160)가 적용된다. 컨트롤러(160)는 소정의 컨트롤 디바이스(170)에 탑재될 수 있다. 컨트롤 디바이스(170)에 적용되는 컨트롤러(160)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100)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의 구조도, 도 14는 도 13의 부분 동작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16은 도 13의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200) 역시, 접철식 장치 본체(210)와, 접철식 장치 본체(210)의 하단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복수의 휠(120)과, 접철식 장치 본체(210)에 연결되는 핸들봉(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접철식 장치 본체(210)에는 사람이나 짐을 포함하는 운반 대상체가 적재(또는 탑승)되는 적재부(111)가 마련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적재부(111)의 개구에는 적재부(111)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281)가 마련된다.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281)의 적용을 위해 접철식 장치 본체(210)에는 도어 포켓(211)이 마련된다.
그리고,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281)는 도어 구동부(283)에 의해 전동식으로 슬라이딩 동작한다.
도어 구동부(283)는 슬라이딩 도어(281)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283a)와, 랙 기어(283a)와 기어 맞물림되는 피니언 기어(283b)와, 피니언 기어(283b)를 구동시키는 기어 구동부(283c)를 포함한다.
이에, 기어 구동부(283c)가 동작하여 피니언 기어(283b)가 회전되면 피니언 기어(283b)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랙 기어(283a)가 전진 혹은 후진할 수 있고, 이의 동작에 기초하여 적재부(111)의 개구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적재부(111)에 귀중하거나 혹은 타인에게 노출이 꺼려지는 물품이 적재된 경우에는 슬라이딩 도어(281)로 적재부(111)의 개구를 닫고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20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즉 도어 구동부(283)의 작용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281)의 동작 역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컨트롤 디바이스(270)의 컨트롤러(260)에 의한 컨트롤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물류 카트용, 쇼핑 카트용, 스포츠 레저용, 개인 탑승 이동용, 유모차 대용용 등처럼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무선 컨트롤이 가능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20 : 프레임 본체
21 : 탈 것 22 : 슬라이딩 구동부
30 : 조향 휠 40 : 슬라이딩 전동 모듈
41 : 구동 휠 42 : 기능성 발판
50 : 휠 조향 유닛 60 : 핸들봉
61 : 손잡이 65 : 기어박스
70 : 컨트롤 디바이스

Claims (7)

  1.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및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를 원격에서 무선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컨트롤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조향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향 휠;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구동 휠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전동 모듈;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측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핸들봉; 및 상기 조향 휠에 연결되되 상기 조향 휠을 조향 구동하는 휠 조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휠 조향 유닛은 센터에 상기 핸들봉이 결합되며, 핸들봉의 작용으로 위치 이동되는 메인 조향바와, 상기 메인 조향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볼 조인트와, 상기 메인 조향바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서브 조향바와, 상기 메인 조향바와 상기 서브 조향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조향 링크바와, 상기 서브 조향바의 양단부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메인 조향바, 상기 조향 링크바 및 상기 서브 조향바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교차형 링크바와, 상기 교차형 링크바와 조향 휠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휠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봉에는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핸들봉에 대하여 상기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핸들봉과 상기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 사이에는 각도 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기능 모니터링 유닛에는 상기 각도 조절부가 일측에 연결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에 마련되되 각종 컨트롤을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유닛 바디에 마련되고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전동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전동 모듈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슬라이딩 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 또는 상기 핸들봉에 마련되며, 상기 핸들봉과 상기 휠 조향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전동 모듈은 다수의 기능이 탑재되는 기능성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폴딩 구조를 갖는 접철식 장치 본체로서, 상기 접철식 장치 본체에는 적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적재부에 탈부착 시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탈부착 시트에는 상기 탈부착 시트를 완충시키는 완충부가 마련되며,
    상기 완충부는 스프링이고,
    상기 완충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부에 끼움형태로 탈부착시키는 착탈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폴딩 구조를 갖는 접철식 장치 본체로서, 상기 접철식 장치 본체에는 적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적재부의 개구에는 적재부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281)의 적용을 위해 접철식 장치 본체에는 도어 포켓이 마련되며,
    상기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 구동부에 의해 전동식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7478A 2019-04-23 2019-04-23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KR10213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78A KR102133962B1 (ko) 2019-04-23 2019-04-23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78A KR102133962B1 (ko) 2019-04-23 2019-04-23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962B1 true KR102133962B1 (ko) 2020-07-15

Family

ID=7160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78A KR102133962B1 (ko) 2019-04-23 2019-04-23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490A (ko) * 2020-07-29 2022-02-07 모터싱스 주식회사 스마트 이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741B1 (ko) * 2005-02-25 2006-08-10 이승주 다목적 주행장치
KR20070054718A (ko) 2004-08-31 2007-05-29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자립형 메모리 장치 및 이중 모드 자립형 메모리 카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KR20100105588A (ko) 2007-11-05 2010-09-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110018633A (ko) 2009-08-18 2011-02-2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여과막 정화장치
WO2015036945A1 (de) * 2013-09-13 2015-03-19 Blickle Räder + Rollen GmbH u. Co. KG Lenkvorrichtung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KR200485017Y1 (ko) * 2016-07-11 2017-11-20 박광섭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KR101820311B1 (ko) * 2015-10-12 2018-02-28 (주)머케인 전동 카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718A (ko) 2004-08-31 2007-05-29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자립형 메모리 장치 및 이중 모드 자립형 메모리 카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0609741B1 (ko) * 2005-02-25 2006-08-10 이승주 다목적 주행장치
KR20100105588A (ko) 2007-11-05 2010-09-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110018633A (ko) 2009-08-18 2011-02-2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여과막 정화장치
WO2015036945A1 (de) * 2013-09-13 2015-03-19 Blickle Räder + Rollen GmbH u. Co. KG Lenkvorrichtung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KR101820311B1 (ko) * 2015-10-12 2018-02-28 (주)머케인 전동 카트
KR200485017Y1 (ko) * 2016-07-11 2017-11-20 박광섭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490A (ko) * 2020-07-29 2022-02-07 모터싱스 주식회사 스마트 이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시스템
KR102368693B1 (ko) * 2020-07-29 2022-02-28 모터싱스 주식회사 스마트 이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964B2 (en) Convertible tandem stroller with a double seat transfer mechanism
US7987933B1 (en) Motorized stroller apparatus
EP2848494B1 (en) Child stroller
CN203111243U (zh) 可折叠载客推车
KR102133955B1 (ko) 조향기능을 갖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US11161539B2 (en)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2006142B1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CN206171674U (zh) 一种折叠式老年助力车
KR102133962B1 (ko)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Sehat et al. State of the art baby strollers: Design review and the innovations of an ergonomic baby stroller
US20140217705A1 (en) Child's active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7215113A1 (zh) 一种多功能智能滑板车
KR101716448B1 (ko) 폴딩 왜건
WO2006001688A3 (en) Trolley
GB2540833A (en) Trolley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bicycle
KR20160044190A (ko) 영유아용 웨건
CN201580418U (zh) 一种五杆折叠婴儿车
JP7043827B2 (ja) 電動移動体
CN203511740U (zh) 一种换向折叠童车
RU135996U1 (ru) Сани-коляска (варианты)
KR20190062117A (ko) 다기능성 영유아용 의자
CN108502006B (zh) 一种儿童推车
CN201694323U (zh) 多功能亲子折叠自行车
CN203612025U (zh) 可与脚踏车组合的推车结构
CN113306620A (zh) 多功能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