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311B1 - 전동 카트 - Google Patents

전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311B1
KR101820311B1 KR1020150142340A KR20150142340A KR101820311B1 KR 101820311 B1 KR101820311 B1 KR 101820311B1 KR 1020150142340 A KR1020150142340 A KR 1020150142340A KR 20150142340 A KR20150142340 A KR 20150142340A KR 101820311 B1 KR101820311 B1 KR 10182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frame
wheel
dri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015A (ko
Inventor
민경균
Original Assignee
(주)머케인
민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머케인, 민경균 filed Critical (주)머케인
Priority to KR102015014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5/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adjustable th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거나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운반할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을 구비하는 프레임(10)과; 상기 측면프레임(12a, 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12a, 12b)에 지지되는 슬라이딩부재(30);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양측면(32)에 연결되며, 내부에 주행을 위한 허브모터(26)를 구비하는 휠연결부(24)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휠연결부(24)와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휠(22)을 포함하는 휠구동부재(20); 그리고 상기 프레임(10)과 구동휠(22)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에 지지되며 운전자가 탑승가능한 발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부재(30)는 수동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내부에 설치된 모터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측으로 이동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카트{Electric cart}
본 발명은 전동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보관 및 다른 장소로 운반이 용이한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운반할 대상물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카트는 크게 운전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구동하는 수동 카트와, 운전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구동 가능함과 동시에 구동모터 등으로 구동가능한 전동 카트로 구분된다.
그 중 수동 카트는, 운전자의 힘에 의존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적재된 짐이 많을 경우, 카트를 이동하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수동 카트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 사용하기 위험하며, 특히 많은 짐을 적재한 상태에서 경사진 길에서 전진 및 후진을 할 경우 카트의 힘을 감당 못하여 안전사고가 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직접 힘을 가하는 수동 카트보다 이동이 편리한 전동 카트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동 카트는 마트 등에서 장을 볼 때 사용 되기도 하고, 공장에서 무겁고 부피가 큰 물건 이송시, 공원이나 유원지에서 어린이와 짐을 함께 싣고 이동하는 용도 등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5641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길이나 지면이 고르지 못한 길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전동 손수레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 손수레는 크고 무거운 물건을 편리하게 운송할 수 있지만, 운전자가 전동 손수레와 함께 걸으면서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카트는 기본적으로 무겁고 큰 물건을 적재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보관하는 장소가 건물의 높은 층인 경우 엘리베이터를 통해 운반하기 어려우며, 차량의 트렁크 등에 싣고 다른 장소로 운반할 하기도 쉽지가 않다. 이와 같이 전동 카트는 경사진 길이나 고르지 못한 길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운전자의 편의성도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큰 물건을 적재가능 하면서 운반 및 보관 가능한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대상물을 편리하게 운반 가능한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보관 및 다른 장소로 운반이 편리한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탑승 가능하여 오랫동안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의 요철에 기인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휠의 독립적인 제어를 통하여, 조향 및 회전 반경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운반할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가능한 캐스터;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주행을 위한 허브모터를 구비하는 한 쌍의 구동휠;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구동휠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운전자가 탑승가능한 발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전동 카트는, 운반할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에 지지되는 슬라이딩부재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지지되고,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발판;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중의 일측에 설치되고, 지면에 주행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캐스터;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중의 타측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허브모터를 내장하는 구동휠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은 슬라이딩부재를 따라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전동 카트는, 상기 구동휠은, 휠연결부를 통하여 슬라이딩부재의 양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발판 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전동 카트는,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전동 카트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측부와 휠연결부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휠연결부에 연결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수단은,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슬라이딩부재의 전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직선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직선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외측면에는 나사간이 성형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내부로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성형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직선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볼스크류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전동 카트는, 상기 한 쌍의 구동휠은 상기 휠연결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적재부에 많은 물건 등을 적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기 때문에, 편리하면서도 손쉽게 대량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의하면, 수동 또는 전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를 프레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카트의 길이 조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의 트렁크 등과 같은 한정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른 장소로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의하면, 운전자가 탑승가능한 발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도 같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편리함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의하면, 구동휠과 휠연결부 사이에 서스펜션이 설치되어 있어서, 주행 시 발생하는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에 대하여 물건이 손상되거나 진동에 의한 탑승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각각 허브모터가 내장된 한 쌍의 구동휠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주행 방향의 조작 및 제어는 물론이고, 조향이나 회전 반경의 제어 등에서 더욱 편리한 장점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 카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카트의 펼쳐진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 카트의 접힌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 카트의 이동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 카트의 직선운동 변환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전동 카트의 손잡이 폴딩을 예시한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운반할 대상물을 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부분을 지면에 대하여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16)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부분을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며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허브모터(26)를 구비하는 한 쌍의 구동휠(2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과 구동휠(22)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며 운전자가 탑승가능한 발판(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운반할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운반할 대상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8)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윗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예시되어 있으나, 적재되는 물건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형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아이들을 태우고 공원이나 마트에 가는 용도로 사용된다면 어린이용 시트와 짐을 함께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스터(16)는 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 가능하도록 프레임(1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16)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캐스터(16)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지만, 설치되는 캐스터(16)의 갯수는 상기 프레임(10)의 형태에 따라 한 개 혹은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한 쌍의 구동휠(22)은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양측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구동휠(22)은 내부에 주행을 위한 허브모터(2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허브모터(26)는 한 쌍의 구동휠(22)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허브모터(26)의 회전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전후진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한 쌍의 구동휠(22)에 구비되는 허브모터(26)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후술할 제어패널(62)에 설치되는 입력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허브모터(26)가 동시에 같은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카트는 전진하게 되고, 허브모터(26)가 동시에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카트는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 및 우측의 허브모터(26) 중 좌측의 허브모터(26)가 우측보다 더 빨리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우회전, 우측의 허브모터(26)가 좌측보다 더 빨리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좌회전하게 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허브모터(26)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시 카트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허브모터(2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후술할 손잡이(60)에 설치된 제어패널(62)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그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어패널(62)은 손잡이(6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60)는 힌지(64)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에서 길이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패널(62)는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이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장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가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발판(40)은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10)과 구동휠(22)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된다. 상기 발판(40)은 상기 손잡이(60)의 제어패널(62)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의 발판(40)은, 탑승자에 의한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구동휠(22)과 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고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카트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할 때, 구동휠(22) 및 그 주변 구성이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카트는, 실질적으로 정해진 크기의 프레임(10)을 중심으로, 구동휠(22) 등을 외측으로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10)은,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전방프레임(14a) 및 후방프레임(14b)과, 상기 전방프레임(14a) 및 후방프레임(14b)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방프레임(14a)의 양측에 한 쌍의 캐스터(16)가 설치되는데, 상기 한 쌍의 캐스터(16)는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 가능하고,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12a, 12b)에 지지되는 슬라이딩부재(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측면프레임(12a,12b)에 각각 지지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재(30)를,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내부로 넣거나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재(3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30)와 연결된 부품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카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양측부(32)에는 휠연결부(24)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휠연결부(24)는 슬라이딩부재(30)와 힌지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휠연결부(24)의 후단부에는 구동휠(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휠(22)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허브모터(26)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휠(22)은 상기 휠연결부(24)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폭 방향으로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양측부(32)과 휠연결부(24) 사이에는 서스펜션(28)이 설치된다. 상기 서스펜션(28)은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프레임(10)과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프레임(10)과 구동휠(22)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면적을 가지는 발판(40)이 슬라이딩부재(30)의 후방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발판(40)은, 구동휠(22)과 슬라이딩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슬라이딩부재(30)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2a, 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슬라이딩) 가능하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30)는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구동모터(58) 등을 통하여 전동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모터(58)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부재(30)를 프레임(10)의 전후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에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스크류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58)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부재(3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전방프레임(14a)에 고정된 고정축(52)과, 상기 슬라이딩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54)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고정축(52)은 프레임(1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나사공(52a)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나사공(52a)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4)은 슬라이딩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그 외측면에 성형된 숫나사산이 상기 나사공(52a)에 나사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58)의 회전력은 다수의 기어열(56a,56b,56c,56d)을 통하여 충분히 감속된 회전수로 상기 회전축(54)에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54)은 고정축(52)의 나사공(52a)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고정축(52)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54)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30)는 도 5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54)을 지지하거나 상기 고정축(52)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안내부재(59)를 별도로 슬라이딩부재(30)에 설치하거나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도 5의 (b)에 도시한 상태로 이동한다는것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부재(30) 및 그것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휠(22)이 프레임(10)의 내부까지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휠(22)은 사용 상태에서는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충분히 빠져나와서 안정된 주행을 제공할 수 있고,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도 5의 (a) 참조]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 등을 더욱 유리하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구동모터(58)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부재(30)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외측으로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에 구동모터(58)를 내장시키고 이러한 모터(58)에서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슬라이딩부재(30)를 이동시키는 구성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이동하는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지지축(51)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3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8)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슬라이딩부재(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8)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상기 발판(40) 및 구동휠(22)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발판(40)의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10) 내측으로 들어올 때까지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상기 후방프레임(14b)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3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와 연결되는 발판(40) 및 휠구동부재(20)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전동 카트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기 위한 것이고, 이는 전동 카트의 보관 및 다른 장소로 운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카트는 슬라이딩부재(30)의 위치에 따라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상태와, 전동 카트를 보관 및 운반 가능한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상기 후방프레임(14b)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무거운 물건이나 부피가 큰 물건을 운반하기 적합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는, 본 발명의 전동 카트를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하거나 운반하기 적합하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30)가 프레임(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는, 집안 또는 창고에 전동 카트를 보관하기 적합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2a, 12b ..... 측면프레임
14a, 14b ..... 전방프레임
16 ..... 캐스터
18 ..... 적재부
20 ..... 휠구동부재
22 ..... 구동휠
24 ..... 휠연결부
26 ..... 허브모터
28 ..... 서스펜션
30 ..... 슬라이딩부재
32 ..... 양측부
40 ..... 발판
50 ..... 이동수단
51 ..... 지지축
52 ..... 고정축
52a ..... 나사공
54 ..... 회전축
56a, 56b, 56c, 56d ..... 나사열
58 ..... 구동모터
59 ..... 안내부재
60 ..... 손잡이
62 ..... 제어패널
64 ..... 힌지

Claims (9)

  1. 삭제
  2. 운반할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과, 상기 측면프레임(12a, 12b)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함과 같이 측면프레임에서 뺄 수 있도록 측면프레임(12a, 12b)에 지지되는 슬라이딩부재(30)을 구비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슬라이딩부재(30)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발판(4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고, 지면에 주행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캐스터(16); 그리고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허브모터(26)를 내장하고, 휠연결부(24)를 통하여 슬라이딩부재(30)의 양측부(34)에 연결되는 구동휠(22)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40) 및 구동휠(22)을 구비하는 슬라이딩부재(30)는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22)은, 상기 발판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전동 카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측부(34)와 휠연결부(24)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와 휠연결부(24)에 연결되는 서스펜션(2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슬라이딩부재(3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8)와, 상기 구동모터(58)의 회전력을 슬라이딩부재(30)의 전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직선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되는 전동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모터(58)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성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54)과;
    상기 회전축(54)이 내부로 나사결합되는 나사공(52a)이 성형되고,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고정축(52)으로 구성되는 전동카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모터(58)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0)와 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는 볼스크류장치로 구성되는 전동카트.

  9. 삭제
KR1020150142340A 2015-10-12 2015-10-12 전동 카트 KR10182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340A KR101820311B1 (ko) 2015-10-12 2015-10-12 전동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340A KR101820311B1 (ko) 2015-10-12 2015-10-12 전동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015A KR20170043015A (ko) 2017-04-20
KR101820311B1 true KR101820311B1 (ko) 2018-02-28

Family

ID=5870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340A KR101820311B1 (ko) 2015-10-12 2015-10-12 전동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3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62B1 (ko) *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KR102210382B1 (ko) 2019-10-02 2021-02-01 이창형 험로 탈출이 용이한 전동 카트 및 이를 이용한 험로 탈출 방법
KR20210117678A (ko) 2020-03-20 2021-09-29 (주)제이스코리아 관로 내부의 인베스티게이팅을 위한 전동 드라이빙 시스템
US11374509B2 (en) 2020-10-23 2022-06-28 Honda Motor Co., Ltd. Generator pulley system and method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914A (zh) * 2017-08-22 2018-02-13 太仓欧克仓储设备有限公司 一种仓库用牵引装置
JP6847455B2 (ja) * 2017-09-15 2021-03-24 アール株式会社 台車
JP6950521B2 (ja) * 2017-12-26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集荷システム
KR102133955B1 (ko) *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조향기능을 갖는 다목적 개인 이동장치
KR102424920B1 (ko) * 2020-07-31 2022-07-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카트
KR20220141508A (ko) 2021-04-13 2022-10-20 축산물품질평가원 이동식 전동 작업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467A (ja) * 2014-12-26 2015-04-30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エス キャリーカ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467A (ja) * 2014-12-26 2015-04-30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エス キャリーカー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62B1 (ko) * 2019-04-23 2020-07-15 주식회사 에프이씨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KR102210382B1 (ko) 2019-10-02 2021-02-01 이창형 험로 탈출이 용이한 전동 카트 및 이를 이용한 험로 탈출 방법
KR20210117678A (ko) 2020-03-20 2021-09-29 (주)제이스코리아 관로 내부의 인베스티게이팅을 위한 전동 드라이빙 시스템
US11374509B2 (en) 2020-10-23 2022-06-28 Honda Motor Co., Ltd. Generator pulley system and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015A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311B1 (ko) 전동 카트
US7762363B1 (en) Motorized beach wagon
US9150233B2 (en) Foldable cart
US4351562A (en) Movable seat for a motorized transport chair
US8453771B1 (en) Beach wagon
US3524512A (en) Self-propelled driving and steering truck for shopping carts
US8286739B2 (en) Self-propelled beach cart
US7108090B2 (en) Motorized cart with hub gear motor system
EP2540604B1 (en) Luggage scooter device
US9908570B1 (en) Electric beach wagon
JP6175044B2 (ja) 運搬車及びフレーム構造
WO2016139869A1 (ja) 電動車
CN105992727B (zh) 可折叠车辆
EP2001724A2 (en) Vehicle for carriage of children
US3934669A (en) Powered vehicle
WO2018025172A1 (en) Hybrid wheeled and tracked moving mechanism
CN106080892B (zh) 电动滑板车
US9610989B2 (en) Compact trailer, particularly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US20030094315A1 (en) Solar powered transporter
JP7043827B2 (ja) 電動移動体
US7249778B2 (en) Vehicle
CN211156781U (zh) 一种轮履复合式轮椅
CN206885126U (zh) 推车及儿童推车
KR101872581B1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EP2550890B1 (en) Combined play and luggage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