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142B1 -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 Google Patents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142B1
KR102006142B1 KR1020170158197A KR20170158197A KR102006142B1 KR 102006142 B1 KR102006142 B1 KR 102006142B1 KR 1020170158197 A KR1020170158197 A KR 1020170158197A KR 20170158197 A KR20170158197 A KR 20170158197A KR 102006142 B1 KR102006142 B1 KR 10200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wagon
accelera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442A (ko
Inventor
윤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카트
Publication of KR2019003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기능 및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웨건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웨건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측면에 구비된 바퀴를 전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액셀부 및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전동모터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액셀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액셀부에 인접한 위치로 당기는 입력에 따라 제동부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의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일 방향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인,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이 구비 된 웨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WAGON WITH ELECTRIC MOTOR AND FRAME LENGTH ADJUSTMENT}
본 발명은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웨건에 전동기능과 프레임 길이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웨건을 사용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외출 시 어린 아이를 태우고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카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당 카트는 네 개의 바퀴와 아이를 태울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카트를 웨건이라 부른다.
종래의 웨건은 전기적 장치 혹은 자동화 장치가 없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웨건을 이끌어야 하므로 오르막 길을 오를 때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가 따로 구비 되어 있지 않아 내리막길에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웨건들은 제작될 때부터 아이를 태우거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고정되어 조절할 수 없게 구성되어 제작 된 크기대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기능과 길이 조절기능이 포함된 웨건으로, 오르막 길을 오를 때에 전기적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힘으로도 편하게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장소에 맞게 프레임 길이를 조절하여 실제 탑승하는 아이에게 더욱 안락한 공간과 승차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동 기능 및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웨건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웨건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측면에 구비된 바퀴를 전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액셀부 및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전동모터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액셀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액셀부에 인접한 위치로 당기는 입력에 따라 제동부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의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일 방향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인,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이 구비 된 웨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이 가능한 웨건은 전기적 장치를 사용하여 전동 운전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오르막길 등의 불편 지역에 대한 이동을 하는 경우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바퀴를 제어 할 수 있는 운전대와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길이 변경이 가능한 프레임 구조를 통해 웨건 내부 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킬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에 카 시트 등의 착석이 가능한 구조물을 추가로 구비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의 구조도 이다.
도 2 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의 측면도 이다.
도 3은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의 후면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의 하단의 사시도 이다.
도 5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의 구동부의 사시도 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웨건의 사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은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웨건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의 하단 일면에 구비되어, 프레임부의 하단 측면에 구비된 바퀴를 전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300), 프레임부의 상단 일 측에 구비되어 구동부(3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232)를 포함하며 제어부(232)는 액셀부 및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되 액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입력에 따라 구동부(300)의 전동모터(330)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브레이크부는 액셀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액셀부에 인접한 위치로 당기는 입력에 따라 제동부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프레임부는 복수의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일 방향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는, 물건의 적재 및 아이의 탑승 시, 지지 해주는 하단 프레임(240), 하단 프레임(240)과 이격하며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 프레임, 웨건의 전면에 구비 되어 하단 및 상단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구비 되는 전면 프레임(210), 전면 프레임(210)과 마주하는 위치에 하단 프레임(240)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구비 되는 후면 프레임(230) 및 웨건의 양 측면에 하단 프레임(240)의 중간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단 프레임(240)이 선택적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하는 측면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체 프레임의 구성 중 전면 프레임(210)은, 총 4개의 직선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직선형 프레임이 사각형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측면 프레임(220)과 수직으로 연결 되며고, 연결부분에 연장부(211)를 구비하되, 연장부(211)는 전면 프레임(210)과 연결 된 별도의 프레임으로 측면 프레임(220)의 끝단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프레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11)는 전면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의 연결 부분에 버튼이 구비되어, 해당 버튼을 눌러 측면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210)간의 사이에 노출되는 연장부(211)의 길이에 대한 조절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위에 구비 된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전면 프레임(210)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측면 프레임(220) 내부에 별도로 삽입되어 존재하는 연장부(211)가 외부로 노출이 되고 외력에 의해 연장되어 웨건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버튼은 내부의 걸림쇠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외력(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걸림쇠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서 전면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해 연장된 연장부(211)는 다시 외력에 의해 측면 프레임(220) 내부로 삽입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건의 전체 길이가 연장부(211)를 제외한 프레임부의 길이로 복원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연장부(211)는 전면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이 연결되는 부분에 외력에 의한 회전으로 결합 또는 해체가 가능한 고정커버를 통해 고정되되, 고정커버를 해체하여 노출되는 연장부(211)의 길이에 대한 조절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해당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를 구비한 원형의 고정커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고정커버는 나사산의 형성 방향에 따라 회전하면서 결합되고 반대로 회전하면서 해체 될 수 있다.
고정커버를 해체하는 경우 연장부(211)가 노출 되고 전면 프레임(210)을 바깥 방향으로 당기거나 미는 형태의 외력에 의해 웨건의 전제 길이가 연장되고 연장 후 다시 고정커버를 결합하여 고정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의 측면 프레임(220)은 전체 프레임의 구성 중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폴딩 프레임(221)을 포함하되, 해당 폴딩 프레임(221)은 영문 'X'자 형상의 링크 형태를 갖는 두 개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의 후면 프레임(230)과 제어부(23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면 프레임(230)은, 측면 프레임(220)과 수직으로 연결 되며, 상단에 손잡이부(231)를 구비하되, 손잡이부(231)는 구동부(300)와 제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2)는 후면 프레임(230) 상단의 손잡이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해당 제어부(232)는 구동부(300)의 전동모터(330) 및 제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며, 브레이크부 및 브레이크부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액셀부를 포함하며, 브레이크부는 제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액셀부는 구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부와 액셀부는 사용자의 한 손에 대응하는 크기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주먹을 쥐는 동작에 대응하여 브레이크부가 액셀부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할 경우 제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동부(300)에 전기신호를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와 같은 형태로 동작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으며, 액셀부를 회전 시키는 경우 해당 전기 신호를 통해 구동부(300)의 전동모터(330)를 회전 시켜 웨건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부를 당기는 경우 웨건의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의 하단 프레임(240), 구동부(300) 및 제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단 프레임(240)은, 후면 프레임(230)의 하면 일 측에 구동부(3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210)과 인접한 하면 일 측에 외력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 프레임(240)은 물건의 적재나 아이가 탑승할 수 있게 구성되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용 카 시트를 장착하거나 유모차와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단 프레임(240)은 후방 부분에 구동부(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 부분에는 외력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전방 하부에 구비된 앞 바퀴는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 가능하도록 하단 프레임(240)을 지지할 수 있고, 하단 프레임(24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방향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시 된 웨건은 전방 하부에 두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단 프레임(240)의 형태, 하단 프레임(240)이 받는 하중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전기신호를 통해 구동되는 전동모터(330), 전동모터(3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 된 배터리부(360), 전동모터(330),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기어(320)를 고정하고 바퀴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 휠 축(340), 구동 휠 축(340)의 회전을 멈추거나 속도를 낮추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동모터(330)는 제어부(232)에 구비 된 버튼 입력에 따라 전기 신호를 통해 구동 되되, 양측에 전동모터(330)의 동작에 대응하게 회전하는 동일한 크기의 제 1 기어(310)를 구비하고, 제 2 기어(320)는 제 1 기어(310)에 맞물리도록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기어(31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동모터(330)와 제 1 기어(310)는 중심축을 관통하는 고정축(고정샤프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샤프트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샤프트의 구동축과 대응하는 영역은 홀로 형성되어 있어 구동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휠 축(340)은, 복수개의 제 2 기어(32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프레임부 후단의 바퀴 중심축에 고정되어 바퀴를 회전시키며, 바퀴와 인접한 위치에 구동 휠 축 지지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이 구비 된 웨건은 한 개의 전동모터(330)로 웨건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동부는, 제어부(232)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구동 휠 축(340)이 제동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제어부(232)의 전기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구동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동부는 브레이크의 기능을 하며 상단의 제어부(232)를 통해 제어되고, 구동 휠 축(340)의 회전을 멈추거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멈추게 하거나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제동부는 구동 휠 축(340)이 제동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동축의 일부분과 연결됨. 제동부는 하단 프레임(240)에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2)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전진, 후진, 정지, 가속, 또는 감속을 조절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폴딩 프레임(221)이 X자 형태의 교차 식이 아닌 접이식으로 구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240)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되, 폴딩 프레임(221)이 본 발명의 측면 프레임(220)을 대체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일자로 곧은 프레임과 손잡이부(23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240)사이의 일 영역에 연결부(221-4)를 포함하여 해당 연결부(221-4)가 접혀지는 형태로 구비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의 폴딩 프레임(221)은 손잡이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상단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고, 끝 단에 연결부를 구비한 제 1 폴딩 프레임(221-1)과 제 1 폴딩 프레임(221-1)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 되어 있으며, 하단 프레임(240)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는 제 2 폴딩 프레임(221-2), 제 2 폴딩 프레임(221-2)과 이격하여 하단 프레임(240)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며, 제 1 폴딩 프레임(221-1)의 연결부(221-4)와 손잡이부(231)의 사이에 고정되어 연결된 제 3 폴딩 프레임(221-3)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각 폴딩 프레임(221)의 구성 요소 들의 연결 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접이식으로 웨건의 전체 크기를 줄여 보관 및 미사용시 이동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은 측면 프레임(220)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 폴딩 프레임(221)의 구성 요소 들이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240)을 고정하고 있으며, 후면 프레임(230)역시 구비하지 않고 제 1 폴딩 프레임(221-1)과 연결 되어 손잡이 부(231) 및 제어부(232)가 구비 될 수 있다.
웨건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 프레임(240)에 추가 프레임을 설치하여 적재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 프레임을 설치 할 때, 그 모양에 따라 물건에 대한 적재가 가능할 수 있으며, 평평한 판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아이를 태울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6 내지 도 9에는 도시 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과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 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구동부(300)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전면 프레임 211: 연장부
220: 측면 프레임 221: 폴딩 프레임
221-1: 제 1 폴딩 프레임 221-2: 제 2 폴딩 프레임
221-3: 제 3 폴딩 프레임 221-4: 연결부
230: 후면 프레임 231: 손잡이부 232: 제어부
240: 하단 프레임
300: 구동부
310: 제 1 기어 320: 제 2 기어 330: 전동모터
340: 구동 휠 축 350: 구동 휠 축 지지부
360: 배터리부

Claims (10)

  1. 전동 기능 및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웨건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웨건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측면에 구비된 바퀴를 전동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액셀부 및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전동모터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액셀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액셀부에 인접한 위치로 당기는 입력에 따라 제동부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의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일 방향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고,
    물건의 적재 및 아이의 탑승 시, 지지 해주는 하단 프레임, 상기 하단 프레임과 이격하여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 프레임, 상기 웨건의 전면에 구비 되어 상기 하단 및 상단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구비 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하단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구비 되는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웨건의 양 측면에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간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단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 되며, 연결부분에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압에 의한 회전으로 결합 또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를 구비한 고정커버를 통해 고정되되, 전면 프레임과 연결 된 별도의 프레임으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끝단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프레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가 노출된 후 상기 버튼이 눌러질 때,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에 대한 조절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내부의 걸림쇠와 연결되어 있어, 외압에 의해 걸림쇠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대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 되며, 상단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구동부와 제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부와 상기 액셀부는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한 손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액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시키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전기신호를 가하는 것이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사용자가 주먹을 쥐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액셀부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동부를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하단 프레임은,
    상기 후면 프레임의 하면 일 측에 상기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과 인접한 하면 일 측에 외력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구동부는,
    전기신호를 통해 구동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 된 배터리부, 상기 전동모터,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기어를 고정하고 바퀴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 휠 축, 상기 구동 휠 축의 회전을 멈추거나 속도를 낮추는 제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 된 버튼 입력에 따라 전기 신호를 통해 구동 되되,
    양측에 전동모터의 동작에 대응하게 회전하는 동일한 크기의 제 1 기어를 구비하고, 제 2 기어는 제 1 기어에 맞물리도록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구동 휠 축은,
    상기 복수개의 제 2 기어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부 후단의 바퀴 중심축에 고정되어 바퀴를 회전시키며, 바퀴와 인접한 위치에 구동 휠 축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구동 휠 축이 상기 제동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의 전기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구동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전동 기능 및 프레임 조절 기능이 구비 된 웨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58197A 2017-09-25 2017-11-24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KR102006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34 2017-09-25
KR20170123234 201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42A KR20190035442A (ko) 2019-04-03
KR102006142B1 true KR102006142B1 (ko) 2019-08-01

Family

ID=6616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197A KR102006142B1 (ko) 2017-09-25 2017-11-24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48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디카트 자동 및 수동 조작의 전환이 가능한 전동보드
KR20230168530A (ko) 2022-06-07 2023-12-14 서동희 의자 겸용 웨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88B1 (ko) * 2019-10-08 2021-06-09 명세씨엠케이 주식회사 전동 보조형 이동식 대상체 탑재장치
CN213848145U (zh) * 2020-12-11 2021-08-03 爱妈咪玩具河北有限公司 一种折叠式宠物推车
KR200494467Y1 (ko) * 2021-04-15 2021-10-18 이강욱 접이식 웨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62B1 (ko) *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101672853B1 (ko) * 2016-06-24 2016-11-04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271A (ko) * 2013-12-02 2015-06-11 김대수 다목적 전동식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62B1 (ko) *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KR101672853B1 (ko) * 2016-06-24 2016-11-04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48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디카트 자동 및 수동 조작의 전환이 가능한 전동보드
KR102328238B1 (ko) * 2019-12-12 2021-11-19 주식회사 디카트 자동 및 수동 조작의 전환이 가능한 전동보드
KR20230168530A (ko) 2022-06-07 2023-12-14 서동희 의자 겸용 웨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42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142B1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JP7065827B2 (ja) カート
KR101531278B1 (ko) 자동 폴딩 전동카
CN109291982B (zh) 儿童推车
KR20180004630A (ko) 유모차
KR101658802B1 (ko)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CN109927811B (zh) 电动移动体
GB2540833A (en) Trolley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bicycle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CN201325535Y (zh) 便携式折叠电动车
TW202110685A (zh) 兒童載具
CN108186215B (zh) 多功能载重轮椅车
CN103407482A (zh) 一种折叠式婴儿车及方法
KR200494467Y1 (ko) 접이식 웨건
JP2017159780A (ja) 台車
CN108583666B (zh) 一种童车
CN212605378U (zh) 一种多功能童车
KR102133962B1 (ko) 무선 컨트롤이 가능한 다목적 개인 이동 시스템
KR20140118089A (ko)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CN205131331U (zh) 一种可快速拆卸的童车提篮
KR101485300B1 (ko) 전동 카트
CN202620034U (zh) 多功能组合式电动轮椅车
CN105946953B (zh) 一种婴儿车
EP3956199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CA2486861A1 (en) Child's pushchair comprising steering wheel-lock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