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089A -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 Google Patents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089A
KR20140118089A KR1020130033364A KR20130033364A KR20140118089A KR 20140118089 A KR20140118089 A KR 20140118089A KR 1020130033364 A KR1020130033364 A KR 1020130033364A KR 20130033364 A KR20130033364 A KR 20130033364A KR 20140118089 A KR20140118089 A KR 2014011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coupled
driving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권
이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3003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089A/ko
Publication of KR2014011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전동으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2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뒷바퀴로 이루어지는 다륜의 자전거에 전후 회전이 가능한 유아시트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균형 감각이 낮은 여성들이나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아 시트에 앉아 있는 영유아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아시트에 영유아의 탑승이 없을 경우에는 유아시트의 접힘을 통해 보호자가 유모차를 근거리 운행을 위한 자전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Bicycle with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에 전동장치를 구비하여 유아와 함께 보호자도 탑승한 상태에서 적정속도로 자동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아탑승부의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유모차를 밀어 바퀴의 구름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고 수동으로만 밀어 운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로 경사진곳을 지날때, 예를들어 오르막길에서는 유모차를 미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고, 내리막길에서는 유모차가 내려 가려는 가속도가 붙어 이에 따라 유모차손잡이를 놓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평지에서도 유모차를 오랫동안 이동하거나 먼데까지 이동할때는 많은 힘이 들게 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유모차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27319 호(공개일 2005.03.21.)와 같이 자전거와 결합되는 유모차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유모차와 자전거의 결합과 분리가 연결부재를 통해 단순 결합되는 구조로서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자전거의 탑승객인 보호자가 유보차를 바라보지 못해 자전거 주행시 유아의 상태를 관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특허는 자전거가 페달을 밟아 운행하는 수동형인 관계로, 이 또한 언덕길이나 내리막길에서는 그 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등 사용상의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 또는 전동으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2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뒷바퀴로 이루어지는 다륜의 자전거에 전후 회전이 가능한 유아시트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균형 감각이 낮은 여성들이나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아 시트에 앉아 있는 영유아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시트에 영유아의 탑승이 없을 경우에는 유아시트의 접힘을 통해 보호자가 유모차를 근거리 운행을 위한 자전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는, 2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뒷바퀴 및, 상기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페달, 그리고 보호자 탑승용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장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영유아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고, 경사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시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축프레임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온/오프스위치와 제동레버 및 손잡이를 구성하는 조작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앞바퀴에 축부를 통해 결합되는 구동 휠;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으로부터 상기 뒷바퀴의 구름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 휠에 위치하고, 상기 제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구동 휠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상측에 시트고정부를 돌출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시트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의 양측부에 각도조절홀이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에 후방측이 축부를 통해 축 결합되고, 전방측은 각도조절핀을 통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영유아 탑승용 유아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프레임은, 축프레임이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 3 프레임; 온/오프스위치와 제동레버 및 손잡이가 구성되고, 상기 제 3 프레임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프레임에는 뒷바퀴에 형성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조절 게이지 및 주차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시트프레임내에는 상기 속도조절 게이지로부터 출력하는 속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단측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온 스위칭동작시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 휠에는 주차레버의 조작에 의해 전동 유모차의 운행을 제한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전동으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2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뒷바퀴로 이루어지는 다륜의 자전거에 전후 회전이 가능한 유아시트를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균형 감각이 낮은 여성들이나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아 시트에 앉아 있는 영유아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아시트에 영유아의 탑승이 없을 경우에는 유아시트의 접힘을 통해 보호자가 유모차를 근거리 운행을 위한 자전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시트프레임이 분리된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자와 영유아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도 5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자가 영유아가 각각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대한 정면도.
도 11은 도 9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도 9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자와 영유아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제 1 모드에서 보호자와 영유아가 각각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모드로 전환되도록 메인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시트프레임이 분리된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자와 영유아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도 5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자가 영유아가 각각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대한 정면도, 도 11은 도 9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도 9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자와 영유아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제 1 모드에서 보호자와 영유아가 각각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모드로 전환되도록 메인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는 메인프레임(10), 시트프레임(20), 조작프레임(30), 구동 휠(40), 구동모터(50), 그리고 제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첨부된 도 13에서와 같이 보호자와 영유아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제 1 모드에서 보호자와 영유아가 각각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모드로 전환되도록 길이 가변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메인프레임(10)에는 전방측에 2개의 앞바퀴(11)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1개의 뒷바퀴(12)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뒷바퀴(12)와 체인(13)으로 연결되는 페달(14)이 형성되고, 보호자 탑승용으로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장부(15)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보호자는 안장부(15)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14)을 밟아 전동 유모차를 수동으로 운행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시트프레임(20)은 경사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영유아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 1,2 프레임(21)(22), 유아시트(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프레임(21)은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시트고정부(21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프레임(22)은 상기 시트고정부(21a)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후방의 양측부에는 일정길이의 각도조절홀(22a)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유아시트(23)는 영유아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 2 프레임(22)에 후방측이 축부(23a)를 통해 축 결합되고, 전방측은 각도조절핀(23b)을 통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시트프레임(20)에 포함되는 유아시트(23)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안장부(15)에 앉은 보호자를 영유아가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제 1 모드이거나, 또는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보호자와 함께 전방측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제 2 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 2 프레임(22)은 유아시트(23)의 위치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제 1 프레임(21)의 시트고정부(21a)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시트고정부(21a)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 2 프레임(22)이 360°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아시트(23)는 상기 제 2 프레임(22)에서 축부(23a)를 통해 회전이 가능한 구조인 바, 상기 제 2 프레임(22)에 형성되는 각도조절홀(22a)의 어느 한 위치에 각도조절핀(23b)을 체결 고정하게 되면, 상기 유아시트(23)는 상기 제 2 프레임(22)에서 일정각도로 세워지거나 누워질 수 있으며, 이에따라 유아시트(23)에 탑승한 영유아는 눕거나 또는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프레임(3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 축프레임(30a)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축프레임(30a)이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 3 프레임(34)과, 온/오프스위치(31)와 제동레버(32) 및 손잡이(33)가 구성되고 상기 제 3 프레임(34)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프레임(35)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4 프레임(35)에는 뒷바퀴(12)에 형성되는 구동모터(5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조절 게이지(36)와 주차레버(3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한편, 상기 시트프레임(20)을 이루는 제 1 프레임(21)의 내부에는 상기 속도조절 게이지(36)로부터 출력하는 속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38)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모터제어부(38)는 탑승객(보호자)가 속도조절 게이지(36)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속도조절 게이지(36)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5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 휠(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앞바퀴(11)에 각각 축부(40a)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50)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31)의 조작으로부터 상기 뒷바퀴(12)의 구름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며 그 구동속도는 상기 속도조절 게이지(36) 및 모터제어부(3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동부(60)는 상기 구동 휠(40)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동레버(32)의 조작시 상기 구동 휠(40)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 휠(40)에는 주차브레이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며, 상기 주차브레이크(80)는 제 4 프레임(35)에 형성되는 주차레버(37)의 조작에 의해 작동함은 물론 그 작동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되는 안장부(15)에 보호자가 앉고, 영유아가 보호자를 바라보도록 시트프레임(20)의 유아시트(23)의 등받이가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아시트(23)가 결합되는 제 2 프레임(22)을 제 1 프레임(21)의 시트고정부(21a)에 고정하여 둔다.
다음으로, 보호자는 페달(14)을 밟아 전동 유모차를 수동으로 운행시키거나, 또는 조작프레임(30)에 마련되는 온/오프 스위치(31)를 온 스위칭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70)의 전원을 뒷바퀴(12)에 형성되는 구동모터(50)에 공급하여,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으로부터 뒷바퀴(12)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2개의 앞바퀴(11)는 물론 이에 축부(40a)로 연결되는 구동 휠(40)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전동 유모차의 전동 운행이 가능하고, 보호자는 유아시트(23)에 탑승한 영유아를 바라보면서 전동 유모차를 운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탑승객인 보호자가 제 4 프레임(35)에 형성되는 속도조절 게이지(36)를 통해 속도조절신호를 모터제어부(38)에 출력시, 상기 모터제어부(38)는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전동 유모차는 상황에 따라 그 운행 속도가 빠르거나 또는 느리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도 9 내지 도 12, 그리고 도 13에서아 같이,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되는 안장부(15)에 보호자가 앉고, 영유아가 전방을 바라보도록 메인프레임(10)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시트프레임(20)에 포함되는 유아시트(23)의 등받이가 후방측 즉, 보호자가 바라볼 수 있도록 상기 유아시트(23)가 결합되는 제 2 프레임(22)을 제 1 프레임(21)의 시트고정부(21a)에 고정하여 둔다.
다음으로, 보호자는 페달(14)을 밟아 전동 유모차를 수동으로 운행시키거나, 또는 조작프레임(30)에 마련되는 온/오프 스위치(31)를 온 스위칭하여 배터리(70)의 전원을 구동모터(50)에 공급하여,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으로부터 뒷바퀴(12)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구동 휠(40)과 축부(40a)로 연결되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2개의 앞바퀴(11)가 회전되면서 전동 유모차의 전동 운행이 가능하고, 보호자는 물론 유아시트(23)에 탑승한 영유아와 함께 전방을 바라보면서 전동 유모차를 운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폐달(14)을 밟아 전동 유모차를 수동 운행시키거나, 또는 구동모터(50)의 구동으로부터 전동 유모차를 전동으로 운행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전동 유모차의 운행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호자는 조작프레임(30)의 제 4 프레임(35)에 형성되는 제동레버(32)를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제동레버(32)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동부(60)는 구동 휠(40)의 구동을 제한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 휠(40)과 축부(40a)를 통해 연결되는 앞바퀴(11)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는 바, 페달(14)에 의해 수동 운행되거나 또는 구동모터(50)에 의해 전동 운행이 이루어지는 전동 유모차의 운행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 휠(40)에는 주차브레이크(80)가 마련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80)는 조작프레임(30)의 제 4 프레임(35)에 형성되는 주차레버(37)에 의해 작동하므로, 상기 주차브레이크(80)의 작동으로부터 전동 유모차는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도 그 운행이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메인프레임 11; 앞바퀴
12; 뒷바퀴 13; 체인
14; 페달 15; 안장부
20; 시트프레임 21; 제 1 프레임
21a; 시트고정부 22; 제 2 프레임
22a; 각도조절홀 23; 유아시트
23a; 축부 23b; 각도조절핀
30; 조작프레임 30a; 축 프레임
31; 온/오프 스위치 32; 제동레버
33; 손잡이 34; 제 3 프레임
35; 제 4 프레임 36; 속도조절 게이지
37; 주차레버 38; 모터제어부
40; 구동 휠 50; 구동모터
60; 제동부 70; 배터리
80; 주차브레이크

Claims (6)

  1. 2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뒷바퀴 및, 상기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페달, 그리고 보호자 탑승용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장부를 형성하면서 전후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영유아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고, 경사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시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축프레임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온/오프스위치와 제동레버 및 손잡이를 구성하는 조작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앞바퀴에 축부를 통해 결합되는 구동 휠;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으로부터 상기 뒷바퀴의 구름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 휠에 위치하고, 상기 제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구동 휠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상측에 시트고정부를 돌출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시트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의 양측부에 각도조절홀이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에 후방측이 축부를 통해 축 결합되고, 전방측은 각도조절핀을 통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영유아 탑승용 유아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프레임은 축프레임이 직교되게 결합되는 제 3 프레임; 온/오프스위치와 제동레버 및 손잡이가 구성되고, 상기 제 3 프레임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프레임에는 뒷바퀴에 형성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조절 게이지와 주차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시트프레임 내에는 상기 속도조절 게이지로부터 출력하는 속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단측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온 스위칭동작시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에는 주차레버의 조작에 의해 전동 유모차의 운행을 제한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KR1020130033364A 2013-03-28 2013-03-28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KR20140118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364A KR20140118089A (ko) 2013-03-28 2013-03-28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364A KR20140118089A (ko) 2013-03-28 2013-03-28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089A true KR20140118089A (ko) 2014-10-08

Family

ID=5199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364A KR20140118089A (ko) 2013-03-28 2013-03-28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0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66B1 (ko) 2018-06-20 2018-09-12 이종상 보호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전동 탑승 장치
KR20190008010A (ko)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웰리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CN115892172A (zh) * 2022-11-22 2023-04-04 佛山市禅城鹰豪玩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儿童手推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010A (ko)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웰리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KR101895466B1 (ko) 2018-06-20 2018-09-12 이종상 보호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전동 탑승 장치
CN115892172A (zh) * 2022-11-22 2023-04-04 佛山市禅城鹰豪玩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儿童手推车
CN115892172B (zh) * 2022-11-22 2023-08-04 佛山市禅城鹰豪玩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儿童手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065B2 (en) Automatic folding electronic car
KR101978667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101632185B1 (ko) 접이식 전동 유모차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US20100320716A1 (en)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KR102158013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101382632B1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KR102006142B1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US7971893B1 (en) Wheelchair
US20190359246A1 (en) Miniature Vehicle with Foot Steering Arrangement
KR20140118089A (ko)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CN113734333B (zh) 一种代步车
JP7057009B1 (ja) 電動モビリティ
KR20170017193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KR101749558B1 (ko) 복합 발전기 일체형 전동기를 이용한 전동 스쿠터
KR101382633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차
US8132634B1 (en) Electronic steering assembly for dual motor vehicle
JP2014004291A (ja) 乗用姿勢制御装置を備えた乗用車両
US20190380893A1 (en) Driving method of wheelchair power apparatus for electronic driving conversion
KR20150041419A (ko) 전동식 회전 휠체어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KR102159666B1 (ko) 보조 탑승석이 구비된 전동 휠체어
JP6790644B2 (ja) 電動車両のアクセル装置
CN211139506U (zh) 一种带儿童座的电动车
CN213008554U (zh) 漂移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