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010A -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 Google Patents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010A
KR20190008010A KR1020170089830A KR20170089830A KR20190008010A KR 20190008010 A KR20190008010 A KR 20190008010A KR 1020170089830 A KR1020170089830 A KR 1020170089830A KR 20170089830 A KR20170089830 A KR 20170089830A KR 20190008010 A KR20190008010 A KR 20190008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xing
block
support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리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리치
Priority to KR102017008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8010A/ko
Publication of KR2019000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79Towing by connecting to another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휠의 앞쪽에 구비되어 후륜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유모차의 후륜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고 보호자가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호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Electromotion Wheel assembled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휠의 앞쪽에 구비되어 후륜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유모차의 후륜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고 보호자가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호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아탑승부의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유모차를 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품이다.
이러한 유모차는 수동으로만 밀어 운행하도록 되어 있어, 보호자의 피로가 심해지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즉, 유모차가 오르막길을 운행하는 경우 유모차를 미는데 많은 힘이 들고, 내리막길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가속도로 인해 유모차를 붙드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어 보호자의 피로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놓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 평지라 하더라도 유모차를 운행하여 오랫동안 이동하거나 멀리 이동하는 경우에는 다리가 아파지는 등 피로가 가중되어 피곤해진다. 이에 따라, 보호자가 힘들이지 않고 유모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 또한 그 중 하나에 해당한다.
한편, 전동휠은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휠을 회전시키고, 이 구동휠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탑승부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장치이다. 이러한 전동휠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편하게 멀리 이동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레저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동휠에 유모차를 연결함으로써 보호자들이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전동휠의 앞부분에 유모차의 후륜을 고정하여 보호자가 전동휠에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운행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유모차는 각 제품에 구비된 후륜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그로 인해 유모차의 후륜을 전동휠에 연결하는 경우 각 유모차의 후륜 크기에 대응되는 연결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2478호(2010.03.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346호(2012.09.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8089호(2014.10.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4271호(2015.06.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3437호(2016.01.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은, 구동부의 앞부분에 구비된 연결부에 유모차의 후륜이 결합 및 고정되어 보호자가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이동시킬 수 있고 유모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은, 양측에 구동휠이 설치된 구동부와; 보호자가 탑승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구동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탑승부와; 유모차의 후륜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부의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와; 구동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모차의 후륜 크기에 따라 연결부를 가변시킨 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지지부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마감부재의 안쪽에서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지지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의 안쪽에 배치되어 유모차의 후륜을 고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되어 유모차의 후륜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을 따라 승강되어 연결부의 가동부재를 좌우 이동시키는 승강블록과, 연결부의 가동부재와 승강블록을 링크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링크와, 승강블록의 상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블록과, 승강블록을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블록의 측부에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재의 끝단부에 회전부재와 직교하도록 배치된 손잡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블록은 승강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승강블록에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구동부의 앞쪽에 좌우로 배치되고 구동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와, 양단에 마감부재가 설치되도록 구동부의 앞쪽에 좌우로 설치되는 센터 바와, 지지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연결부의 가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는 연결부의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가이드블록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연결부와 가이드블록을 지지하고, 가이드 바는 연결부의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가이드블록을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바에 가이드블록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은, 연결부에 유모차의 후륜이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보호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호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유모차의 후륜에 대응하여 연결부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유모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패드가 부착됨에 따라 유모차의 후륜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고 후륜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블록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블록이 연결링크를 통해 가동부재에 연결되어 승강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가동부재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의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을 통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유모차의 후륜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을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의 연결부와 고정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유모차의 후륜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가동부재를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유모차의 후륜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구동휠(20)이 설치된 구동부(30)와; 보호자가 탑승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구동부(30)의 후방에 설치되는 탑승부(10)와; 유모차(100)의 후륜(1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부(30)의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40)와; 구동부(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결부(40)를 지지하는 지지부(60)와; 유모차(100)의 후륜(150) 크기에 따라 연결부(40)를 가변시킨 후 고정하는 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호자가 탑승부(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유모차(100)를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보호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유모차(100)의 후륜(150) 크기에 따라 연결부(40)를 가변시켜 후륜(150)을 고정할 수 있어 유모차(100)의 종류에 관계없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마감부재(45)의 안쪽에서 지지부(6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와, 지지부(6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의 안쪽에 배치되어 유모차(100)의 후륜(150)을 고정하는 가동부재(42)와,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되어 유모차(100)의 후륜(15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패드(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모차(100)의 후륜(150)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의 두께 방향 아랫부분이 가동부재(42) 방향으로 연장되어 'ㄴ' 형상을 가지며 패드(43)는 그 안쪽 부분에 부착된다. 그리고, 가동부재(42) 역시 두께 방향 아랫부분이 고정부재(41) 방향으로 연장되어 'ㄴ'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재(41)와 대칭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모차(100)의 후륜(150)을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의 연장부가 지지하게 되어 후륜(150)이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된 패드(43)로 인해 후륜(150)의 손상이 방지되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부(50)는 지지부(6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블록(55)과, 가이드블록(55)을 따라 승강되어 연결부(40)의 가동부재(42)를 좌우 이동시키는 승강블록(54)과, 연결부(40)의 가동부재(42)와 승강블록(54)을 링크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링크(56)와, 승강블록(54)의 상단에 연결되어 구동부(30)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블록(53)과, 승강블록(54)을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블록(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블록(53)의 측부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회전부재(51)와, 회전부재(51)와 직교하도록 회전부재(51)의 끝단부에 부착되는 손잡이(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56)의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가동부재(42)의 연장부 반대편에 연장부와 동일 높이로 링크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블록(55)에는 승강블록(5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55a)과, 승강블록(54)에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55a)을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55b)가 구비된다.
지지부(60)는 구동부(30)의 앞쪽에 좌우로 배치되고 구동부(3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63)와, 양단에 마감부재(45)가 설치되도록 구동부(30)의 앞쪽에 좌우로 설치되는 센터 바(64)와, 지지부재(63)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연결부(40)의 가동부재(4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재(61)는 가이드블록(55)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홈(55c)에 삽입됨과 아울러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홈에도 삽입되어 연결부(40)와 가이드블록(55)을 지지하게 되고, 가이드 바(61)는 가이드블록(55)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구멍(55d)에 삽입됨과 아울러 연결부(40)의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를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에도 삽입되어 연결부(40) 및 가이드블록(55)이 가이드 바(61)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연결부(40)의 고정부재(41)는 초기 위치가 결정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가이드블록(55)은 초기 위치가 결정된 후 가이드 바(61)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6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에 유모차의 후륜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것에 대하여, 도 7과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30)의 앞쪽에 위치한 지지부(60)에 고정부(50)와 연결부(40)를 설치한다. 고정부(50)는 가이드 바(61)에 형성된 고정홈(62)에 가이드블록(55)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50)가 가이드부(6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하고, 연결부(40)는 고정부(50)의 외측에 가동부재(42)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외측에 고정부재(41)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연결부(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정부(50)의 승강블록(54)과 가동부재(42)를 연결링크(56)로 연결하고, 고정부재(41)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60)의 센터 바(64) 양 끝단에 마감부재(45)를 결합시켜 고정함으로써 지지부(60) 양측에 위ㅊ한 연결부(40)의 고정부재(4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유모차(100)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2)를 이용하여 회전부재(51)를 90도 회전시킨 후, 회전부재(51)를 잡아당겨 승강블록(54)을 상향 이동시킨다. 승강블록(54)이 상향 이동되면 연결링크(56)로 인해 가동부재(42)가 지지부(60)의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 사이의 공간으로 유모차(100)의 후륜(150)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51)를 조작하여 승강블록(54)을 하향 이동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00)의 후륜(150)이 연결부(40)에 고정된다. 즉, 승강블록(54)이 하향 이동되면 연결링크(56)에 의해 가동부재(42)가 지지부(6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로 인해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 사이의 틈새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2)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패드(43)가 유모차(100)의 후륜(150)에 각각 밀착되고, 그로 인해 후륜(150)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호자는 탑승부(10)에 탑승하여 구동부(30)의 전방에 연결된 유모차(100)의 손잡이를 잡고 유모차(1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유모차(1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유모차(100)가 연결된 후에는 보호자가 탑승부(10)에 탑승한 상태로, 구동부(30)를 작동시켜 구동휠(20)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모차(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탑승한 보호자가 유모차(100)의 손잡이를 잡고 있으므로, 유모차(100)를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구동부(30)의 전방에 구비된 지지부(60)의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부(40)와 고정부(50)를 통해 유모차(10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연결부(40)와 고정부(50)가 설치된 지지부(60)를 구동부(30)로부터 분리하여, 탑승부(10)와 구동부(30) 및 구동휠(20)로 이루어진 전동휠만을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탑승부 20 : 구동휠
30 : 구동부 40 : 연결부
41 : 고정부재 42 : 가동부재
43 : 패드 45 : 마감부재
50 : 고정부 51 : 회전부재
52 : 손잡이 53 : 지지블록
54 : 승강블록 55 : 가이드블록
55a : 가이드레일 55b : 승강가이드
55c: 지지부재 삽입홈 55d : 가이드구멍
56 : 연결링크 60 : 지지부
61 : 가이드바 62 : 고정홈
63 : 지지부재 64 : 센터 바
100 : 유모차 150 : 후륜

Claims (6)

  1. 양측에 구동휠이 설치된 구동부와;
    보호자가 탑승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구동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탑승부와;
    유모차의 후륜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동부의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와;
    구동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모차의 후륜 크기에 따라 연결부를 가변시킨 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는 지지부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 마감부재의 안쪽에서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지지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의 안쪽에 배치되어 유모차의 후륜을 고정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되어 유모차의 후륜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을 따라 승강되어 연결부의 가동부재를 좌우 이동시키는 승강블록과, 연결부의 가동부재와 승강블록을 링크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링크와, 승강블록의 상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블록과, 승강블록을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블록의 측부에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4.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끝단부에 회전부재와 직교하도록 배치된 손잡이가 부착되고,
    가이드블록은 승강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승강블록에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는 구동부의 앞쪽에 좌우로 배치되고 구동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와, 양단에 마감부재가 설치되도록 구동부의 앞쪽에 좌우로 설치되는 센터 바와, 지지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연결부의 가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연결부의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가이드블록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연결부와 가이드블록을 지지하고, 가이드 바는 연결부의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가이드블록을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고,
    가이드 바에 가이드블록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KR1020170089830A 2017-07-14 2017-07-14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KR20190008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30A KR20190008010A (ko) 2017-07-14 2017-07-14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30A KR20190008010A (ko) 2017-07-14 2017-07-14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10A true KR20190008010A (ko) 2019-01-23

Family

ID=6532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30A KR20190008010A (ko) 2017-07-14 2017-07-14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801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478A (ko) 2008-09-18 2010-03-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
KR20120100346A (ko) 2011-03-02 2012-09-12 강수빈 자전거 유모차
KR20140118089A (ko) 2013-03-28 2014-10-08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KR20150064271A (ko) 2013-12-02 2015-06-11 김대수 다목적 전동식 유모차
KR20160003437A (ko) 2014-07-01 2016-01-11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전동 유모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478A (ko) 2008-09-18 2010-03-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
KR20120100346A (ko) 2011-03-02 2012-09-12 강수빈 자전거 유모차
KR20140118089A (ko) 2013-03-28 2014-10-08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KR20150064271A (ko) 2013-12-02 2015-06-11 김대수 다목적 전동식 유모차
KR20160003437A (ko) 2014-07-01 2016-01-11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전동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7585B1 (en)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Transport Beds with Wheels
KR20160078432A (ko) 사람 운반용 시스템
KR101865137B1 (ko) 연습용 봅슬레이
US9139215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KR20190008010A (ko)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JP2006044603A (ja) 搬送装置
KR920007859A (ko)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JP200426919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082813B1 (ko) 전동 유모차
JP4328121B2 (ja) 運搬用6輪台車
CN108327772B (zh) 手推车
KR101507963B1 (ko)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KR101371426B1 (ko)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산악 썰매
JP4652113B2 (ja) 育児器具
KR101772369B1 (ko) 손쉽게 턱을 넘어가는 밀차
JPH11321209A (ja) 偏芯軸車輪付台車類の運転装置
KR101872581B1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KR102668482B1 (ko) 스마트 이동장치
KR102308399B1 (ko) 유모차
JP6392074B2 (ja) チェアリフトの搬器用落下防止器
JP2007210408A (ja) 無人搬送車
KR101658215B1 (ko) 레일 자전거
CN218172374U (zh) 一种童车用刹车结构及童车
CN210681012U (zh) 一种童车
KR200248112Y1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