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419A - 전동식 회전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식 회전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419A
KR20150041419A KR20130119924A KR20130119924A KR20150041419A KR 20150041419 A KR20150041419 A KR 20150041419A KR 20130119924 A KR20130119924 A KR 20130119924A KR 20130119924 A KR20130119924 A KR 20130119924A KR 20150041419 A KR20150041419 A KR 2015004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wheelchair
rotating body
driving mo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015B1 (ko
Inventor
최준환
나상현
박지호
최재연
이다은
이동섭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최준환
박지호
최재연
이동섭
이종하
나상현
이다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환, 박지호, 최재연, 이동섭, 이종하, 나상현, 이다은 filed Critical 최준환
Priority to KR102013011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0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folding down backrest, e.g. where the backrest folds down onto the sea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프레임의 하부에 베터리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의자프레임의 일측으로 베터리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구동모터를 구성하며, 상기 의자프레임의 상부로 설치되는 보강판의 중앙에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회전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상부로 의자의 양측으로 팔걸이대와 하부측으로 발걸이대이 형성된 의자부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회전체가 전달받아 의자부의 방향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방향전환시 후진을 하면서 좁은 공간을 이동할 경우 휠체어 전체를 회전할 필요없이 의자부만 돌려 휠체어 주행방향은 후진이지만 사람의 진행방향은 전진으로하여 좀더 편리하고 안전된 운행을 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회전 휠체어{Electric Rotary wheelchairs}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신체장애자나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보조 장치로서, 통상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하며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휠을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보조자가 뒤에서 손잡이를 잡고 밀어 휠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수동식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동식 휠체어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는 차체 내에 설치된 모터로 바퀴를 구동시켜 휠이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지 않고도 손쉽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나 전동식 휠체어는 차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에 시트와 등받이를 고정시켜 구비하고 있으며, 그 양측에 주륜(또는 구동륜)과 보조륜이 장착되고, 손잡이와 팔받이, 발판 등이 구비되며, 주륜(또는 구동륜)을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휠체어에 설치되는 시트는, 통상적으로 프레임 상에 완전히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 운전자가 대화나 물건을 잡기 위해 작은 각도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휠체어의 주륜(구동륜)을 회전시켜 휠체어의 방향 전체를 전환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은 각도의 방향전환이라 할지라도 방향 전환시마다 매번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휠체어의 주륜을 사용하여 작은 각도의 방향 전환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방향 전환을 실시하여야만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차륜을 이용한 방향 전환 없이 간단하게 의자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휠체어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공개번호 제10-2012-0115165호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2. 등록번호 제10-1017280호 (휠체어) 3. 등록번호 제10-1171418호 (휠체어)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휠체어 착석한 상태에서 차륜의 조작없이 착석 방향을 선회시킬 수 있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행방향에서 뒷쪽을 확인하고 싶을 때 진행방향은 유지한 상태에서 의자부를 회전시켜 뒷쪽 및 양 옆쪽으로 이용자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와 같은 협소하고 후방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장소에서 의자부를 회전시켜 진행방향과 무관하게 사각지대를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주차륜과 한 쌍의 조향차륜이 설치된 의자프레임의 상부로 의자부가 형성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의자프레임의 하부에 베터리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의자프레임의 일측으로 베터리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구동모터를 구성하며, 상기 의자프레임의 상부로 설치되는 보강판의 중앙에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회전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상부로 의자의 양측으로 팔걸이대와 하부측으로 발걸이대이 형성된 의자부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회전체가 전달받아 의자부의 방향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휠체어 착석한 상태에서 차륜의 조작없이 착석 방향을 선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행방향에서 뒷쪽을 확인하고 싶을 때 진행방향은 유지한 상태에서 의자부를 회전시켜 뒷쪽 및 양 옆쪽으로 이용자를 회전시켜 주변 확인이나 대화시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방향전환시 후진을 하면서 좁은 공간을 이동할 경우 휠체어 전체를 회전할 필요없이 의자부만 돌려 휠체어 주행방향은 후진이지만 사람의 진행방향은 전진으로하여 좀더 편리하고 안전된 운행을 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회전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회전 휠체어의 의자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회전 휠체어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회전 휠체어의 의자부가 측면, 후방 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회전 휠체어는 한 쌍의 주차륜(11)과 한 쌍의 조향차륜(12)이 설치된 의자프레임(10)의 상부로 의자부(20)가 형성된 휠체어(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의자프레임(10)의 하부에 베터리(30)를 설치 구성하는데, 상기 베터리(30)는 주차륜(11)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도면상 미도시한 주행모터가 별도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의자프레임(10)의 일측으로 베터리(30)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구동모터(40)를 구성하는데, 상기 구동모터(4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의자프레임(10)의 상부로 설치되는 보강판(13)의 중앙에 구동모터(40)와 동력전달수단(50)으로 연결되는 회전체(60)를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체(60)의 상부로 의자(21)의 양측으로 한 쌍의 팔걸이대(22)와 하부측으로 한 쌍의 발걸이대(23)이 형성된 의자부(20)를 고정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의자부(20)의 한 쌍의 팔걸이대(22) 중 하나의 전방으로 휠체어(100)의 주행, 정지, 방향선회 등을 위한 조이스틱(24) 방식 및 버튼(25) 방식이 혼합된 조작부(26)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0)에서 회전체(6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0)은 체인방식, 벨트방식, 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50)에 따라 구동모터(40)와 회전체(60)는 체인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구동스프라킷이 결합되고 종동스프라킷으로 구성되고, 벨트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구동풀리이 결합되고 종동풀리로 구성되며, 기어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각각 구동기어가 결합되고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력전달수단(50)을 벨트(51)방식을 사용할 경우를 일예로 들어 구동모터(40)에는 구동풀리(41)가 구성되고, 회전체(60)는 종동풀리(61)가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의자부(2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 작동하는 센서(70)를 부착하여 의자부(20)의 회전 작동시 센서(70)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정지시켜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센서(70)는 구동모터(40) 및 조작부(27)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의자부(20)의 회전시 센서(70)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가 조작부(27)로 전달되어 조작부(27)에서의 제어를 통해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상기 휠체어(100)는 주차륜(11)의 구동을 통한 방향 선회 없이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회전체(60)가 전달받아 의자부(20)의 방향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100)는 회전체(60)의 상부로 의자부(20)를 고정설치하여 의자(21)에 이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발은 발걸이대(23)에 올려 놓는다.
이후, 이용자는 조작부(26)를 조작하여 휠체어(100)을 전/후진, 방향선회, 의자부(20)의 회전 등을 작동 제어한다.
우선, 상기 휠체어(100)를 전/후진은 조작부(26)에서 전원을 인가시킨 후 조이스틱(24)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휠체어(100)의 자체의 방향 선회도 조이스틱(24)을 조작할 경우 한 쌍의 주차륜(11) 중 하나만 회전하면 방향 선회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100)를 이용도중 주차륜(11)을 작동하지 않고 의자부(20)만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버튼(25)이나 조이스틱(24)을 혼용하거나 설정에 따른 조작법에 의해 작동시키면, 베터리(30)에서 전원이 구동모터(40)로 전달되어 구동모터(40)가 작동하면 동력전달수단(50)을 통해 회전체(60)가 보강판(13)의 상부에서 회전하게 되어 의자부(20)를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의자부(20)의 회전시 센서(70)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가 조작부(27)로 전달 되어 조작부(27)에서의 제어를 통해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정지시켜 의자부(20)나 이용자가 장애물과 접촉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의자부(20)를 회전시킬 수 있어 휠체어(100)의 진행 방향과 관계 없이 진행 방향을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휠체어(100)이 이용자가 시선을 확보하기 위한 후방측, 양측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휠체어(100)를 사용하는 일 예로써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에서 이용상태를 설명하면, 휠체어(1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시 전진으로 상태로 탑승하여 엘리베이터의 후방벽면을 주시하는 상태로 정지하며 엘리베이터를 내릴 때에는 후진으로 내린다.
이때,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시 버튼 조작시 의자부(20)를 회전시켜 조작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엘리베이터에서 내릴 때 뒤쪽의 상황을 자세히 볼 수 없으므로 후진 주행중 엘리베이터의 문의 개방여부와 장애물, 다른 승객과의 접촉여부를 정확히 알 수가 없어 위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휠체어(100)는 의자부(20)를 회전시켜 이용자의 주시방향을 후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상황의 파악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며 휠체어(100)의 후진작동으로 간단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의자프레임 11 : 주차륜
12 : 조향차륜 13 : 보강판
20 : 의자부 21 : 의자
22 : 팔걸이대 23 : 발걸이대
25 : 조이스틱 26 : 버튼
27 : 조작부 30 : 베터리
40 : 구동모터 41 : 구동풀리
50 : 동력전달수단 51 : 벨트
60 : 회전체 61 : 종동풀리
70 : 센서
100 : 휠체어

Claims (3)

  1. 한 쌍의 주차륜(11)과 한 쌍의 조향차륜(12)이 설치된 의자프레임(10)의 상부로 의자부(20)가 형성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의자프레임(10)의 하부에 베터리(30)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의자프레임(10)의 일측으로 베터리(30)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구동모터(40)를 구성하며,
    상기 의자프레임(10)의 상부로 설치되는 보강판(13)의 중앙에 구동모터(40)와 동력전달수단(50)으로 연결되는 회전체(60)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60)의 상부로 의자(21)의 양측으로 팔걸이대(22)와 하부측으로 발걸이대(23)이 형성된 의자부(20)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회전체(60)가 전달받아 의자부(20)의 방향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0)에서 회전체(6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0)은 체인방식, 벨트방식, 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2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 작동하는 센서(70)를 부착하여 의자부(20)의 회전 작동시 센서(70)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정지시켜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회전 휠체어.
KR1020130119924A 2013-10-08 2013-10-08 전동식 회전 휠체어 KR10151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924A KR101514015B1 (ko) 2013-10-08 2013-10-08 전동식 회전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924A KR101514015B1 (ko) 2013-10-08 2013-10-08 전동식 회전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19A true KR20150041419A (ko) 2015-04-16
KR101514015B1 KR101514015B1 (ko) 2015-04-21

Family

ID=5303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924A KR101514015B1 (ko) 2013-10-08 2013-10-08 전동식 회전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88A1 (ko) * 2019-11-29 2021-06-03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파워 스위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스위블 제어방법
US20220111738A1 (en) * 2019-08-05 2022-04-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 trolley
WO2023204324A1 (ko) * 2022-04-20 2023-10-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판단시스템을 이용한 전동휠체어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426B2 (ja) 2001-07-11 2011-10-05 昌司 大石 ボールを駆動輪とする電動車両
JP2008086691A (ja) * 2006-10-05 2008-04-17 Univ Nihon 電動車椅子の機能及び機構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1738A1 (en) * 2019-08-05 2022-04-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 trolley
US11932119B2 (en) * 2019-08-05 2024-03-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 trolley
WO2021107388A1 (ko) * 2019-11-29 2021-06-03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파워 스위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스위블 제어방법
KR20210067482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파워 스위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스위블 제어방법
CN114761278A (zh) * 2019-11-29 2022-07-15 Dsc 有限公司-东滩 电动旋转装置及利用该电动旋转装置的电动旋转控制方法
WO2023204324A1 (ko) * 2022-04-20 2023-10-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판단시스템을 이용한 전동휠체어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015B1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9622A (ja) 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椅子
CN109414363B (zh) 电动轮椅
KR101514015B1 (ko) 전동식 회전 휠체어
KR101440054B1 (ko) 전동휠체어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0391A (ko) 전동 보행 보조용 의자
US7971893B1 (en) Wheelchair
JP2017213189A (ja) 電動車いす
JP6309297B2 (ja) 電動モビリティ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87228B1 (ko) 장애인용 운전시뮬레이터
KR102358568B1 (ko) 장애인 전동휠체어용 멀티 기능 모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휠체어
KR20070115191A (ko) 전동휠체어
JP2003339782A (ja) 車椅子の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式車椅子
KR101492587B1 (ko) 슬라이딩 팔걸이로 구동되는 전동 휠체어
KR20120096118A (ko) 수동 및 전동 겸용 휠체어
KR20140118089A (ko)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KR20160083460A (ko) 계단을 이용하기 위한 바퀴장치
KR101583158B1 (ko) 전동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구동장치
CN211156780U (zh) 轮椅设备
KR102307658B1 (ko) 수동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1393452B1 (ko) 탑승형 자세 균형 이동장치
KR101314276B1 (ko) 한손 구동 휠체어
JP3215894U (ja) 介護用車椅子
JP2004236748A (ja) 車両用シート
KR102624268B1 (ko)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JP2003335158A (ja) 身体障害者用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