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185B1 - 접이식 전동 유모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전동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185B1
KR101632185B1 KR1020140081800A KR20140081800A KR101632185B1 KR 101632185 B1 KR101632185 B1 KR 101632185B1 KR 1020140081800 A KR1020140081800 A KR 1020140081800A KR 20140081800 A KR20140081800 A KR 20140081800A KR 101632185 B1 KR101632185 B1 KR 10163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passenger
front wheel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37A (ko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8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1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유모차에 있어서,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가 착탈되는 장착구; 장착구에 상부가 체결되고, 유모차의 전방으로 배치되면서 하부에 제1전륜이 장착된 제1프레임; 장착구에 상부가 체결되고, 제1프레임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하부에 제1후륜이 연계 설치된 한 쌍의 제2프레임; 제2프레임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바; 제1프레임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연결바에 일부위가 장착부재를 매개로 장착된 제3프레임; 제3프레임의 타측부가 고정되는 하부부재와, 하부부재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부부재를 구비한 제1체결부재; 상부부재에 하단부가 고정된 제4프레임;과 제4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제1탑승체와, 제1탑승체의 후미에 장착되어 제1탑승체를 견인하고, 이용자가 탑승하는 몸체; 몸체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제2전륜과 제2후륜; 몸체에 내장된 배터리;와 배터리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는 제2탑승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이식 전동 유모차{Foldable electirc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으로 이동하고, 아이가 탑승하는 시트를 분리한 후 몸체를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통상의 유모차는 아이가 탑승하는 시트, 시트가 장착된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는 보모가 손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구조가 대부분이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7034호(발명의 명칭 :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8252호(발명의 명칭 : 유모차 구동장치)와 같이 모터를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운행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48112호(발명의 명칭 : 유모차)에서와 같이 전동으로 이동하는 유모차의 후미에 보모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유모차를 전동식으로 운행하는 1차적인 기술 이외에 유모차의 속도를 조절하고, 이동하는 유모차를 제동하며, 이동 중 충돌에 대응하는 등의 부차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보모가 탑승하는 구조 역시 보다 더 넓고, 안정적이며 편할 수 있는 편의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7034호(공고일 : 2010.11.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48112호(공고일 : 2001.10.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8252호(공고일 : 2004.04.28)
상기된 요구에 부합하도록 개발된 본 발명은, 아이용 시트가 장착되면서 전부(前部)에 충격흡수용 프레임이 구비되어 접을 수 있는 제1탑승체와, 보모가 탑승하는 별도로 마련된 제2탑승체가 상호 착탈되고, 운행은 물론 속도조절과 제동이 가능한 제2탑승체에 의해 제1탑승체가 견인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장소에 따라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합체 이용시 보모가 안정적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운행과 제동, 속도조절을 편리하게 조작하며,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접이식 전동 유모차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운행이 가능한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가 연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탑승체를 운전하기 위해 사용자가 탑승하는 제2탑승체는 전동으로 구동되도록 동력원을 포함한 구동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동력원의 가동과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1탑승체에 설치된 운전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탑승체는 아이가 탑승하는 시트가 착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동 유모차는, 유모차에 있어서,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가 착탈되는 장착구; 장착구에 상부가 체결되고, 유모차의 전방으로 배치되면서 하부에 제1전륜이 장착된 제1프레임; 장착구에 상부가 체결되고, 제1프레임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하부에 제1후륜이 연계 설치된 한 쌍의 제2프레임; 제2프레임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바; 제1프레임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연결바에 일부위가 장착부재를 매개로 장착된 제3프레임; 제3프레임의 타측부가 고정되는 하부부재와, 하부부재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부부재를 구비한 제1체결부재; 상부부재에 하단부가 고정된 제4프레임;과 제4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제1탑승체를 구비하고, 제4프레임에 외력을 가하여 상부부재가 하부부재에 대해 축회전하면서 장착구까지 제4프레임을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프레임은 평면상 대략 삼각형상이고, 제1전륜이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충격흡수프레임과, 충격흡수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면서 장착구에서 돌출 연장된 연장부와 체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제1전륜이 장착되고, 제1전륜의 방향 전환을 위해 상부가 높이 방향에 대해 자전 가능하도록 충격흡수프레임에 장착되는 바퀴장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프레임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장착부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제1후륜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장착부에 일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부가 제2프레임의 상부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연장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후륜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축과, 연결축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가 제2프레임과 축회전하도록 결합되도록 설치된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체결부재의 상부부재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된 제2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에 일측부가 결합되면서 타측부가 장착구에 체결된 제5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체결부재와 상부부재의 결합위치가 장착구보다 더 낮고, 제5프레임의 일측부와 제2체결부재의 결합 위치가 제2체결부재와 상부부재의 결합위치보다 더 낮으며, 제5프레임이 하향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프레임의 타측부가 결합되고, 한 쌍의 연장축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구비하고, 제4프레임을 접으면, 제5프레임의 일측부가 지지바를 밀어 연장축을 장착부에 대해 축회전시키면서 타측부가 하향 이동하고, 연장축과 제2프레임의 상부가 축회전하면서 제2프레임의 상부와 장착부가 하향 이동하며, 제2프레임의 하부와 결합부재가 축회전하면서 제1전륜과 제1후륜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프레임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작동레버와, 제4프레임을 접었을 때 작동레버에 의해 이동하면서 장착구와 걸림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장착된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3프레임은 하향 오목한 형상이고, 제4프레임의 하부와 중간부는 제3프레임의 곡률을 따라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이며, 제4프레임의 상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부는 제4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탑승체의 후미에 장착되어 제1탑승체를 견인하고, 이용자가 탑승하는 몸체; 몸체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제2전륜과 제2후륜; 몸체에 내장된 배터리;와 배터리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는 제2탑승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동력원의 구동과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핸들부에 설치된 엑셀휠과, 엑셀휠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을 제어하도록 몸체에 설치된 제어박스와, 엑셀휠의 제어신호를 제어박스로 전달하기 위해 엑셀휠과 제어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어케이블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일측부가 제1탑승체의 연결축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제2탑승체의 몸체 일부위에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연결부재는 연결축과 몸체에 대해 일정 각도의 피봇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몸체에는 제2탑승체를 제동하기 위해 제어박스에 제동신호를 전달하여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회전을 감속시키거나, 제2전륜 또는 제2후륜의 회전을 직접 감속시키도록 설치된 브레이크페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가 구비된 제4프레임을 접어 장착구와 결합하면서 장착구를 하향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탑승체의 높이를 대폭 축소시켜 보관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탑승체를 접었을 때, 제1전륜측을 파지하고, 제1후륜만 지면에 접촉시켜 이동할 수 있어 접어서 이동시키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제1탑승체를 견인하도록 장착된 제2탑승체에 보모가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를 체결하는 연결부재가 피봇회전함으로써, 제1탑승체의 방향전환이 수월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탑승체에 브레이크 패달이 장착되어 이동하는 유모차를 손쉽게 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핸들부에 엑셀휠이 장착되어 제2탑승체에 탑승한 상태에서 유모차의 이동과 이동속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협소한 장소나 넓은 장소에 따라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전동 유모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탑승체가 분리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제1탑승체가 접혀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탑승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제2프레임과 시트장착구의 결합부위의 동작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의 결합부위의 동작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핸들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의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1탑승체를 접는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전동 유모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탑승체가 분리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제1탑승체가 접혀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탑승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제2프레임과 시트장착구의 결합부위의 동작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의 결합부위의 동작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핸들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탑승체와 제2탑승체의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전동 유모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미도시)를 장착하는 제1탑승체(100)와, 제1탑승체(100)를 연결하여 견인하는 제2탑승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탑승체(100)는 제3프레임(180)에 대해 제4프레임(190)을 완전히 접고, 제2탑승체(300)는 동력원(미도시)이 내장되어 구동하면서 제1탑승체(100)를 견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탑승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구(110), 제1프레임(120), 제1전륜(130), 제2프레임(140), 연결바(150), 결합부재(160), 제1후륜(170), 제3프레임(180), 제4프레임(190), 제5프레임(200)과 핸들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착구(110)는 아이가 탑승하는 시트가 착탈되는 부위로,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이 연결되는 부위의 정점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홈(111)이 구비되며, 제1프레임(120)과 결합을 위해 돌출 연장된 연장부(112)와, 제2프레임(140)과의 결합을 위한 연장축(113,도 5a 참조)을 구비한다. 여기서, 연장부(112)는 도 2에서와 같이 양갈래로 연장되면서 한 쌍의 연결프레임(122)과 각각 체결된다. 한편, 한 쌍의 연장축(113)은 지지바(202)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고, 지지바(202)는 제5프레임(200)의 일측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장착구(110)와 시트의 결합의 일 예로, 장착구(110)에 형성된 일자형의 홈(111)에, 시트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진 후 시트에 장착된 별도의 잠금레버(미도시)를 작동하여 견고히 고정시킨다.
제1프레임(120)은 제1탑승체(100)의 전부(前部)에 대략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제2프레임(140)과 함께 장착구(110)를 지지하고, 이동시 전방 추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이 제1프레임(120)은 도 2, 도 3b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에 2개의 제1전륜(130)과 결합되면서 대략 중앙 부위에 제3프레임(180)의 일단 부위가 결합되는 충격흡수프레임(121)과, 이 충격흡수프레임(121)의 양단부에 결합되면서 장착구(110)의 연장부(112)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충격흡수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이 연결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면 대략 삼각형 형상이다. 또한, 제1프레임(120)의 변형 예로, 충격흡수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을 동일 재질의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충격흡수프레임(121)의 부위에 충격 흡수에 강한 재질을 덧씌워 제작할 수도 있다.
물론, 제1프레임(120)은 충격흡수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이 이루는 형상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오각형과 육각형 등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충격흡수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이 2개 이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전륜(130)은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퀴장착부재(131)를 매개로 제1프레임(120)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때, 바퀴장착부재(131)는 일측부가 충격흡수프레임(121)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부가 제1전륜(130)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탑승체(100)에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외력이 제공되면 바퀴장착부재(131)를 매개로 제1전륜(130)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제2프레임(140)은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20)과 더불어 장착구(110)를 지지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상단부가 장착구(110)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되고, 하단부가 결합부재(160)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이 각각의 제2프레임(140)의 상단부는 도 5a와 도5b에서와 같이, 장착구(110)의 하부에서 축회전하도록 하향 돌출된 연장축(113)의 선단부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한 쌍의 연장축(113)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202)는 제5프레임(200)의 일측부에 구비된다.
연결바(150)는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2프레임(140)을 연결하여 설치되고, 교차하는 제3프레임(180)의 일부위가 고정된다.
결합부재(160)는 도 3a와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1후륜(170) 근처에 배치되면서 제1후륜(170)을 연결하는 연결축(171)에 고정되고, 제2프레임(140)의 하단부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140)과 연장축(113)과 결합부재(160) 간의 결합은 제1탑승체(100)를 원활히 접을 수 있도록 동작하는 부위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제1후륜(170)은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이면서 제1전륜(13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호 연결축(171)에 의해 연결된다.
제3프레임(180)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20)의 충격흡수프레임(121)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연결바(150)에 중간 부위가 장착부재(181)를 매개로 고정되며, 타측부가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제1체결부재(191)를 매개로 축회전하도록 제4프레임(190)과 체결된다. 이 제3프레임(180)은 측면상 하향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형상은 도 3b에서와 같이, 제4프레임(190)을 접을 때 그 회전각과 회전반경을 직선일 때보다 작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장착부재(181)는 연결바(1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는 제4프레임(190)을 접을 때 제2프레임(140)과 제3프레임(180)이 축회전하면서 하향 이동하는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제4프레임(190)은 도 2, 도 4,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일측부에 제1체결부재(191)를 매개로 축회전하도록 체결되고, 타측부에 핸들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체결부재(191)는 상부부재(192)와 하부부재(193)로 구분되어 상부부재(192)와 하부부재(193)가 상호 축회전하도록 제작되고, 상부부재(192)에 제4프레임(190)이 고정되고, 하부부재에 제3프레임(180)이 고정된다. 또한, 제1체결부재(191)는 제4프레임(190)을 펼쳤을 때, 장착구(110)의 높이보다 더 낮게 위치한다.
또한, 제4프레임(190)은 도 3b에서와 같이, 중간부위에 걸림부재(194)와 작동레버(195)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4프레임(190)이 제1체결부재(191)를 매개로 접힌 상태에서 작동레버(195)를 동작시키면 걸림부재(194)가 왕복이동하여 장착구(110)의 일부위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이 제4프레임(190)은 제1탑승체(100)의 후방으로 오목한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형상은 도 3b에서와 같이, 접었을 때 제3프레임(180)보다 상측에 위치한 장착구(110)와의 간섭이 최대한 회피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4프레임(190)의 하부와 중간부에서의 곡률은 제3프레임(180)의 곡률과 대략 유사하고, 상부의 곡률은 하부와 반대 방향이면서 하부의 곡률보다 더 작은 곡률로 형성되어 대략 "S"자 형상과 유사한 형상이다.
제5프레임(200)은 도 2, 도 4,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장착구(110)에서 돌출된 한 쌍의 연장축(113)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202)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가 제2체결부재(201)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체결부재(201)는 제1체결부재(191)의 상부부재(192)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렇듯 제1체결부재(191)와 제2체결부재(201)를 매개로 제3프레임(180), 제4프레임(190)과 제5프레임(200) 간의 상호 연계된 구조는 제1탑승체(100)를 원활히 접을 수 있도록 동작하는 부위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여기서, 제2체결부재(201)와 상부부재(192)의 축회전 결합 위치는 장착구(110)의 높이보다 더 낮다. 따라서, 제2체결부재(201)와 상부부재(192)의 축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제5프레임(200)의 측면 형상은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제2체결부재(201)와 제5프레임(200)의 결합위치는 제2체결부재(201)와 상부부재(192)의 결합위치보다 더 낮다. 여기서, 제3프레임(180)과 제5프레임(200)의 오목한 형상은 직선 형상일 때보다 제4프레임(190)이 펼쳐지거나 접힐 때의 회전반경이 더 작게 하기 위한 다른 이유도 있다.
핸들부(210)는 유모차를 운전하는 사람이 파지하는 부위로, 도 2, 도 3과 도 7b에서와 같이, 곡선과 직선을 조합하여 파지하기 편한 대략 반원 형상이고, 제4프레임(190)의 선단부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핸들부(210)에는 제2탑승체(300,도 7a 참조)에 내장된 동력원(일 예로, 모터)의 작동과 출력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엑셀휠(211)이 구비된다.
이 엑셀휠(211)은 길이방향을 축으로 자전하도록 설치되고, 제어박스(370)와 제어케이블(371)로 연결되며,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어박스(37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동력원을 작동시키거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제2탑승체(300)의 이동과 속도를 제어한다. 이때, 엑셀휠(211)은 레버방식 또는 버튼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어케이블(371)은 외부에 최대한 노출이 회피되도록 대부분의 길이가 제4프레임(19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제2탑승체(300)는 도 2와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310), 제2전륜(320),제2후륜(330), 연결부재(340), 배터리(350), 브레이크페달(360)과 제어박스(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310)는 유모차를 운행하는 보모가 탑승하는 부재로, 일정 크기를 갖는다. 또한, 몸체(310)에는 제2전륜(320), 제2후륜(330), 동력원, 배터리(350), 브레이크페달(360)과 제어박스(370)가 장착된다.
여기서, 제2전륜(320)은 동력원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바퀴이고, 이 제2전륜(320)의 회전을 위해 동력원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축(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동력원의 동력이 구동축에 전달되고, 이 구동축의 회전으로 제2전륜(320)이 회전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동력원은 제2후륜(330)만 회전시키거나, 제2전륜(320)과 제2후륜(330)을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이에 적합하도록 구동축이 설치된다.
연결부재(340)는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를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부재이다. 이 연결부재(340)의 일측부는 제1탑승체(100)의 연결축(171)과 체결되고, 타측부는 제2탑승체(300)의 일부위에 체결된다. 여기서, 연결부재(340)는 연결축(171)과 제2탑승체(300)에 일정 각도 내에서 피벗 회전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고, 이는 제1탑승체(100)의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제2탑승체(300)가 원활히 후행하도록 하면서 제1탑승체(100)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터리(350)는 동력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재로, 몸체(310)에 착탈 가능하도록 내장된다.
브레이크페달(360)은 이동하는 제2탑승체(300)를 정지시키는 부재로, 몸체(310)에 설치되고, 이용자가 발로 동작시킬 수 있는 위치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 브레이크 페달(360)은 제2전륜(3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의 회전을 마찰력으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제2전륜(320)의 회전을 직접 마찰력으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페달(360)은 제어박스(370)와 연결되고, 제동신호를 제어박스(370)에 송신하면, 동력원의 출력이 감소되면서 가동이 정지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페달(360)은 핸들부(210)의 엑셀휠(211) 근처에 레버방식 또는 버튼방식 등으로 대체될 수 있고, 이때의 제동은 제1탑승체(100)의 제1전륜(130) 또는 제1후륜(17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구조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박스(370)는 엑셀휠(211)에서 송신된 신호를 전달 받아 동력원의 가동과 출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어박스(370)는 브레이크페달(360)과 연결된 경우, 브레이크페달(360)의 제동신호를 동력원에 전달하여 출력 감소와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된 구성요소 이외에도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가 의도치 않게 분리된 경우, 즉각 동력원의 구동이 정지하도록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 사이에 안전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안전키는 일 예로 일반 피트니스 클럽에 설치된 드레드밀(일명 런닝머신)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안전키가 꼽혀 있을 때는 동력원이 정상적으로 구동하고,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가 분리되면 뽑히면서 동력원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탑승체(100)의 앞부위가 들리는 경우, 과도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과 접촉하여 제1탑승체(100)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1후륜(170)을 연결하는 연결축(171)에 하향 돌출되는 스토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보모가 제2탑승체(3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가 불시에 분리되면 보모의 중심이 흔들리면서 핸들부(210)에 무게가 쏠리게 되어 제1탑승체(100)의 앞부위가 들리게 된다. 이 상황에서 제1후륜(170) 부위에 설치된 스토퍼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1탑승체(100)가 과도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탑승체(100)를 정지시키게 된다.
<접는 동작>
이하에서는 아이가 탑승하는 시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탑승체를 접는 동안 각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1탑승체를 접는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1탑승체(100)는 도 2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도 3a 또는 도 3b에서와 같이 접을 수 있고, 이렇게 접은 상태는 운반하기 편하고, 작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제1탑승체(100)를 접기 위해 도 6a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도 6b,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제4프레임(190)을 제3프레임(180)측으로 밀어서 축회전시킨다. 이때, 제4프레임(190)이 장착된 제1체결부재(191)의 상부부재(192)와 제3프레임(180)이 장착된 제1체결부재(191)의 하부부재(193)가 축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부부재(192)가 축회전하면 제5프레임(200)이 장착된 제2체결부재(201)가 하방으로 움직이면서 제5프레임(200)과 장착구(110) 역시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더불어, 제3프레임(180)이 장착부재(181)를 매게로 연결바(15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2프레임(140)과 장착구(110)의 하방이동을 조력하게 된다.
이때,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하부부재(193)측 부위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2체결부재(201), 제5프레임(200)과 장착구(1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전륜(130)과 제1후륜(170) 간의 거리는 상호 간의 거리 변화(L1<L2<L3)에서처럼 점점 더 멀어진다. 여기서, 장착구(110)측 제1프레임(120)이 하방 이동하면, 제1프레임(120)에 고정된 바퀴장착부재(131)에 대해 제1전륜(130)이 회전한다.
이와 더불어, 도 5a, 도 5b와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장착구(110)에 대해 연장축(113)이 축회전하고, 연장축(113)과 제2프레임(140)의 결합부위가 축회전하게 되며, 제2프레임(140)의 하부가 결합부재(160)에 대해 축회전하게 된다.
이후, 도 11에서와 같이, 제4프레임(190)에 구비된 작동레버(195)를 조작하여 걸림부재(194)가 왕복 이동하면서 장착구(110)의 테두리에 걸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탑승체(100)는 제4프레임(190)이 장착구(110)와 인접하도록 축회전하여 접힌 후 고정된다.
<구동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운행하는 방법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에서와 같이 제1탑승체(100)의 후미에 제2탑승체(300)가 연결부재(340)에 의해 장착되고, 엑셀휠(211)과 제어박스(370)와 동력원이 제어케이블(371)에 의해 연결되며, 브레이프페달(360)이 제2전륜(320)의 회전을 감소시키도록 설치된 상태를 기본으로 한다.
제2탑승체(300)의 몸체(310)에 보모가 탑승한 상태에서 손으로 핸들부(210)를 파지하고, 운행을 시작하기 위해 엑셀휠(211)을 일방향으로 자전시키면 배터리(350)의 전원이 동력원에 전달되어 동력원이 구동한다.
이렇게 발생한 동력원의 동력이 제2전륜(320)을 회전시키면 제2탑승체(30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하는 제2탑승체(300)가 전방에 연결된 제1탑승체(100)를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동 중 엑셀휠(211)의 자전 각도를 변화시켜 동력원의 출력을 상승 또는 감소시켜 제2탑승체(300)의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브레일크 페달(360)을 밟거나 떼면서 이동하는 제2탑승체(300)를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제1탑승체 110:장착구
111:홈 112:연장부
113:연장축 120:제1프레임
121:충격흡수프레임 122:연결프레임
130:제1전륜 131:바퀴장착부재
140:제2프레임 150:연결바
160:결합부재 170:제1후륜
171:연결축 180:제3프레임
181:장착부재 190:제4프레임
191:제1체결부재 192:상부부재
193:하부부재 194:걸림부재
195:작동레버 200:제5프레임
201:제2체결부재 202:지지바
210:핸들부 211:엑셀휠
300:제2탑승체 310:몸체
320:제2전륜 330:제2후륜
340:연결부재 350:배터리
360:브레이크페달 370:제어박스
371:제어케이블.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가 착탈되는 장착구(110);
    유모차의 전방으로 배치되면서 하부에 제1전륜(130)이 장착된 제1프레임(120);
    상기 제1프레임(120)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하부에 제1후륜(170)이 연계 설치된 한 쌍의 제2프레임(140);
    상기 제2프레임(140)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바(150);
    상기 제1프레임(120)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바(150)에 일부위가 장착부재(181)를 매개로 장착된 제3프레임(180);
    상기 제3프레임(180)의 타측부가 고정되는 하부부재(193)와, 상기 하부부재(193)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부부재(192)를 구비한 제1체결부재(191);
    상기 상부부재(192)에 하단부가 고정된 제4프레임(190);과
    상기 제4프레임(190)의 상부에 구비된 핸들부(210);를 포함하는 제1탑승체(100)를 구비하고,
    상기 제4프레임(190)에 외력을 가하여 상부부재(192)가 하부부재(193)에 대해 축회전하면서 상기 장착구(110)까지 제4프레임(190)을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20)은 평면상 삼각형상이고, 상기 제1전륜(130)이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충격흡수프레임(121)과,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2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장착구(110)에서 돌출 연장된 연장부(112)와 체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하부에 제1전륜(130)이 장착되고, 상기 제1전륜(130)의 방향 전환을 위해 상부가 높이 방향에 대해 자전 가능하도록 충격흡수프레임(121)에 장착되는 바퀴장착부재(13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1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장착구(110)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1후륜(170)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110)에 일측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부가 제2프레임(140)의 상부와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연장축(11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륜(170)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축(171)과, 상기 연결축(171)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가 제2프레임(140)과 축회전하도록 결합되도록 설치된 결합부재(1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191)의 상부부재(192)에 축회전하도록 결합된 제2체결부재(201)와, 상기 제2체결부재(201)에 일측부가 결합되면서 타측부가 장착구(110)에 체결된 제5프레임(2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201)와 상부부재(192)의 결합위치가 상기 장착구(110)보다 더 낮고, 상기 제5프레임(200)의 일측부와 상기 제2체결부재(201)의 결합 위치가 상기 제2체결부재(201)와 상부부재(192)의 결합위치보다 더 낮으며, 상기 제5프레임(200)이 하향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프레임(200)의 타측부가 결합되고, 한 쌍의 연장축(113)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20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프레임(190)을 접으면, 상기 제5프레임(200)의 일측부가 지지바(202)를 밀어 연장축(113)을 장착구(110)에 대해 축회전시키면서 타측부가 하향 이동하고, 상기 연장축(113)과 제2프레임(140)의 상부가 축회전하면서 상기 제2프레임(140)의 상부와 장착구(110)가 하향 이동하며, 상기 제2프레임(140)의 하부와 결합부재(160)가 축회전하면서 상기 제1전륜(130)과 제1후륜(170)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프레임(190)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작동레버(195)와, 제4프레임(190)을 접었을 때 작동레버(195)에 의해 이동하면서 장착구(110)와 걸림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장착된 걸림부재(19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180)은 하향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4프레임(190)의 하부와 중간부는 제3프레임(180)의 곡률을 따라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이며, 상기 제4프레임(190)의 상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유모차.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10)는 제4프레임(190)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7.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탑승체(100)의 후미에 장착되어 제1탑승체(100)를 견인하고, 이용자가 탑승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제2전륜(320)과 제2후륜(330); 상기 몸체(310)에 내장된 배터리(350);와 상기 배터리(350)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제2전륜(320) 또는 제2후륜(33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는 제2탑승체(3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의 구동과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210)에 설치된 엑셀휠(211), 상기 엑셀휠(211)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을 제어하도록 몸체(310)에 설치된 제어박스(370)와, 상기 엑셀휠(211)의 제어신호를 제어박스(37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엑셀휠(211)과 제어박스(370) 사이에 설치된 제어케이블(37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탑승체(100)와 제2탑승체(30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일측부가 상기 제1탑승체(100)의 연결축(171)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제2탑승체(300)의 몸체(310) 일부위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40)는 연결축(171)과 몸체(310)에 일정 각도의 피봇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에는 제2탑승체(300)를 제동하기 위해 제어박스(370)에 제동신호를 전달하여 제2전륜(320) 또는 제2후륜(330)의 회전을 감속시키거나, 제2전륜(320) 또는 제2후륜(330)의 회전을 직접 감속시키도록 설치된 브레이크페달(3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동 유모차.
KR1020140081800A 2014-07-01 2014-07-01 접이식 전동 유모차 KR10163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800A KR101632185B1 (ko) 2014-07-01 2014-07-01 접이식 전동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800A KR101632185B1 (ko) 2014-07-01 2014-07-01 접이식 전동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37A KR20160003437A (ko) 2016-01-11
KR101632185B1 true KR101632185B1 (ko) 2016-06-21

Family

ID=5516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800A KR101632185B1 (ko) 2014-07-01 2014-07-01 접이식 전동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17Y1 (ko) 2016-07-11 2017-11-20 박광섭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KR102082813B1 (ko) * 2018-09-03 2020-02-28 이재완 전동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307B1 (ko) 2016-08-09 2017-05-19 이상민 전동 유모차
KR20190008010A (ko)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웰리치 유모차가 연결되는 전동휠
CN107618559A (zh) * 2017-09-28 2018-01-23 王庆太 一种婴儿手推车
CN109606519A (zh) * 2018-09-18 2019-04-12 金炫兌 智能电动车
CN110116747B (zh) * 2019-05-23 2020-09-01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伴成长婴儿车
KR102516083B1 (ko) * 2021-02-05 2023-03-30 (주)모토벨로 트레일러가 연결된 전동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46Y1 (ko) 2007-06-11 2007-12-11 이종천 유모차용 동력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112B1 (ko) 1997-06-04 2000-03-15 정몽규 차량용 연료 계통의 학습 제어 방법
KR100348252B1 (ko) 1999-10-28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tml 문서상의 tvurl 구현방법
KR20050075616A (ko) * 2004-01-17 2005-07-21 윤상현 유모차 구동장치
KR100997034B1 (ko) 2008-09-18 2010-11-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
KR20120030621A (ko) *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유모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46Y1 (ko) 2007-06-11 2007-12-11 이종천 유모차용 동력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17Y1 (ko) 2016-07-11 2017-11-20 박광섭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KR102082813B1 (ko) * 2018-09-03 2020-02-28 이재완 전동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37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185B1 (ko) 접이식 전동 유모차
US9428065B2 (en) Automatic folding electronic car
CN107000774A (zh) 移动式行走和运输辅助设备
US20180353356A1 (en) Attaching and detaching type driving device and wheelchair having the same
TWI607927B (zh) 推車
KR101822327B1 (ko) 전동 유모차
KR20160081633A (ko) 접이식 전동 킥보드
CN102579208B (zh) 多功能组合式电动轮椅车
KR20190035442A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KR101382632B1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KR101885157B1 (ko) 접이식 휠체어
US20220194458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CN212243621U (zh) 智能移动装置
CN108583667B (zh) 一种带避震装置的多功能童车
JP6923929B2 (ja) 乳母車
CN111469950A (zh) 智能移动装置
KR20140118089A (ko)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KR102477428B1 (ko) 유모차
KR20120002374A (ko) 보행 보조차
CN202620034U (zh) 多功能组合式电动轮椅车
CN202446376U (zh) 多功能组合式电动轮椅车
KR101872581B1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KR101941000B1 (ko) 회전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고 비상시 자동으로 제동하는 유모차
CN211139506U (zh) 一种带儿童座的电动车
CN202437496U (zh) 多功能组合式电动轮椅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